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48B1 -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48B1
KR101222448B1 KR1020110047978A KR20110047978A KR101222448B1 KR 101222448 B1 KR101222448 B1 KR 101222448B1 KR 1020110047978 A KR1020110047978 A KR 1020110047978A KR 20110047978 A KR20110047978 A KR 20110047978A KR 101222448 B1 KR101222448 B1 KR 10122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cradle
solar
mobile communication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618A (ko
Inventor
유양우
김수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to KR102011004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기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기기용 충전장치는 이동 통신 기기가 거치되어 충전되는 거치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이 상기 거치대의 후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태양광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판넬부;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판에 구비되며, 태양전지판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APPARATUS PROVIDED WITH PANNEL SOLAR CELL FOR CHARGING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태양전지필름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식의 태양전지필름이 장착되어 필요시 태양전지필름을 전개함으로써 휴대폰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태양전지필름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 통신기기(이하, 휴대폰)가 대량으로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폰의 보급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 악세서리도 같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는 여러 형태의 것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충전기는 충전용 잭을 구비하여 가정의 벽체에 설치된 컨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충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는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하여는 충전장치를 컨센트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한 후 충전하여야 하므로 충전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첩방식의 태양전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장소에 제약을 받지않고 용이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판을 전개하여 충전하는 중에 충전장치가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가 거치되어 충전되는 거치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이 상기 거치대의 후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태양광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판넬부;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판에 구비되며, 태양전지판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기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 기기용 충전장치는 다수의 태양전지판을 연결하여 절첩가능한 구조로 구현하고, 이를 거치대에 장착함으로써, 필요시 태양전지판을 전개하여 태양광에 의하여 발전함으로써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의 하부에 중량체를 장착하여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야외에서 태양전지판을 전개하여 충전하는 중에 바람 등이 작용하여도 거치대가 직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원활하게 충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판에 마그네트를 장착함으로써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마그네트에 의하여 태양전지판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방식의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폰용 충전장치의 전면을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폰용 충전장치의 후면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폰용 충전장치가 직립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태양전지필름이 구비된 휴대폰용 충전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절첩식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폰용 충전장치(1)는 이동 통신 기기가 거치되어 충전되는 거치대(9)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3),(5)이 상기 거치대(9)의 후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태양광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판넬부(3,5);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판(3)(5)에 구비되며, 태양전지판(3)(5)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부(1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절첩식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9)는 전면에 지지턱(19)이 형성됨으로써 휴대폰(7)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9)의 내부에는 상기 태양전지판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9)에는 상기 배터리(15)에 연결됨으로써 휴대폰(7)의 전원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충전포트(17)가 구비된다.
따라서, 휴대폰(7)을 상기 거치대(9)의 지지턱(19)에 거치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15)로부터 인가된 전기가 상기 충전포트(17)를 통하여 휴대폰(7)의 전원포트에 전달됨으로써 휴대폰(7)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판넬부(3,5)는 거치대(9)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어 절첩되는 제 1태양전지판(3)과; 거치대(9)의 후면 타측에 구비되어 제 1태양전지판(3)과 마주보는 절첩방식의 제 2태양전지판(5)과; 상기 제 1태양전지판(3) 혹은 제 2태양전지판(5)의 상부에 구비되어 절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손잡이(2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태양전지 판넬부에 있어서, 상기 제 1태양전지판(3) 및 제 2태양전지판(5)은 다수개의 태양전지셀이 조합된 통상적인 구조의 태양전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3)(5)로부터 생성된 전기는 상기 거치대(9)의 배터리(15)로 인가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태양전지판(3) 및 제 2태양전지판(5)은 유연성을 갖는 연결재(27)에 의하여 거치대(9)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태양전지판(3) 혹은 제 2태양전지판(5)은 연결재(27)에 의하여 거치대(9)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거치대(9)의 후면에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절첩방식의 구조가 구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3)(5)을 접는 경우, 상기 제 1태양전지판(3)이 거치대(9)의 후면에 접혀진 상태에서, 제 2태양전지판(5)이 그 위에 접혀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3)(5)의 폭길이는 거치대(9)의 폭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3)(5)을 거치대(9)에 접었을 경우, 서로 겹쳐짐으로써 휴대가 편리하다.
물론, 제 2태양전지판(5)이 먼저 접혀지고, 그 위에 제 1태양전지판(3)이 접혀지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21)는 제 2태양전지판(5)의 상부에 홀(24)이 형성됨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고리형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손잡이(21)는 일측(23)은 제 2태양전지판(5)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25)은 제 2태양전지판(5)의 상면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21)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또한 잡은 상태에서 제 2태양전지판(5)을 젖힘으로써 제 2태양전지판(5)을 거치대(9)로부터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21)를 제 1태양전지판(3)의 상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손잡이(21)로서 고리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전지판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상 등도 포함가능하다.
이와 같이, 절첩방식의 제 1태양전지판(3) 및 제 2태양전지판(5)은 거치대(9)에 접혀진 상태에서 휴대할 때, 즉 충전하지 않을 때 다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부(11,13)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부(11,13)는 제 1태양전지판(3)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제 1마그네트(13)와; 제 2태양전지판(5)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제 2마그네트(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마그네트(13)와 제 2마그네트(11)는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3)(5)을 접었을 경우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마그네트(11,13)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음으로써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3)(5)을 접는 경우, 제 1마그네트(13)와 제 2마그네트(11)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3)(5)이 다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잠금부(11,13)로서 마그네트 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크로즈(일명, 찍찍이)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9)의 하부에 중량부(30)가 구비됨으로써 태양전지판(3)(5)이 전개되어 충전중에도 거치대(9)가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중량부(3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의 중량체를 의미하며 거치대(9)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거치대(9)의 무게중심을 아래로 낮춘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판(3)(5)이 펼쳐져서 충전되는 중에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중량부(30)로 인하여 거치대(9)가 넘어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9)의 하부 전후 구석부에 곡면(R1,R2)을 형성함으로써 거치대(9)가 외력에 의하여 기울어져도, 중량부(30)로 인한 낮은 무게중심과 곡면에 의하여 거치대(9)가 일정 각도 기울어져도 다시 원상태인 직립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R1,R2)은 거치대(9)의 전방 구석부 혹은 후방 구석부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핸드폰을 야외 등 바람이 많은 장소에서 충전하는 경우, 이러한 중량부(30)와 곡면에 의하여 거치대(9)가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 충전장치 3,5: 제 1 및 제 2태양전지판
7: 휴대폰 9: 거치대
11,13: 제 1 및 제 2마그네트 19: 지지턱

Claims (6)

  1. 이동 통신 기기가 거치되어 충전되는 거치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이 상기 거치대의 후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태양광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판넬부;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판에 구비되며, 태양전지판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하부에 중량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거치대의 하부 전후방 구석부에는 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기기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판넬부는 상기 거치대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어 절첩되는 제 1태양전지판과; 상기 거치대의 후면 타측에 구비되어 제 1태양전지판과 마주보는 절첩방식의 제 2태양전지판과; 상기 제 1태양전지판 혹은 제 2태양전지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절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기기용 충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일측은 상기 제 1태양전지판 혹은 제 2태양전지판의 상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태양전지판 혹은 제 2태양전지판의 상면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기기용 충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 1태양전지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제 1마그네트와; 상기 제 2태양전지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제 2마그네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마그네트가 인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기기용 충전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10047978A 2011-05-20 2011-05-20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KR101222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978A KR101222448B1 (ko) 2011-05-20 2011-05-20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978A KR101222448B1 (ko) 2011-05-20 2011-05-20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618A KR20120129618A (ko) 2012-11-28
KR101222448B1 true KR101222448B1 (ko) 2013-01-15

Family

ID=4751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978A KR101222448B1 (ko) 2011-05-20 2011-05-20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869B1 (ko) * 2013-05-10 2019-09-10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주름형 무선 충전기
CN106849839A (zh) * 2016-12-29 2017-06-13 苏州尚维光伏科技有限公司 多功能小型太阳能充电装置
CN109495064A (zh) * 2018-11-15 2019-03-19 洛可可创新设计(深圳)有限公司 一种高效太阳能移动电源
CN113593422A (zh) * 2021-08-12 2021-11-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666A (ko) * 2004-01-30 2005-08-03 (주)솔레이텍 휴대용 다중 전원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 방법 및 장치
JP2006311680A (ja) 2005-04-27 2006-11-09 Tokyo Coil Engineering Kk 携帯用充電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666A (ko) * 2004-01-30 2005-08-03 (주)솔레이텍 휴대용 다중 전원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 방법 및 장치
JP2006311680A (ja) 2005-04-27 2006-11-09 Tokyo Coil Engineering Kk 携帯用充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618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4205B2 (en) Portable solar panel system
US80088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harging using portable multi-voltage solar cell
KR101222448B1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이동 통신기기용 충전장치
US20150091494A1 (en) Portable and modular power generation device
AU2015238835A1 (en) A transportable power supply unit
JP2013153008A (ja) 可搬型太陽光発電装置
KR101326234B1 (ko)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EP1528255B1 (en) Portable power supply
WO2019218563A1 (zh) 一种太阳能电源装置、电源应急拉杆箱及电源系统
KR102428743B1 (ko) 휴대용 태양광 발전장치
JP3147740U (ja) 携帯型折畳みソーラー充電装置
CN104426193A (zh) 无线充电装置
CN204947637U (zh) 太阳能移动电源箱
JP6562529B1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414841B1 (ko)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태양광발전 충전장치
US1131339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powering devices
JP2010252559A (ja) フレキシブル太陽電池搭載充電器
CN210167839U (zh) 笔筒立式无线充
KR20140140175A (ko)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JP2014207298A (ja) 可搬式太陽光発電装置
KR101379163B1 (ko) 다기능 가방
US20100285847A1 (en) Cell phone mount
JP2002330556A (ja) 電源装置
CN109560598A (zh) 太阳能移动电源箱
WO2018170385A1 (en) Portable solar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