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325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325A
KR20160114325A KR1020150040645A KR20150040645A KR20160114325A KR 20160114325 A KR20160114325 A KR 20160114325A KR 1020150040645 A KR1020150040645 A KR 1020150040645A KR 20150040645 A KR20150040645 A KR 20150040645A KR 20160114325 A KR20160114325 A KR 2016011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electronic device
support member
operat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588B1 (ko
Inventor
김경필
배명효
박상훈
이종현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88B1/ko
Priority to US15/048,603 priority patent/US10115540B2/en
Publication of KR2016011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24Transmission element
    • H01H2221/03Stoppers for on or off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Force concentrator; Actuating dim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6Modular conce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2Modular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대면하게 결합하는 장식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조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에 결속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외관에 배치된 장식 부재(예: 윈도우 부재)를 통해 노출되는 작동 부재(예: 키(key))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 또는 통신 서비스 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등을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다양한 입력 장치들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키나 측면 키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패널이 탑재되어 있다면 사용자의 접촉만으로도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만으로도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조에서는, 터치 패널의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등을 통해 인식의 정확도 등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에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들은 제작 공차나 조립 공차 등에 따라 키 작동의 정확도가 달라지며, 또한,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조작감(예: 클릭감)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들을 제작함에 있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제작 공차나 조립 공차 등이 엄격하게 관리될 수 있다.
그러나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키들의 품질이 허용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예컨대, 제작 공차를 벗어나거나 조립 공차가 커 불량으로 판정될 경우, 전자 장치의 구조에 따라 이를 교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접착되는 두 부품들 사이에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키가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조립 후 키의 작동 상태 등이 불량으로 판정될 경우, 서로 접착된 두 부품을 다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서로 접착된 두 부품을 다시 분리하는 과정에서 각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조립 과정에서 불량 판정이 용이하여 불량 부품의 교체나 조립 공차 등의 교정이 용이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조립 과정에서 교정이 용이하여 조립 품질이 향상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작업자에게는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는 향상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대면하게 결합하는 장식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조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에 결속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와 장식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투과시키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결속 부재를 지지 부재에 결속시키는 것만으로도, 조작 부재(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의 위치 결정 및 조립이 가능하고, 조작 부재를 지지 부재에 조립한 상태에서도 조작 부재나 지지 부재 자체의 제작 불량이나 조립 불량 등의 판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식 부재를 지지 부재에 결합하기 전, 필요에 따라 불량 부품의 교체나 조립 상태 등을 교정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조립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장식 부재를 지지 부재에 결합한 후에도 일정한 조립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개선하고 사용자에게는 균일하고 향상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일부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와 장식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일부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구비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에 설치된 장식 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 부재(102)는 디스플레이 소자(121; 도 2에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화면(V)을 투과시키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에서, 상기 화면(V)이 투과, 표시되는 영역의 일측에는, 예를 들면, 조작 부재(104)가 배치되어 상기 장식 부재(1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104)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조작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면(V)이 표시되는 영역의 타측, 예를 들어, 상측에는 음향 출력을 위한 개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에는 섬유 소재로 제작된 부직포나 금속 소재로 제작된 메시 등의 스크린(screen)(125)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이나 상단면/하단면에는 전원 키나 음향 입력 홀, 각종 커넥터 홀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일부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로 배치된 지지 부재(103)와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3)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회로 기판(105) 등을 장착, 고정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03)는 상기 장식 부재(102), 예컨대, 상기 장식 부재(102)의 내측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소자(121)를 평판 형태로 지지, 고정함으로써, 다른 구조물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3)는 상기 조작 부재(104)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홈(13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31)은 상기 지지 부재(103) 상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수용홈(131)에 배치되어 상기 장식 부재(1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식 부재(102)에는 상기 수용홈(131)에 상응하는 제1 관통홀(123)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제1 관통홀(123)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0), 예컨대, 상기 장식 부재(10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 부재(102) 상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의 양측에는 각각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식 부재(102)에는 이러한 키들에 상응하는 문양(127)(들)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5)은 상기 지지 부재(10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 부재(104) 또는 장식 부재(10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5)은 상기 조작 부재(104)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 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3)는 상기 수용홈(131) 상에 형성된 제2의 관통홀(13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 부재(151)는 상기 제2 관통홀(139)을 통해 상기 조작 부재(104)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5)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진 터치 패드(153)(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 기판(105)의 일부분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153)(들)는 상기 지지 부재(103)의 일면 상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의 양측에서, 상기 장식 부재(102)에 형성된 문양(127)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 기판(105)의 대부분은 상기 지지 부재(103) 상에서 하부면에 대면하게, 일부분(예: 상기 터치 패드(153))은 상기 지지 부재(103) 상에서 상부면에 대면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153)(들)는 상기 문양(127)들이 형성된 위치를 사용자가 접촉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로서 상기 터치 패드(153)(들)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조작 부재(104)와 그 설치 구조에 관해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 부재(104)는 몸체(141)와 적어도 한 쌍의 결속편(1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1)는, 상기 수용홈(131)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홀(1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141)는 사용자기 직접 조작하게 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1)는 일 방향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일부분(예: 양단)은 곡면(또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속편(143)들은 상기 몸체(14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속편(143)들은 상기 지지 부재(103)에 결속되어 상기 조작 부재(104)의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지지 부재(103)에 조립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몸체(141)의 저면에 형성된 작동 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수용홈(131) 상에 배치되면 상기 작동 돌기(145)는 상기 제2 관통홀(139)에 상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 돌기(145)는 상기 제2 관통홀(139)을 통해 상기 스위치 부재(15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몸체(1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차부(147)는 상기 몸체(1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면서 상기 몸체(14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가 지지 부재(103)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가 지지 부재(103)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가 지지 부재(103)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와 장식 부재(102)가 지지 부재(103)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지지 부재(103) 상에 조립되면, 상기 결속편(143)들은 상기 수용홈(1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속홈(133)들과 맞물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속편(143)들이 상기 결속홈(133)들과 각각 맞물려, 상기 조작 부재(104)의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지지 부재(103)에 결속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속홈(133)들은 상기 수용홈(131)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131)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3) 상에서 상기 결속홈(133)들보다 더 외측에는 회피홈(13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135)들은 상기 조작 부재(104)를 상기 지지 부재(103)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상기 결속편(143)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회피홈(135)들은 상기 조작 부재(104)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5)은 상기 지지 부재(10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 부재(104)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기 회로 기판(105)이 상기 지지 부재(103)의 하부에,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지지 부재(10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5)이 상기 지지 부재(103)에 조립되면, 상기 스위치 부재(151)는 상기 제2 관통홀(139)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 부재(104)는, 일측의 상기 결속편(143)이 상기 결속홈(133) 및 회피홈(135)에 충분히 수용된 정도로 위치한 상태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속편(143)들 중 하나를 상기 회피홈(135)들 중 하나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상기 조작 부재(104)를 위치시킨 상태(예: 도 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104)의 조립이 시작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조작 부재(104)의 몸체(141)를 상기 수용홈(131)에 수용되는 방향(예: 도 7에서 아래 방향(downward))으로 눌러 다른 하나의 상기 결속편(143)이 그에 상응하는 상기 결속홈(133)에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작동 돌기(145)는 상기 스위치 부재(151)에 일부 간섭(I)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결속편(143)이 상기 회피홈(135)으로 수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결속편(143)이 그에 상응하는 상기 결속홈(133)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가 수평 이동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결속편(143)이 상기 결속홈(133)과 맞물리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141)가 상기 수용홈(131) 상에서 상기 결속홈(133)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왕복하면서 상기 결속편(143)들을 상기 결속홈(133)에 맞물리게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점차 상기 수용홈(131)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결속편(143)들이 상기 결속홈(133)들과 각각 맞물림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지지 부재(103)에 조립,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결속편(143)들과 결속홈(133)들의 구조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104)의 수평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측에서 상기 결속편(143)들이 상기 결속홈(133)의 내벽에 간섭되고, 하측에서는 상기 작동 돌기(145)가 상기 스위치 부재(151)에 간섭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외력이 가해지면(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조작 부재(104)를 조작하면), 상기 몸체(141)가 하향 이동하고, 상기 작동 돌기(145)가 상기 스위치 부재(15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의 조립 품질에 대한 판정은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지지 부재(103)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작 부재(104)를 조립한 후, 더 이상의 조립 공정을 보류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를 조작하여 조립 품질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와 지지 부재(103) 각각의 제작 공차나 조립 오차로 인하여 조작감이 규정된 품질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작업자는 조립된 조작 부재(104)를 다른 조작 부재(104)로 교체하거나 재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 부재(104)의 조립 품질의 교정이 용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 부재(104)의 조립 품질이 양호한 조립체에 대해서 상기 장식 부재(102)가 상기 지지 부재(103)에 대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102)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103)와 대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102)가 상기 지지 부재(103)에 결합하면, 상기 조작 부재(104), 예컨대, 상기 몸체(141)가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관통홀(123)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102)가 상기 지지 부재(103)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147)가 상기 장식 부재(102)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41)의 외주면이 상기 제1 관통홀(123)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 부재(102)에 대한 상기 조작 부재(104)의 수평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수직 이동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조작 부재(104)를 지지 부재(103)에 조립한 상태에서 조립 품질에 대한 판정이 가능하여, 조립 과정에서 제작 공차나 조립 불량에 따른 교체 또는 교정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장식 부재(102)가 조작 부재(104)의 몸체(14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 외에는 조작 부재(104)의 흔들림 등을 제한함으로써, 안정된 설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일부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204)가 지지 부재(203)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회로 기판(205)을 배치함에 있어, 조작 부재(204)와 함께 지지 부재(203)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선행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선행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회로 기판(205)은 상기 조작 부재(204)와 함께 상기 지지 부재(203)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20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장식 부재(10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선행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장식 부재(102)는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204)는 몸체(241)가 상기 장식 부재(102)에 형성된 관통홀(123)을 통해 상기 장식 부재(10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작 부재(20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회로 기판(205)에 배치된 스위치 부재(25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204)는 상기 몸체(241)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결속편(2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편(243)들은 서로에 대하여 어긋나게(offset), 예를 들면, 도 10에서, 일측의 결속편(243)은 상기 몸체(241)의 상측단에 인접하게, 타측의 결속편(243)은 상기 몸체(241)의 하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205)은 상기 스위치 부재(251)가 배치된 제1 스위치부(205a)와, 상기 제1 스위치부(205a)의 양측에서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스위치부(205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부(205a)는 강성 인쇄회로 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상기 제2 스위치부(205b)들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치부(205b)들의 단부는 터치 패드(2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부(205b)들은 서로에 대하여 어긋나게, 예를 들면, 도 10에서, 일측의 제2 스위치부(205b)는 상기 제1 스위치부(205a)의 하측단에 인접하게, 타측의 제2 스위치부(205b)는 상기 제1 스위치부(205a)의 상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3)에는 상기 회로 기판(205)과 조작 부재(204)를 수용하는 수용홈(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231)의 형상은 상기 회로 기판(205)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205)이 상기 수용홈(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204)가 상기 지지 부재(203)에 조립,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204)가 상기 지지 부재(203)에 조립, 결속됨에 있어, 상기 결속편(243)들이 상기 지지 부재(203)에 결속되는 구조는 선행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속편(243)들이 서로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 부재(203)에 형성되는 결속홈들 또한 상기 결속편(243)들이 형성된 위치와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205)과 조작 부재(204)가 상기 지지 부재(203)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부(205b)들은 각각 그에 상응하는 결속편(243)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스위치부(205b)들과 결속편(243)들은 서로 중첩하는 않는 범위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204)가 상기 지지 부재(203)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204)의 작동 돌기는 상기 스위치 부재(251)와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식 부재(102)를 조립하기 전, 상기 조작 부재(204)의 작동 상태 등의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 기판(205)과 조작 부재(204)가 상기 지지 부재(203)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204)의 작동 상태와 조작감 등을 시험해 볼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204)의 작동 및 조작감이 규정된 품질에 만족한다면, 상기 장식 부재(102)가 상기 지지 부재(203)에 결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 부재(102)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한 접합 방식으로 상기 지지 부재(203)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102)가 윈도우 부재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장식 부재(202)의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203)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평판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에 조립되는 다양한 구조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가 지지 부재(303)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 부재(303)는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331)과, 상기 수용홈(331)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결속홈(33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31)의 측벽에는 결속 리브(333b)들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 리브(333b)들의 내측으로 상기 결속홈(333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홈(333a)들은 제1의 방향으로, 예컨대, 상기 지지 부재(303)의 하단부 측에서 상기 수용홈(331)의 바닥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결속편(143)들이 상기 결속홈(333a)들과 각각 상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홈(333a)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점차 상기 수용홈(331)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의 작동 돌기가 스위치 부재(151)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수용홈(331)으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수용홈(331)에 완전히 수용되면, 상기 결속편(143)들의 상면이 상기 결속 리브(333b)들에 각각 간섭되고, 상기 조작 부재(104)의 하부에서는 작동 돌기가 상기 스위치 부재(151)에 간섭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용홈(331)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수용홈(331)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상기 조작 부재(104)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수용홈(331)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스위치 부재(15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수용홈(331)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술한 장식 부재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의 조립 품질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 부재(104)나 수용홈(331)을 형성함에 있어 제작 공차가 있다면 조립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도 규정된 품질의 조작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들의 제작이 공차 범위 이내로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조립의 정확도에 따라 규정된 품질의 조작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조작 부재(104)를 상기 지지 부재(303)에 조립한 즉시 조립 품질의 판정이 가능하므로, 조립 불량 등이 발생하더라도 교정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지지 부재(40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가 지지 부재(403)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403)에는 스위치 부재(151)가 배치된 수용홈(4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431)의 양측에 각각 결속 리브(4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 리브(433)들의 내측으로 각각 조작 부재(104)의 결속편(143)에 상응하는 결속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수용홈(431)에 수용되면서 상술한 장식 부재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상시 결속 리브(433)들은 서로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결속홈(333a)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 결속홈들은 서로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는 상기 수용홈(431)에 대하여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상기 수용홈(431)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용홈(431)은 일정 정도 경사진 상태로 상기 조작 부재(104)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가 경사진 상태로 상기 수용홈(431)에 수용되면 상기 조작 부재(104)의 작동 돌기는 상기 스위치 부재(151)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104)가 상기 수용홈(431)에 수용되면, 상기 조작 부재(104)의 결속편(143)들은 각각 상기 수용홈(431)의 측벽에 형성된 결속홈에 상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가 일 방향으로, 예컨대, 상기 결속편(143)들이 각각에 상응하는 결속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403)에 조립, 결속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3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30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조작 부재(104)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 부재(304)는 센서부(343)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43)는, 예를 들면, 지문 인식 센서, 혈압/심박수/맥박 등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땀 등의 체액으로부터 체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43)는 상기 조작 부재(104)의 몸체(141)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41)의 전면에는 투과 창(341)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343)가 지문 인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가 상기 투과 창(341)에 지문을 접촉하여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343)가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센서 또는 체성분을 분석하는 센서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투과 창(341)은 상기 센서부(343)의 구성에 따라 적절하게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43)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5)을 통해 회로 기판(예: 상술한 회로 기판(105, 205))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5)은 회피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34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14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5)은 상기 몸체(141)부의 외부에서 절곡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몸체(141)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부재(104)의 작동 돌기(145)는 상기 회피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을 통해 상기 회피홀이 도시되고 있지만, 상기 작동 돌기(145)를 수용한 모습으로 도시되고 있는 바, 상기 회피홀에 대한 참조번호가 기재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상기 작동 돌기(145)가 상기 회피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5)은 상기 작동 돌기(145)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345)이 상기 작동 돌기(145)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게 배치됨으로써, 스위치 부재 상에서 상기 조작 부재(104)가 회로 기판(예: 상술한 회로 기판(105, 205)) 또는 수용홈(예: 상술한 수용홈(131, 231, 331, 431))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차부(147)는 상기 몸체(14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폭이 상기 몸체(141)의 둘레를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차부(147)의 외주면은 상기 몸체(141)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차부(147)의 폭은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41)의 적어도 일부분(141a)(이하, '제1 곡선부')은 제1의 곡률을 가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곡선부(141a)에 상응하는 상기 단차부(147)의 일부분(349)(이하, '제2 곡선부')은 상기 제1 곡선부(141a)보다 더 작은 곡률을 가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곡선부(349)는 상기 단차부(147)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몸체(141)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곡선부(349)는, 상기 조작 부재(104)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스위치 부재를 더 정확하게 작동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 돌기(145)와 어긋난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부재(104)를 조작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 곡선부(349)가 장식 부재(102)의 내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작동 돌기(145)를 하향 이동시켜 스위치 부재(151)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한 예로써, 도 14에 도시된 조작 부재(104)를 조작함에 있어, 우측의 상기 제1 곡선부(141a) 상에서 사용자가 상기 몸체(141)를 눌렀을 때, 상기 작동 돌기(145)가 스위치 부재(151)에 간섭될 수는 있다. 하지만, 이때, 도 14에 도시된 조작 부재(104)가 상기 제2 곡선부(349)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좌측의 상기 제1 곡선부(141a)가 사용자의 조작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 돌기(145)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몸체(141)를 조작할 경우, 시이소오(see-saw) 현상이 발생할 뿐,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우측의 상기 제1 곡선부(141a) 상에서 사용자가 상기 몸체(141)를 누를 때, 상기 제2 곡선부(349)들 중 좌측의 상기 제2 곡선부(349)가 장식 부재(102)의 내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의 상기 제1 곡선부(141a)를 조작하더라도, 시이소오 현상은 억제되고 상기 제2 곡선부(349)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작동 돌기(145)가 하향 이동하여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대면하게 결합하는 장식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조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에 결속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스위치 부재에 상응하게 형성된 작동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장식 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스위치 부재가 배치된 제1 스위치부;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양측에서 각각 서로 멀어지게 연장된 제2 스위치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편들은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서로에 대하여 어긋나게(offset) 배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부 각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 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작 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결속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속편이 상기 결속홈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홈들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가 상기 수용홈 상에서 상기 결속홈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왕복하면서 상기 결속편들을 상기 결속홈에 맞물리게 하면서 점차 상기 수용홈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결속홈의 내측에 형성된 회피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가 왕복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상기 결속편들의 일부분이 상기 회피홈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홈들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편들이 상기 결속홈들과 각각 상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점차 상기 수용홈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홈들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서로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결속편들을 상기 결속홈들과 각각 상응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속편들과 결속홈들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센서부; 회피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외부로 인출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작동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몸체의 저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 돌기는 상기 회피홀에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와 장식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투과시키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의 곡률을 가진 곡선 형태(이하, '제1 곡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곡선부에 상응하는 상기 단차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곡률을 가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위치 부재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택트 스위치(tact switch) 등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스위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각 실시예들이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각 실시예들의 구조가 서로 조합되거나 서로를 대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곡선부를 가진 단차부의 구조나, 센서부를 포함하는 조작 부재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조는 선행 실시예들에 조합될 수 있다.
100: 전자 장치 101: 하우징
102: 장식 부재 103: 지지 부재
131: 수용홈 133: 결속홈
104: 조작 부재 141: 몸체
143: 결속편 105: 회로 기판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대면하게 결합하는 장식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장식 부재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에 결속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속편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스위치 부재에 상응하게 형성된 작동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장식 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된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스위치 부재가 배치된 제1 스위치부;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양측에서 각각 서로 멀어지게 연장된 제2 스위치부들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들은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서로에 대하여 어긋나게(offset) 배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부 각각에 나란하게 배치된 전자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 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된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작 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된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결속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이 상기 결속홈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들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수용홈 상에서 상기 결속홈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왕복하면서 상기 결속편들을 상기 결속홈에 맞물리게 하면서 점차 상기 수용홈으로 수용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결속홈의 내측에 형성된 회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가 왕복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상기 결속편들의 일부분이 상기 회피홈으로 이동하는 전자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들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결속편들이 상기 결속홈들과 각각 상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점차 상기 수용홈으로 수용되는 전자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들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서로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결속편들을 상기 결속홈들과 각각 상응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속편들과 결속홈들이 서로 결속되는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센서부;
    회피홀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외부로 인출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작동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절곡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몸체의 저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 돌기는 상기 회피홀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장식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투과시키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측에 배치된 전자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의 곡률을 가진 곡선 형태(이하, '제1 곡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곡선부에 상응하는 상기 단차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곡률을 가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전자 장치.
KR1020150040645A 2015-03-24 2015-03-24 전자 장치 KR10226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45A KR102264588B1 (ko) 2015-03-24 2015-03-24 전자 장치
US15/048,603 US10115540B2 (en) 2015-03-24 2016-02-19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45A KR102264588B1 (ko) 2015-03-24 2015-03-24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25A true KR20160114325A (ko) 2016-10-05
KR102264588B1 KR102264588B1 (ko) 2021-06-15

Family

ID=5697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45A KR102264588B1 (ko) 2015-03-24 2015-03-24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15540B2 (ko)
KR (1) KR102264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75A1 (ko) * 2017-03-15 2018-09-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8504B (zh) * 2017-03-01 2023-04-21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盖板组件、显示屏组件及电子装置
US10724964B1 (en) * 2019-04-10 2020-07-28 Kla-Tencor Corporation Multi-sensor tiled camera with flexible electronics for wafer insp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078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KR20150008990A (ko) * 2013-07-03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입력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544A (ja) 1999-04-27 2000-11-07 Kenwood Corp 押しボタン構造
US6492602B2 (en) * 2000-02-10 2002-12-10 Alps Electric Co., Ltd. Two-position pushbutton switch
TWI271763B (en) * 2005-11-11 2007-01-21 Benq Corp Slender keyswitch structure
CN102194592B (zh) * 2010-03-19 2015-04-15 淮南圣丹网络工程技术有限公司 按键结构及具有该按键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4881465B2 (ja) * 2010-07-23 2012-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2386001A (zh) * 2010-08-31 2012-03-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具该按键的按键组件及便携式电子装置
CN102693857A (zh) * 2011-03-25 2012-09-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开关
TWI482188B (zh) * 2011-07-21 2015-04-21 Wistron Corp 鍵帽結構與具有鍵帽結構之電子裝置
US8981245B2 (en) * 2012-06-08 2015-03-17 Richard Hung Dinh Modular molded interconnect devices
US9058941B2 (en) * 2012-08-20 2015-06-16 Apple Inc. Floating switch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2073570B1 (ko) 2012-08-24 2020-0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US9691570B1 (en) * 2013-10-28 2017-06-27 Apple Inc. Modular tactile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078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KR20150008990A (ko) * 2013-07-03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입력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75A1 (ko) * 2017-03-15 2018-09-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23554B2 (en) 2017-03-15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uide member for facilitating assembling or sepa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4490A1 (en) 2016-09-29
US10115540B2 (en) 2018-10-30
KR102264588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18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US8373661B2 (en) Inpu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477118B2 (en) Input apparatus and optical reflection panel module
EP2947858A1 (en) Mobile terminal with rear-surface sensor
US20130162591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2752416B (zh) 移动终端
CN116996087A (zh) 具有密封构件的电子设备
US20060114232A1 (en) Optical module and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JP7161288B2 (ja) タッチパッドモジュール
JP2007173087A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1400697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puts to an Electronic Device with a Button Assmebly
KR20160114325A (ko) 전자 장치
KR201200598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2019008466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JP2006286644A (ja) 基板から延びる折り畳み部を用いて光デバイスを構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30188633A1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ixing structure for fixing substrate
US8098494B2 (en) Electronic device
KR20180001038A (ko)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EP3391947A1 (e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put device
US2023024712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ide key
US20140177143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9117377A (ja) 電子機器
US10609461B1 (en) Waterproof speaker device
US82434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40305778A1 (en)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