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669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4669A KR20190084669A KR1020180002696A KR20180002696A KR20190084669A KR 20190084669 A KR20190084669 A KR 20190084669A KR 1020180002696 A KR1020180002696 A KR 1020180002696A KR 20180002696 A KR20180002696 A KR 20180002696A KR 20190084669 A KR20190084669 A KR 201900846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wall
- plate
- side wall
- electronic device
- sensing circu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503987 Clematis vit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55 kines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포함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된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제2측벽에 평행하며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3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로서,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1측벽, 상기 제2측벽 및 상기 제3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제2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는 제 2 구조물과, 상기 제2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sensing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최근 들어 각 제조사마다 기능적 격차가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사용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경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점차 소형화 및 슬림화되어 가고 있는 전자 장치와 다르게, 멀티 미디어 기능 또는 보다 많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전자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성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좀더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진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바디와 제2바디가 중첩된 위치에서 사용할 경우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되는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전자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1바디와 제2바디가 중첩되거나 펼쳐지도록 배치되는 접철식(foldable type)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들은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중 움직이는 바디에 키 버튼이 배치될 수 있고, 개폐 동작에 따라 키 버튼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조작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확장 여부에 관계없이 균일한 키 입력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키 버튼의 입력 및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실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포함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된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제2측벽에 평행하며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3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로서,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1측벽, 상기 제2측벽 및 상기 제3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제2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는 제 2 구조물과, 상기 제2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sensing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과 결합하여, 상기 제1구조물에 대하여 일정 왕복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의 외부에서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키 버튼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키 버튼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키 버튼의 입력 및 위치를 검출하기 때문에 실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폐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변경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4a의 제2구조물에 포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의 조작에 따른 검출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구조물의 이동에 따른 키 버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폐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변경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4a의 제2구조물에 포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의 조작에 따른 검출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구조물의 이동에 따른 키 버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예: 도 2a의 디스플레이(21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외면에 접촉된 키 버튼(예; 도 2a의 키 버튼(217))의 입력 및/또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로부터 검출된 키 버튼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검출된 개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의 기능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검출된 개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의 전자 장치(2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과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제2구조물(220)에 대하여 제1구조물(210)이 폐쇄(closed) 상태며, 도 2b는 제2구조물(220)에 대하여 제1구조물(210)이 개방(open)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구조물(210)과 제1구조물(210)에서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220)(예: 제2플레이트)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210)은 제2구조물(220)을 기준으로 도시된 ① 방향으로 일정 거리(예: 도 3의 일정 거리(d1))만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210)의 제1플레이트(211)는 제1면(2111) 및 제1면(211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2112)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2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2113)은 제1길이를 갖는 제1측면(2113-1), 제1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측면보다 짧은 제2길이를 갖는 제2측면(2113-2), 제2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측면과 평행하게 제1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제3측면(2113-3) 및 제3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2측면과 평행하게 제2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제4측면(2113-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조물(220)은 제2플레이트(221), 제2플레이트(221)에 수직한 제1측벽(2211), 제1측벽(2211)과 제2플레이트(221)에 수직하고 측면(2113)을 향하는 제2측벽(2212) 및 제1측벽(2211) 및 제2플레이트(221)에 수직하고, 제2측벽(2212)에 평행하며 측면(2113)을 향하는 제3측벽(2213)을 포함할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221), 제1측벽(2211), 제2측벽(2212) 및 제3측벽(2213)은 일체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221), 제1측벽(2211), 제2측벽(2212) 및 제3측벽(2213)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상호 구조적 결합에 의해 제2구조물(220)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221), 제1측벽(2211), 제2측벽(2212) 및 제3측벽(2213)은 제1구조물(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예; 도 4a의 트로프(4101))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210)은 제2플레이트(221) 및 제2측벽(2212)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제2구조물(220)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 상태로 유동 가능하여, 제1구조물(210)이 폐쇄 상태에서 제1측벽(2211)으로부터 제1거리(도 2a의 제1거리(L1))에 놓여지고, 개방 상태에서 제1측벽(2211)으로부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도 2b의 제2거리(L2))에 놓여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구조물(210)의 제1면(2111)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12)(예: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좌, 우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217, 218)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217, 218)은 제2구조물(220)의 제2측벽(2212) 및/또는 제3측벽(2213)에 노출, 또는 돌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은 음성 명령을 위한 버튼(미도시), 전원 버튼(217) 또는 볼륨 조절 버튼(21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2)와 제2구조물의 제2플레이트(221)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리시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4)은, 예컨대, 조도 센서(예: 광센서), 근접 센서(예: 광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얼굴 인식 센서 또는 홍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카메라 장치(2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216)(예: LE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2)는 제1면(211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제1면(2111)에 배치되는 평면부(2121) 및 폐쇄 상태에서 평면부(2121)로부터 제1측벽(2211) 및 제1구조물(210)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예: 도 6a의 절곡 가능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2)는 평면부(2121)로부터 제1플레이트(211)의 측면(2113)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굽어진 부분(bent portion)(2122, 2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굽어진 부분(2122)은 측면(2113) 중 제1측면(2113-1)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또 하나의 굽어진 부분(2123)은 제3측면(2113-3)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211)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구조물(210)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의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부(2121) 및 제1측벽(2211)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평면부 방향으로 일정 표시 영역(EA)만큼 당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2)의 굽어진 부분(bent portion)(2122)은 제1구조물(210)이 제2구조물(220)에 대하여 일정 왕복 거리로 유동될 때, 키 버튼(217)이 항상 접촉하거나 근접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구조물(210)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212)의 적어도 굽어진 부분(2122)에 포함되는 센서 모듈(예: 터치 센서 모듈 또는 압력 센서 모듈)(예: 감지 회로)을 이용하여 키 버튼(217)의 입력 동작 및/또는 제1구조물(210)의 개폐 동작에 따른 키 버튼(217)의 굽어진 부분(212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검출된 키 버튼(217)의 입력 및/또는 위치를 이용하여 대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예: A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센서 모듈(예: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 키 버튼(217)의 이동에 대응하는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2구조물(220)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210)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센서 모듈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별도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폐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변경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구조물(210)이 제2구조물(220)에 대하여 폐쇄되거나 개방되는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2)의 굽어진 부분(2122)은 폐쇄 상태에서도 제1플레이트(211)의 측면(2113)을 통하여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굽어진 부분(2122)은 디스플레이(212)의 평면부(2121)와 연동되는 표시 영역 또는 별도의 표시 영역이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구조물(210)이 제2구조물(220)에 대하여 일정 이동 거리(d1)로 개방되더라도 키 버튼 배치 영역(A1)은 변동되지 않으며,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버튼(217)이 제2구조물(220)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210)이 완전이 개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12)의 표시영역은 확장 영역(EA)만큼 확장될 수 있고, 굽어진 부분(2122)은 노출 영역(A2)만큼 외부로 노출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4a의 제2구조물에 포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의 제2구조물(400)은 도 2a의 제2구조물(220)과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제2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2구조물(400)은 제2플레이트(410)와, 제2플레이트(4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측벽(411), 제1측벽(411)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제1측벽(411) 및 제2플레이트(4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측벽(412) 및 제1측벽(411)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제2측벽(41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측벽(4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410), 제1측벽(411), 제2측벽(412) 및 제3측벽(41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1구조물(예: 도 5a의 제1구조물(510))의 적어도 일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배치 공간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측벽(412)은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키 버튼(4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측벽(413)은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2키 버튼(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키 버튼(420)은 전원 버튼으로, 제2키 버튼(430)은 볼륨 조절 버튼으로 기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키 버튼(420)의 배치 구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키 버튼(430)의 배치 구조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도 4b는 도 4a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라인 B-B'을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를 참고하면, 키 버튼(420)은 제2구조물(400)의 제2측벽(412)에 형성된 관통홀들(4121, 4122)를 통하여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홀들(4121, 4122)은 제1관통량을 갖는 제1관통홀(4121)와, 제1관통홀(4121)에서 연장되고, 제1관통량보다 큰 제2관통량을 갖는 제2관통홀(4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관통홀(4121)와 제2관통홀(4122) 사이에는 관통량의 차이로 인한 단차부(4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420)은 예를 들어, 제2측벽(412)의 외면과 일치하거나 더 돌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420)은 제2측벽(412)의 외면에 노출되는 키 탑(421)과 키 탑(421)에서 연장된 돌기(4211)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키 버튼(420)의 돌기(4211)는 제1관통홀(4121)의 내부에서 키 탑(421)이 제2측벽(412)의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게 단속하는 걸림부(422)와 결합될 수 있다. 키 버튼(4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2측벽(412)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접촉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4211)는 걸림부(422)를 관통하여 접촉부(423)에 형성된 리세스(4231)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422)는 제1관통홀(4121) 및 제2관통홀(4122)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4123)에 걸림으로써 키 버튼(420)이 제2측벽(4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키 탑(421)은 제1관통홀(4121)를 관통하여 제1관통홀(412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4231)에는 돌기(4211)의 단부에 의해 가압(예: 눌림)받을 수 있는 돔 키(dome key)(424)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돔 키(424)는 메탈 돔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돔 키(424)는 키 (421)탑이 가압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클림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423)는 접촉면(42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면(4232)은 제2구조물(400)이 제1구조물(예: 도 3의 제1구조물(210))과 결합될 경우, 제1구조물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12))의 굽어진 부분(예: 도 3의 굽어진 부분(2122))에 접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423)는 디스플레이가 정정 용량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때, 정전 용량의 변화값을 이용한 검출을 도모하고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걸림부(422)와 제2측벽(412)에 형성된 제1관통홀(4121)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진 부분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됨으로서 가압받은 키 탑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의 조작에 따른 검출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구조물의 이동에 따른 키 버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 내지 도 4c의 제2구조물(400)이 적용된 전자 장치(5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의 전자 장치(5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a의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500)는 제1플레이트(511)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510)과 제1구조물(510)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410)를 포함하는 제2구조물(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511)는 제1면(5111)과 제1면(511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5112) 및 제1면(5111)과 제2면(5112)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5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조물(400)은 제1측벽(예: 도 4a의 제1측벽(411)), 제1측벽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2측벽(412) 및 제1측벽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3측벽(예: 도 4a의 제3측벽(4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디스플레이(5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12)는 디스플레이 모듈,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및/또는 투명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12)는 제1플레이트(511)의 제1면(5111)에 배치되는 평면부(5121)와, 평면부(5121)에서 연장되며, 측면(5113)의 적어도 일부 영역까지 확장되는 굽어진 부분(5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420)은 제2플레이트(410)의 제2측벽(412)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420)은 측면(5113)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420)은 제2측벽(412)에 단속되도록 배치되되, 가압될 경우, 제2측벽(412)의 내측으로 돌출된 접촉부(예: 도 4b의 접촉부(423))의 접촉면(예: 도 4b의 접촉면(4232))이 디스플레이(512)의 굽어진 부분(5122)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눌림량(d3)으로 접촉부(423)가 가압됨에 따라, 키 버튼(420)은 디스플레이(512)의 굽어진 부분(5122)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12)가 터치 감응형 센서(예: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500)는 정전 용량의 변화값에 기반하여 키 버튼(420)의 입력 동작(가압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제1구조물(510)이 제2구조물(400)에 대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할 때, 전자 장치(500)는 디스플레이(512)의 굽어진 부분(5122)과 접촉된 키 버튼(420)에 포함된 접촉부(423)의 접촉면(4232)에 의해 발생되는 정정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제1구조물(510)의 개폐 동작에 따른 왕복 이동 거리(d1)내에서 제1구조물(510)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12)의 굽어진 부분(5122)(예: 감지 회로) 중 적어도 일부 영역(5123)은, 측면(5113)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길이(L3)를 갖고, 측면(5113)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길이(L3)보다 큰 제 2 길이(L4)를 가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의 디스플레이(600)는 도 2a의 디스플레이(212) 또는 도 5a의 디스플레이(512)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600)는 제1플레이트(예: 도 2a의 제1플레이트(211))의 제1면(예: 도 2a의 제1면(211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제1면에 배치되는 평면부(610) 및 제1구조물(예: 도 2a의 제1구조물(210))이 폐쇄 상태에서 평면부(610)로부터 제2플레이트(예: 도 2a의 제2플레이트(211))의 제1측벽(예: 도 2a의 제1측벽(2211)) 및 제1구조물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600)는 평면부(610)로부터 제1플레이트(예: 도 2a의 제1플레이트(211))의 측면(예: 도 2a의 측면(2113))으로 연장되는 굽어진 부분들(bent portions)(611, 6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600)는 절곡 가능부(620)의 단부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제어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회로부 (630)및 회로부(630)의 단부에서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PCB(예: 도 7a의 PCB(712))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배치되는 커넥터(6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600)의 터치 센서는 평면부(620) 및 굽어진 부분들(611, 61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600)의 터치 센서는 평면부(620) 및 굽어진 부분들(611, 612)에 동일한 형식의 전극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조 또는 디스플레이(600)의 구조에 기반하여, 굽어진 부분들(611, 612)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c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60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턴은 평면부(610) 및 굽어진 부분들(611, 612)이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평면부(610)는 mutual 방식의 전극 패턴(6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굽어진 부분들(611, 612)은 self-dot 방식의 패턴(650)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self-dot 패턴(650)의 센싱 감도는 mutual 패턴(640)의 센싱 감도보다 적어도 일부의 시간 구간 동안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d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600)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턴은 평면부(610) 및 굽어진 부분들(611, 612)이 동일하거나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평면부(610)는 제1self-dot 방식의 패턴(660)이 배치될 수 있으며, 굽어진 부분들(611, 612)은 제2self-dot 방식의 패턴(650)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Self-dot 패턴(660)의 해상도, 크기, 또는 감도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Self-dot 패턴(650)의 해상도, 크기, 또는 감도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예: 해상도 높음, 크기 작음, 감도 높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의 전자 장치(7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5a의 전자 장치(500)과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제2구조물(예: 도 2a의 제2구조물(220))이 제거된 전자 장치(700)의 후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전자 장치(700)는 제1구조물(710)의 제1플레이트(711)와 제2구조물(예: 도 2a의 제2구조물(22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은 PCB(712), 카메라 모듈(716), 리시버(713), 스피커(715), 카드형 외부 장치 장착 소켓(721)또는 화상 카메라 모듈(7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는 제1구조물(710)에 배치되는 PCB(712)와 별도로 제2구조물(예: 도 2a의 제2구조물(220))과 함께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서브 PCB(71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PCB(718)는 제2구조물(예: 도 2a의 제2구조물(220))에 배치될 수 있는 전자 부품들(예: 안테나 모듈 등)을 PCB(71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매개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7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PCB(712)와 서브 PCB(718)는 상호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는 PCB(712)와 서브 PCB(718)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부재(719)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부재(719)는 제1구조물(710)의 왕복 이동 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은 굴곡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부재(719)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제1플레이트(711)는 제1면(7111) 및 제1면(711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7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711)에는 제1면(7111)의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에 지지 부재(73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730)는 제1플레이트(711)에 본딩, 테이핑 또는 스크류 체결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730)는 제1플레이트(711)와 제2구조물(예: 도 2a의 제2구조물(22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자 부품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예: 도 2a의 디스플레이(212))의 장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지지 부재(730)의 일면에 본딩 또는 테이핑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의 전자 장치(8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도 5a의 전자 장치(500) 또는 도 7a의 전자 장치(7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800)는 제1플레이트(811)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810)과 제1구조물(810)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821)를 포함하는 제2구조물(8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810)은 제1면(8111)과, 제1면(811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8112) 및 제1면(8111)과 제2면(8112)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8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조물(820)은 제1측벽(8211), 제1측벽(821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2측벽(8212) 및 제1측벽(821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3측벽(82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는 디스플레이(8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812)는 제1플레이트(811)의 제1면(8111)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830)은 제2플레이트(821)의 제2측벽(8212)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830)은 제2측벽(8212)에 형성된 관통홀들(82121, 82122)에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830)은 제2측벽(8212)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키 탑(831), 키 탑(831)과 결합되며 관통홀들(82121, 82122)의 내부에서 키 버튼(8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832) 및 걸림부(832)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2측벽(8212)의 내측으로(측면(8113)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구조물(810)의 측면(8113)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8114)에 접촉되는 접촉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830)은 측면(8113)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홀들(82121, 82122)은 제1관통량을 갖는 제1관통홀(82121)와, 제1관통홀(82121)에서 연장되고, 제1관통량보다 큰 제2관통량을 갖는 제2관통홀(82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관통홀(82121)과 제2관통홀(82122) 사이에는 관통량의 차이로 인한 단차부(82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832)는 단차부(82123)에 걸림으로써 제2측벽(8212)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830)은 제2측벽(8212)의 외부로 노출된 키 탑(831)을 가압함에 따라 접촉부(833)가 압력 센서(8114)를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8114)는 제1구조물(810)의 측면(8113)에서 제1구조물(810)의 개폐 동작에 따른 왕복 이동 동안 접촉부(833)가 항상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0)는 제1구조물(810)의 개폐 동작 중에 발생되는 키 버튼(830)의 가압에 따른 입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접촉부(833)가 가압되지 않더라도 일정 압력을 가지도록 설정된다면, 전자 장치(800)는 압력 센서(8114)를 통하여 제1구조물(810)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는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라인 C-C'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라인 D-D'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a의 전자 장치(9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a의 전자 장치(2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900)는 제1플레이트(911)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910)과 제1구조물(910)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921)를 포함하는 제2구조물(9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910)은 제1면(9111)과, 제1면(9111)과 대향되는 제2면(9112) 및 제1면(9111)과 제2면(9112)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9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조물(920)은 제1측벽(9211), 제1측벽(921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2측벽(9212) 및 제1측벽(921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3측벽(92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0)는 디스플레이(9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912)는 제1플레이트(911)의 제1면(9111)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930)은 제2플레이트(921)의 제2측벽(9212)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930)은 제2측벽(9212)에 형성된 관통홀(92121)에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930)은 제2측벽(9212)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키 탑(931), 키 탑(931)과 결합되며 관통홀(92121)의 내부에서 키 버튼(9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932) 및 걸림부(932)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2측벽(9212)의 내측으로(측면(9113)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구조물(910)의 측면(9113)에 배치되는 검출 모듈(94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접촉부(9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930)은 측면(911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910)은 측면(9113)보다 함몰된 공간(9114)에 배치되는 검출 모듈(9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모듈(940)은 제1구조물(9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함께 유동되는 이동 모듈(942)과 이동 모듈(942)과 근접하거나 접촉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키 버튼(930)과 함께 그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모듈(9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모듈(941)은 제2측벽(9212)을 통하여 배치되고 내부로 돌출된 키 버튼(930)의 접촉부(933)를 키 버튼(930)의 가압 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키 버튼(933)의 가압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모듈(942)은 고정 모듈(9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듈(942)의 이동된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모듈(942)의 이동 위치는 제1구조물(910)의 이동 위치와 상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910)의 공간(9114)에 배치되는 고정 모듈(941)은 제1구조물(910)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모듈(9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그 위치가 키 버튼(930)과 함께 유지되어야 하므로, 제1구조물(910)의 공간(9114)에는 고정 모듈(941)의 적어도 일부분(예: 도 9d의 가이드 돌기(9417, 9418))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91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조물(910)이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할 경우, 고정 모듈(941)의 일부분은 제1구조물(910)의 가이드 슬릿(9115)에 의해 그 위치가 지속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모듈(941)의 단부에는 굴곡성 있는 전기적 연결 부재(9414)(예: FPCB)가 연결되고, 단부의 커넥터(9415)는 제1구조물(910)의 내부 공간(9116)으로 우회되어 브라켓(9419)에 의해 지지 받도록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930)은 제2측벽(9212)의 외부로 노출된 키 탑(931)을 가압함에 따라 접촉부(933)가 고정 모듈을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검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d를 참고하면, 검출 모듈(940)은 제1구조물(910)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는 이동 모듈(942)과, 제1구조물(9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모듈(9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모듈(941)은 제2구조물(920)의 제2측벽(9212)을 통해 설치된 키 버튼(930)의 접촉부(933)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모듈(942)은 적어도 제1구조물(910)의 개폐에 따른 제1구조물(910)의 왕복 이동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좌표 인식 회로(9421)와, 좌표 인식 회로(9412)의 단부에서 제1구조물(910)의 내부 공간(예: 도 9b의 내부 공간(9114))으로 인출되는 좌표 인식 커넥터(94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표 인식 커넥터(9422)는 전자 장치(900)의 내부 공간(9114)에 배치되는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인식된 고정 모듈(941)의 위치 좌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모듈(941)은 돔 키(9413)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9412)과, 인쇄회로기판(9412)을 고정하는 지지 부재(94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9411)는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9411)에는 제1구조물(910)의 공간(9114)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9115)에 안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9417, 94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돌기(9417, 9418)는 가이드 슬릿(9115)에 안착됨으로써, 제1구조물(910)가 이동될 때, 고정 모듈(941)은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9412)에는 단부에 가압 인식 커넥터(9415)가 연결된 일정 길이의 FPCB(9414)가 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FPCB(9414)는 좌표 인식 회로(9421)의 배면으로 우회되어 제1구조물(9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FPCB(9414)는 제1구조물(910)의 왕복 이동 거리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굴곡성이 있는 형상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9411)는 돔 키(9413)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키 버튼 방향으로 돌출된 키 버튼 지지부(94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 지지부(9416)는 키 버튼(930)을 가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표 인식 회로(9421)의 배면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 마그네트(9423)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마그네트(9423)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좌표 인식 회로에 본딩 또는 테이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마그네트(9423)의 자력에 의해 지지 부재(9411)는 좌표 인식 회로(9421)와 면접촉됨으로서, 고정 모듈(94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이동 모듈(942)의 좌표 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910)이 제2구조물(920)에 대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할 때, 이동 모듈(942)은 고정 모듈(9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모듈(942)의 좌표 인식 회로(9421)는 고정 모듈(941)의 위치를 특정 센싱 값(예: 정전 용량의 변화)을 통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좌표 검출 정보는 전자 장치(900)의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물(910)이 이동 중이거나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 상태일 때, 키 버튼(930)을 가압하더라도 고정 모듈(941)의 돔 키가 가압 받음으로써 인쇄회로기판(9412) 및 FPCB(9414)를 통해 가압 정보가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e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900)는 개폐 동작에 따라 제1구조물(910)과 함께 일정 왕복 이동 거리(d1)로 유동되는 이동 모듈(942)이 키 버튼(930)과 함께 그 위치가 유지되는 고정 모듈(942)을 통해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900)는 검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900)가 개폐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5a의 전자 장치(500))는 제1면(예: 도 5a의 제1면(5111))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예: 도 5a의 제2면(5112))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예: 도 5a의 제1플레이트(511))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 도 5a의 측면(5113))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예: 도 5a의 제1구조물(510))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예: 도 5a의 제2플레이트(510));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된 제1측벽(예: 도 4a의 제1측벽(411));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2측벽(예: 도 4a의 제2측벽(412)); 및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제2측벽에 평행하며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3측벽(예: 도 4a의 제3측벽(413))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예: 도 5a의 제2구조물(400))로서,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1측벽, 상기 제2측벽 및 상기 제3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예: 도 4a의 트로프(4101))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제2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예: 도 2a의 제1거리(L1))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예: 도 2b의 제2거리(L2))에 놓여지는 제 2 구조물과, 상기 제2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예: 도 4a의 키 버튼(420))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sensing circuit) (예: 도 5a의 터치 디스플레이의 굽어진 부분(5122) 또는 도 5c의 감지 회로 영역(5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기계적 버튼이 상기 폐쇄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사이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 상기 압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측면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길이를 갖고, 상기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길이보다 큰 제 2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버튼의 단부는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연장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1구조물 사이의 공간 내로 위치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이될 때, 상기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 는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버튼은, 상기 제2측벽 또는 제3측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키 탑과, 상기 키 탑에 결합되며, 상기 제2측벽 또는 제3측벽 내부에서 상기 키 버튼이 이탈되는 것을 단속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며, 상기 감지 회로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잇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감지 회로가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할 때,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연장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1구조물 사이의 공간 내로 위치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이될 때, 상기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과 결합하여, 상기 제1구조물에 대하여 일정 왕복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의 외부에서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 및/또는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제2구조물
420: 키 버튼
500: 전자 장치 510: 제1구조물
512: 디스플레이
500: 전자 장치 510: 제1구조물
512: 디스플레이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된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제2측벽에 평행하며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3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로서,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1측벽, 상기 제2측벽 및 상기 제3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제2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는 제 2 구조물;
상기 제2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sensing circuit)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기계적 버튼이 상기 폐쇄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구조물을 향하여 가압되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측면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길이를 갖고, 상기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길이보다 큰 제 2 길이를 갖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버튼의 단부는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연장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1구조물 사이의 공간 내로 위치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이될 때, 상기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 는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버튼은,
상기 제2측벽 또는 제3측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키 탑;
상기 키 탑에 결합되며, 상기 제2측벽 또는 제3측벽 내부에서 상기 키 버튼이 이탈되는 것을 단속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며, 상기 감지 회로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감지 회로가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할 때,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연장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1구조물 사이의 공간 내로 위치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이될 때, 상기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과 결합하여, 상기 제1구조물에 대하여 일정 왕복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
상기 제2구조물의 외부에서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 및/또는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696A KR102404880B1 (ko) | 2018-01-09 | 2018-01-09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PCT/KR2019/000213 WO2019139314A1 (ko) | 2018-01-09 | 2019-01-07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US15/733,340 US11169619B2 (en) | 2018-01-09 | 2019-01-07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
DE202019005690.4U DE202019005690U1 (de) | 2018-01-09 | 2019-01-07 |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flexibler Anzeige und darauf aufgebrachte Tastenknopf-Anordnungsstruktur |
EP19738061.1A EP3720104B1 (en) | 2018-01-09 | 2019-01-07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696A KR102404880B1 (ko) | 2018-01-09 | 2018-01-09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669A true KR20190084669A (ko) | 2019-07-17 |
KR102404880B1 KR102404880B1 (ko) | 2022-06-07 |
Family
ID=6721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2696A KR102404880B1 (ko) | 2018-01-09 | 2018-01-09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169619B2 (ko) |
EP (1) | EP3720104B1 (ko) |
KR (1) | KR102404880B1 (ko) |
DE (1) | DE202019005690U1 (ko) |
WO (1) | WO201913931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27878A1 (en) * | 2021-04-13 | 2022-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keyless sensor |
WO2022220420A1 (ko) * | 2021-04-13 | 2022-10-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리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83059B2 (en) * | 2019-04-02 | 2023-02-21 | Andrew BARNUM | Attachment device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 |
WO2021132740A1 (ko) * | 2019-12-23 | 2021-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WO2021141158A1 (ko) * | 2020-01-09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D980833S1 (en) * | 2020-11-12 | 2023-03-14 | Samsung Display Co., Ltd. |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
USD981385S1 (en) * | 2020-11-12 | 2023-03-21 | Samsung Display Co., Ltd. |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
CN113179341B (zh) * | 2021-04-29 | 2023-09-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按键控制方法及装置 |
CN219875808U (zh) * | 2023-03-30 | 2023-10-20 | 荣耀终端有限公司 | 电子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4847A (ko) * | 2007-11-27 | 2009-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20150019133A (ko) * | 2013-08-12 | 2015-02-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60097102A (ko) * | 2015-02-06 | 2016-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160097035A (ko) * | 2015-02-06 | 2016-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8727B1 (ko) | 2003-12-09 | 2006-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상 통화용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
KR101562582B1 (ko) | 2008-12-30 | 2015-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
KR101691104B1 (ko) | 2010-07-27 | 2016-12-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20170083109A1 (en) | 2013-05-20 | 2017-03-23 | Yonggui Li | Keyboard and mouse of handheld digital device |
US10056204B2 (en) | 2015-02-06 | 2018-08-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Key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KR20170050270A (ko) | 2015-10-30 | 2017-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KR20170059815A (ko) | 2015-11-23 | 2017-05-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이동 단말기 |
KR20170099626A (ko) | 2016-02-24 | 2017-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이드 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170123789A (ko) | 2016-04-29 | 2017-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470945B1 (ko) * | 2016-06-15 | 2022-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269604B1 (ko) | 2018-02-23 | 2021-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499112B1 (ko) | 2018-04-09 | 2023-02-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
-
2018
- 2018-01-09 KR KR1020180002696A patent/KR1024048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07 EP EP19738061.1A patent/EP3720104B1/en active Active
- 2019-01-07 WO PCT/KR2019/000213 patent/WO2019139314A1/ko unknown
- 2019-01-07 US US15/733,340 patent/US11169619B2/en active Active
- 2019-01-07 DE DE202019005690.4U patent/DE202019005690U1/de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4847A (ko) * | 2007-11-27 | 2009-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20150019133A (ko) * | 2013-08-12 | 2015-02-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60097102A (ko) * | 2015-02-06 | 2016-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160097035A (ko) * | 2015-02-06 | 2016-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27878A1 (en) * | 2021-04-13 | 2022-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keyless sensor |
WO2022220420A1 (ko) * | 2021-04-13 | 2022-10-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리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2126749B2 (en) | 2021-04-13 | 2024-10-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keyless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20104A4 (en) | 2021-01-27 |
WO2019139314A1 (ko) | 2019-07-18 |
DE202019005690U1 (de) | 2021-06-25 |
US11169619B2 (en) | 2021-11-09 |
EP3720104B1 (en) | 2022-03-02 |
EP3720104A1 (en) | 2020-10-07 |
KR102404880B1 (ko) | 2022-06-07 |
US20210117012A1 (en) | 2021-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84669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
US11212379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vable flexible display | |
US11281254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 |
KR102602332B1 (ko) |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190086305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 |
US10820439B2 (en) | Seal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1563285B2 (en) | Connector includ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part of conductive pi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KR20200119020A (ko) |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 |
KR20200036374A (ko) |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102465076B1 (ko) |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210325981A1 (en) | Electronic device and stylus pen charging method using same | |
KR20210101671A (ko) | 인쇄 회로 기판에 인터포저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 |
US11307618B2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 |
KR20200100929A (ko) | 필기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00044455A (ko) |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 |
KR20200032546A (ko)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 |
KR20180135337A (ko) |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574210B1 (ko) |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200121549A (ko) |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 |
US11456557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in which protective structure is disposed | |
KR20200142247A (ko) | 진동발생 부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
KR20190000519U (ko) | 벤딩 가능한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