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469B1 -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469B1
KR101529469B1 KR1020140102292A KR20140102292A KR101529469B1 KR 101529469 B1 KR101529469 B1 KR 101529469B1 KR 1020140102292 A KR1020140102292 A KR 1020140102292A KR 20140102292 A KR20140102292 A KR 20140102292A KR 101529469 B1 KR101529469 B1 KR 10152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charging
magnet
stationary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규 filed Critical 김인규
Priority to KR102014010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69B1/ko
Priority to US15/314,943 priority patent/US20170214260A1/en
Priority to PCT/KR2014/011289 priority patent/WO201602177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9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hree axes, i.e. universal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스티커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를 원터치로 탈착이 가능하고, 충전부와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어, 전력 전달거리가 짧아 약간의 차이로도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자기 유도 충전 방식에 효과적이다.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장치에 대응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무선 단말기의 뒷면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The Holding and charging system for the wireless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 단말기의 유선 충전 방식은 충전 케이블 단자를 사용 시 마다 끼웠다 뺐다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반복 행위로 케이블 단자가 자주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이동성과 편리함을 위하여 아놀로그 방식이 아닌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IT기술들이 많아지면서 무선 단말기 충전기가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이 상용화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전력 전달거리가 짧아 몇 mm의 차이로도 충전 효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를 무선 충전기에 정확한 위치에 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같이,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 충전기는 (a)판형으로 된 충전기의 상측에 충전 수신 패드가 장착된 무선 단말기를 올리거나 (b)차량용 또는 거치용도로 사용할 시에는 결속 브라켓으로 무선 단말기를 고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와 충전부의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a)충전 패드에 올려 무선 충전 여부를 알림말을 통하여 확인하나, 표면상으로는 정확한 위치에 접촉되었는지 확인 할 수 없어 충전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b)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결속 브라켓을 벌려 무선 단말기를 고정하여 탈착의 불편함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1569호(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패드)는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 송신 모듈,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나 여전히 거치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1569호(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패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력을 이용한 원터치 방식으로 정확한 위치에 충전부와 접촉이 되고,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정확한 위치에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장치에 대응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무선 단말기의 뒷면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뒤측으로 기울어진 ‘ㄴ’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하단 고정부는 대시보드 또는 유리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원통 이거나 Tape 또는 CD장치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무선 단말기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제 1충전 코일과 누설 전류 및 과도 전류를 막기 위한 PCB기판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을 연결하는 연결선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선 외에는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터치로 탈착이 가능하여 거치 및 충전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하단 고정부를 달리할 수 있어 설치 위치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기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Tape 또는 CD 삽입구에 설치가 가능한 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자석 유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 리시버와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된 거치 겸용 충전 장치와 상기 자석유도장치와 대응하여 자력으로 무선 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자석유도스티커가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기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 겸용 충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Tape 또는 CD 삽입구에 설치가 가능한 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자석 유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 리시버와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분해한 측면도로서,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10)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20)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 유도 장치(200)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10)는 도 3에서 후술하는 충전 단자부(204)를 통해 입력된 외부 전원을 제 1충전 코일(100)에 전송한다.
상기 충전 단자부(204)는 PCB기판(102)에 포함되며, 상기 PCB기판은 누설 전류 및 과도 전류를 막기 위한 트랜지스터, 저항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PCB기판(102)과 제 1충전 코일(100)의 사이에 연결선(103)이 형성되며, 연결선 외에는 서로 절연되도록 절연체(101)를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후술하는 상기 충전 리시버(50)는 제 2충전 코일(50a)을 구비하고 있으며, 권선비에 의해 변압되어 원하는 소정의 전압으로 충전 코일 간(100-50a)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충전 리시버(50)에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충전 리시버(50)의 수 단자부(50b)는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60)와 연결되며 유도 전류에 의하여 충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전부(10)는 무선 단말기 후면 케이스 내측에 단자 끼움 또는 부착 결합되는 충전 리시버(50)(도 9에 도시)에 대응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충전이 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10)는 1A의 출력전력량을 가지며, 가능한 가볍고, 얇은 부속품을 사용하여 제품 디자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 케이스(20)는 자석 유도 장치(200)가 구비되어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상측부(201)와 도 3에서 도시되는 볼 헤드(303)와 연결되는 하측부(202)와 무선 단말기가 접촉되는 표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방지 패드(207)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부(201)와 상기 하측부(202)는 소정의 높이로 개구된 중공 띠 형태의 연결 프레임(203)으로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203)은 색상 또는 재질을 달리 하여 외관상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소정의 각도로 뒤측으로 기울어진‘ㄴ’형태의 몸체(300)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부(301)와 상기 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전선을 고정하는‘ㄴ’또는 개방된‘ㅇ’형태의 충전 케이블 걸이(302)가 구비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 케이스(20)와 연결되고, 지지하는 목을 가지며 볼 헤드(303)(도 3에 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고정부(30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시보드 또는 유리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통형 이거나 Tape 또는 CD장치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도로서, 상기 하측부(202)는 소정의 위치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시가잭 또는 USB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 단자부(204)와 상기 하측부(202)의 하단에 외주부가 볼트형상인 소정의 높이의 중공 원통형의 결합부(205)와 내주부에 너트형상이 구비되는 중공 원통형의 볼 헤드 고정마개(20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205)와 상기 볼 헤드 고정마개(206)는 볼트-너트 결합되고, 볼헤드(303)가 상기 볼 헤드 고정마개(206)에 끼움 결합되며, 이 때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원형 또는 사각 통형의 하단 고정부(301)는 상기 하단 고정부를 가운데서 지지하는 중앙축(301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축을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301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중앙축(301a)은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된 흡착판(301d)과 연결되며, 상기 흡착판에 부착 표면에서 용이하게 떼어내기 위한 돌출부(301e)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301b)의 상부 말단과 연결되며, 힌지로 접힘이 되는 힌지 레버(301c)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레버는 소정의 위치의 모서리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 레버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위치에 힌지 결합 단차(301f)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힌지 레버를 내리면 힌지 결합 단차(301f)에 끼워져 고정이 된다.
동시에, 상기 코일 스프링이 위로 당겨지면서 상기 중앙축(301a)과 연결된 흡착판(301d)이 위로 당겨지면서 부착 표면에 부착된다.
반면에 상기 힌지 레버(301c)를 다시 올리면 흡착판과 부착 표면 사이에 공기가 빠지면서 부착력이 약해지고, 상기 돌출부(301e)를 잡고 떼어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소정의 각도로 뒤측으로 기울어진‘ㄴ’형태의 지지부(30)는 거치 케이스(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30)에 구비되는 볼헤드(303)가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ABS와 같은 견고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Tape 삽입구 또는 CD 삽입구에 설치가 가능한 지지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Tape삽입구에 설치할 수 있고, (b)는 CD삽입구에 설치된다.
거치 겸용 충전기가 (b)CD삽입구에 설치될 때, CD장치 내의 CD지지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뚫린 형상이다.
원통 또는 사각형의 통형의 하단 고정부를 떼어내고, 사용자의 설치 환경에 맞는 형태를 선택하여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자석 유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자석 유도장치(200)는 소정의 수와 간격으로 N극인 강력자석(200a)이 구비되고, 상기 강력 자석의 주위에 상기 강력 자석보다 크기가 작고 약한 자력을 가진 소형자석(200b)을 반대로 붙여주어 주변을 S극으로 형성한다.
이로 인해, 도 7에서 상세히 후술되는 자석 유도 스티커(40)의 박형 자석(S극)(401)이 자석 유도 장치(200)의 강력 자석(200a)(N극)과는 N-S극의 인력으로 당겨지고, 강력 자석의 옆에 구비되는 소형 자석(200b)(S극)과는 S-S극의 척력으로 밀어내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자석의 극은 반대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자석의 개수가 많거나 자기력이 크면 위치가 더 잘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중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를 분해한 도시도로서, 자석 유도 스티커(40)는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가 무선 단말기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 스티커(400)가 하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착스티커(400)는 무선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에 부착되며, 오랜 시간 붙여도 접착제가 묻어나지 않고, 내수성, 내열성, 접합강도가 뛰어나면서 탈부착이 가능한 아크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하여, 무선 단말기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무선 단말기 후면에 부착되는 자석 유도 스티커(40)를 쉽게 떼어낼 수 있어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스티커(400)는 소정의 위치에 박형 자석(401)을 구비하기 위한 자석 구비홈(400a)이 형성되어 박형 자석(401)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고, 자석 유도 스티커를 굴곡이 박형 자석(401)으로 인하여 굴곡이 생기지 않게 하고, 평편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박형 자석(401)은 스티커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mm 이내의 얇은 자석을 이용하며, 도 6에 도시된 거치 및 충전 장치의 자석 유도 장치(200)와 대응되어 자력으로 부착된다.
또한, 자석 유도 스티커(40)의 가장 상부에 접촉 패드(402)가 구비되어, 미끄럼방지 패드(207)와 대응하여 부착된다.
접촉 패드(402)와 미끄럼방지 패드(207)은 오염이 쉽게 되지 않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재질로 구비하여 마찰력을 가져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 장치에 부착시 자력 이외에 부가적인 부착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패드(402)와 미끄럼방지 패드(207)의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제품 디자인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석 유도 스티커(40)는 부착 스티커(400)-박형 자석(401)-접촉 패드(402)가 샌드위치 구조로 겹쳐진 형태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는 자석 유도 스티커를 무선 단말기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부착하고, 무선 단말기의 외부에 자석 유도 스티커의 위치를 알려주는 박형의 가이드 스티커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된 자석 유도 스티커(40)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에 대응되어 자력으로 결합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 리시버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충전 리시버(50)에 구비된 수 단자부(50b)가 무선 단말기의 암 충전 단자부(60)에 접속되고 제 2충전 코일(50a)에 의해 발생된 유도 전류가 흘러 충전이 된다.
10 : 충전부
- 100 : 제 1충전 코일
- 101 : 절연체
- 102 : PCB기판
- 103 : 연결선
20 : 거치 케이스
- 200 : 자석 유도 장치
- 200a : 강력 자석
- 200b : 소형 자석
- 201 : 상측부
- 202 : 하측부
- 203 : 연결 프레임
- 204 : 충전 단자부
- 205 : 결합부
- 206 : 볼 헤드 고정마개
- 207 : 미끄럼방지 패드
30 : 지지부
- 300 : 몸체
- 301 : 하단 고정부
- 301a : 중앙축
- 301b : 코일 스프링
- 301c : 힌지 레버
- 301d : 흡착판
- 301e : 돌출부
- 301f : 힌지 결합 단차
- 302 : 충전 케이블 걸이
- 303 : 볼헤드
40 : 자석유도스티커
- 400 : 부착 스티커
- 400a : 자석 구비 홈
- 401 : 박형 자석
- 402 : 접촉 패드
50 : 충전리시버
- 50a : 제 2충전 코일
- 50b : 수 단자부
60 : 무선 단말기 암 충전 단자부

Claims (8)

  1. 삭제
  2.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거치 겸용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의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 장치에 대응되도록 맞추어주며, 무선 단말기 하단에 부착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무선 단말기 하단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는 상기 충전 리시버와 접속되는 무선 단말기 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는
    소정의 각도로 뒤측으로 기울어진‘ㄴ’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하단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전선을 고정하는‘ㄴ’또는 개방된‘ㅇ’형태의 충전 케이블 걸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 케이스와 연결되고, 지지하는 목을 가지는 볼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부는
    대시보드 또는 유리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통형 이거나 Tape 또는 CD장치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또는 사각 통형의 하단 고정부는
    상기 하단 고정부를 가운데서 지지하는 중앙축과;
    상기 중앙축을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중앙축과 연결되며,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구비되며, 부착 표면에서 떼어내기 위한 돌출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부 말단과 연결되며, 힌지로 접힘이 되고, 소정의 위치의 모서리에 돌출부가 구비된 힌지 레버와;
    상기 힌지 레버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된 힌지 결합 단차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레버를 내리면 상기 흡착판이 위로 당겨지면서 부착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5.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거치 겸용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의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 장치에 대응되도록 맞추어주며, 무선 단말기 하단에 부착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무선 단말기 하단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는 상기 충전 리시버와 접속되는 무선 단말기 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 케이스는
    상기 자석유도장치가 구비되어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상측부와;
    볼 헤드와 연결되는 하측부와;
    무선 단말기가 접촉되는 표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방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는 소정의 높이로 개구된 중공 띠 형태의 연결 프레임으로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6.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거치 겸용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의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 장치에 대응되도록 맞추어주며, 무선 단말기 하단에 부착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무선 단말기 하단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는 상기 충전 리시버와 접속되는 무선 단말기 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석 유도 장치는
    소정의 수와 간격으로 구비된 강력 자석과;
    상기 강력 자석 주위에 부착되고, 상기 강력 자석과 반대극으로 구비되며, 상기 강력 자석보다 약한 자력을 가지는 소형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7.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거치 겸용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의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 장치에 대응되도록 맞추어주며, 무선 단말기 하단에 부착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무선 단말기 하단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는 상기 충전 리시버와 접속되는 무선 단말기 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부는
    무선 단말기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제 1충전 코일과;
    누설 전류 및 과도 전류를 막기 위한 PCB기판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을 연결하는 연결선과;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PCB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선 외에는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리시버는
    제 1충전 코일과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되는 제 2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8.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를 거치 및 충전하는 거치 겸용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의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장치는
    무선 단말기의 충전기가 삽입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가 삽입되고,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케이스와;
    상기 거치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무선 단말기를 자력으로 거치하기 위한 자석유도장치와;
    상기 거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유도 장치에 대응되도록 맞추어주며, 무선 단말기 하단에 부착되는 자석유도스티커와;
    상기 충전부와 대응되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무선 단말기 하단 케이스 내측에 부착되는 충전리시버를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의 후면에는 상기 충전 리시버와 접속되는 무선 단말기 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는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가 무선 단말기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 스티커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며, 강력자석과 반대극으로 구비되는 박형 자석과;
    상기 부착 스티커에 구비되며, 상기 박형 자석을 구비하기 위한 자석 구비홈과;
    상기 거치 케이스의 미끄럼방지 패드에 대응되며 상기 자석 유도 스티커의 상부에 부착되는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KR1020140102292A 2014-08-08 2014-08-08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KR10152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92A KR101529469B1 (ko) 2014-08-08 2014-08-08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US15/314,943 US20170214260A1 (en) 2014-08-08 2014-11-21 Set for holding and charging mobile device
PCT/KR2014/011289 WO2016021776A1 (ko) 2014-08-08 2014-11-21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92A KR101529469B1 (ko) 2014-08-08 2014-08-08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469B1 true KR101529469B1 (ko) 2015-06-17

Family

ID=5351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92A KR101529469B1 (ko) 2014-08-08 2014-08-08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14260A1 (ko)
KR (1) KR101529469B1 (ko)
WO (1) WO2016021776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165B1 (ko) * 2015-09-08 2016-06-08 주식회사 이피텍 차량용 듀얼 휴대단말기 거치대
WO2018159998A1 (ko) * 2017-03-02 2018-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107603A (ko) * 2017-03-22 2018-10-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KR20190021546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무선충전식 이동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20200042335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CN111478381A (zh) * 2019-01-23 2020-07-3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充电器、充电系统以及充电端子的脱离方法
KR102239517B1 (ko) * 2021-01-26 2021-04-12 김경철 모터사이클용 무선 충전장치
JP2021513830A (ja) * 2019-01-04 2021-05-27 フォー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Fouring Co.,Ltd.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KR20210002604U (ko) * 2020-05-18 2021-11-25 강동철 오토바이용 자석식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대
KR200495720Y1 (ko) * 2021-03-19 2022-08-03 이정화 배선형 다공 차폐판을 구비한 오토바이용 유무선 충전 장치
KR20230018751A (ko) 2021-07-30 2023-02-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시트거치용 충전장치
KR102572874B1 (ko) * 2022-11-16 2023-08-30 주식회사 스토리너스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2112B1 (en) * 2015-05-29 2021-08-11 Nike Innovate C.V. Apparel with wireless-powered sensors
US10563683B2 (en) * 2016-05-02 2020-02-18 Yona Lebovitz Magnetic mobile-device mount
CN205882739U (zh) * 2016-05-18 2017-01-11 严兵 一种无线式万能充电手机支架
DE102016111448A1 (de) * 2016-06-22 2017-12-28 Bury Sp.Z.O.O Haltersystem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in einem Fahrzeug
US20180118132A1 (en) * 2016-11-02 2018-05-03 Nick Derokov Supporting means for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upply retention means
US10505392B2 (en) * 2016-12-01 2019-12-10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
DE102017216637B4 (de) * 2017-09-20 2021-04-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r Fahrzeugkomponente an einer Scheibenfläche eines Kraftfahrzeugs und eine derartige Vorrichtung umfassendes Kraftfahrzeug
US11021111B2 (en) * 2018-09-12 2021-06-01 Scosche Industries, Inc. Dash cam mount
US11509149B2 (en) 2018-12-27 2022-11-22 Scosche Industries, Inc. Modular device charging station
US11011921B2 (en) * 2018-12-31 2021-05-18 Scosche Industries, Inc.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DE202019104543U1 (de) * 2019-08-19 2019-08-29 Ayhan Alptekin Vorrichtung zur abnehmbaren Halterung eines Schlüssels an oder in einem Kraftfahrzeug
US11364856B2 (en) * 2019-11-04 2022-06-21 Handstands Promo, Llc Pinch-grip mount
USD1027929S1 (en) 2020-06-11 2024-05-21 Theresa Soon Seatback phone mount
WO2022066134A1 (ru) * 2020-09-28 2022-03-31 Сергей Дмитриевич ПОЛИНКЕВИЧ Держатель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D1006010S1 (en) 2021-12-30 2023-11-28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ing head
CN115742985B (zh) * 2022-12-15 2023-05-26 黑龙江天有为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支架及交通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34B1 (ko) * 2010-10-11 2011-03-09 주식회사 이피텍 이동통신단말기용 거치유니트
KR101219760B1 (ko) * 2012-06-29 2013-01-21 이동엽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20140065294A (ko) * 2012-11-21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140003508U (ko) * 2012-12-03 2014-06-11 성운수 충전케이스 대용 무선 충전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9507A1 (en) * 2009-10-28 2011-04-28 Google Inc.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that trigger actions directed to an item
KR20130125196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형지테크 휴대폰 거치대
US9483075B2 (en) * 2013-05-14 2016-11-01 Paul Liniger Handheld mount and stand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844159B1 (en) * 2014-04-24 2017-12-12 Paul Stanley Liniger Handheld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16141206A1 (en) * 2015-03-03 2016-09-09 Attachit LLC Magnetic mou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34B1 (ko) * 2010-10-11 2011-03-09 주식회사 이피텍 이동통신단말기용 거치유니트
KR101219760B1 (ko) * 2012-06-29 2013-01-21 이동엽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20140065294A (ko) * 2012-11-21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140003508U (ko) * 2012-12-03 2014-06-11 성운수 충전케이스 대용 무선 충전 모듈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165B1 (ko) * 2015-09-08 2016-06-08 주식회사 이피텍 차량용 듀얼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381434B1 (ko) * 2017-03-02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159034B2 (en) 2017-03-02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linked thereto
KR20180100788A (ko) * 2017-03-02 2018-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8159998A1 (ko) * 2017-03-02 2018-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81711B1 (ko) * 2017-03-22 2022-03-3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KR20180107603A (ko) * 2017-03-22 2018-10-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KR20190021546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무선충전식 이동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102120428B1 (ko) * 2018-10-15 2020-06-08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20200042335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US11239697B2 (en) 2019-01-04 2022-02-01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JP7100338B2 (ja) 2019-01-04 2022-07-13 フォー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JP2021513830A (ja) * 2019-01-04 2021-05-27 フォー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Fouring Co.,Ltd.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CN111478381B (zh) * 2019-01-23 2023-12-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充电器、充电系统以及充电端子的脱离方法
CN111478381A (zh) * 2019-01-23 2020-07-3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充电器、充电系统以及充电端子的脱离方法
KR200494737Y1 (ko) 2020-05-18 2021-12-10 강동철 오토바이용 자석식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대
KR20210002604U (ko) * 2020-05-18 2021-11-25 강동철 오토바이용 자석식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대
KR102239517B1 (ko) * 2021-01-26 2021-04-12 김경철 모터사이클용 무선 충전장치
KR200495720Y1 (ko) * 2021-03-19 2022-08-03 이정화 배선형 다공 차폐판을 구비한 오토바이용 유무선 충전 장치
KR20230018751A (ko) 2021-07-30 2023-02-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시트거치용 충전장치
KR102572874B1 (ko) * 2022-11-16 2023-08-30 주식회사 스토리너스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776A1 (ko) 2016-02-11
US20170214260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469B1 (ko)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US20200182276A1 (en) Magnetic mobile-device mount
US9083111B2 (en) Magnetic docking base for handset
JP5364788B2 (ja) 磁性支持部材が設けられた固定装置を有する携帯用電子機器支持用装置
US20150002088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0472994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KR200470827Y1 (ko)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US20150008875A1 (en) Wireless charging holder and assembly of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holder
KR101024928B1 (ko)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US9496642B1 (en) Charging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magnetic member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20138564A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N210184850U (zh) 一种具有可拆卸放大镜的化妆镜
KR200413161Y1 (ko) 차량용 거치대
CN109910564B (zh) 用于车辆的香料瓶和车辆
KR20100129880A (ko) 휴대기기용 거치대
CN211032396U (zh) 一种手电支架
KR20150004611U (ko) Nfc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CN109151645B (zh) 可变器件的无线通信设备
KR20170003110U (ko)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CN217363169U (zh) 一种外置微距镜头及手机
CN218819126U (zh) 一种夹持件及夹持装置
KR20210090838A (ko) 무선충전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77339Y1 (ko) 핸드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