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10U -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10U
KR20170003110U KR2020160001051U KR20160001051U KR20170003110U KR 20170003110 U KR20170003110 U KR 20170003110U KR 2020160001051 U KR2020160001051 U KR 2020160001051U KR 20160001051 U KR20160001051 U KR 20160001051U KR 20170003110 U KR20170003110 U KR 201700031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phone
terminal
phon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훈
Original Assignee
(주)보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토코리아 filed Critical (주)보토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1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110U/ko
Publication of KR20170003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원은 휴대폰 케이스 및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테이블이나 차량의 데쉬보드 등에 위치시켜 휴대폰을 편리하게 거치시키고 충전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휴대폰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10); 일측은 휴대폰의 전원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핀(21)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젠더부(22)로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연결핀과 젠더부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1 단자부(20); 및,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20)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충전단자(31)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2 단자부(30):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가 사용된 휴대폰(S)의 디스플레이부(F)와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이 양측에서 슬롯 방식으로 내삽되어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내삽부(111)를 포함하는 지지몸체(110)와 하부에 패드부(200)와 연계되는 휴대폰 지지부(100); 상기 휴대폰 지지부의 내삽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충전 제 3 단자부(117); 일측은 충전 제 3 단자부(117)와 연계되고 타측은 전원부(P)와 연계되는 충전 제 4 단자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지지부를 지지하는 패드부(200):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면서 신속하게 휴대폰을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충전을 실시할 수 있어, 운전 중에 네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선의 엉킴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MOBILE PHONE CASE AND HOLDER CONVENIENT FOR CHARGE}
본원은 휴대폰 케이스 및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테이블이나 차량의 데쉬보드 등에 위치시켜 휴대폰을 편리하게 거치시키고 충전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PDA 등의 장치를 안정적으로 거치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폰 등의 장치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기타의 일을 동시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끔 해 주는 편의 장치이다.
스마트폰은 모바일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차량 안에서도 전화기능이나 음악 감상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또한 네비게이션의 어플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행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제작되어 이미 많은 종류의 거치대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크게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면서 고정되는 측면 고정방식과,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은 본체의 전면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휴대폰의 후면 배터리에는 소정의 형태로 금속판에 부착함으로써,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휴대폰이 부착 고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휴대폰의 후면 배터리에 별도로 구성되는 금속판을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미관을 크게 손상시키게 되고,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 금속판에 녹이 발생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판의 제거 또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방식의 거치대의 예시로서 도 1에서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2-0091895 호(이하,‘선행기술 1’이라 함)는 차량용 거치대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대쉬보드에 고정되는 지지부(10a)와, 지지부의 전방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내부 양측 벽면에 소정의 고정부를 구비한 포켓 형태의 안착부가 구비된 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고정부(20b)가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구조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휴대폰 거치대에서 상기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고정부는 휴대폰의 사이드 키를 가압하여 휴대폰의 오작동의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된 휴대폰을 다시 탈거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이러한 사이드 키의 가압을 없애는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3-0125196 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휴대폰 거치대’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데, 상세하게는 차량의 유리에 부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틀에 밀착판을 결합하고, 상기 밀착판은 압박수단에 의해 틀에 지지되어 상기 압박수단의 승하강에 의해 유리에 밀착시킨 탄성 재질의 밀착판이 연동하여 유리의 경계 틈새 공간을 진공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제1부착부와, 상기 틀에 힌지 결합된 제1관절에 제2관절을 각도 변환이 가능하게 연결한 관절부와, 상기 제2관절에 연결수단을 통해 힌지 연결시킨 패드 전면에 반 호형상의 흡착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흡착수단 전면에 휴대폰을 압착시켜 상기 흡착수단에 진공 상태를 유도하여 휴대폰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2부착부로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대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2는 상기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서, 데쉬보드나 차량 유리에 밀착되는 밀착판 등의 제1부착부, 많은 구성을 포함하는 관절부, 복잡한 흡착수단을 포함하는 관계로, 사용자는 설치의 불편함이 있고, 특히 많은 구성요소로 인해 제조 원가의 상승의 문제점이 있고, 휴대폰의 거치 이후에 탈거하는 경우에 큰 불편함이 존재한다.
즉,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탈거할 때에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선행기술 1 또는 선행기술 2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운전 중에 네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에서 휴대폰을 거치시킴과 동시에 휴대폰을 충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휴대폰 충전에 이용되는 배선들로 인해 휴대폰을 탈거시킬 때 배선들이 엉키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고, 나아가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케 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흔들림에도 안정적으로 휴대폰 등의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휴대폰의 탈착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휴대폰의 거치 중, 휴대폰 충전도 용이하고, 충전 중인 경우에도 그 휴대폰의 탈착이 신속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휴대폰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 일측은 휴대폰의 전원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핀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젠더부로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연결핀과 젠더부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1 단자부; 및,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충전단자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 또는 충전 제 2 단자부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가 사용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이 양측에서 슬롯 방식으로 내삽되어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내삽부를 포함하는 지지몸체와 하부에 패드부와 연계되는 휴대폰 지지부; 상기 휴대폰 지지부의 내삽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충전 제 3 단자부; 일측은 충전 제 3 단자부와 연계되고 타측은 전원부와 연계되는 충전 제 4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지지부를 지지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삽탈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지지부는 충전 제 3 단자가 매립된 형태로 패드부에 고정되는 제 1 휴대폰 지지부와 상기 충전 제 3 단자가 없이 하단에 내삽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삽탈홈에 삽탈되는 제 2 휴대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자부 또는 제 4 단자부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인 것이고, 상기 내삽부는 패드부와 30 ~ 90 도의 경사를 지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 측에서 휴대폰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몸체부와 상기 제 1 지지몸체부와 대향하는 제 2 지지몸체부를 지니면서 내삽부를 형성하는 것이되, 상기 제 1 지지몸체의 높이는 상기 제 2 지지몸체부 보다 낮으며, 상기 제 1 지지몸체부의 상부는 누름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삽탈홈은 원뿔대 형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삽탈홈의 열 간에 곡률 가이드홈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실리콘재질의 상판과 점착성 논슬립 부재의 하판이 상하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 4 단자부는 일측에 충전표시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의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면서 신속하게 휴대폰을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충전을 실시할 수 있어, 운전 중에 네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선의 엉킴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의 예시 도면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휴대폰 케이스의 1 단자 사시도 및 4 단자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충전 제 1 단자부의 확대사시도 및 충전 제 2 단자부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일부 투영 사시도(도 4의 (a)), 휴대폰 지지부의 정면도(도 4의 (b)) 및 I-II선 패드부 단면도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삽돌기부와 삽탈홈을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원의 일 구현에 따른, 사용상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다른, 사용상태 결합 사시도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와 “연계”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결합된 것과 실질적으로 그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할 수 있음을 포함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를 함께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들어, 본원에 속한 기술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본원을 반복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휴대폰 케이스의 1 단자 사시도(도 2의 (a)) 및 4 단자 사시도(도 2의 (b))이며, 도 3은 도 2의 충전 제 1 단자부의 확대사시도(도 2의 (a)) 및 충전 제 2 단자부의 확대사시도(도 2의 (b))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제 1 측면은, 휴대폰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10); 일측은 휴대폰의 전원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핀(21)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젠더부(22)로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연결핀과 젠더부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1 단자부(20); 및,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20)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충전단자(31)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2 단자부(30):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폰(S)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테블릿 PC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모바일 기기로서 본원의 휴대폰 케이스에 내삽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10)은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금속재질 등으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1)은 휴대폰의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단자로서, 예시적으로 마이크로 5핀, 미니 5핀, 라이트닝 8핀 등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젠더부(22)는 예시적으로 상기 마이크로 5핀이 다시 연결되는 요(凹)와 같은 형상인 젠더형의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적으로 젠더부(22)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일 수 있다. 마그네틱 충전단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자 상호간의 연결이 자력에 의해 체결되므로 휴대폰의 충전 중에도 쉽게 휴대폰을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 사용이 끝난 후 편리하게 다시 충전을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1)과 젠더부(22)로 구성되는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20)는 프레임(10)에 매립된 형태이되, 상기 연결핀(21)과 젠더부(20)는 노출된 형태를 지닌다.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는 통상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종래의 충전기를 통한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 2 단자부(30)는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20)와 연결선(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충전 제 2 단자부를 통해 충전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충전단자(31)는 도면에서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의 형태로 예시적으로 구현하였으나, 앞서 젠더형의 충전단자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 제 2 단자부(30)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단자 상호간의 연결이 자력에 의해 체결되므로 휴대폰의 충전 중에도 쉽게 휴대폰을 충전 상태에서 벗어나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 사용이 끝난 후 편리하게 다시 충전을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충전단자는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 주위에 자석을 구성하여,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전력 수신 장치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장치로서, 마그네틱 충전 기술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반복 재현 가능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일부 투영 사시도(도 4의 (a)), 휴대폰 지지부의 정면도(도 4의 (b)) 및 I-II선 패드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구현에 따른, 사용상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다른, 사용상태 결합 사시도로서,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가 사용된 휴대폰(S)의 디스플레이부(F)와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이 양측에서 슬롯 방식으로 내삽되어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내삽부(111)를 포함하는 지지몸체(110)와 하부에 패드부(200)와 연계되는 휴대폰 지지부(100); 상기 휴대폰 지지부의 내삽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충전 제 3 단자부(117); 일측은 충전 제 3 단자부(117)와 연계되고 타측은 전원부(P)와 연계되는 충전 제 4 단자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지지부를 지지하는 패드부(200):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폰 지지부(100)는 휴대폰(S)의 디스플레이부(F)와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이 양측에서 슬롯 방식으로 내삽되어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내삽부(111)가 형성된 지지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몸체(110)는 제 1 지지몸체부(112)와 제 2 지지몸체부(11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삽부(111)는 상기 제 1 지지몸체부와 상기 제 2 지지몸체부에 의해 그 중간의 슬롯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충전 제 3 단자부(117)는 휴대폰 지지부의 내삽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단자는 노출되어 있고, 몸체는 상기 휴대폰 지지부에 매립되어 있으며, 충전 제 4 단자부(250)와 연결선(51)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대응되는 충전 제 3 단자부(117a)와도 연결선(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51; 52)는 매립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패드부(200)는 차량의 데쉬보드상에 위치하여, 패드부 상의 휴대폰 지지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패드부의 사용은 차량의 데쉬보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책상이나 다양한 테이블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삽돌기부와 삽탈홈을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200)는 삽탈홈(210)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지지부는 충전 제 3 단자(115)가 매립된 형태로 패드부에 고정되는 제 1 휴대폰 지지부(100-1)와 상기 충전 제 3 단자가 없이 하단에 내삽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삽탈홈(210)에 삽탈되는 제 2 휴대폰 지지부(100-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삽돌기부(120)는 패드부(200)의 삽탈홈(210)에 삽탈되면서 고정 또는 분리되는데, 사용자가 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하는 경우나 가로로 거치하는 경우에 맞게 휴대폰 지지부(100)를 패드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즉, 제 1 휴대폰 지지부(100-1)는 패드부(200)와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라도, 제 2 휴대폰 지지부(100-2)를 이용하여, 거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충전 제 1 단자부(20)의 양 옆에 충전 제 2 단자부(30)가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을 계속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충전 제 3 단자부(117)는 상기 충전 제 2 단자부와 탈착되면서 충전과 비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제 4 단자부은 연결선(51)에 의해 충전 제 3 단자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차량 등의 전원연결 장치(P)를 연결하여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 제 3 단자부(117) 또는 충전 제 4 단자부(250)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일 수 있으며, 특히, 충전 제2 단자부(30)와 충전 제 3 단자부(117)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충전 중이라도 충전 제 2 단자(30)와 충전 제 3 단자부(117)는 자력에 의해 접촉되어 충전되므로, 배선의 혼잡함 없이 충전에서 벗어나 휴대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몸체부(112)의 높이(h1)는 상기 제 2 지지몸체부(113)의 높이(h2) 보다 낮으며, 상기 내삽부(111)는 휴대폰의 두께에 맞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00 mm의 간격(도 4의 인출부호‘D2’)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삽부는 패드부(200)와 30 ~ 90 도의 경사(도 4 (b)의 인출기호‘θ’참조)를 지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0 도 미만인 경우나 90 도를 초과하는에는 사용자가 휴대폰의 화면을 보기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휴대폰 지지부는 플라스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몸체부(112)의 상부는 누름돌출부(11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누름돌출부(115)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압하면서 눌러주는 부위로서 상기 누름돌출부(115)를 형성하면 제 1 지지몸체부의 하단 내부면은 상대적으로 함몰부(116)를 지니게 된다(도 3의 (a)에서 D2 > D1 인 것을 참조). 이와 같은 누름돌출부(115)와 함몰부(116)가 형성되면, 휴대폰을 내삽부(111)에 삽입할 때 플라스틱이 지니는 탄성에 의해 휴대폰은 누름돌출부(115)에 의해 누려 안정적으로 휴대폰이 거치되게 되며, 상기 함몰부(116)가 가지는 공간은 휴대폰을 거치한 경우 각도를 좀더 세우거나 낮출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휴대폰이 맞닿는 상기 제 1 지지몸체부(112)와 상기 제 2 지지몸체부(113)의 내면에는 추가적으로 엘라스토머 수지, 실리콘, 또는 다양한 논슬립 부재를 추가 포함(미도시)할 수 있다.
도 4의 (c)를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삽탈홈(210)은 원뿔대 형상인 것일 수 있으며, 내삽돌기부(120)가 삽탈홈(2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삽돌기부(120)는 원뿔대의 형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200)는 삽탈홈(210)의 열 간(도 4의 인출부호 ‘L’참조) 에 곡률 가이드홈(220)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곡률 가이드홈(220)은 패드부(200)가 데쉬보드와 같이 약간의 곡면을 가진 곳에서 사용할 때 데쉬보드 등이 가지는 곡률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피착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곡률 가이드홈(220)은 도 2에서는 삽탈홈의 열 간격이 10개인 경우에 모두 적용된 10개로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삽탈홈의 열 간격이 n개인 경우 곡률 가이드홈(220)은 1 ~ n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00)는 실리콘재질의 상판(230)과 점착성 논슬립 부재의 하판(240)이 상하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드부는 고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수지를 이요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항균성, 채색성, 유동성 등이 편리하여 이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착성 논슬립 부재는 가소제를 포함시켜 표면 정적마찰계수를 0.85 이상 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예시적으로 폴리머 조성비는 PVC(paste resine), PE, 열가소성 우레탄(TPU : thermoplastic urethan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 thermoplastic elastomer) 및 고무(Rubber) 등 하나 이상의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0 ~ 180 중량부, 안정제 1 ~ 10 중량부, SiO2 1 ~ 20 중량부, 가교제 1 ~ 10 중량부를 투입하고, 이들 조성물을 혼련한 중합체를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점착성 논슬립 부재를 제조하여, 이를 상기 상판과 열융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물리적으로 정적마찰계수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점착성 논슬립 부재의 하판의 밀착면에 엠보싱 조면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릭(Phthalic)계로서 디옥칠프탈레이트 (diocthylphthalate), 디에틸프탈레이트 (diethylphthalate),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isodecylphthalate), 부틸벤질 프탈레이트(butylbenzyl phthalate), 트리클로로포스페이트(trichlorophosphate) 등과 아디픽(Adipic)산계 유도체로서 디옥실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디이소데실 아디페이트(diisodecyl adipate),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diisononyl adipate) 등과; 아젤레익(Azelaic)계로서 디옥실 아젤레이트(dioctyl azelate) 등과 세바식(Sebasic)계 유도체로서 디옥실세바게이트(dioctyl sebacate), 말레익(maleic)산계 유도체, 트리멜리틱(trimellitic)계 유도체, 시트릭(citric)계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에폭시(Epoxy) 대두유, 지방산금속염(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산 바륨(barium stearate),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린산 리튬(lithium stearate)); 주석(Tin)계(브틸틴라우레이트((butyl tin laurate), 부틸틴말레이트(butyltin malrate)); 무기산염류(트리베직인산연(tribasic lead phosphate), 베직인산연(basic lead phosphate), 디베직인산연(dibasic leadphosphate)), 머캅탄(mercapthane)류;(모노부틸틴머캅타이트(monobutyl tin mercaptide), 부틸틴머캅탄 화합물(butyl tin mercapthanecompound)),phenol계 안정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색소로서 무기색소 및 유기색소를 사용할 수 있고, 가교제로는 peroxide(DCP,BPO,등)TAIC,Oxime, Sulfur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원을 계속 설명하면, 상기 충전 제 4 단자부(250)는 일측에 충전표시부(50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며, 상기 충전표시부(500)는 일면이 매립된 형태의 LED 램프로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충전상태의 진행과 완료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S : 휴대폰 F : 디스플레이부
10 : 프레임 20 : 충전 제 1 단자부
21 : 연결핀 22 : 젠더부
30 : 충전 제 2 단자부 31 : 충전단자
40, 51, 52 : 연결선
100 : 휴대폰 지지부 110 : 지지몸체
111 : 내삽부 120 : 내삽돌기부
112 : 제 1 지지몸체부 113 : 제 2 지지몸체부
115 : 누름돌출부 116 : 함몰부
117 : 충전 제 3 단자부 117a : 대응 충전 제 3 단자부
200 : 패드부 210 : 삽탈홈
220 : 곡률 가이드홈 230 : 실리콘 재질 상판
240 : 논슬립 부재 하판 250 : 충전케이블 고정부
500 : 충전표시부

Claims (10)

  1. 휴대폰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
    일측은 휴대폰의 전원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핀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젠더부로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연결핀과 젠더부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1 단자부; 및,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충전단자가 노출되게 삽입된 충전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 1 단자부 또는 충전 제 2 단자부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인 것인,
    휴대폰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가 사용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이 양측에서 슬롯 방식으로 내삽되어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내삽부를 포함하는 지지몸체와 하부에 패드부와 연계되는 휴대폰 지지부;
    상기 휴대폰 지지부의 내삽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충전 제 3 단자부;
    일측은 충전 제 3 단자부와 연계되고 타측은 전원부와 연계되는 충전 제 4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지지부를 지지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삽탈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지지부는 충전 제 3 단자가 매립된 형태로 패드부에 고정되는 제 1 휴대폰 지지부와 상기 충전 제 3 단자가 없이 하단에 내삽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삽탈홈에 삽탈되는 제 2 휴대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폰 거치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자부 또는 제 4 단자부는 마그네틱 충전단자인 것이고,
    상기 내삽부는 패드부와 30 ~ 90 도의 경사를 지니는 것인,
    휴대폰 거치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 측에서 휴대폰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몸체부와 상기 제 1 지지몸체부와 대향하는 제 2 지지몸체부를 지니면서 내삽부를 형성하는 것이되, 상기 제 1 지지몸체의 높이는 상기 제 2 지지몸체부 보다 낮으며, 상기 제 1 지지몸체부의 상부는 누름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폰 거치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삽탈홈은 원뿔대 형상인 것인,
    휴대폰 거치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삽탈홈의 열 간에 곡률 가이드홈을 추가 포함하는 것인,
    휴대폰 거치대.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실리콘재질의 상판과 점착성 논슬립 부재의 하판이 상하 결합된 것인,
    휴대폰 거치대.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 4 단자부는 일측에 충전표시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휴대폰 거치대.
KR2020160001051U 2016-02-26 2016-02-26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KR201700031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51U KR20170003110U (ko) 2016-02-26 2016-02-26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51U KR20170003110U (ko) 2016-02-26 2016-02-26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04U Division KR20170004136U (ko) 2017-12-01 2017-12-01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10U true KR20170003110U (ko) 2017-09-05

Family

ID=6057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051U KR20170003110U (ko) 2016-02-26 2016-02-26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1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2116A1 (zh) * 2020-09-14 2022-03-17 前海骏达(深圳)股权投资有限公司 一种支架以及电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2116A1 (zh) * 2020-09-14 2022-03-17 前海骏达(深圳)股权投资有限公司 一种支架以及电子装置
US11947383B2 (en) 2020-09-14 2024-04-02 Qianhai Junda (Shenzhen) Equity Investment Co., Ltd.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3111B2 (en) Magnetic docking base for handset
KR101529469B1 (ko)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CA2786779C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KR20170003110U (ko)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KR20170003132U (ko)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거치대
KR20190055449A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170004136U (ko) 충전의 탈착이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 및 이에 이용되는 휴대폰 거치대
KR200484716Y1 (ko) 차량 거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13161Y1 (ko) 차량용 거치대
CN210430954U (zh) 一种耳机盒
KR101673875B1 (ko)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KR20130006987U (ko) 이륜차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CN201039139Y (zh) 手提电话架与无线耳塞机组合装置
CN210162003U (zh) 按压式电子设备支架
CN207835546U (zh) 手机支架
CN214380158U (zh) 支架结构及无线充电支架
CN210490956U (zh) 一种高实用性推拉支架
CN210016505U (zh) 一种可加装无线充电模块的手机支架
CN209982546U (zh) 一种手机磁吸充电母头置放结构
CN211606588U (zh) 一种折叠式支架手机壳
CN205548067U (zh) 安装到椅背的充电架
CN204906482U (zh) 手机支架
CN210165148U (zh) 侧部操作式电子设备支架
CN211019161U (zh) 一种蓝牙耳机充电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