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236A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236A
KR20060136236A KR1020050055859A KR20050055859A KR20060136236A KR 20060136236 A KR20060136236 A KR 20060136236A KR 1020050055859 A KR1020050055859 A KR 1020050055859A KR 20050055859 A KR20050055859 A KR 20050055859A KR 20060136236 A KR20060136236 A KR 2006013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terminal
battery
fixing means
coupl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419B1 (ko
KR20070000266A (ko
Inventor
김봉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1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558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703419B1/ko
Priority to DE602006000271T priority patent/DE602006000271T2/de
Priority to CNB2006100930966A priority patent/CN100508535C/zh
Priority to EP06012761A priority patent/EP1739767B1/en
Priority to US11/475,602 priority patent/US8192861B2/en
Publication of KR2007000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266A/ko
Publication of KR2006013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1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고 핀(pogo pin);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 및 상기 배터리 커버 상에서 상기 결합 리브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리브가 상기 단말기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단말기 상에 밀착된 때 상기 포고 핀이 상기 고정홈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단말기 상에 고정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은 배터리 장착홈의 개폐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 외관의 미려함을 꾀하면서 동시에 이물질 등에 의한 단락의 위험을 방지하여 배터리 셀의 연소, 폭발을 방지하게 되었다.
단말기, 배터리, 커버, 고정, 포고 핀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고 핀이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휴대용 단말기 102 : 배터리 커버
103 : 포고 핀 111 : 배터리 장착홈
115 : 지지홈 121 : 결합 리브
123 : 고정홈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홈을 폐쇄시키는 커버의 고정 수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또는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전기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기기로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을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등을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하고서 키패드와 같은 데이터 입력 장치를 개폐시키는 플립 커버가 부착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들을 한 쌍의 하우징에 각각 적절하게 배치한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슬라이딩형, 팝업형, 스윙형 단말기들이 등장하여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그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는 단말기의 후면에 착탈되는 형태이다.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2000년 2월 29일자로 등록된 실용 제181672호 등에 개시된다.
실용 제181672호 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는 단말기의 후면에 슬라이딩 장착되고 소정의 후크에 의해 고정시키는 형태와, 배터리의 일단을 단말기 후면의 일단부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배터리를 회동시킴으로써 단말기에 밀착시켜 소정의 돌기에 의해 고정시키는 형태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는 배터리 자체가 단말기에 착탈되는 구조로서, 단말기 외관상 단말기와 배터리 사이에 파팅 라인(parting line)이 생겨 외관을 저하시키고, 사용자가 주머니에 단말기를 넣었을 때 열쇠, 동전 등의 이물질에 의해 충전 단자들이 단락되어 배터리가 연소, 폭발되는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을 단말기 내에 수용시키고 이를 밀페시키는 커버 형태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별도의 커버를 착탈시키는 구조는 종래의 배터리 팩 로킹 장치의 장착 방식을 응용한 형태로 착탈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커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고 핀(pogo pin);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 및
상기 배터리 커버 상에서 상기 결합 리브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리브가 상기 단말기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단말기 상에 밀착된 때 상기 포고 핀이 상기 고정홈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단말기 상에 고정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배터리 커버(102) 고정 수단은 포고 핀(103)을 이용한 형태이다.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01) 후면에는 배터리 셀(미도시) 수용을 위한 배터리 장착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111)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 리브(113)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111) 내에 수용된 배터리 셀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11)의 일단 내벽에는 지지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홈(111)은 제품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장착홈(111)의 양 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장착홈(111)의 타단에는 상기 포고 핀(103) 수용을 위한 홀(119)이 형성된 지지체(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117)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장착홈(111)의 양 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구성이다. 결국 상기 장착홈(111)은 상기 가이드 리브(113)들, 지지체(117)들, 벽면에 의해 둘러 싸이는 형태이다.
상기 포고 핀(103)은 몸체(131)와 고정 돌기(13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31) 내에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수용되고,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몸체(131)의 일단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포고 핀(103)은 상기 지지체(117)에 형성된 홀(119)에 수용되어 그 단부의 고정 돌기(133)만이 상기 지지체(117)의 단부로 돌출된다. 결국 상기 포고 핀(103)의 고정 돌기(133)는 상기 지지체(117)의 단부로 출몰하게 되는 것이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지지체(117)의 단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02)는 상기 하우징(101)에 밀착된 때 상기 배터리 장착홈(111)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일단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홈(115)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121)가 연장된다. 상기 결합 리브(121)는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일단에서 양 측단에 근접하게 각각 하나 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구성이다. 제품에 따라서는 하나의 결합 리브만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결합 리브만을 형성한 경우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리브(121)의 양단을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양 측단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충분히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121)의 길이, 형상 등은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지지력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정하여 제작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타단부에는 그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홈(123)은 상기 단말기(100) 상에 설치된 포고 핀(103)의 수에 상응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102)는 상기 결합 리브(121)가 상기 지지홈(115)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결합 리브(121)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101)에 밀착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홈(111)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02)가 상기 하우징(101)에 완전히 밀착되면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고정홈(123)에 맞물려 상기 배터리 커버(102)는 상기 하우징 상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커버(102) 전반에 균일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리브(121)들과 고정홈(123)들은 각각 상기 배터리 커버(102) 상에서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커버(102)가 상기 하우징(101)에 밀착되는 동안,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내측면에 마찰하면서 상기 포고 핀(103)의 몸체(131) 내로 인입되었다가 상기 고정홈(123)과 마주하는 때 다시 인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 돌기(133)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고정 돌기(133)와 마찰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내측면은 아세탈 수지 등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일단, 즉 상기 결합 리브(121)들이 각각 상기 지지홈(115)에 지지되고, 상기 고정 돌기(133)가 상기 고정홈(123)에 맞물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102)는 상기 배터리 장착홈(111)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장착홈(111)에 수용된 배터리 셀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때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분리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홈(125)은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 커버(102)를 분리하기 위한 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 리브(121)는 상기 지지홈(115)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회동축을 제공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102)가 상기 결합 리브(121)를 축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사용자는 상기 분리홈(125)을 통해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분리홈(125)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이 점차 증가하여 상기 포고 핀(103)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의 힘보다 커지면, 상기 고정 돌기(133)는 상기 몸체(131) 내로 인입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102)가 상기 배터리 장착홈(111)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 돌기(133)가 상기 고정홈(123)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102)의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결합 리브(121)가 상기 지지홈(115)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102)를 당겨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배 터리 커버(102)가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장착홈(111)에 수용된 배터리 셀을 간단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을 이용한 배터리 커버의 고정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장착홈의 개폐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터리 커버로 배터리 장착홈을 폐쇄시키게 되므로, 단말기 외관의 미려함을 꾀하면서 동시에 이물질 등에 의한 단락의 위험을 방지하여 배터리 셀의 연소, 폭발을 방지하게 되었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고 핀(pogo pin);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 및
    상기 배터리 커버 상에서 상기 결합 리브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리브가 상기 단말기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단말기 상에 밀착된 때 상기 포고 핀이 상기 고정홈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단말기 상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리브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리브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지지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 리브가 상기 지지홈에 맞물려 상기 단말기 상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타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단말기에 밀착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홈을 폐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분리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KR1020050055859A 2005-06-27 2005-06-27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KR100703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859A KR100703419B1 (ko) 2005-06-27 2005-06-27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DE602006000271T DE602006000271T2 (de) 2005-06-27 2006-06-21 Batteriendeckenbefestigungsmittel für tragbares Terminal
CNB2006100930966A CN100508535C (zh) 2005-06-27 2006-06-21 便携式终端的电池盖固定件
EP06012761A EP1739767B1 (en) 2005-06-27 2006-06-21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US11/475,602 US8192861B2 (en) 2005-06-27 2006-06-27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859A KR100703419B1 (ko) 2005-06-27 2005-06-27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266A KR20070000266A (ko) 2007-01-02
KR20060136236A true KR20060136236A (ko) 2007-01-02
KR100703419B1 KR100703419B1 (ko) 2007-04-03

Family

ID=3693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859A KR100703419B1 (ko) 2005-06-27 2005-06-27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92861B2 (ko)
EP (1) EP1739767B1 (ko)
KR (1) KR100703419B1 (ko)
CN (1) CN100508535C (ko)
DE (1) DE60200600027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05782C (en) * 2007-11-13 2016-06-28 Spielo Manufacturing Ulc Wireless wagering system
CN101588687B (zh) * 2008-05-23 2011-12-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显示屏组件
CN101841114B (zh) * 2009-03-16 2012-09-1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转接器及可携式电子装置
TWI373170B (en) 2009-03-16 2012-09-21 Asustek Comp Inc Adapter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102123570B (zh) * 2010-01-09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HRP20120907A2 (hr) * 2012-11-12 2014-05-23 Tino ŠTURLIĆ Uređaj s besprekidnim napajanjem pri zamjeni baterija
CN206293498U (zh) * 2016-11-11 2017-06-30 深圳市艾维普思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盒体、电池组件和电子烟
CN109067317A (zh) * 2018-09-28 2018-12-21 北京汉能光伏投资有限公司 移动电源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2308B2 (ja) * 1995-06-30 1999-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バッテリケース実装構造
US5587250A (en) * 1995-09-27 1996-12-24 Motorola, Inc.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JP2001285431A (ja) * 2000-04-03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機器における内蔵バッテリー保持構造
KR100443016B1 (ko) * 2002-07-26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배터리 팩장치
US20050084747A1 (en) * 2003-10-17 2005-04-21 Allen Aaron R. Latch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0664114B1 (ko) * 2004-03-0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io 리셉터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1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KR200601362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KR100834626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3530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그에장착된 외장형 카드 커버 장치
US8092933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battery cover
KR100663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8006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장치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0630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
CN107580094B (zh) 一种实现两部手机的翻盖式结构
KR20110076278A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19350Y1 (ko)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KR100790106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399014Y1 (ko)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0531864B1 (ko) 공용식 휴대폰 충전기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1006895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락킹 장치
KR100800828B1 (ko) 배터리 커버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289683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20070024067A (ko)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시계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9279A (ko) 스위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501225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용 거치대
KR20000044437A (ko) 휴대폰용 폴더 타입 충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