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711B1 -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711B1
KR102381711B1 KR1020170036130A KR20170036130A KR102381711B1 KR 102381711 B1 KR102381711 B1 KR 102381711B1 KR 1020170036130 A KR1020170036130 A KR 1020170036130A KR 20170036130 A KR20170036130 A KR 20170036130A KR 102381711 B1 KR102381711 B1 KR 10238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light
slip pad
devic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603A (ko
Inventor
김진욱
오승엽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7003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711B1/ko
Priority to CN201820389628.9U priority patent/CN208365122U/zh
Publication of KR2018010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거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는,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되도록 구성된 미끄럼 방지 패드(102), 미끄럼 방지 패드의 하부에 부착되는 광투과성 커버부(104), 커버부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반구형의 본체부(106), 및 본체부의 반구형으로 돌출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108)를 포함하며, 본체부(106)의 반구형 형상은 베이스부(108) 상에서 자유로이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미끄럼 방지 패드(102)는 중심부가 함몰된 원형의 제1 부분과 제1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의 제2 부분, 그리고 이러한 제2 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제2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의 제3 부분을 포함하는데, 제2 부분의 상면은 유광 처리되어 있으며, 중심부의 함몰된 부분은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과 미끄럼 방지 패드의 함몰된 부분 및 제2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을 흡착하게 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에 기여하게 된다. 베이스부(108)의 단면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C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부(106)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C자형 단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이로써,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충전을 위해 미끄럼 방지 패드(102) 상에 거치된 상태로 베이스부(108)에 대한 본체부(106)의 상대적인 각도가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STAN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GLE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은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미끄럼 방지 패드 상에 거치된 상태로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디바이스는 영상,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이동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렇게 정보를 제공받는 동안에도 양손으로는 필요한 다른 동작을 행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고가의 스마트폰이 파손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거치하려고 한다.
나아가, 최근의 이동통신 디바이스는 통상 사진,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처리하기 위해 고성능의 처리 시스템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처리 시스템과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기능을 신속히 수행하기 위해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반면, 휴대 가능한 배터리의 용량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를 빈번하게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용 충전기는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유선으로 충전하는 방식과 전자기 유도 등의 현상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전자의 방식은 이동 단말기의 휴대성과 자유로운 사용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후자의 무선 방식 충전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종래의 무선 충전기는 충전 가능한 범위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즉,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충전기 상에 정확히 거치되지 않고 충전기의 중심부로부터 수평으로 벗어나 있거나 무선 충전기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경우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대의 각도를 사용자가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보다는, 각도 조절을 엄격히 제한하거나 거치 각도를 고정하여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충전기 상의 규정된 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디바이스를 무선 충전기 상에 거치할 때에 무선 충전에 요구되는 위치 및 각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용자는 또한, 특정한 각도로 거치된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자리를 이동하거나 충전 중인 디바이스가 떨어지지 않도록 거치대를 조심스럽게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현재의 무선 충전기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 내지 그 연결부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케이블과 무선 충전기와의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케이블이 꼬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거치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각도 조절과 무관하게 무선 충전기가 그 충전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무선 충전을 위한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꼬이는 현상 없이 자유로이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된 상태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면서도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에도 불구하고 무선 충전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는,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 패드, 미끄럼 방지 패드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반구형의 본체부, 및 본체부의 반구형으로 돌출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베이스부에 대한 본체부의 상대적인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본체부의 반구형 형상이 베이스부 상에서 자유로이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일 구현예로서,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 또는 디바이스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과 접촉하게 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는 중심부가 함몰된 원형의 제1 부분, 제1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의 제2 부분, 그리고 제2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의 제3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부분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폭은 제3 부분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폭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가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구비하고, 반구형 본체부의 내측 표면에는 이와 상호작용하게 되는 금속성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자성체와 금속성 플레이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본체부와 베이스부 간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패드의 제2 부분의 상면은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유광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패드의 중심부의 함몰된 부분은,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또는 디바이스 보호용 케이스)과 미끄럼 방지 패드의 함몰된 부분 및 제2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을 흡착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미끄럼 방지 패드의 제3 부분은 외측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되는 경사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베이스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C자형 단면을 가지고,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C자형 단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부 내부에는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송전 코일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부의 C자형 단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통해 송전 코일 구조체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송전 코일 구조체는 단일한 와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단면적의 와이어가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코일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거치대는 미끄럼 방지 패드와 본체부 사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이러한 커버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통해 광이 누설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에 따르면, 거치된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에서 자유로운 거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번거롭게 이동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꼬임 현상이 없이 거치대의 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단면도.
도 3은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본체부, 커버부, 미끄럼 방지 패드의 분해도.
도 4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베이스부의 뒤집힌 상태에서의 분해도.
도 5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6은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7은 무선 충전 중인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된 상태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의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개략적인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그에 따른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시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100)는 크게 나누어 베이스부(108)와 그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놓여진 반구형의 본체부(106)로 구성된다. 반구형의 본체부(106)의 상단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102)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드(102) 상에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미끄럼 방지 패드(102)는 예를 들면,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진 논슬립 패드일 수 있다.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100)의 내부 구조는 도 2의 단면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8)는 본체부(206)의 반구형으로 돌출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208)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 패드(222)가 부착되어 있으며, 본체부(206)와 접촉하게 되는 베이스부(208)의 상단부는 본체부(206) 표면의 곡률 반경에 맞추어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부(206)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본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본체부의 각도 조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베이스부(208) 내부에는 자성체(216), 예컨대 영구 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뒤집힌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영구 자석(416)이 원형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베이스부 내부의 자성체(216)와 본체 내부의 금속성 플레이트(214) 사이에 자력이 작용하게 되어, 그 인력에 의해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거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하더라도 본체부(206)와 베이스부(208)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체부(206)와 베이스부(208) 간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인해 본체부(106, 206)의 반구형 형상이 베이스부(108, 208)의 상면 상에서 안정적으로 접촉·지지되면서 본체부(106, 206) 또는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는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거치 각도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중심부가 함몰된 원형의 제1 부분(110, 210)과 제1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의 제2 부분(112, 212), 그리고 제2 부분을 둘러싸는 최외곽의 링형의 제3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유광 처리된 제2 부분은, 그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폭이 예컨대 1.5mm일 수 있으며, 이는 그 외측에 있는 제3 부분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폭보다는 훨씬 작은 치수이다. 나아가 제1 부분(110, 210)의 함몰된 중심부는,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과 미끄럼 방지 패드의 함몰된 부분 및 제2 부분(112, 21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을 흡착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의 제2 부분(112, 212)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유광 마감 또는 하이그로시 마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표면 처리는 예시적인 것이며 미끄럼 방지 기능에 적합하기만 하다면 이와 다른 마감 처리가 다양하게 채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의 제1 부분(110, 210)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미끄럼 방지용 마이크로패턴은 중심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패턴의 밀도와 크기가 변화하는 형태의 패턴 배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부에서의 패턴 밀도가 중심부에서의 패턴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는 모두 예시적인 패턴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위해 이와 다른 마이크로패턴이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2의 단면도를 계속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202)의 외주부는 링형 제2 부분(112, 212)에 비해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미끄럼 방지 패드의 전면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부터 이동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하려는 경우, 패드의 주변부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는 무선 충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와 반구형 본체부(106, 206) 사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부(104, 204)가 개재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체부(106)를 지지하게 되는 베이스부(108)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C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C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본체부(106)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충전을 위한 내부 코일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커버부(104, 204)의 광학적 성질은 본체부(106, 206)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외부로 누설되도록 하여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상태(예컨대, 충전 상태, 작동 상태, 거치 상태 등)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내부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커버부(104, 204)의 외측 가장자리만을 통해 누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치대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누설 광이 단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무선 충전 거치대에서 통상 인디케이터 LED의 색상을 변경하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방식과는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종래 UI(User Interface)의 경우에는 예컨대, 충전 시에는 적색 LED ON, 완충 시에는 녹색 LED ON, 이물질 감지 또는 오류 시에는 LED 점멸로 그 상태를 표시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i)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완충 시에는 누설 광이 ON 상태로 유지되고, (ii)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대기 시에는 누설 광이 OFF 상태로 유지되며, (iii)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에 이물질 감지 또는 오류 시에는 누설 광이 지속적으로 점멸하고, (vi) 최초 전력 인가 시에는 누설 광이 복수 회(예컨대, 3회) 점멸 후 OFF 상태로 전환하는 등으로 충전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거치되어 충전 중인 상태라면(즉, 정상 동작 상태) LED 누설 광이 ON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이와 달리 누설 광이 지속적인 ON 상태가 아닌 경우, 휴대폰이 올바르게 거치되지 않았거나 이물질 등이 감지된 오류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에게는 LED 색상 변화를 감지하는 것보다는 ON/OFF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보다 직관적이므로,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가 투명한 색상 내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체 내부의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미끄럼 방지 패드를 통해서도 누설될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와 커버부(104, 204) 사이에 광차단성 접착 테이프가 개재되어 패드를 통한 광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기의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는 광이 커버부(104, 204)의 외측 가장자리만을 통해 누설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부(104, 204)의 외주가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의 외주보다는 약간 크게 되도록 하고 광차단성 접착 테이프가 미끄럼 방지 패드(102, 202) 하부의 전체 영역을 덮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내부의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본체부 표면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본체부(106, 206) 또한 광을 차단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체부(106, 206) 내측에 광차단성 소재의 금속성 플레이트(214)를 배치함으로써 광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제, 이동통신 디바이스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200)는 커버부(204)와 본체부(206) 사이에 송전 코일 구조체(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용 케이블(218)을 통해 송전 코일 구조체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케이블은 본체부 하단에 배치된 연결부(도 6의 626 참조)를 통해 본체부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도 3의 분해도에서는 송전 코일 구조체(320)가 다른 구성요소와 분리되어 상세히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송전 코일 구조체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디바이스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송전 코일 구조체(220, 320)와 마주하는 적절한 위치에 이동 단말기의 수전 코일 구조체(미도시)가 거치되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무선 급전 내지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용 송전 코일 구조체(220, 320)는 단일한 종류의 와이어가 평면 상에서 나선형으로 복수회 감겨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nZn 페라이트 시트 등의 자성 시트상에 리츠 와이어(예컨대, 0.08 mm/125 strands)가 나선형으로 복수회 감겨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코일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외측 반경
rout
내측 반경
rin
피치
p
와이어 단면 반경
r0
턴수
N
24 mm 9.65 mm 1.39 mm 0.645 mm 11
이와 달리, 종래의 무선 충전용 Qi A11 기준 송전 코일과 마찬가지로, 1.2 mm X 50 mm X 50 mm의 자성 시트 상에 17 AWG(직경: 1.2mm)의 리츠 와이어가 외측 직경 45mm, 권선 턴수 10회로 감겨 원형의 송전 코일 구조체가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송전 코일 구조체(220, 320)는 서로 상이한 단면적의 와이어가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코일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코일 구조체는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자성 시트로는 MnZn 페라이트 시트(크기: 50mm X 50mm X 0.75mm)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두 종류의 와이어로 형성된 2개의 송전 코일 구조체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상부층의 와이어의 단면 반경이 하부층의 와이어의 단면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두 코일 구조체는 서로 다른 피치(p)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두 종류의 와이어로 송전 코일을 구성하게 되면, 2개의 송전 코일 구조체의 내외측 반경, 턴수, 피치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무선 급전용으로 생성되는 자기장 패턴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용 케이블(218)은 C자 형상의 베이스부(208)의 측면으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도 5, 도 7(a) 등 참조).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더라도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꼬이거나 그 연결부가 손상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케이블(218)의 단부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PC),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접속된 케이블을 통해 무선 충전용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각 위쪽 본체부의 분해도와 아래쪽 베이스부의 뒤집힌 상태에서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우측에 세부적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본체부(306) 내측에는 반구형의 금속성 플레이트(314)가 부착되어, 베이스부 내측에 위치한 자성체와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체부(306)와 커버부(304) 사이에는 회로 기판(324) 및 송전 코일 구조체(320)가 개재되고, 회로 기판(324)에는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발광 소자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324)의 원주 상에 대략 30도 등간격으로 총 12개의 백색 LED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원주를 따라서 균일한 세기로 인디케이터 광이 누설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동일한 조건을 충족한다면 이와 다른 개수의 발광 소자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발광 소자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목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이외의 다양한 발광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커버부(304) 상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302)가 부착되는데, 투명 색상 또는 광투과성 소재의 패드를 통해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광차단성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이러한 부착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4의 뒤집힌 상태에서의 분해도에 따르면, 베이스부(408)의 내부에는 영구 자석 등의 자성체(416)와 무게추(426)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며, 이들은 커버와 바닥 패드(422) 등으로 덮이게 된다.
도 5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C자형 베이스부의 측면 개방된 부분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를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꼬임 현상이 없이 베이스부(508) 상에서 본체부(506)의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무선 충전 중인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된 상태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를 예시한 것이며, 도 8은 이러한 거치 또는 충전 상태를 유지한 채 사용자가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에 따르면, 거치된 상태로 또는 충전이 유지되는 상태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반구형 본체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가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경우 특정한 각도로만 고정되어 있어 그 위에 거치된 스마트폰 화면상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수 자리를 이동하거나 충전 중인 디바이스가 떨어지지 않도록 거치대를 주의 깊게 옮겨야 하는 불편을 덜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로 변형·수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 범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02: 미끄럼 방지 패드
104: 광투과성 커버부
106: 본체부
108: 베이스부
222: 바닥 패드
214: 금속성 플레이트
216: 자성체
218: 전력 공급용 케이블
320: 송전용 코일 구조체
324: 회로 기판
416: 자성체
426: 무게추
422: 바닥 패드

Claims (16)

  1.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로서,
    이동통신 디바이스가 거치되도록 구성된 미끄럼 방지 패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반구형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반구형으로 돌출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상대적인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반구형 형상이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구비하고, 반구형의 상기 본체부는 내측 표면에 금속성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자성체와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의 각도 조절 시에 상기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부 간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중심부가 함몰된 원형의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둘러싸는 링형의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폭은 상기 제3 부분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폭보다 작은,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면은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광 처리되어있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의 중심부의 함몰된 부분은, 거치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과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의 함몰된 부분 및 제2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배면을 흡착하도록 구성된 것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폭은 1.5mm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 및 제3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C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이 상기 C자형 단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송전 코일 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송전 코일 구조체에 전력이 공급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광투과성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커버부는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의 외주보다 큰 외주를 갖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와 상기 광투과성 커버부 사이의 부착은 광차단성 접착 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광투과성 커버부의 외측 가장자리만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도록, 상기 광차단성 접착 테이프는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 하부의 전체 영역을 덮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의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단하기 위한 재료로 제조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누설은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거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거치 상태 표시는 단색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멸 상태 변화를 통해 구현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발광 다이오드(LED)는,
    (i)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완충 시에는 누설 광이 ON 상태로 유지되고,
    (ii)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의 대기 시에는 누설 광이 OFF 상태로 유지되며,
    (iii)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에 이물질 감지 또는 오류 시에는 누설 광이 지속적으로 점멸하고,
    (vi) 최초 전력 인가 시에는 누설 광이 복수 회 점멸한 후 OFF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KR1020170036130A 2017-03-22 2017-03-22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KR102381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30A KR102381711B1 (ko) 2017-03-22 2017-03-22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CN201820389628.9U CN208365122U (zh) 2017-03-22 2018-03-21 具有角度调节功能的用于移动式通信终端的机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30A KR102381711B1 (ko) 2017-03-22 2017-03-22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03A KR20180107603A (ko) 2018-10-02
KR102381711B1 true KR102381711B1 (ko) 2022-03-31

Family

ID=6386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130A KR102381711B1 (ko) 2017-03-22 2017-03-22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1711B1 (ko)
CN (1) CN20836512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822A (ko) 2017-03-06 2018-09-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부스트 컨버터와 송전 코일 구조체를 구비한 무선 충전 시스템
CN110830631B (zh) * 2019-12-10 2020-11-20 绍兴百丽恒印染有限公司 一种负压吸附式车载手机架
WO2021137311A1 (ko) * 2019-12-30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WO2021149866A1 (ko) * 2020-01-20 2021-07-29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CN214045193U (zh) * 2020-11-18 2021-08-24 广东桂荣永磁新材料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器自动对位磁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69B1 (ko) * 2014-08-08 2015-06-17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673A (ko) * 2013-12-10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20150146164A (ko) * 2014-06-23 2015-12-31 유승광 무접점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2395507B1 (ko) * 2015-02-27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69B1 (ko) * 2014-08-08 2015-06-17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365122U (zh) 2019-01-11
KR20180107603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711B1 (ko)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US9620972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1011004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972244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urnitur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ed therei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ed therein
US20140308995A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system
JP3191512U (ja) ワイヤレス充電デバイスのスライド可能な充電トランスミッタ位置調節構造
JP5890915B2 (ja) 携帯デバイスのためのアクセサリースピーカー
KR101698293B1 (ko)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WO2013141620A1 (ko) 무접점충전시스템용 수신부의 2차 코일
US20220393498A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system
US10778022B2 (en) Multi-purpose power bank
JP2014087137A (ja) 無接点充電器
JP2014087136A (ja) 無接点充電器
US20150102682A1 (en) Soft power wireless transmission induction plate
US1105027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TWM461926U (zh) 無線充電裝置之充電發射器位置調節結構
JP2014057023A (ja) ワイヤレス充電台
US11218027B2 (en) Light-emitting wireless charging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210044124A1 (en) Dock Base for Wirelessly Charging Intelligent Handheld Devices
KR101769053B1 (ko)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KR20160116555A (ko) 헤드셋 거치구조를 갖는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셋 어셈블리
KR102535466B1 (ko) 무선 충전 코일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20024451U (zh) 一种支架装置
US20220140663A1 (en) Apparatus for charging area detection
CN209786848U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