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507B1 -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507B1
KR102395507B1 KR1020150028127A KR20150028127A KR102395507B1 KR 102395507 B1 KR102395507 B1 KR 102395507B1 KR 1020150028127 A KR1020150028127 A KR 1020150028127A KR 20150028127 A KR20150028127 A KR 20150028127A KR 102395507 B1 KR102395507 B1 KR 10239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support pa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014A (ko
Inventor
문정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507B1/ko
Priority to EP16154203.0A priority patent/EP3062492B1/en
Priority to US15/052,639 priority patent/US10110043B2/en
Priority to CN201610104698.0A priority patent/CN105932726B/zh
Publication of KR2016010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내부에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치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이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무선 충전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각 제조사마다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전시키기 위해 점차 사용성을 증가 시키고,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무선 충전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전자 장치 화면 시인성 문제, 전자 장치와 무선 충전 장치간 정렬에 의한 충전 효율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존의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PAD 타입은 바닥면과 맞닿게 배치되어 상부면에 전자장치를 거치시 사용자가 전자장치의 화면을 쉽게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전의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거치 타입은 전자장치를 세로방향으로 거치하도록 제작된 경우, 전자장치를 가로방향으로 거치시에는 전자장치의 충전에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각도 전환이 자유롭지 못하여 PAD 타입과 같이 전자장치의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장치를 거치대에 안착시킨 후에 전자장치를 거치대와 분리한 뒤 이동시키지 않고 거치대의 각도가 바닥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룰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내부에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치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이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에 전자장치를 안착시킨 후 거치대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변화시킬 수 있어, 거치대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의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배치시키면서도 전자장치의 충전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사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5는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표시수단이 발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충전 구동부의 간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내부에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모듈(170)을 구비하는 거치부(110)와, 상기 거치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 및 상기 거치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는 핸드폰과 같은 전자장치(c)가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상부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를 충전하도록 내부에 충전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거치부(110)가 평면도상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평면도상 형상이 원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충전모듈(170)은 공급 받은 전력을 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코일이 형성된 제1코일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는 상기 제1코일부(1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코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코일부(171)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해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일부(미도시)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전자장치가 충전될 수 있어, 전자장치는 외부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110) 또는 상기 지지부(120)는 usb 입력 단자와 같은 외부전원 입력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자를 통해 충전모듈(170)에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는 상부면에 안착된 전자장치가 미끄러 지지 않는 상태로 충전되도록 고무 등과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180)를 상부면에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부재는 전자장치를 상기 거치부(110)의 상부면상 올려놓았을 때, 미끄럼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조로, 고무(rubber)와 같은 마찰력이 높은 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접착력이 약한 접착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는 전자장치를 거치하기 위해 상단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로, 내부 무선충전을 위한 제2코일부(미도시)를 포함한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전율이 낮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는, 상기 충전모듈(17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열시키기도록 구리 등과 같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과 같은 방열부재(190)를 상기 거치부(110)에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방열부재(190)은 구리와 같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일 수 있고, 그라파이트와 같은 방열시트일 수 있고, 열전소자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방열부재(190)는 충전시 발생한느 열을 퍼트리거나 식혀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120)는 일측이 바닥면과 접촉하며 상기 거치부(110)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은 일 예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바닥면에서 미끌어지지 않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에 고무 마이크로석션(Microsuction) 등이 마찰력을 높여서 미끄럼을 방지하는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180)가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면을 의미하며, 책상, 탁자 등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거치되는 다양한 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특정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120)는 상기 거치부(110)와의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공간은 상기 거치부(110) 냅웨 배치 가능한 전기부품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데, 예를 들어 USB와 같은 인터페이스 부품이 지지대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단 PBA와 FPCB와 같은 부품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충전 또는 고속충전 시 PBA 부품 주변으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을 식혀주기 위한 방열팬(미도시)과 같은 방열부품이 추가로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지지부(120)를 바닥면에 안착시 상기 거치부(110)의 상부면이 상기 지지부(120)의 바닥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거치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를 연결하고, 이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결부(130)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A)는 상기 거치부(110A)에 고정되는 제1결합판(131a)과, 상기 지지부(120)에 고정되는 제2결합판(131b) 및 상기 제1결합판(131a)과 상기 제2결합판(131b)을 관통하는 제1회전축(1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1결합판(131a)은 상기 거치부(110A)의 하부면에서 돌출된 돌출부재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114)가 상기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110A)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출부재(114)가 상기 홀에 삽입된 후 상기 제1결합판(131a)과 상기 거치부(110A)는 볼트 또는 스크류로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2결합판(131b)은 상기 제1회전축(131b)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판(131a)에서 이격되고,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에서 돌출된 돌출부재(114)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114)가 상기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A)는, 상기 제1회전축(131b)이 상기 제1결합판(131a)과 상기 제2결합판(131b)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판(131a)과 상기 제2결합판(131b)이 상기 제1회전축(131b)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1결합판(131a) 및 상기 제2결합판(131b)은 상기 제1회전축(131b)에 고정되지 않고 공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결합판(131a)은 상기 제1회전축(131b)에 고정되되, 상기 제1회전축(131b)이 상기 제2결합판(131b)에 고정되지 않고 공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A)는 상기 제1결합판(131a)과 결합하는 상기 거치부(110A)가, 상기 지지부(120)와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이상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A)는 상기 거치부(110A)가 회전시 상기 거치부(110A)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 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캠(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1캠(140)은 하부면에는 포켓(141b)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상기 제2결합판(131b)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재(142a)가 구비되는 제1캠부재(141)와, 상기 제1캠부재(141)의 하부에서 상기 제1캠부재(141)와 대면하여 상기 제1캠부재(141)의 하부면에 형성된 포켓(141b)에 삽입되는 포켓 삽입부재(142a)가 형성되는 제2캠부재(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캠부재(141)는 상기 제1회전축(131b)이 삽입되되 상기 제1회전축(131b)에 결합하지 않고 상기 제1회전축(131b)이 공회전하며, 상기 제2캠부재(142)는 상기 제1회전축(131b)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축(131b)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래서, 상기 제1회전축(131b)이 회전시, 상기 제2캠부재(142)는 상기 제1캠부재(141)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2캠부재(142)에 형성된 포켓 삽입부재(142a)가 상기 제1캠부재(141)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포켓(141b)에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며, 상기 제1회전축(131b)에 결합된 상기 거치부(110A)의 회전후 회전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캠부재(141)는 돌출부재(141a)가 상기 제2결합판(131b)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축(131b)의 회전시 상기 제1캠부재(141)가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1캠(140)은 상기 제2캠부재(142)의 하부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1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1캠(140)은 거치부(110A)의 회전시 거치부(110A)의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134)는, 상기 제1회전축(131b)에 결합하는 제1스토퍼(134a)와, 상기 제2결합판(131b)에서 상부로 돌출된 제2스토퍼(134b)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축(131b)의 회전시 상기 제2스토퍼(134b)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스토퍼(134a)에 형성된 단턱(134a')이 상기 제2스토퍼(134b)와 부딪쳐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제1회전축(131b)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131b)과 결합된 제1결합판(131a) 및 상기 거치부(110A)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9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A)는, 상기 거치부(110A)가 회전시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111)과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이 설정된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회전축(131b)이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로, 상기 제1결합판(131a)과 상기 제2결합판(131b)은 각각 상기 제1회전축(131b)과 수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결합판(131a)과 상기 제2결합판(131b)과 각각 결합하는 상기 거치부(110A)의 하부면(113a)과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면(122a)은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판(131a)과 상기 제2결합판(131b)이 각각 거치부(110A)와 상기 지지부(120)에 결합시에 상기 제1회전축(131b)은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제1결합판(131a), 제2결합판(131b), 제1회전축(131b)과의 결합관계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한 다양한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부(110A)는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회전시, 상기 거치부(110A)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면이 간섭되거나 부딪치지 않도록, 하부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일측으로 개방된 중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10A)의 내주면(113b)은 상기 거치부(110A)가 회전시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면(122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130A)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면(122b)과,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면(122b)과 맞닿는 상기 거치부(110A)의 하부면(113b)은 상기 제1회전축(131b)이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과 이루는 각도의 2배에 해당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거치부(110A)가 최대 각도로 경사진 위치까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거치부(110A)의 하부면(113b)과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면(122b)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거치부(110A)의 하부면(113b)과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면(122b)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100)가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120)의 바닥면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초기상태라고 할 때, 상기 거치부(110A)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120)의 하단면이 이루는 각이 상기 거치부(110A)의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가변된다.
도 9(b) 내지 도 9(d)는 도 9(a)에서 상기 거치부(110A)의 X1-X1'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b)에서의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120)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룬다. 그리고,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110A)를 90도 회전시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111)은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과 상기 제1회전축(131b) 사이의 각도(θ)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초기상태에서 거치부(110A)를 180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이 최대 각도(2θ)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111)과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이 이루는 각도(2θ)는 상기 거치부(110A)의 하부면(113b)과 상기 제1회전축(131b)이 이루는 각도(θ)의 2배에 해당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의한 무선전력 충전장치(100)는,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에 전자장치를 안착시킨 후, 상기 거치부(110A) 또는 전자장치를 회전시키면,전자장치는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111)과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이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어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화면과 바닥면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장치를 상기 거치부(110A)의 상부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거치부(110A)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전자장치가 이동되지 않는 상태로 전자장치의 화면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전자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코일부(미도시)가 상기 제1코일부(17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아 전자장치의 충전성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B)는 상부는 상기 거치부(110B)와 결합하고,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132d)가 형성되는 제1연결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120)는 상기 돌출부(132d)가 삽입되어 상기 제1연결부(132a)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12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가능 하도록, 내부면에 상기 돌출부(132d)가 삽입되는 삽입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4)은 단면상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지지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돌출부(132d)가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과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삽입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124)에 의해 형성된 단턱(122d)에 하부면이 접촉한 상태로 상기 거치부(110B)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연결부(132a)가 상기 지지부(12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1연결부(132a)는 단면상 상기 거치부(110B)와 상기 지지부(120)가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거치부(110B)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110B)와 상기 지지부(120)를 연결한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B)는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 중심부에 결합된 제2연결부(13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132e)는 상부면(132e')이 상기 제1연결부(132a)의 하부면(132c')과 이격되고, 상기 제1연결부(132a)의 하부면(132c')과 동일한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1연결부(132a)의 하부면(132c')과 상기 제2연결부(132e)의 상부면(132e')은 단면상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과 설정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1연결부(132a)는 제1-1연결부(132b)와 제1-2연결부(132c)의 2개의 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제1-1연결부(132b)가 상기 거치부(110B)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110B)와 결합하고, 상기 제1-1연결부(132b)의 하부에 제1-2연결부(132c)가 상기 삽입홈(124)에 삽입된 후 상기 제1-1연결부(132b)와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부(132a)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거치부(110B)가 회전시 상기 거치부(110B)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23)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110B)는 상기 가이드 홈(115)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홈(115)은 상기 거치부(110B)의 하부면에 중심이 상기 거치부(110B)의 중심과 일치하는 원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홈(115)의 길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110B)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B)는 실시예 1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거치부(110B)가 회전시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부(110B)의 하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2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B)는 상부면이 상기 연결부(130B)의 길이방향과 설정된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130B)의 상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30B)의 하부는 상기 돌출부(132d)가 상기 삽입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130B)가 상기 지지부(12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거치부(110B)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거치부(110B)와 결합된 상기 연결부(130B)가 회전하고, 상기 연결부(130B)는 상기 지지부(120)와 단면상 설정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거치부(110B)의 상부면은 상기 거치부(110B)가 회전함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과 단면상 설정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130C)는, 제2캠(133d)이 결합된 제2회전축(133a)과, 상부면은 상기 거치부(110)에 결합하고 측면은 상기 제2회전축(133a)에 결합하는 제3연결부(133b) 및, 하부면은 상기 지지부(120)에 결합하고 측면은 상기 제2회전축(133a)에 결합하는 제4연결부(13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3연결부(133b)의 측면은 상기 제2회전축(133a)과 결합하고, 상기 제4연결부(133c)의 측면은 상기 제2회전축(133a)과 연결되어, 상기 제3연결부(133b) 및 상기 제4연결부(133c)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회전축(133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캠(133d)은 포켓이 형성된 제3캠부재(133d')와 상기 제1캠부재(133d')와 대향되며 상기 포켓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4캠부재(133d'')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133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2캠(133d)이 상기 제2회전축(133a)에 결합되어, 상기 제3연결부(133b) 또는 상기 제4연결부(133c)가 회전시, 실시예 1에서 제1캠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2캠(133d)은 돌출부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 상기 제3연결부(133b)와 상기 제4연결부(133c)를 설정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3연결부(133b)는 상기 거치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4연결부(133c)는 상기 지지부(120)와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지지부(120)를 바닥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거치부(110)의 일측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거치부(110)를 상기 제2회전축(133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캠에 의해 상기 거치부(110)의 상부면(111)과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면(121)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경우도, 실시예 1, 2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거치부(110)가 회전시 상기 지지부(12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치부(110)의 하부면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17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포함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는 표시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수단(150)은 일 실시예로, LED 램프와 같은 조명기구(1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150)은 충전기의 상태, 전자장치의 상태를 조명기구를 통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표시수단(150)은 충전기의 상태 및 전자장치의 상태 등을 내부 또는 외부 광원을 이용하여 외부에 라이팅(Lighting)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디케이터(Indicator)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데, 전화나 문자와 같은 노티가 올 경우, 각각 다른 컬러의 빛이 라이팅 되면서 사용자에게 노티를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로 음악을 들을 경우 음원 정보에 따라 미리 저장된 패턴 또는 랜덤으로 빛이 라이팅 될 수 있고, 전자장치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컬러를 달리하여 충전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내부 광원은 LED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표시수단(150)은 내부 또는 외부 광원을 효과적으로 전달 하 수 있도록 확산렌즈를 사용한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일 수 있고, 별도의 도파로를 구비한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표시수단(150)은 상기 거치부(110) 내부에 설치되되, 표시수단(150)에서 발광하는 빛이 외부로 주사되어 간접적으로 전술한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는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170)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충전모듈(170)은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자(160)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에 적합한 전원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1코일부(171)와, 상기 외부 전원 입력단자(160)를 공급받은 전원을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에 적합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무선 충전 기능 전반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충전 구동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충전 구동부(172)는 상기 외부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전원으로 변경하는 컨버터부(173)와, 상기 컨버터부(173)를 통해 변환된 전원의 상태를 감지(예를 들어 전류의 감지 또는 전압의 감지)하거나 또는,상기 거치부(1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전자장치에서 전달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모니터부(174)와, 상기 모니터부(174)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외부전원 공급부 또는 상기 컨버터부(173)를 제어하는 컨트럴 유닛(17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 또는 지지부(120)는 내부에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거나,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10) 또는 지지부(120)는 스피커 모듈, 마이크와 같은 음향장치, 또는 안테나 모듈, 또는 지문센서, 가스 센서와 같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110) 또는 지지부(120)는 상기 무선충전 구동부(172)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부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데, 디스플레이,LED 등과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키패드, 터치 Display, LED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키패드,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장치, 스피커 모듈, 마이크 등과 같은 음향장치, BT, Wi-Fi와 같은 안테나 모듈, 지문센서, 가스센서 등 외부환경 센싱에 필요한 센서들이 더 포함 될 수 있다. 또는 둘 이상의 부품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안테나 모듈과 음향장치가 함께 구비된 경우 전자장치를 충전기에 거치한 상태에서 무선 페어링 된 상태로 충전하면서 또는 거치한 상태에서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S100)은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보기 위해, 거치부(110)를 이동시키는 거치부 이동단계(S110)와, 상기 거치부(110) 이동단계 후에 전자장치의 접근을 인식하는 인식단계(S120)와, 전자장치의 접근을 확인한 후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 이동단계(S110)는 거치부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단계 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상기 거치대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고, 상기 전자장치가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는 상기 거치대의 위치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회전 또는 회동 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각도를 가지는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킬 수 있고, 별도의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인식단계는, 충전모듈(170)에 홀 센서(hall sensor)를 설치하고, 거치부(110)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홀 센서가 자성을 감지하거나, 충전모듈(170)에 접근하는 전자장치에서 공진(Resonance)이 발생하거나,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변경되는 것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 이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전력공급단계(S130)는, 교류전류가 상기 제1코일부(171)에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상기 컨버터를 통해 직류전류가 교류전류로 변환되어 상기 제1코일부(171)에 입력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컨버터는 인버터 기능을 하며 설정된 동작 주파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 방법(S100)은, 상기 전력공급단계(S130) 후에 상기 모니터부(174)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코일부(171)에 공급하는 전력을 가변하거나 상기 전자장치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거치부(110)에서 이탈된 것이 감지된 경우 충전을 중단하는 제어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무선전력 전송장치
110, 110A, 110B: 거치부 120: 지지부
130, 130A, 130B, 130C: 연결부
131a: 제1결합판 131b: 제1회전축
131c: 제2결합판 132a: 제1연결부
132b: 제1-1연결부 132c: 제1-2연결부
132d: 돌출부 132e: 제2연결부
132e': 제2연결부 상부면 133a: 제2회전축
133b: 제3연결부 133c: 제4연결부
133d: 제2캠 134: 스토퍼
140: 제1캠 141: 제1캠부재
141a: 돌출부재 142: 제2캠부재
144: 스프링 150: 표시수단: LED
160: 외부입력단자 170: 충전모듈
171: 제1코일부 172: 무선충전 구동부
173: 컨버터부 174: 모니터부
175: 컨트럴 유닛 180: 미끄럼 방지부재
190: 방열부재

Claims (20)

  1.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치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이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거치부에 고정되는 제1결합판;
    상기 제1결합판과 이격되며,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결합판; 및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판 또는 상기 제2결합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는 상기 거치부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이 상기 제1회전축에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후 상기 거치부의 회전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축에 제1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6. 삭제
  7.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치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이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부는 상기 거치부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이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부가 상기 거치부에 결합하고 하부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과 설정된 각도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고 상부면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부면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의 하부면과 상기 제2연결부의 상부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과 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회전시 상기 거치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치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이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거치부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2캠이 결합된 제2회전축;
    상부면은 상기 거치부에 결합하고, 측면은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하는 제3연결부; 및
    하부면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고, 측면은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축에 구비되고, 포켓이 형성된 제3캠부재 및 상기 포켓에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제4캠부재를 포함하는 제2캠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거치부의 하부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제7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는 전자장치 또는 충전모듈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제7항 및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지지부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외부전원 입력단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제7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원을 전달하는 제1코일부; 및
    상기 제1코일부를 제어하는 무선충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구동부는,
    외부전원 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상부면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에 전달시 적합한 전원으로 변경하는 컨버터부;
    상기 컨버터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에 안착된 전자장치에서 전달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자 또는 상기 컨버터부를 제어하는 컨트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제7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거치부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수단, 음향수단, 안테나모듈, 또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제7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부면 또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미끄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9. 상부면에 전자장치가 안착되는 거치부를 이동시켜 연결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에 대해 거치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거치부 이동동작;
    상기 전자장치의 접근을 인식하는 인식동작; 및
    상기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거치부에 고정되는 제1결합판;
    상기 제1결합판과 이격되며,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결합판; 및
    상기 제1결합판과 상기 제2결합판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과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판 또는 상기 제2결합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는 상기 거치부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동작 후에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동작;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KR1020150028127A 2015-02-27 2015-02-27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KR10239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27A KR102395507B1 (ko) 2015-02-27 2015-02-27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EP16154203.0A EP3062492B1 (en) 2015-02-27 2016-02-0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5/052,639 US10110043B2 (en) 2015-02-27 2016-02-2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CN201610104698.0A CN105932726B (zh) 2015-02-27 2016-02-25 无线电力传输设备和无线充电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27A KR102395507B1 (ko) 2015-02-27 2015-02-27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14A KR20160105014A (ko) 2016-09-06
KR102395507B1 true KR102395507B1 (ko) 2022-05-10

Family

ID=5540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127A KR102395507B1 (ko) 2015-02-27 2015-02-27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10043B2 (ko)
EP (1) EP3062492B1 (ko)
KR (1) KR102395507B1 (ko)
CN (1) CN1059327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991B1 (ko) 2015-08-13 2021-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2661490B1 (ko) 2016-12-23 202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20180095338A (ko) * 2017-02-17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 장치 및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도킹 장치
KR102381711B1 (ko) * 2017-03-22 2022-03-3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KR101854564B1 (ko) 2017-07-27 2018-05-03 조경희 무선 전력공급형 led 조명등
US10447084B2 (en) 2017-09-08 2019-10-15 Apple Inc. Wireless charging mat with dynamic surface texture
CN107631196A (zh) * 2017-09-14 2018-01-26 佛山市利升光电有限公司 一种带无线充电功能的触摸调光的led智能灯具
CN111095446B (zh) * 2017-10-06 2023-08-22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用于无接触地向移动部件传输电能的系统
KR20190136303A (ko) * 2018-05-30 2019-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열 성능이 개선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20200017034A1 (en) * 2018-07-16 2020-01-16 John Litterello Vehicular mobile device holder and charger
CN109510279A (zh) * 2018-12-18 2019-03-22 北京洛必达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无线充电座及方法
KR102300573B1 (ko) * 2019-07-08 202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틸트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US11303143B2 (en) 2020-02-12 2022-04-12 Annex Products Pty Ltd Wireless charging mount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2179014B1 (ko) * 2020-07-27 2020-11-17 오희교 멀티 스테이션
USD971832S1 (en) 2020-10-09 2022-12-06 ACCO Brands Corporation Combined electronic device charger and stand
KR102514539B1 (ko) * 2021-02-17 2023-03-29 김희선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KR102553334B1 (ko) * 2022-02-03 2023-07-07 주식회사 효진 스마트기기 거치대
USD1013630S1 (en) * 2023-07-04 2024-02-06 Li Wang Wireless charger
USD1025902S1 (en) * 2023-09-13 2024-05-07 Wuyuan Li Wireless charger
USD1013631S1 (en) * 2023-10-20 2024-02-06 Yanhong Wang Wireless char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378B1 (ko) * 2012-12-20 2014-05-13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틸팅형 유무선 겸용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585B2 (en) * 2006-10-03 2011-0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Wireless charging device
US7825626B2 (en) * 2007-10-29 2010-11-02 Embarq Holdings Company Llc Integrated charger and holder for one or more wireless devices
CN101860046A (zh) * 2009-04-09 2010-10-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
AT509284B1 (de) * 2009-12-30 2013-11-15 Willibald Bauer-Oeppinger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mobiltelefons
CN101840137A (zh) * 2010-05-11 2010-09-22 威宝摄影器材有限公司 一种无级水平与角度调节器
KR101192540B1 (ko) 2010-12-20 2012-10-17 (주)마미로봇 무선 청소기용 다기능 충전기
US8826830B2 (en) 2011-10-13 2014-09-09 Nick Pajic Tray table with rotatable inner tray for electronic device docking
JP6158478B2 (ja) * 2012-05-16 2017-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携帯情報端末の非接触充電構造
CN202918004U (zh) 2012-10-15 2013-05-01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无线充电器
KR101993482B1 (ko) * 2012-12-24 2019-06-26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차량 장착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US20140239888A1 (en) 2013-02-26 2014-08-28 Kuan-Wei Chen Wireless charger
KR102019869B1 (ko) 2013-05-10 2019-09-10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주름형 무선 충전기
CN203317063U (zh) * 2013-05-14 2013-12-04 常州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适于数控调节角度的夹具
CN203880342U (zh) * 2014-05-13 2014-10-15 彭宁 一种可调角度支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378B1 (ko) * 2012-12-20 2014-05-13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틸팅형 유무선 겸용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54693A1 (en) 2016-09-01
CN105932726B (zh) 2021-10-22
CN105932726A (zh) 2016-09-07
KR20160105014A (ko) 2016-09-06
US10110043B2 (en) 2018-10-23
EP3062492A1 (en) 2016-08-31
EP3062492B1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507B1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US11451074B2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263664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KR102339856B1 (ko) 전자장치
KR102355149B1 (ko)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248406A1 (en) Cradl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applied to same
KR102264050B1 (ko)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39822B2 (en) Blower and docking device comprising blower
KR102328100B1 (ko) 복수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58239B2 (en) Layered accessory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cradling device thereof
EP3363319A1 (en) Band mounting structur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62855A (ko)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AU20162241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97102A (ko)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622104A (zh) 以多角度支撑的电子设备
KR102533473B1 (ko) 복수의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전자 장치
KR102207039B1 (ko) 액세서리 장치
KR20180042919A (ko) 무선 충전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81434B1 (ko)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18312B1 (ko) 전자장치 및 이를 자성체로 활용하는 방법
KR20180001038A (ko)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20220152652A1 (en) Haptic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098094A (ko) 외부저장매체를 장착 가능한 전자 장치
KR102349743B1 (ko) 굴곡 구조의 인쇄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