KR20180117300A -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7300A KR20180117300A KR1020170050225A KR20170050225A KR20180117300A KR 20180117300 A KR20180117300 A KR 20180117300A KR 1020170050225 A KR1020170050225 A KR 1020170050225A KR 20170050225 A KR20170050225 A KR 20170050225A KR 20180117300 A KR20180117300 A KR 201801173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holder
- cradle
- weight
- hea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스마트폰 등의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는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무게추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상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분산, 또는 상쇄시키기 위한 제1보정모듈이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바닥면에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제2무게추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상측에 X축 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는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무게추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상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분산, 또는 상쇄시키기 위한 제1보정모듈이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바닥면에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제2무게추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상측에 X축 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카메라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마트폰 등의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영상은 흔들림에 의하여 영상의 왜곡 등과 같은 화질의 저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피사체를 촬영시 흔들림에 의하여 발생되는 번짐(blur), 해상도 저하(resolution), 선예도 저하(sharpness reduction)와 같은 현상은 카메라의 영상 화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흔들림은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촬영자의 손 떨림에 따른 카메라가 흔들리거나, 또는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이다.
그리고, 셔터 속도(shutter speed)가 느리면 느릴수록,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특성의 저하에 따라 흔들림에 따른 화질 저하가 크게 나타난다.
이때, 주변 환경이 어두워지면 카메라에서 바라 보는 피사체의 밝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내부 프로세싱(processing) 작업의 속도가 느려지므로, 결국에는 셔터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한편,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하는 카메라 지지기구는 스테디캠(steady cam)으로 호칭되고, 삼각대를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를 손으로 들고 동영상 등을 촬영할 때 손 흔들림이 카메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카메라 지지기구의 원리는 손잡이 힘이 작용하는 지점이 카메라 지지기구 전체의 무게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손잡이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이동을 최소화하고 카메라가 병진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손잡이와 카메라 마운트부가 짐벌(gimbal) 구조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손잡이의 흔들림이 카메라 마운트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카메라 지지기구는 대부분 전문가(사진 작가, 방송국 카메라맨 등을말함)들이 사용하는 고급 카메라를 위해 고안된 것으로, 피사체를 촬영시 약간의 흔들림 보정을 위해 부피, 무게, 값비싼 카메라용 부대장치를 별도로 구매하게 되므로 필요이상의 경제적인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카메라 지지기구는 스마트폰, 액션캠 등의 소형 카메라에는 부대장치가 아직까지 적용되고 있지않은 실정이다.
또한, 소형 카메라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거치대는 카메라의 외형 또는 중량 등의 카메라 사양을 무시한 상태에서, 획일적으로 카메라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구조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63499호에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카메라 지지기구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피사체를 촬영시 카메라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 또는 상쇄시킴에 따라 양질의 영상물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미니액션캠, 스마트폰 등이 착탈되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헤드부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여 휴대시 부피,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구조 변경을 크게 하지않고도 기존의 거치대에 용이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무게추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상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분산, 또는 상쇄시키기 위한 제1보정모듈이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바닥면에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제2무게추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상측에 X축 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피사체를 촬영시 카메라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분산 또는 상쇄시킴에 따라 양질의 영상물을 촬영, 획득할 수 있어 신뢰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니액션캠, 스마트폰 등의 소형 카메라가 착탈되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헤드부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여 휴대시 부피, 사이즈를 최소화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 변경을 크게 하지않고도 기존의 삼각대, 모노포드, 셀피스틱 등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경제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제1,2보정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손잡이의 회동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헤드부의 신축조절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제1보정모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피사체를 촬영시 손잡이로부터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제1,2보정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손잡이의 회동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헤드부의 신축조절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제1보정모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홀더에서, 피사체를 촬영시 손잡이로부터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는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무게추(11)가 바닥면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12)(내부에 장착된 인장코일스프링(미 도시됨)에 의해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거치대(12)의 상하 방향의 사이즈가 가변조절될 수 있음);
거치대(12)의 상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손잡이(17)를 파지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거치대(12)에 장착되는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분산, 또는 상쇄시키기 위한 제1보정모듈(13)이 구비되는 헤드부(14);
헤드부(14) 바닥면에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제2무게추(15)가 장착되며, 신축조절가능한 파이프 형태의 고정구(16);
고정구(16)의 상측에 X축 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17);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7)는
손잡이(17)를 파지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X축 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분산, 또는 상쇄시키거나, 또는 고정구(16)의 제2무게추(15)로 분산 또는 분배시키기 위한 제2보정모듈(18);을 더 구비한다.
전술한 제1보정모듈(13)은
거치대(12)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향판(19)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축(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제1회동판(21);
제1회동판(21)의 하부 임의위치에 고정되는 제2축(22) 중간측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제3축(2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회동판(24);
거치대(12) 상면에 형성되는 요크(12a)에 제2회동판(24) 하측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제4축(25);을 구비한다.
전술한 제2보정모듈(18)은
헤드부(14)의 바닥면과 고정구(16)의 상단사이에 형성되는 고정축(27);
손잡이(17)의 상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요크(28)사이에 설치되고, 내주연에 장착되는 제1베어링(29)에 의해 고정축(27) 외주연에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30);
요크(28)의 결합공(31)에 장착되고, 홀더(30)의 양단에 요크(28)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3베어링(32,33);
제2,3베어링(32,33)을 관통하여 요크(28)를 홀더(30)의 양단에 고정하는 체결부재(34)(볼트를 말함);를 구비한다.
전술한 헤드부(14)는
거치대(12)가 대향판(19)에 고정되는 제1회동판에 장착되고, 체결부재(35)(볼트를 말함)가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36)이 형성되는 제1헤드부(37);
고정구(16)가 바닥면에 연장형성되고, 제1헤드부(37)에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며, 체결부재(35)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slot)(39)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헤드부(38);로 이루어지며, 슬롯(39)의 길이만큼 헤드부(14)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용 홀더를 휴대할 경우에 제1,2헤드부(37,38)를 상하 방향으로 최대한 압착시킨 후, 제1헤드부(37)의 관통공(36)에 결합된 볼트(35)를 제2헤드부(38)의 슬롯(39)을 관통시켜 너트로서 체결함에 따라 헤드부(14)의 상하 방향으로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이즈를 최소화시킨 홀더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면에,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는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제1,2헤드부(37,38)가 임의의 길이를 갖도록 벌린 후, 볼트(35) 및 너트를 체결시킴에 따라 거치대(12)에 내장된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조절되는 거치대(12)에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을 장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2무게추(15) 중량은 제1무게추(11)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손잡이(17)를 파지하여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발생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이 제1,2헤드부(37,38)로 이루어진 헤드부(14)쪽보다 고정구(16)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전달되어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17)를 파지하여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시 양질의 영상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거치대(12)의 임의위치에 장착되어 거치대(12)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계(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평계(40)는 물방울의 위치로 수평을 맞추는 아날로그 방식의 수평계와, 또는 LED의 표시로 수평을 맞추는 디지털 방식의 수평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미 도시됨), 수평계(40)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손잡이(17)를 파지하여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제1보정모듈(13)에 의해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전달(도 6에 화살표로 이동방향이 표기됨)되는 충격, 진동 또는 흔들림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손잡이(17)를 파지한 상태에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시 발생되는 충격, 진동 또는 흔들림을 거치대(12)와 헤드부(14)사이에 장착된 제1보정모듈(13)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킴에 따라 상쇄,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손잡이(17)를 파지할 경우 발생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이 헤드부(14)와 고정구(16)사이에 형성된 고정축(27)을 통과한 후, 고정축(27) 상단에 연결된 제1,2헤드부(37,38)로 이루어진 헤드부(14)를 통과하여 제1보정모듈(13)에 전달된다.
즉, 손잡이(17)로부터 헤드부(14)에 전달된 충격이 제1헤드부(37)의 대향판(19)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회동판(21)의 회동에 의해 1차로 운동방향이 변환된다.
제1회동판(21)에 전달된 충격은 제1회동판(21)에 고정된 제2축(22) 중간측에 수직되게 고정된 제3축(2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회동판(24)의 회동에 의해 2차로 운동방향이 변환된다.
제2회동판(24)에 전달된 충격은 제2회동판(24)에 고정된 제4축(25)에 의해 거치대(1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킨 요크(25a)의 회동에 의해 3차로 운동방향이 변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손잡이(17)를 파지할 경우 발생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이 제1헤드부(37)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회동판(21)과, 제1회동판(21)사이의 제2축(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회동판(24)과, 제2회동판(24)과 거치대(12)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요크(25a)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회동운동으로 변환됨에 따라 분산 또는 상쇄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17)를 파지하여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제2보정모듈(18)에 의해 제1,2헤드부(37,38)로 이루어진 헤드부(14)에 전달(도 6에 화살표로 이동방향이 표기됨)되는 충격, 진동 또는 흔들림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손잡이(17)를 파지한 상태에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시 발생되는 충격, 진동 또는 흔들림을 고정구(16)와 헤드부(14)의 제2헤드부(38)사이에 장착된 고정축(27)과, 손잡이(17)의 요크(28)에 장착된 제2보정모듈(18)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킴에 따라 상쇄,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17)의 요크(28)사이에 고정된 홀더(30)의 관통공에 장착된 제1베어링(29)에 의해 손잡이(17)를 고정축(27)에 대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미 도시됨). 따라서 손잡이(17)를 파지시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측으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킴에 따라 분산 또는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손잡이(17)의 요크(28)의 결합공(31)에 장착된 제2,3베어링(32,33)에 의해 손잡이(17)를 고정축(27)에 대해 X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도 3에 도시됨). 따라서 손잡이(17)를 파지시 거치대(12)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10)측으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고정구(16) 하단에 장착된 제2무게추(15)로 분배 또는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12; 거치대
14; 헤드부
16; 고정구
18; 제2보정모듈
20; 제1축
22; 제2축
24; 제2회동판
28; 요크
30; 홀더
32; 제2베어링
34; 체결부재
36; 관통공
38; 제2헤드부
40; 수평계
12; 거치대
14; 헤드부
16; 고정구
18; 제2보정모듈
20; 제1축
22; 제2축
24; 제2회동판
28; 요크
30; 홀더
32; 제2베어링
34; 체결부재
36; 관통공
38; 제2헤드부
40; 수평계
Claims (7)
-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무게추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상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분산, 또는 상쇄시키기 위한 제1보정모듈이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바닥면에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제2무게추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상측에 X축 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상기 거치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상쇄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정구의 제2무게추로 분산 또는 분배시키기 위한 제2보정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정모듈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대향판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제1회동판;
상기 제1회동판의 하부 임의위치에 고정되는 제2축 중간측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제3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회동판;
상기 거치대 상면에 형성되는 요크에 상기 제2회동판 하측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제4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정모듈은
상기 헤드부의 바닥면과 상기 고정구의 상단사이에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요크사이에 설치되고, 내주연에 장착되는 제1베어링에 의해 상기 고정축 외주연에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상기 요크의 결합공에 장착되고, 상기 홀더의 양단에 상기 요크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3베어링;
상기 제2,3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요크를 상기 홀더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거치대가 장착되고,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헤드부;
상기 고정구가 바닥면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헤드부에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헤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롯의 길이만큼 상기 헤드부의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게추 중량은 상기 제1무게추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임의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거치대의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225A KR101957928B1 (ko) | 2017-04-19 | 2017-04-19 |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225A KR101957928B1 (ko) | 2017-04-19 | 2017-04-19 |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7300A true KR20180117300A (ko) | 2018-10-29 |
KR101957928B1 KR101957928B1 (ko) | 2019-07-04 |
Family
ID=6410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0225A KR101957928B1 (ko) | 2017-04-19 | 2017-04-19 |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792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4960Y1 (ko) * | 2021-06-17 | 2022-02-08 | 박성태 |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
KR102584433B1 (ko) | 2022-12-08 | 2023-10-04 |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 3차원 공간 촬영 카메라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2001A (ja) * | 1999-09-24 | 2001-04-06 | Yutaka Kawamura | 撮影補助装置 |
KR20050095188A (ko) * | 2004-03-25 | 2005-09-29 | 주식회사 팬택 | 이동통신단말기 거치용 삼각대 홀더장치 |
KR20160106488A (ko) * | 2015-03-02 | 2016-09-12 | 최해용 | 가상현실카메라 지지봉 장치 |
-
2017
- 2017-04-19 KR KR1020170050225A patent/KR1019579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2001A (ja) * | 1999-09-24 | 2001-04-06 | Yutaka Kawamura | 撮影補助装置 |
KR20050095188A (ko) * | 2004-03-25 | 2005-09-29 | 주식회사 팬택 | 이동통신단말기 거치용 삼각대 홀더장치 |
KR20160106488A (ko) * | 2015-03-02 | 2016-09-12 | 최해용 | 가상현실카메라 지지봉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4960Y1 (ko) * | 2021-06-17 | 2022-02-08 | 박성태 | 스마트폰 거치용 모노포드 |
KR102584433B1 (ko) | 2022-12-08 | 2023-10-04 |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 3차원 공간 촬영 카메라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7928B1 (ko) | 2019-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54043B2 (ja) | モーションセンシティブ画像取込装置を安定的に支持するためのバランス取付装置 | |
US6663298B2 (en) | Hand held counter balance and shock absorber camera mount | |
TWI509182B (zh) | 用以平穩地支持動作敏感影像擷取裝置之穩固安裝架及方法 | |
WO2020192239A1 (zh) | 一种夹持机构及手持云台 | |
KR101957928B1 (ko) |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 |
CN111609281A (zh) | 纵向增稳式手持机架及手持摄影器材 | |
US20080310834A1 (en) | Camera Holding Device | |
WO2019007129A1 (zh) | 云台及具有此云台的摄像组件和无人机 | |
CN202710908U (zh) | 拍摄设备稳定器 | |
CA2896295C (en) | Receptacle for an image capture computing device | |
KR102120636B1 (ko) |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 |
JP2015125311A (ja) | 移動撮影装置 | |
CN221004513U (zh) | 一种云台及电子设备 | |
CN210199465U (zh) | 一种用于新闻摄影的影像装置 | |
CN217108962U (zh) | 手持云台及云台组件 | |
JP6710880B1 (ja) | 撮影器具 | |
TWM269476U (en) | Camera module | |
WO2022198653A1 (zh) | 手持云台及云台组件 | |
KR100399684B1 (ko) | 카메라의 이동지지장치 | |
JP2021067828A (ja) | カメラ支持具 | |
KR200246834Y1 (ko) | 카메라 렌즈 축 회전 촬영장치 | |
KR20200143125A (ko) |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하는 휴대용 카메라 지지기구 | |
KR100911152B1 (ko) | 손목형 카메라 지지장치 | |
CN114294529A (zh) | 一种带有支撑座的滚柱滑块 | |
EP1490723B1 (en) | Stabiliz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