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106A -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106A
KR20140026106A KR1020120093083A KR20120093083A KR20140026106A KR 20140026106 A KR20140026106 A KR 20140026106A KR 1020120093083 A KR1020120093083 A KR 1020120093083A KR 20120093083 A KR20120093083 A KR 20120093083A KR 20140026106 A KR20140026106 A KR 2014002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racket
coupling
circuit boar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570B1 (ko
Inventor
송찬근
천홍문
최종철
조성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와 윈도우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한 내부 전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안착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 및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수용부에 결합되어, 키를 수용부에 구속시키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A KEY ENGAG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와 윈도우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한 내부 전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 장치,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단말의 경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보드가 데이터 입력 장치로 등장하면서, 기존의 다수개의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 어셈블리가 생략되고, 실질적인 데이터 입력장치로서 하나의 키(key)가 구비된다. 홈키는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이다.
도 1a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채용된, 브라켓에 결합된 키 결합장치의 구조를 브라켓의 상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키 결합장치가 브라켓의 배면에 체결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키 결합장치는 키(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11, 12)이 브라켓(13)에 형성된 홀(14, 15)과 나사에 의해 체결되거나, 키(10)의 가장자리가 브라켓(13)에 형성된 홀(14, 15)을 관통하여 브라켓(13)의 상면으로부터 배면에 꺾임 체결됨으로써, 키(10)가 브라켓(1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브라켓(13)은 키(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장자리 영역에 대면하는 영역에 홀(14, 15)을 구비하는데, 이 같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즉, 브라켓(13)의 홀(14, 15)은 위치적으로 윈도우의 오픈부와 키(10) 사이의 틈에 인접한 하부에 형성되게 된다. 브라켓(13) 배면에는 메인 회로기판이나 USB 포트와 같은 전기물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윈도우의 오픈부와 키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액체 또는 가스와 같은 외부물질이 곧바로 브라켓(13)에 형성된 홀(14, 15)에 침투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브라켓(13) 배면에 실장된 전기물들이 화학적으로 부식되거나, 전기적 구동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심각한 오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키의 인근에 유입되는 외부 이물질로부터 내부의 전기물을 보호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의 발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내부 전기물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또는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와 조작 편리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키 결합 장치의 강성을 보완하여, 휴대단말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키 및 키 가이드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윈도우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동작 시 윈도우 오픈부의 에지(edge)면에 신체가 접촉되는 느낌을 개선할 수 있는 키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안착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 및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수용부에 결합되어, 키를 상기 수용부에 구속시키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은,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면에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관통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과, 브라켓 상면에 결합되는 키 회로기판과, 관통 홀을 통해 키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키 회로기판 상에 안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와, 상기 돌출부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오픈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및 상기 오픈부와 키 사이에 상기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바닥면이 상기 브라켓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관통 홀을 오픈부로부터 공간적으로 격리 차단하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은, 키를 브라켓의 상면 상에만 결합하여, 종래의 브라켓에 형성되었던 홀을 제외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된 액체 또는 가스가 휴대단말의 내부 전기물에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키 가이드 프레임은 키가 구비된 영역과 내부의 메인 회로기판이 노출된 관통 홀을 공간적으로 차단 격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가이드 프레임을 키 및 윈도우 오픈부 사이에 수직하방으로 독립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가이드 프레임을 윈도우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고정하고, 탄성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비포장 낙하 시 윈도우의 상면보다 선 타격을 받게 함으로써, 윈도우 크랙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가이드 프레임을 브라켓에 끼움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키 동작 시 윈도우의 에지면에 신체가 접촉될 때의 느낌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채용된, 브라켓에 결합된 키 결합장치의 구조를 브라켓의 상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키 결합장치가 브라켓의 배면에 체결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상에 구비된 키 회로기판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키 및 키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는 키를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시키고, 브라켓의 상면 및 배면에 구비된 키 회로기판 및 메인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통 홀을 키 가이드 프레임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차단격리시킴으로써, 윈도우 오픈부와 키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 또는 가스에 의한 내부 전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키 결합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은,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GSM Envisonment)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및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상에 구비된 키 회로기판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키 및 키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 키 회로기판(40), 메인 회로기판(80), 키(50), 윈도우(70) 및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키(50)가 구비된 휴대단말의 국부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실시예의 키(50)는 휴대단말의 어느 부위에나 장착 및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은, 브라켓(Bracket, 20), 키 회로기판(Key printed circuit board, 40), 메인 회로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80), 키(key, 50), 윈도우(Window, 70) 및 키 가이드 프레임(key guide frame, 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20)은, 키(50) 및 키(50)에 대면하는 키 회로기판(40)의 일부가 안착될 일부가 소정 깊이로 리세스(recess)된 평탄면(28)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면(28)은 돌출부(52)가 브라켓(20)에 체결되어도, 돌출부(52)의 상면이 윈도우(70)의 상면과 거의 평평하도록 충분한 깊이로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다.
이하, 브라켓(20)의 평탄면(28)과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추후 키(50)가 체결되는 브라켓(20)의 영역을 포괄하여 수용부(22)라 정의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20)은, 평탄면(28) 또는 평탄면(28)에 인접한 브라켓(20)의 상면에 제1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이 평탄면(28) 둘레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후크(24, 26)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24, 26)는 돌출부(52)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크 홀(58, 59)과 체결됨으로써, 키(50)를 브라켓(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후크(24, 26)의 높이는 돌출부(5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 결합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평평한 평면 영역(17, 1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인 평면영역(17, 18)은 테이프, 본드, 본딩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접착 성분에 의해 제2 결합부와 부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20)의 상면은 키 회로기판(40)과 결합되고, 브라켓(20)의 배면은 메인 회로기판(80)과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0)은 키 회로기판(40) 및 메인 회로기판(80)과 테이프(tape), 본드(bond)와 같은 접착성분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요철구조, 후크(hook) 및 후크 홀(hook hole), 나사조립과 같은 구조적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브라켓(20)은 키 회로기판(40) 및 메인 회로기판(8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일측에 관통 홀(through hole, 30)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20)은 윈도우(70)의 오픈부(72)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로부터 관통 홀(30)을 차단시키기 위해, 수용부(22)와 소정간격 이격된 브라켓(20)의 가장자리 일 부분에 관통 홀(3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윈도우(70)의 오픈부(72)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한 전기물(9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 홀(30)을 키(50)가 체결되는 수용부(2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물(90)이란, 휴대단말의 전기적 구동을 위한 메인 회로기판(80) 및 USB 포트 등과 같이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 부품들을 일컬을 수 있다.
키 회로기판(4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거나 일반 하드 타입(Hard type)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키 회로기판(40)의 상면에는 복수의 회로 및 마이크로칩이 구비될 수 있고, 키 회로기판(40)의 배면은 브라켓(20)의 상면과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키 회로기판(40)은 브라켓(20)에 테이프(tape) 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후크 및 후크 홈의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0)은 키(50)가 눌러짐에 따라 키(50)에 해당하는 명령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키 회로기판(40) 상에 형성된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키 회로기판(40)의 회로로 전달된 상기 명령 신호는 키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회로기판(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키(50)는 중심 영역이 브라켓(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위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브라켓(2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가장자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키(50)의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탄성 변형하였다가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면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탄성을 갖는 소재,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은 키(50)의 돌출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키 회로기판(40)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50)의 가장자리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브라켓(20)에 구비된 제1 결합부와 대면하여 결합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는 키(5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브라켓(20)과 밀착되도록 연장된 상기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제1 결합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부는 키(50)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키(50)의 돌출부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결합부의 방향에 대해서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또한,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개수나 이격 거리에 대해서도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도 3에 도시된 제1 결합부인 후크(24, 26)에 대응하는 후크 홀(58, 59)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 결합부는 도 6에 도시된 제1 결합부인 접착 평면 영역(17, 18)에 대면하는 접착 평면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은 기존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10)를 브라켓(13)에 체결하기 위해 브라켓(13)에 뚫은 홀(14, 15)을 제외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라켓(20)의 상면에 구비된 후크(24, 26) 및 키(50)에 구비된 후크 홀(58, 59)을 체결하여 키(50)를 브라켓(20)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브라켓(13)에 뚫은 홀(14, 15)을 제외할 수 있다. 또는, 후크(24, 26) 및 후크 홀(58, 59) 대신에 접착 평면 영역(17, 18)을 구비함으로써, 홀을 제외할 수 있다.
기존의 브라켓(13)에 뚫린 홀(14, 15)은 위치적으로는 윈도우 오픈부의 하부에 형성되었고, 구조적으로는 브라켓(13)의 배면이 노출되는 홀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윈도우의 오픈부와 키 사이의 틈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가스가 곧바로 침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의해 브라켓(13)의 배면에 구비된 전기물(90)이 상기 수분, 액체 또는 가스에 의해 화학적으로 부식되거나 전기적 구동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심각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50)를 브라켓(2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브라켓(20) 상면에 돌출된 후크(24, 26)를 키(50)에 구비된 후크 홀(58, 59)과 결합시킴으로써, 윈도우 오픈부(72)의 하부에 대면하는 브라켓(20)을 홀 없이 매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 가장자리의 평면 영역에 대면하는 키(50)의 접착 평면 영역을 부착시킴으로써, 브라켓(20)에 홀을 제외할 수 있다.
즉, 윈도우 오픈부(72)의 하부에 대면하는 브라켓(20)은, 브라켓(20) 배면에 구비된 전기물(90)을 윈도우 오픈부(72)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윈도우의 오픈부(72) 및 키(50) 사이의 틈으로부터 액체나 가스가 유입되어도, 브라켓(20) 배면에 구비된 전기물(90)을 폐쇄된 브라켓(20)에 의해 차단 격리시킴으로 인하여, 전기물(90)이 외부의 액체나 가스에 의해 부식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오작동되는 현상을방지할 수 있다.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돌출부의 측면(52) 둘레를 따라 수용부(22)에 결합되어 키(50)를 브라켓(20) 상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브라켓(20)의 상면에 끼움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키 가이드 프레임(60)과 접촉하는 브라켓(20)의 상면은 체결 시, 서로 틈이 없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키 가이드 프레임(60)의 바닥면이 수용부(22)에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수용부(22)에 결합되기 때문에 관통 홀(30)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수직하방으로 브라켓(20)과 밀착 결합함으로써, 관통 홀(30)을 오픈부(72)로부터 공간적으로 차단 격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통 홀(30)은 수용부(2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뿐만 아니라, 키 가이드 프레임(60)에 의해 오픈부(72)로부터 공간적으로 격리되기 때문에 오픈부(72)를 통해 유입된 외부 물질의 침투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키(50) 및 윈도우 오픈부(72) 사이에 수직하방으로 독립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휴대단말의 운용 및 작동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브라켓(30)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 동작 시 윈도우(60)의 에지면(edge)에 신체가 접촉될 때의 느낌을 안정감 있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윈도우(6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포장 낙하 시 윈도우(60)의 상면보다 키 가이드 프레임(60)이 선 타격을 받음으로써, 윈도우 크랙(cr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을 가진 물질로써, 러버(rubber), 실리콘(silicon), 우레탄(urethane)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키 가이드 프레임(60)은 플라스틱 수지(PC, ABS, GF, PC+GF 등)나 금속소재(SUS, Al, Mg 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키 11, 12: 키 가장자리 영역의 홀
13: 브라켓 14, 15: 브라켓의 홀
16: 키 회로기판 17, 18: 접착 평면 영역
20: 브라켓 22: 수용부
24, 26: 후크 28: 평탄면
30: 관통 홀 40: 키 회로기판
50: 키 52: 돌출부
60: 키 가이드 프레임 70: 윈도우
72: 윈도우 오픈부

Claims (14)

  1.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되는 브라켓;
    브라켓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 및
    상기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키를 상기 수용부에 구속시키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결합되는 키 회로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배면에 결합되는 메인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관통 홀을 상기 수용부의 외곽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바닥면이 상기 수용부에 밀착되어, 상기 관통 홀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공간적으로 차단격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키 회로기판의 일 끝단에 대면하는 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테이프, 접착 본드, 본딩(bonding)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 상면에 돌출된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 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브라켓 상면에 형성된 높이가 상기 평탄면에 안착되는 돌출부의 높이보다 낮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면이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평탄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플라스틱 수지(PC, ABS, GF, PC+GF), 금속소재(SUS, Al, Mg)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단말의 키 결합 장치.
  12.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면에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관통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면에 결합되는 키 회로기판;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키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회로기판;
    상기 키 회로기판 상에 안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키;
    상기 돌출부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오픈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및
    상기 오픈부와 키 사이에 상기 돌출부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바닥면이 상기 브라켓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관통 홀을 상기 오픈부로부터 공간적으로 격리 차단하는 키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윈도우 상면보다 돌출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 프레임은,
    러버(rubber), 실리콘(silicon), 우레탄(urethane)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KR1020120093083A 2012-08-24 2012-08-24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KR10207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83A KR102073570B1 (ko) 2012-08-24 2012-08-24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83A KR102073570B1 (ko) 2012-08-24 2012-08-24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06A true KR20140026106A (ko) 2014-03-05
KR102073570B1 KR102073570B1 (ko) 2020-02-05

Family

ID=5064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83A KR102073570B1 (ko) 2012-08-24 2012-08-24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3845A1 (de) 2014-03-05 2015-09-10 Hyundai Mobis Co., Ltd. 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vorausfahrenden Fahrzeugs unter Verwendung eines Sensors
KR101583454B1 (ko) 2015-09-30 2016-01-11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메인기판에 터치감지부가 형성된 전자기기
KR20180001038A (ko) * 2016-06-24 201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10115540B2 (en) 2015-03-2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735A (ko) * 2005-06-09 2006-12-14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누름버튼 스위치의 방수 구조
KR20090123698A (ko) * 2008-05-28 200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12005072A (ja) * 2010-06-21 2012-01-05 Panasonic Corp 携帯端末
JP2012027592A (ja) * 2010-07-21 2012-02-0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型電子機器
KR20120041609A (ko) * 2010-10-21 2012-05-02 (주) 캐치웰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735A (ko) * 2005-06-09 2006-12-14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누름버튼 스위치의 방수 구조
KR20090123698A (ko) * 2008-05-28 200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12005072A (ja) * 2010-06-21 2012-01-05 Panasonic Corp 携帯端末
JP2012027592A (ja) * 2010-07-21 2012-02-0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型電子機器
KR20120041609A (ko) * 2010-10-21 2012-05-02 (주) 캐치웰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3845A1 (de) 2014-03-05 2015-09-10 Hyundai Mobis Co., Ltd. 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vorausfahrenden Fahrzeugs unter Verwendung eines Sensors
US10115540B2 (en) 2015-03-2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1583454B1 (ko) 2015-09-30 2016-01-11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메인기판에 터치감지부가 형성된 전자기기
KR20180001038A (ko) * 2016-06-24 201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10475602B2 (en) 2016-06-24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coupl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570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168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4585397B2 (ja) 電子機器
US20130140161A1 (en) Sliding ke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2013187129A (ja) 電子機器
JP5342030B2 (ja) 電子機器
KR102073570B1 (ko)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CN111668051A (zh) 按键模组及电子设备
US8098494B2 (en) Electronic device
JP2015088808A (ja) 防水コネクタ構造を具えた電子機器
KR102192148B1 (ko) 보호 커버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US8054644B2 (en) Ke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3081972A1 (fr) Terminal mobile
KR2008008877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JP2012199867A (ja) 携帯無線機
US7696425B2 (en) Key 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2469809B1 (en) Mobile Device
US8063329B2 (en) Ke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434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US10609461B1 (en) Waterproof speaker device
KR101266679B1 (ko)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KR20180024627A (ko) 이동 단말기
JP2008009904A (ja) 電子機器
KR20100112390A (ko) 전자 회로 기판의 노이즈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11510535B (zh) 电子设备
KR1006537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고정구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