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74B1 -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74B1
KR102572874B1 KR1020220153530A KR20220153530A KR102572874B1 KR 102572874 B1 KR102572874 B1 KR 102572874B1 KR 1020220153530 A KR1020220153530 A KR 1020220153530A KR 20220153530 A KR20220153530 A KR 20220153530A KR 102572874 B1 KR102572874 B1 KR 102572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mobile device
pair
attachment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토리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토리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토리너스
Priority to KR102022015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74B1/ko
Priority to KR1020230112255A priority patent/KR2024007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 및 일면에서 모바일 기기와 자기 부착되어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를 거치 가능한 거치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결합면을 구비하고 충전기의 타면의 극성에 따라 스위칭된 결합면을 통해 충전기의 타면에 자기 부착되는 부착 유닛, 및 부착 유닛과 결합되어 부착 유닛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 및 충전기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APPARATUS FOR HOLDING MOBILE DEVICE AND CHARGER}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단자 연결없이 맞닿아 두는 것만으로 충전 가능한 무선 충전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석을 이용해 모바일 기기와 자기 부착되어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제품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발맞춰 거치대 등과 같은 다양한 자기 부착식 액세서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제조사마다 무선 충전기의 극성을 달리하고 있어 사용자로서는 하나의 자기 부착식 거치대로서 여러 제조사의 제품을 거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제조사의 상이한 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를 자기 부착식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050호 (2015.08.27. 공개)
본 발명은 상이한 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를 자기 부착식으로 거치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 및 일면에서 모바일 기기와 자기 부착되어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를 거치 가능한 거치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결합면을 구비하고 충전기의 타면의 극성에 따라 스위칭된 결합면을 통해 충전기의 타면에 자기 부착되는 부착 유닛, 및 부착 유닛과 결합되어 부착 유닛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 및 충전기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가 제공된다.
지지 유닛에는, 부착 유닛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부착 유닛은, 삽입홀에 삽입되어 지지 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
부착 유닛은, 한 쌍의 결합면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고, 한 쌍의 결합면은, 자석이 회전됨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부착 유닛은, 자석이 배치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한 쌍의 결합면이 노출되도록 자석과 결합되어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서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과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하고, 회전 유닛은, 하우징의 내주면 및 프레임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서 일축 상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 돌기, 및 하우징의 내주면 및 프레임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서 한 쌍의 회전 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홈을 포함하고, 한 쌍의 회전 돌기는, 한 쌍의 회전홈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돌기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는, 단부를 향해 테이퍼드 향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유닛은, 회전 돌기를 회전홈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 및 프레임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회전홈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은, 회전홈에 삽입된 회전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회전홈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내부 공간이 프레임 회전 시 프레임과 내주면의 간섭을 방지 가능한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를 자기 부착식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100)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 및 일면에서 모바일 기기(10)와 자기 부착되어 모바일 기기(10)를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20)를 거치 가능한 거치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결합면(111)을 구비하고 충전기(20)의 타면의 극성에 따라 스위칭된 결합면(111)을 통해 충전기(20)의 타면에 자기 부착되는 부착 유닛(110), 및 부착 유닛(110)과 결합되어 부착 유닛(110)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20) 및 충전기(20)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10)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12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10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 유닛(110)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결합면(111)이 스위칭되어 상이한 극성을 갖는 충전기(20)들 모두에 자기 부착될 수 있으므로, 여러 제조사의 상이한 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10) 및 충전기(20)를 자기 부착식으로 거치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0) 및 일면에서 모바일 기기(10)와 자기 부착되어 모바일 기기(10)를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20)를 거치 가능한 거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10)와 충전기(20)를 자기 부착된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부착된다는 것은 자석(112)에 의한 자력에 따라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자기 부착을 위해 모바일 기기(10)와 충전기(20) 내부에는 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기(20)는 일면과 타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일면에서 모바일 기기(10)와 자기 부착되며 타면은 자기 부착에 따른 거치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부착 유닛(11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결합면(111)을 구비하고 충전기(20)의 타면의 극성에 따라 스위칭된 결합면(111)을 통해 충전기(20)의 타면에 자기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착 유닛(110)으로 충전기(20)의 타면이 접근하게 되면 충전기(20)의 자력에 의해 한 쌍의 결합면(111)이 스위칭되고 이에 따라 충전기(20)의 타면의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결합면(111)이 충전기(20)를 향하게 되면 해당 결합면(111)을 통해 부착 유닛(110)이 충전기(20)의 타면에 자기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위칭(switching)된다는 것은 한 쌍의 결합면(111)이 기계적으로 전환되거나 바뀌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결합면(111)의 스위칭을 통해 부착 유닛(110)은 상이한 극성을 갖는 복수의 충전기(20) 모두에 자기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는 부착 유닛(110)에 충전기(20)는 물론 모바일 기기(10)를 바로 자기 부착시켜 거치할 수도 있다.
지지 유닛(120)은, 부착 유닛(110)과 결합되어 부착 유닛(110)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20) 및 충전기(20)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부착 유닛(110)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20) 및 충전기(20)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10)는 부착 유닛(110)과 결합된 지지 유닛(120)에 의해 지지되어 거치될 수 있다.
지지 유닛(120)은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거치 안정성을 위해 중량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 방지가 가능한 안정한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유닛(120)은 부착 유닛(110)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20) 및 충전기(20)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10)를 감싸거나 받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거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지지 유닛(120)에는, 부착 유닛(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홀(121)이 형성되고, 부착 유닛(110)은, 삽입홀(121)에 삽입되어 지지 유닛(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 유닛(110)은 삽입됨으로써 지지 유닛(120)과 결합되어 지지 유닛(1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착 유닛(110)은 삽입홀(1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부착 유닛(110)은, 한 쌍의 결합면(111)을 갖는 자석(112)을 포함하고, 한 쌍의 결합면(111)은, 자석(112)이 회전됨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결합면(111)은 자석(112)의 서로 다른 극성의 극면이고 자석(112)이 회전됨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석(11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때 한 쌍의 결합면(111)은 자석(112)의 상면 및 하면이 될 수 있다.
부착 유닛(110)은, 자석(112)이 배치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13), 및 한 쌍의 결합면(111)이 노출되도록 자석(112)과 결합되어 하우징(113)의 일측 내부에서 하우징(11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면(111)이 노출되도록 자석(112)과 결합된 프레임(114)은 하우징(113)의 개방된 일측의 내부에서 하우징(11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면(111)이 외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결합면(111)은 하우징(113)의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석(11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13)은 자석(11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홀에 자석(112)이 삽입됨에 따라 자석(112)과 하우징(113)이 결합되고 또한 한 쌍의 결합면(111)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프레임(114)과 하우징(113)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유닛(130)을 더 포함하고, 회전 유닛(130)은, 하우징(113)의 내주면 및 프레임(114)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서 일축 상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 돌기(131), 및 하우징(113)의 내주면 및 프레임(114)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서 한 쌍의 회전 돌기(131)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홈(132)을 포함하고, 한 쌍의 회전 돌기(131)는, 한 쌍의 회전홈(132)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프레임(114)은 회전 유닛(130)을 통해 하우징(11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레임(114)은 하우징(113)의 내주면 및 프레임(114)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한 쌍의 회전 돌기(131)가 하우징(113)의 내주면 및 프레임(114)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한 쌍의 회전홈(132)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 유닛(13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돌기(131)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 돌기(131)가 한 쌍의 회전홈(132)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회전홈(132)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회전 돌기(131)는, 단부를 향해 테이퍼드 향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돌기(131)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회전 안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 유닛(130)은, 회전 돌기(131)를 회전홈(132)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하우징(113)의 내주면 및 프레임(114)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회전홈(132)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3)의 내주면 및 프레임(114)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한 쌍의 회전 돌기(131)는 하우징(113)의 내주면 및 프레임(114)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회전홈(132)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33)을 따라 한 쌍의 회전홈(132)으로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용이하게 회전홈(13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133)은, 회전홈(132)에 삽입된 회전 돌기(13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회전홈(132)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홈(132)과 연결된 가이드홈(133)이 회전홈(132) 대비 깊이가 동일하거나 깊은 경우 회전홈(132)에 삽입된 회전 돌기(131)가 쉽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홈(133)은 회전홈(132)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3)은, 내부 공간이 프레임(114) 회전 시 프레임(114)과 내주면의 간섭을 방지 가능한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 유닛(110)으로 충전기(20)의 타면이 접근하게 되면 충전기(20)의 자력에 의해 프레임(114)이 하우징(113)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회전되어 한 쌍의 결합면(111)이 스위칭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 및 일면에서 모바일 기기(10)와 자기 부착되어 모바일 기기(10)를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20)를 거치 가능한 거치 장치(200)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결합면(211)을 구비하고 충전기(20)의 타면의 극성에 맞춰 스위칭되어 결합면(211)을 통해 충전기(20)의 타면에 자기 부착되는 부착 유닛(210), 및 부착 유닛(2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착 유닛(210)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20) 및 충전기(20)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10)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22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20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 유닛(210)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결합면(211)을 스위칭시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충전기(20)들 모두를 자기 부착할 수 있으므로, 여러 제조사의 상이한 극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10) 및 충전기(20)를 자기 부착식으로 거치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2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부착 유닛(21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결합면(211)을 구비하고 충전기(20)의 타면의 극성에 맞춰 스위칭되어 결합면(211)을 통해 충전기(20)의 타면에 자기 부착될 수 있다.
지지 유닛(220)은, 부착 유닛(2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착 유닛(210)과 자기 부착된 충전기(20) 및 충전기(20)와 자기 부착된 모바일 기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유닛(220)에는, 부착 유닛(2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홀(221)이 형성되고, 부착 유닛(210)은, 삽입홀(221)에 삽탈됨에 따라 지지 유닛(220)과 탈착될 수 있다.
삽입홀(221)은, 내부로 삽입된 부착 유닛(210)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상측 내주면에 부착 유닛(2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끼움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21)은, 끼움홈(230)에 끼워진 부착 유닛(210)이 결합면(211)의 스위칭을 위해 상면 일측에서 가압되어 끼움홈(230)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저면 측으로 용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도록 저면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홀(221)은 상측(입구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부착 유닛(210)은 끼움홈(230) 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끼움홈(230)에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 유닛(210)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착 유닛(21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홀(221)과 끼움홈(230)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고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부착 유닛(210)은, 한 쌍의 결합면(211)을 갖는 자석(212)을 포함하고, 한 쌍의 결합면(211)은, 부착 유닛(210)을 회전시켜 지지 유닛(220)에 결합시킴에 따라 자석(212)이 회전되어 스위칭될 수 있다.
부착 유닛(210)의 결합면(211)이 스위칭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착 유닛(210)을 제1 충전기(20)의 타면과 반대 극성의 결합면(211)이 상향하도록 하여 삽입홀(221)의 상측에서 삽입홀(221)을 향해 삽입하고 가압하여 끼움홈(230)에 끼워 지지 유닛(220)에 지지시킨 후 부착 유닛(210)에 제1 충전기(20)를 부착할 수 있다.
다음, 부착 유닛(210)의 결합면(211)의 스위칭을 위해 끼움홈(230)에 끼워진 부착 유닛(210)의 상면 일측을 가압하여 부착 유닛(210)을 끼움홈(230)으로부터 탈거시킨 후(이 때 전술한 삽입홀(221)의 테이퍼드 형상에 따라 부착 유닛(210)이 삽입홀(221)의 저면으로 용이하게 탈락되지 않게 된다) 회전시켜 처음 결합면(211)의 반대 결합면(211)이 상향하도록 하여 삽입홀(221)에 삽입하고 가압하여 끼움홈(230)에 끼워 지지 유닛(220)에 지지시킨 후 부착 유닛(210)에 제1 충전기(20)와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2 충전기(20)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모바일 기기
20: 충전기
100 / 200: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110 / 210: 부착 유닛
111 / 211: 결합면
112 / 212: 자석
113: 하우징
114: 프레임
120 / 220: 지지 유닛
121 / 221: 삽입홀
130: 회전 유닛
131: 회전 돌기
132: 회전홈
133: 가이드홈
230: 끼움홈

Claims (10)

  1. 모바일 기기 및 일면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자기 부착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를 거치 가능한 거치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스위칭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기의 타면의 극성에 따라 스위칭된 상기 결합면을 통해 상기 충전기의 타면에 자기 부착되는 부착 유닛; 및
    상기 부착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부착 유닛과 자기 부착된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와 자기 부착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한 쌍의 결합면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면은, 상기 자석이 회전됨에 따라 스위칭되고,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자석이 배치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결합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자석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부착 유닛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서 일축 상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 돌기;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한 쌍의 회전 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돌기는, 상기 한 쌍의 회전홈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돌기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돌기는, 단부를 향해 테이퍼드 향상으로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회전 돌기를 상기 회전홈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회전홈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회전홈에 삽입된 상기 회전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홈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이 상기 프레임의 회전 시 상기 프레임과 내주면의 간섭을 방지 가능한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KR1020220153530A 2022-11-16 2022-11-16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KR102572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530A KR102572874B1 (ko) 2022-11-16 2022-11-16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KR1020230112255A KR20240072020A (ko) 2022-11-16 2023-08-25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530A KR102572874B1 (ko) 2022-11-16 2022-11-16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2255A Division KR20240072020A (ko) 2022-11-16 2023-08-25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874B1 true KR102572874B1 (ko) 2023-08-30

Family

ID=878461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530A KR102572874B1 (ko) 2022-11-16 2022-11-16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KR1020230112255A KR20240072020A (ko) 2022-11-16 2023-08-25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2255A KR20240072020A (ko) 2022-11-16 2023-08-25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28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455A (ko) * 2011-02-11 2012-08-21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529469B1 (ko) * 2014-08-08 2015-06-17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KR20150098050A (ko) 2014-02-19 2015-08-27 주식회사 다유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30039A (ko) * 2015-09-08 2017-03-16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KR102152673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차량의 무선 충전용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455A (ko) * 2011-02-11 2012-08-21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KR20150098050A (ko) 2014-02-19 2015-08-27 주식회사 다유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29469B1 (ko) * 2014-08-08 2015-06-17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KR20170030039A (ko) * 2015-09-08 2017-03-16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KR102152673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차량의 무선 충전용 휴대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020A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림형 거치대
JP7453495B2 (ja) 脱着手段が備えられた携帯端末機用アクセサリーモジュール
US7632119B1 (en) Power adapter
CN217470047U (zh) 一种移动终端保护套
US20150148103A1 (en) System for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mobile device case to different mounts
WO2020106988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KR101701054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CN114285242A (zh) 可变光圈驱动马达、摄像装置及电子设备
KR10070341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KR102572874B1 (ko) 모바일 기기 및 충전기 거치 장치
KR200601362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CN113079432A (zh) 用于无线耳机的保护壳及无线耳机充电设备及移动终端
KR101992297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CN215120196U (zh) 一种移动电源及移动电源租赁系统
KR101570719B1 (ko)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CN113876095B (zh) 耳机盒
JP2020013375A (ja) 電子機器
CN217563759U (zh) Tws充电盒和tws耳机
CN216751247U (zh) 一种具有折叠支架的磁吸式无线充电器
CN100440611C (zh) 携带式装置的固定座
CN112769176B (zh) 电子设备的充电座
CN217789725U (zh) 一种带支架的保护壳
CN221283318U (zh) 一种耐磨抗划的耳机盒
CN114286213A (zh) Tws充电盒和tws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