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869B1 - 주름형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주름형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869B1
KR102019869B1 KR1020130052869A KR20130052869A KR102019869B1 KR 102019869 B1 KR102019869 B1 KR 102019869B1 KR 1020130052869 A KR1020130052869 A KR 1020130052869A KR 20130052869 A KR20130052869 A KR 20130052869A KR 102019869 B1 KR102019869 B1 KR 10201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er
body portion
circuit board
pleate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164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5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8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는, 예를 들어, 상단부와 몸체부, 그리고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팽창 및 수축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는 주름 몸체를 갖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안착되는 무선 충전기의 안착 면을,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 또는 영상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에서 편리하게 확인하거나 시청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주름 몸체를 수직으로 눌려서 수축하게 되면, 패드형 무선 충전기와 유사하게 두께가 얇은 패드 형상이 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름형 무선 충전기 {Fold Type Wireless Power Charg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무선(Wireless)으로 충전할 수 있는 주름형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무선 충전기들이 개발 출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무선 충전 방식에는, 전자기파 방식, 자기공명 방식, 그리고 자기유도 방식 등이 있는 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무선 충전에는, 자기유도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TX) 내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동통신 단말기(RX)에서 수신하여 전력으로 변환한 후, 배터리에 충전하는 자기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 협회(WPC: Wireless Power Consortium)의 표준인 ‘Qi’로 지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기유도 방식은, 전력 전송 효율이 90% 이상으로 높은 반, 전력 전송 거리가 짧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 충전기에 가까이 근접시켜 놓아야만 한다.
이를 위해, 패드형(Pad Type) 무선 충전기 또는 크래들형(Cradle Type) 무선 충전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형 무선 충전기(200)의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패드형 무선 충전기(200)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패드형 무선 충전기(200)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 또는 영상 등을, 사용자가 멀리 떨어져서 확인하거나 시청하는 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형 무선 충전기(300)의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크래들형 무선 충전기(300)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 경사각의 거치대에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크래들형 무선 충전기(300)는, 기구 형상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패드형 무선 충전기(200)에 비해,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메시지 또는 영상 등을, 기구적으로 이미 고정된 소정 경사각으로만 확인하거나 시청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안착되는 무선 충전기의 안착 면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임의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어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름형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는, 상단부, 몸체부, 그리고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팽창 및 수축됨과 아울러, 상기 팽창 및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주름 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상단부는, 원형의 상단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커버의 상측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상단커버의 내측에는, 코일, 차폐실드, 인쇄회로기판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상단부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단부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홀들이 형성된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몸체부의 주름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의 자바라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하단부는, 원형의 하단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커버의 내측에는, 전원 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와,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웨이트,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웨이트에는, 나사가 관통하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하단커버 및 주름 몸체와 다수의 나사들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되, 상기 웨이트와 상단커버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상단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단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몸체부를 최대로 팽창시킨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는, 예를 들어, 상단부와 몸체부, 그리고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팽창 및 수축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는 주름 몸체를 갖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안착되는 무선 충전기의 안착 면을,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 또는 영상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에서 편리하게 확인하거나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름 몸체를 수직으로 눌러서 수축하게 되면, 패드형 무선 충전기와 유사하게 두께가 얇은 패드 형상이 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패드형 무선 충전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크래들형 무선 충전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몸체가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수축 및 팽창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의 상단부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의 몸체부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의 하단부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부의 인쇄회로기판과 하단부의 인쇄회로기판이 연결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무선 충전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로서, 개인 정보 단말기(PDA)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름형 무선 충전기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협회(WPC)의 표준인‘Qi’를 적용하여, 자기유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게 되는 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Fold Type) 무선 충전기(400)는, 수직 방향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상의 주름 몸체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름형 무선 충전기(4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등이 안착되는 상단부(40)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몸체부(41)와, 전원 케이블(43)이 접속되는 하단부(42)를 포함하여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형 무선 충전기(400)는, 수직 방향으로 수축되어 얇은 두께의 패드(Pad) 형상을 유지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팽창되어 두꺼운 두께의 원통 형상을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다양한 경사각으로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름형 무선 충전기의 상단부(4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부재(40a), 상단커버(40b), 코일(40c), 차폐실드(40d), 그리고 인쇄회로기판(40e)이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단부(40)는, 원형의 상단커버(40b)를 기준으로, 상기 상단커버의 상측에는, 미끄럼방지 부재(40a)가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상단커버의 내측에는, 코일, 차폐실드, 인쇄회로기판이 차례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4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안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마찰력이 높은 재질, 예를 들어, 하드 실리콘(Hard Silicon)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름형 무선 충전기의 몸체부(41)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자바라 형상의 주름 몸체(41b)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주름 몸체(41b)의 상부에는, 상기 상단커버(40b)와의 체결 조립을 위한 나사 돌기(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 몸체(41b)의 하부에는, 상기 하단부(42)와의 체결을 위한 안착면(4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면(41c)에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단부(42)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다수의 홀(41d)들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상기와 같은 몸체부(4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름형 무선 충전기의 하단부(42)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커버(42a), 인쇄회로기판(42b), 연결 케이블(42c), 그리고 한 쌍의 웨이트(42d)와 다수 개의 나사(42e)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단부(42)는, 원형의 하단커버(42a)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커버(42a)의 내측에는, 전원 케이블(43)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와,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웨이트(42d), 그리고 인쇄회로기판(42b)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웨이트(42d)에는, 나사가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홀(Hole)들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단커버(42a)와 한 쌍의 웨이트(42d)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2b)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나사들(42e)을 이용하여, 상기 하단커버(42a)와 한 쌍의 웨이트(42d), 그리고 상기 몸체부(미도시)를 동시에 체결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부의 인쇄회로기판(42b)과, 상기 상단부의 인쇄회로기판(40e)을, 상기 연결 케이블(42c)을 이용하여 연결 접속하게 되므로, 간단한 조립 공정에 의해, 주름형 무선 충전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단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40e)과, 상기 하단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42b)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42c)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연결 케이블(42c)은, 상기 몸체부를 최대로 팽창시킨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안착된 무선 충전기(400)의 안착면을 임의의 각도로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 또는 영상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에서 편리하게 확인하거나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름 몸체(41b)를 수직으로 눌러서 수축하여, 패드형 무선 충전기와 유사하게 두께가 얇은 패드 형상으로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패드형 무선 충전기
300 : 크래들형 무선 충전기 400 : 주름형 무선 충전기
40 : 상단부 40a : 미끄럼방지 부재
40b : 상단커버 40c : 코일
40d : 차폐실드 40e : 인쇄회로기판
41 : 몸체부 41a : 나사돌기
41b : 주름 몸체 41c : 안착면
41d : 홀 42 : 하단부
42a : 하단커버 42b : 인쇄회로기판
42c : 연결 케이블 42d : 웨이트
42e : 나사 43 : 전원 케이블

Claims (7)

  1. 상단부, 몸체부, 그리고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수직 또는 임의의 경사각으로 팽창 및 수축됨과 아울러, 상기 팽창 및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주름 몸체를 갖고,
    상기 하단부는 원형의 하단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커버의 내측에는 전원 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웨이트, 그리고 제1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에는 나사가 관통하는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하단커버 및 주름 몸체와 다수의 나사들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되, 상기 웨이트와 상기 하단커버 사이에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무선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원형의 상단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커버의 상측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상단커버의 내측에는 코일, 차폐실드, 제2 인쇄회로기판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무선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상단부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단부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홀들이 형성된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무선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주름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의 자바라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무선 충전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에 설치된 제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단부에 설치된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몸체부를 최대로 팽창시킨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무선 충전기.
KR1020130052869A 2013-05-10 2013-05-10 주름형 무선 충전기 KR10201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69A KR102019869B1 (ko) 2013-05-10 2013-05-10 주름형 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869A KR102019869B1 (ko) 2013-05-10 2013-05-10 주름형 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64A KR20140133164A (ko) 2014-11-19
KR102019869B1 true KR102019869B1 (ko) 2019-09-10

Family

ID=5245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869A KR102019869B1 (ko) 2013-05-10 2013-05-10 주름형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507B1 (ko) 2015-02-27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KR200484841Y1 (ko) * 2015-08-25 2017-11-01 (주)세노텍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US10447084B2 (en) 2017-09-08 2019-10-15 Apple Inc. Wireless charging mat with dynamic surface texture
WO2023086407A1 (en) * 2021-11-09 2023-05-19 Belkin International, Inc. Wireless charg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096A (ja) * 2010-09-01 2012-03-15 Nok Corp 非接触給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48B1 (ko) * 2011-05-20 2013-01-15 주식회사 광명전기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KR200467441Y1 (ko) * 2011-07-06 2013-06-14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096A (ja) * 2010-09-01 2012-03-15 Nok Corp 非接触給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64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637B1 (ko) 공진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9929596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019869B1 (ko) 주름형 무선 충전기
US20160105047A1 (en) Mobile device mounting and charging system
US20140184155A1 (en) Transmitting antenna and transmitter for wireless power charging
US20180175655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20113645A1 (en) Charging device and associated electrical appliances
JP3191512U (ja) ワイヤレス充電デバイスのスライド可能な充電トランスミッタ位置調節構造
KR101477429B1 (ko) 코일 장치, 이를 갖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JP7100338B2 (ja)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JP2011010378A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101406234B1 (ko)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KR20140067660A (ko)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의 자성체 시트
EP3633823B1 (en) Terminal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571530B1 (ko) 다용도 충전 거치대
US9153997B2 (en) Charging device and associated electrical appliances
US20120126746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WO2022042302A1 (zh) 充电装置
US10355524B2 (en) Electronic devices for wireless charging
US9118209B2 (en) Power generator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20060214628A1 (en) Induction charge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20140056462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966707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792512B1 (ko) 무선 충전지
KR20150112445A (ko)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