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38A -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38A
KR20180001038A KR1020160079568A KR20160079568A KR20180001038A KR 20180001038 A KR20180001038 A KR 20180001038A KR 1020160079568 A KR1020160079568 A KR 1020160079568A KR 20160079568 A KR20160079568 A KR 20160079568A KR 20180001038 A KR20180001038 A KR 20180001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ircuit board
bracket
window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414B1 (ko
Inventor
김경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9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14B1/ko
Priority to US15/610,248 priority patent/US10475602B2/en
Publication of KR2018000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2Reversed do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Actuators to avoid sticking in on position

Abstract

전자장치와 그 키 결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는 소정 형상의 키; 상기 키의 눌림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키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키의 눌림에 따른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키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키 결합장치는 브라켓의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키 회로기판는 그 하부에 하향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돌출하는 눌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눌림부를 누름에 따른 해당 키의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키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하되,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이동되어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A KEY ENG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로서 설명하는 기술은 전자장치, 특히 모바일 기기의 윈도우 박형화에 따른 키 끼임 및 스티킹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키 끝단 누름 시, 키가 기울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스마트 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TV(Television), 랩탑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상술한 전자장치들은 사용자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부가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고, 이에 부합하여 응용한 다양한 액세서리들이 출현하고 있다.
궁극적으로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들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용 전자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장치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 장치,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보드가 데이터 입력 장치로 등장하면서, 기존의 다수개의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 어셈블리가 생략되고, 실질적인 데이터 입력장치로서 하나의 키(key)가 구비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여전히 홈키 등의 키의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있다.
일반적인 키 결합장치는 키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이 브라켓에 형성된 홀과 나사에 의해 체결되거나, 키의 가장자리가 브라켓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배변에 꺽임 체결됨으로써, 키가 브라켓에 고정된다.
또한 키의 정중앙에 돔형상부가 위치하여 상하좌우 끝 단을 누르게 되면, 키가 기울어지면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 두께 축소의 윈도우 박형화에 따라 키 외주측의 가이드량이 작은 경우, 키의 끝 단을 누르면, 키가 기울어지면서 눌려짐에 따라, 키 외주측이 윈도우나 데코부 등에 끼이는 끼임 현상 또는 스티킹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키 가이드 프레임 하단 일측의 플랜지 길이를 늘려 스테빌라이져 효과를 최대화함으로써, 윈도우 박형화에 따른 키 끼임 또는 스티킹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 및 이것을 가지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키 결합장치는 소정 형상의 키; 상기 키의 눌림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키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키의 눌림에 따른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키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키 결합장치는 브라켓의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키 회로기판는 그 하부에 하향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돌출하는 눌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눌림부를 누름에 따른 해당 키의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키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하되,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이동되어 위치한다.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전자장치는 소정 형상의 키와, 상기 키의 눌림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키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키의 눌림에 따른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키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키 결합장치; 상기 키 결합장치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 영역을 가지는 브라켓; 및 상기 키 결합장치의 키 가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되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현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키 회로기판은 그 하부에 하향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돌출하는 눌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눌림부를 누름에 따른 해당 키의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키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하되,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이동되어 위치한다.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키를 어느 방향으로 누르더라도 키 눌림 시의 키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은 상기 키 결합장치의 키의 상면이 윈도우의 상면과 거의 평행하는 깊이로 리세스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회로기판은 지문인식 가용성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그 일측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키 회로기판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 단부까지와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 타측 단부까지의 각각의 길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돌출된 길이만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키 결합장치는 윈도우와 상기 브라겟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브라켓의 배면에는 상기 전자장치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메인 회로기판의 전기 부품을 상기 윈도우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결합장치는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부착되는 복수의 방수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에 안착되고, 상기 윈도우의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방수 테이프의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와 키 결합장치의 사이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와 키 결합장치의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데코 부재로 사용된 추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가이드 프레임 하단 일측의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여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돔의 위치를 지지 프레임의 형상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키의 좌우 눌림 또는 상하 눌림, 즉 키를 장방향 또는 단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누르더라도 키의 기울기를 작게 하여 자세를 안정화하는 스테빌라이져의 역활을 수행함으로서, 윈도우 박형화에 따른 키 끼임 또는 스티킹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가이드 프레임에 대해 상하에서 지지 플레이트로 지지하되, 프레임과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방수 테이프를 개재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또는 가스로부터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 전기물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를 가지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키 결합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키 결합장치가 전자장치에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4에 따른 키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의 키 끼임 방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9는 도8 키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의 지지 프레임이 브라켓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를 가지는 전자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 키 결합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 키 결합장치의 전자장치에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내며, 도 4은 도 3에 따른 키 결합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은 키(420), 키 가이드 프레임(440) 및 키 회로기판(460)을 포함하는 키 결합장치(400)와, 브라켓(500)과, 윈도우(600) 및 메인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국부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400)는 전자장치의 어느 부위에서나 장착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400)는, 키 가이드 프레임(440)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브라켓(500)에 안착되어, 키 가이드 프레임(440)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윈도우(600)의 개방부(602)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윈도우(600)에는 데코(deco)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에는 키 결합장치(4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리세스된 안착 영역(502)을 가질 수 있고, 이때 안착 영역(502)은 키 결합장치(400)의 키(420)의 상면이 윈도우(600)의 상면과 거의 평행하도록 충분한 깊이로 리세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결합장치(400)는 내부에 위치되는 타원형 형상의 키(420)와, 키(420)의 눌림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키 가이드 프레임(440)과, 키(420)의 눌림에 따라 키(420)에 해당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키 회로기판(460)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하부에는 돔형상으로 하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462)가 형성되며,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에는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에 대응하도록 돔형상으로 상향으로 돌출하는 눌림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420)가 눌리게 되면, 돌출부(422)가 눌림부(512)를 누름에 따라, 눌러진 키(420)에 해당하는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키 회로기판(460)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회로에 전달된 상기 명령신호는 키 회로기판(4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회로기판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 및 이에 대응하는 브라켓(500)의 눌림부(512)는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이동되어 위치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 및 브라켓(500)의 눌림부(512)는 사용자가 키(420)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탄성 변형하였다가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었을 때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420)의 누름에 대응하여 돌출부(462) 및 눌림부(512)가 구동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키 회로기판(46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윈도우(600)의 개방부(602)의 하부와 브라겟(500) 상면의 사이에는 키 결합장치(400)가 개재되어 있고, 브라켓(500)의 배면에는 전자장치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메인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 및 USB 포트 등과 같이 전자장치에 구비된 전기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500)은 배면에 구비된 메인 회로기판 등의 전기 부품을 윈도우(600)의 개방부(602)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거나 일반 하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 및 마이크로칩이 구비될 수 있고, 키 회로기판(460)의 배면에는 브라켓(500)의 상면과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회로기판(460)은 테이프(tape) 또는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로 브라켓(500)에 고정되거나, 후크 및 후크 홈 등의 체결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가이드 프레임(440)에는 그 일측 양단, 즉 도 2에 있어서 하측 양단에서 한 쌍의 지지 프레임(442)이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키 회로기판(460)의 일부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442)사이에서 노출될 수 있고, 지지 프레임(442)사이에서 노출되는 키 회로기판(460)의 부분이 지문인식용 FPCB일 수 있다.
도 4 및 키(420)의 도시가 생략된 상태의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400)는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와 이에 대응하도록 돔형상으로 상향으로 돌출하는 브라켓(500)의 눌림부(512)가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지지 프레임(4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일측 양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의 중심으로부터 지지 프레임(442) 단부까지의 길이는 X이고,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의 중심으로부터 키 가이드 프레임(440) 타측 단부까지의 길이는 Y가 되며, 이때 X와 Y의 길이는 차이가 있게 된다. 즉 지지 프레임(442)이 돌출된 길이만큼 X는 Y보다 길어져서,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와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브라켓(500)의 눌림부(512)가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특히 키 가이드 프레임(440)에서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442)의 돌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프레임(440)의 지지 프레임(4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와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브라켓(500)의 눌림부(512)가 종래의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의 중심으로부터 길이 d만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하여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프레임(440)의 지지 프레임(442)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와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브라켓(500)의 눌림부(512) 역시 지지 프레임(4420의 돌출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의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420)가 눌리게 되면, 돌출부(422)가 눌림부(512)를 누르게 되어, 눌러진 키(420)에 해당하는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키 회로기판(40)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와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브라켓(500)의 눌림부(512)가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어 있으므로, 키(420) 눌림의 힌지축이 종래와 같이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어느 일측을 힌지축으로 하여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일측 양단에서 돌출된 지지 프레임(442)이 되도록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늘어난 축 길이만큼 본 발명의 작동 스트로크(t)는 종래의 작동 스트로크(T) 보다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키(420)의 작동 스트로크가 작아짐에 따라, 키(420)의 상하좌우의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스테빌라이져의 역할을 수행하여 지지 프레임(440)에 대향하는 키(420)의 타측이 윈도우(60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므로, 결국 윈도우 박형화에 따른 키 끼임 및 스티킹의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의 조립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7 키 결합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윈도우가 생략된 상태로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400)는, 지문 인식 및 방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의 키 결합장치(400)의 키 가이드 프레임(440)은 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720)(740)가 개재되어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에 안착될 수 있고, 상부에 생략된 윈도우의 개방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윈도우에는 데코(deco)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720)및 하부 지지 플레이트(740)와 키 결합장치(400)의 사이에는 복수의 방수 테이프(820)(840)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수 테이프(8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720)와 키 결합장치(400)의 사이에 부착되고, 제 2 방수 테이프(840)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740)와 키 결합장치(400)의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라켓(500)에는 키 결합장치(4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리세스된 안착 영역(502)을 가질 수 있고, 이때 안착 영역(502)은 키 결합장치(400)의 키(420)의 상면이 윈도우의 상면과 거의 평행하도록 충분한 깊이로 리세스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키 결합장치(400)는 내부에 위치되는 타원형 형상의 키(420)와, 키(420)의 눌림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키 가이드 프레임(440)과, 키(420)의 눌림에 따라 키(420)에 해당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키 회로기판(460)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하부에는 돔형상으로 하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462)가 형성되며,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에는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에 대응하도록 돔형상으로 상향으로 돌출하는 눌림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420)가 눌리게 되면, 돌출부(422)가 눌림부(512)를 누름에 따라, 눌러진 키(420)에 해당하는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키 회로기판(460)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회로에 전달된 상기 명령신호는 키 회로기판(4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회로기판으로 전달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 및 브라켓(500)의 눌림부(512)는 사용자가 키(420)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탄성 변형하였다가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었을 때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420)의 누름에 대응하여 돌출부(462) 및 눌림부(512)가 구동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키 회로기판(46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윈도우(600)의 개방부(602)의 하부와 브라겟(500) 상면의 사이에는 키 결합장치(400)가 개재되어 있고, 브라켓(500)의 배면에는 전자장치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메인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 및 USB 포트 등과 같이 전자장치에 구비된 전기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500)은 배면에 구비된 메인 회로기판 등의 전기 부품을 윈도우(600)의 개방부(602)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거나 일반 하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키 회로기판(460)의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 및 마이크로칩이 구비될 수 있고, 키 회로기판(460)의 배면에는 브라켓(500)의 상면과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회로기판(460)은 테이프(tape) 또는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로 하부 지지 플레이트(840)에 고정되거나 후크 및 후크 홈 등의 체결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브라켓(5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가이드 프레임(440)에는 그 일측 양단에서 한쌍의 지지 프레임(442)이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고, 지문인식용 FPCB로 이루어진 키 회로기판(460)이 지지 프레임(442)사이에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지지 프레임(442)은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일측 양단에서 돌출됨에 따라,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의 중심으로부터 지지 프레임(442) 단부까지의 길이와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의 중심으로부터 키 가이드 프레임(440) 타측 단부까지의 길이가 서로 차이가 있게 된다. 즉 지지 프레임(442)이 돌출된 길이만큼 길어짐에 따라, 키 회로기판(460)의 돌출부(462)와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브라켓(500)의 눌림부(512)가 브라켓(500)의 안착 영역(502)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특히 키 가이드 프레임(440)에서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442)의 돌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의 지지 프레임이 브라켓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400)의 지지 프레임(442)이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일측 양단으로 돌출 연장됨에 따라 윈도우에 추가 부재(800)를 데코 부재로 사용하여 윈도우 부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가 들떠있는 상태에서는 키(420)의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어 클림감 불량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장치(400)는 키 가이드 프레임(440)이 브라켓(500)의 안착 공간(502)에 안착되는 동시에, 키 가이드 프레임(440)의 타측 양단이 브라켓(500)의 걸림부(504)에 걸림으로써, 윈도우 들뜸이 있는 상태에서 키(420) 눌림이 있더라도, 안정적인 키 작동을 유지함으로써 클릭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가이드 프레임 하단 일측의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여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돔의 위치를 지지 프레임의 형상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키의 좌우 눌림 또는 상하 눌림, 즉 키를 장방향 또는 단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누르더라도 키 눌림 시의 키의 기울기를 작게 하여 자세를 안정화하는 스테빌라이져의 역활을 수행함으로서, 윈도우 박형화에 따른 키 끼임 또는 스티킹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가이드 프레임에 대해 상하에서 지지 플레이트로 지지하되, 프레임과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방수 테이프를 개재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또는 가스로부터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 전기물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 키 결합장치 420 : 키
440 : 키 가이드 프레임 442 : 지지 프레임
460 : 키 회로기판 462 : 돌출부
500 : 브라켓 502 : 안착 영역
512 : 눌림부 600 : 윈도우
602 : 개방부 720 : 상부 지지 플레이트
740 : 하부 지지 플레이트 820 : 상부 방수 테이프
840 : 하부 방수 테이프

Claims (20)

  1.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로서,
    소정 형상의 키;
    상기 키의 눌림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키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키의 눌림에 따른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키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키 결합장치는 브라켓의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키 회로기판은 그 하부에 하향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돌출하는 눌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눌림부를 누름에 따른 해당 키의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키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하되,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이동되어 위치하는 전자 장치의 키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키를 어느 방향으로 누르더라도 키 눌림 시의 키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키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은 상기 키 결합장치의 키의 상면이 윈도우의 상면과 거의 평행하는 깊이로 리세스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회로기판은 지문인식 가용성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그 일측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키 회로기판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 단부까지와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 타측 단부까지의 각각의 길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돌출된 길이만큼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결합장치는 윈도우와 상기 브라겟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브라켓의 배면에는 상기 전자장치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메인 회로기판의 전기 부품을 상기 윈도우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키 결합장치.
  10. 전자장치로서,
    소정 형상의 키와, 상기 키의 눌림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키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키의 눌림에 따른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키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키 결합장치;
    상기 키 결합장치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 영역을 가지는 브라켓; 및
    상기 키 결합장치의 키 가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되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현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키 회로기판는 그 하부에 하향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돌출하는 눌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눌림부를 누름에 따른 해당 키의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키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하되,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이동되어 위치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눌림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키를 어느 방향으로 누르더라도 키 눌림 시의 키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은 상기 키 결합장치의 키의 상면이 상기 윈도우의 상면과 거의 평행하는 깊이로 리세스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그 일측 양단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키 회로기판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키 회로기판은 지문인식 가용성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회로기판의 돌출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 단부까지와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 타측 단부까지의 각각의 길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돌출된 길이만큼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 결합장치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브라겟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브라켓의 배면에는 상기 전자장치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메인 회로기판의 전기 부품을 상기 윈도우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 결합장치는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부착되는 복수의 방수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 영역에 안착되고, 상기 윈도우의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방수 테이프의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와 키 결합장치의 사이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와 키 결합장치의 사이에 부착되는 전자장치.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데코 부재로 사용된 추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160079568A 2016-06-24 2016-06-24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248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568A KR102482414B1 (ko) 2016-06-24 2016-06-24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15/610,248 US10475602B2 (en) 2016-06-24 2017-05-31 Key coupl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568A KR102482414B1 (ko) 2016-06-24 2016-06-24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38A true KR20180001038A (ko) 2018-01-04
KR102482414B1 KR102482414B1 (ko) 2022-12-29

Family

ID=6067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568A KR102482414B1 (ko) 2016-06-24 2016-06-24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75602B2 (ko)
KR (1) KR102482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3585A (zh) * 2018-07-11 2018-12-21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指纹模组及电子设备
CN111491470B (zh) * 2020-03-30 2021-08-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1540023B (zh) * 2020-05-15 2023-03-2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图像采集设备的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36944B (zh) * 2021-09-28 2022-08-2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735A (ko) * 2005-06-09 2006-12-14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누름버튼 스위치의 방수 구조
JP2008052606A (ja) * 2006-08-25 2008-03-06 Kyocera Corp 電子機器
KR20140026106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KR20160034744A (ko) * 2014-09-22 201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방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5838B1 (en) * 2002-06-24 2003-10-21 Brent A. Kornelson Switch actua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ame
CN102195015B (zh) * 2010-03-18 2014-04-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组件及具有电池盖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735A (ko) * 2005-06-09 2006-12-14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누름버튼 스위치의 방수 구조
JP2008052606A (ja) * 2006-08-25 2008-03-06 Kyocera Corp 電子機器
KR20140026106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KR20160034744A (ko) * 2014-09-22 201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방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5602B2 (en) 2019-11-12
US20170372854A1 (en) 2017-12-28
KR102482414B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065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creen
US1014113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KR102413936B1 (ko) 스위치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07925688B (zh) 包括输入装置的电子设备
US2018031042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US11017739B2 (en) Method for supporting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6852041B (zh) 包括电缆支撑结构的电子设备
KR20170045090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KR20160097102A (ko)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109946B2 (en) Sealed circuit board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00118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
US10777920B2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00057469A1 (en) Blower and docking device comprising blower
US10285285B2 (en) Side ke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01038A (ko)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10033845B2 (en) Contact structure and conta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37791A (ko) 플렉시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113413A (ko) 방수 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24831B1 (ko)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94574B1 (ko) Rf 케이블 연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184174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and keyboard
KR20160114325A (ko) 전자 장치
KR20220043069A (ko)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68447A (ko) 센서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20230305594A1 (en) Strap structure connected to housing,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