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679B1 -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6679B1 KR101266679B1 KR1020110115225A KR20110115225A KR101266679B1 KR 101266679 B1 KR101266679 B1 KR 101266679B1 KR 1020110115225 A KR1020110115225 A KR 1020110115225A KR 20110115225 A KR20110115225 A KR 20110115225A KR 101266679 B1 KR101266679 B1 KR 101266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nted board
- contact switch
- circuit board
- key
- printed circu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54—Mounting of key housings on sam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22—Collapsable do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26—Separate dome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38—Folding of flexibl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도모한다. 프린트 기판 모듈(130)은, 키 플렉시블(140)과, 키 플렉시블(140) 상에 배치된 메탈 돔과, 톱 테이프(160)를 구비한다. 톱 테이프(160)는, 메탈 돔 및 키 플렉시블(140)의 메탈 돔이 배치된 면에 접착되는 표면 접착부(163)와, 표면 접착부(163)로부터 연신하여 키 플렉시블(140)의 단면에서 접혀지는 접힘부(166)를 갖는다. 또한, 톱 테이프(160)는, 접힘부(166)로부터 연신하여 키 플렉시블(140)의 메탈 돔(132)이 배치된 면의 이면에 접착되는 이면 접착부(168)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각종의 키가 설치되어 있고, 유저가 키를 누름으로써 각종 조작이 실행된다. 전자 기기에서는, 예를 들면 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키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키 구조는, 전자 회로가 형성된 프린트 기판 상에 접점 스위치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프린트 기판 모듈과, 프린트 기판 모듈 상에 배치된 키 모듈에 의해 구성된다. 키 모듈은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 모듈 상에 배치되는 탄성 재료의 러버 시트와, 러버 시트 상에 배치되는 키 톱을 갖고 구성된다. 러버 시트는, 프린트 기판 모듈측의 면의 접점 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러버 시트에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하, 후육부)과 두께가 얇은 부분(이하, 박육부)이 형성된다. 후육부는 프린트 기판 모듈 상에 재치(栽置)되어 박육부를 부동 지지한다. 박육부의 접점 스위치측의 면에는 돌기 형상의 누름 부재가 형성되고, 박육부 상에는 키 톱이 재치된다. 유저가 키 톱을 누르면 러버 시트의 박육부가 휘고, 누름 부재가 접점 스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점 스위치를 누른다.
여기서,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점 스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설명되어 있듯이, 도전 재료를 돔 형상으로 형성한 메탈 돔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절연성의 보호 시트에 메탈 돔의 꼭대기부를 미리 접착해 두고, 보호 시트를 프린트 기판 상에 접착함으로써, 메탈 돔이 프린트 기판 상의 메탈 돔용 접점이 형성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와 같이 프린트 기판의 메탈 돔이 배치된 면이 보호 시트로 덮여지게 되므로, 프린트 기판 모듈에 있어서 메탈 돔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메탈 돔을 보호함과 함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설명되어 있는 종래 기술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즉, 종래의 프린트 기판 모듈에서는, 프린트 기판의 단부에 배치된 메탈 돔을 반복하여 눌러 조작함으로써, 프린트 기판에 접착된 보호 시트의 단부가 프린트 기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방진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프린트 기판 모듈에서는, 프린트 기판의 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6mm 내지 1.8mm) 내측으로 오프셋한 위치보다도 내측에 메탈 돔을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바꿔 말하면, 프린트 기판의 단부에 접점 스위치를 배치할 경우에는, 메탈 돔과 프린트 기판의 단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보호 시트의 박리를 억제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메탈 돔과 프린트 기판의 단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확보되도록 프린트 기판의 외형을 형성하면, 프린트 기판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 모듈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개시한 기술은, 상기한 바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전자 기기는,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 접점 스위치와, 보호 시트를 구비한 프린트 기판 모듈을 갖는다. 보호 시트는, 상기 접점 스위치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 면에 접착된 제1의 면 형상부와, 상기 제1의 면 형상부로부터 연신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의 단면에서 접혀 접힘부를 갖는다. 또한, 보호 시트는, 상기 접힘부로부터 연신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 면의 이면에 접착된 제2의 면 형상부를 갖는다. 또한, 전자 기기는, 상기 접점 스위치에 대향하여 상기 보호 시트 상에 설치된 키 톱과, 상기 키 톱과 상기 접점 스위치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키 톱의 상기 접점 스위치의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접점 스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점 스위치를 누르는 돌기 형상의 누름 부재를 구비한 키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전자 기기는, 상기 프린트 기판 모듈 및 상기 키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전자 기기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시키지 않고 닫은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시켜 열은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키 플렉시블의 평면도.
도 5는, 베이스 테이프의 평면도.
도 6은, 톱 테이프의 평면도.
도 7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돔 스위치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점 스위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프린트 기판 모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표면측의 단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11은, 프린트 기판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배면측의 단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13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시켜 열은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키 플렉시블의 평면도.
도 5는, 베이스 테이프의 평면도.
도 6은, 톱 테이프의 평면도.
도 7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돔 스위치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점 스위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프린트 기판 모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표면측의 단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11은, 프린트 기판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배면측의 단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13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 본원에 개시하는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개시 기술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접점 스위치를 갖는 프린트 기판 모듈을 구비한 전자 기기이면 이하의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시키지 않고 닫은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시켜 열은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측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00)는, 표시측 케이스(110)와 조작측 케이스(190)를 구비한다. 표시측 케이스(110)와 조작측 케이스(190)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표시측 케이스(110)가 슬라이드 되어 있지 않고, 표시측 케이스(110)와 조작측 케이스(190)가 전면적으로 겹쳐져 있는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표시측 케이스(110)가 슬라이드 되어, 표시측 케이스(110)와 조작측 케이스(190)가 최소의 겹침 범위에서 겹쳐진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측 케이스(110)는 일면이 개구된다. 표시측 케이스(110)에는, 표시측 케이스(110)의 내부공간을 개구측의 공간과 저면측의 공간으로 이격하는 격벽(111)이 설치된다. 또한, 격벽(111)의 개구측의 표면에는, 개구측의 공간을 휴대 전화기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른 2개의 공간으로 이격하는 격벽(112)이 세워 설치된다. 격벽(112)에 의해, 개구측의 공간은, 부품을 수용하는 제1 공간(114)과 제2 공간(116)으로 이격된다. 제1 공간(114)에는, 표시부(120)가 수용된다. 또한, 제2 공간(116)에는, 격벽(111)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128)로 접착되는 프린트 기판 모듈(130)과, 프린트 기판 모듈(130) 상에 배치되는 프론트 키 모듈(170)이 수용된다. 프론트 키 모듈(170)은, 휴대 전화기(100)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모듈이다.
표시부(120)는, 표시 모듈(122)과, 패킹(124)과, 액정 패널 등의 표시 패널(126)을 갖고 구성된다. 표시 모듈(122)은 격벽(111)의 표면측에 수용되고, 표시 패널(126)은 패킹(124)을 개재하여 표시 모듈(122) 상에 겹쳐진다. 패킹(124)은, 표시 패널(126)과 표시 모듈(122) 사이에 개삽되어, 표시 모듈(122)의 표시면의 주위를 밀봉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126)과 표시 모듈(122)의 표시면과의 사이로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124)은, 표시 패널(126)을 표시 모듈(122)의 표시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표시면에 표시 패널(126)이 접촉함에 따른 표시의 번짐 등을 방지한다.
프린트 기판 모듈(130)은, 프론트 키 모듈(170)측의 표면에 복수의 메탈 돔(132) 등의 접점 스위치가 설치됨과 함께, 복수의 LED(134)(Light Emitting Diode) 등의 각종 부품이 실장된다. 프린트 기판 모듈(130)의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프론트 키 모듈(170)은, 프린트 기판 모듈(130) 상에 재치되는 사각형의 베이스 러버(172)와, 베이스 러버(172) 상에 접착되는 복수의 키 톱(174)을 구비한다. 또한, 프론트 키 모듈(170)은, 베이스 러버(172) 상에 접착되는 다방향 입력 유닛(176)과, 베이스 러버(172) 상에 설치되는 커버(178)를 구비한다. 베이스 러버(172)는, 프린트 기판 모듈(130)측의 면의 메탈 돔(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베이스 러버(172)에는 후육부와 박육부가 형성된다. 후육부는 프린트 기판 모듈(130)에 재치되어 박육부를 부동 지지한다. 박육부의 메탈 돔(132)측의 면에는 돌기 형상의 누름 부재가 형성되고, 박육부 상에는 키 톱(174)이 접착된다. 유저가 키 톱(174)을 누르면, 베이스 러버(172)의 박육부가 휘고, 누름 부재가 메탈 돔(13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탈 돔(132)을 누른다.
복수의 키 톱(174)은, 베이스 러버(172)의 3개의 변을 따라 베이스 러버(172)의 박육부 상에 접착된다. 또한, 복수의 키 톱(174)은 각각, 베이스 러버(172)의 중앙 방향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베이스 러버(172)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80)가 형성된다. 다방향 입력 유닛(176)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 기부(182)와, 기부(18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플랜지(184)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베이스 러버(172)의 대략 중앙부 상에 접착된다. 다방향 입력 유닛(176)은, 회전·누름·경도 조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된 회전 조작형 인코더를 구비한 입력 유닛이다.
커버(178)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중앙부에 다방향 입력 유닛(176)의 기부(182)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186)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78)의 표시측 케이스(110)측의 면의 4개의 코너에는 나사 구멍(188)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구멍(188)에, 표시측 케이스(110)의 배면에 형성된 나사 관통 구멍(118)으로부터 삽입되는 나사(119)가 나합함으로써 커버(178)가 표시측 케이스(110)에 고정된다. 커버(178)를 표시측 케이스(110)에 고정함으로써, 커버(178)는, 키 톱(174)의 플랜지(180)와 다방향 입력 유닛(176)의 플랜지(184)와 접촉하여, 키 톱(174)과 다방향 입력 유닛(176)의 이탈을 방지한다.
조작측 케이스(190)에는, 휴대 전화기(100)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 모듈(192)이 수용된다. 또한, 조작측 케이스(190)에는, 휴대 전화기(100)의 통신에 관한 신호 처리 및 표시 패널에 문자나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는 부품이 탑재된 본체 프린트 기판 모듈이 수용된다. 또한, 조작측 케이스(190)의 측면에는, 예를 들면 통화 음량의 조정용 조작 키(194)가 설치된다.
계속하여, 프린트 기판 모듈(130)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4는, 키 플렉시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베이스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톱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프린트 기판 모듈(130)은,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하는 키 플렉시블(140)과, 베이스 테이프(150)와, 톱 테이프(1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4, 도 5, 도 6은, 프린트 기판 모듈(130)을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키 플렉시블(140)은, PET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며, 키 플렉시블(140) 상에는, LED(134) 등의 각종 부품이 실장됨과 함께, 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프린트 기판의 일종이다. 키 플렉시블(140)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한쪽의 긴 변의 양단의 코너에 절결(142)이 형성된다. 또한, 다른 쪽의 긴 변에는, 나사(119)를 관통시키기 위한 절결(144)이 형성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짧은 변에는 각각 절결(146)이 형성되고, 짧은 변의 한쪽의 절결(146)에는, 키 플렉시블 케이블(148)이 설치된다. 키 플렉시블 케이블(148)은, 격벽(111)의 단면과 표시측 케이스(110)의 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13)을 개재하여 격벽(111)의 이면으로 접혀지고, 격벽(111)의 이면에 설치된 다른 프린트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에 접속된다.
베이스 테이프(150)는, PET 시트 등으로 형성되고, 키 플렉시블(140)의 프론트 키 모듈(170)측의 면을 덮고 키 플렉시블(140)에 접착된다. 베이스 테이프(150)에는, LED 등의 각종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 및 톱 테이프(160)에 접착된 메탈 돔(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품 구멍(152)이 형성된다. 베이스 테이프(150)의 외형은, 기본적으로는 키 플렉시블(140)의 외형에 대응시켜 형성된다. 베이스 테이프(150)는, 베이스 테이프(150)의 외주 단면이 키 플렉시블(140)의 외주 단면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톱 테이프(160)는, PET 시트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톱 테이프(160)는, 베이스 테이프(150)의 프론트 키 모듈(170)측의 면을 덮고 베이스 테이프(150)에 접착되는 표면 접착부(163)를 갖는다. 바꿔 말하면, 표면 접착부(163)는, 키 플렉시블(140)의 메탈 돔(132)이 배치된 면을 덮는다. 표면 접착부(163)에는, LED 등의 각종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품 구멍(162)이 형성됨과 함께, 표면 접착부(163)의 베이스 테이프(150)측의 면에는, 도전성 재료로 돔 형상으로 형성된 메탈 돔(132)의 꼭대기부가 접착된다.
또한, 톱 테이프(160)는,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에 대응하는 변에 있어서, 표면 접착부(163)로부터 연신하여,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의 단면에서 접혀지는 접힘부(166)를 갖는다. 또한, 톱 테이프(160)는, 접힘부(166)로부터 연신하여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접착되는 이면 접착부(168)를 갖는다. 즉, 톱 테이프(160)의 외형은, 기본적으로는, 키 플렉시블(140)의 외형에 대응시켜 형성되지만,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에 대응하는 변에 있어서는, 접힘부(166) 및 이면 접착부(168)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키 플렉시블(140)과 톱 테이프(160)를 서로 겹치면, 접힘부(166) 및 이면 접착부(168)는, 키 플렉시블(140)의 단면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도 7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돔 스위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플렉시블(140) 상에는, 베이스 테이프(150)가 접착되고, 베이스 테이프(150) 상에는, 메탈 돔(132)의 꼭대기부가 미리 접착된 표면 접착부(163)가 접착된다. 또한,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에는, 메탈 돔(132)의 연부(13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접점(149a)이 형성되고, 메탈 돔(132)의 꼭대기부(132b)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접점(149b)이 형성된다. 베이스 테이프(150)는, 메탈 돔(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품 구멍(152)이 형성되어 있고, 메탈 돔(132) 이외의 부분에서 키 플렉시블(140)에 접착된다. 표면 접착부(163)는, 키 플렉시블(140)측의 면에 메탈 돔(132)의 꼭대기부(132b)가 접착되어 있고, 메탈 돔(132)의 연부(132a)가 제1 접점(149a)과 접촉하도록, 베이스 테이프(150) 상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메탈 돔(132)의 연부(132a)와 제1 접점(149a)은 접촉하고, 메탈 돔(132)의 꼭대기부(132b)와 제2 접점(149b)은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접점(149a)과 제2 접점(149b)은 절연 상태로 된다. 한편, 유저에 의해 키 톱(174)이 눌러지면, 베이스 러버(172)의 박육부에 형성된 누름 부재가 표면 접착부(163)를 개재하여 메탈 돔(132)의 꼭대기부(132b)를 눌러, 메탈 돔(132)은 꼭대기부(132b)가 찌부러지듯이 변형한다. 이에 의해, 메탈 돔(132)의 꼭대기부(132b)는 제2 접점(149b)과 접촉하고, 제1 접점(149a)과 제2 접점(149b)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유저가 키 톱(174)의 누름을 멈추면, 메탈 돔(132)은 꼭대기부(132b)가 찌부러지기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고, 다시 제1 접점(149a)과 제2 접점(149b)은 절연 상태로 된다.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점 스위치의 다른 실시 형태)
또한,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점 스위치는 메탈 돔(132)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점 스위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 모듈(130)은, 키 플렉시블(140)과,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에 배치되는 외팔보형의 판 스프링(133)과, 키 플렉시블(140) 및 판 스프링(133)을 덮는 절연 재료의 표면 접착부(163)를 구비한다. 판 스프링(133)은, 키 플렉시블(140)의 제1 접점(149a)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고정부(133a)와, 고정부(133a)의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키 플렉시블(14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신하는 판 형상의 가동부(133b)를 구비한다. 가동부(133b)는, 연신 방향의 중앙부에서, 키 플렉시블(140)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부(133c)가 형성되도록 절곡된다. 접촉부(133c)는, 키 플렉시블(140)에 형성된 제2 접점(149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고정부(133a)와 제1 접점(149a)은 접촉하고, 접촉부(133c)와 제2 접점(149b)은 떨어져있다. 따라서, 제1 접점(149a)과 제2 접점(149b)은 절연 상태로 된다. 한편, 유저에 의해 키 톱(174)이 눌러지면, 베이스 러버(172)의 누름 부재가 표면 접착부(163)를 개재하여 접촉부(133c)를 누른다. 그 결과, 접촉부(133c)는 제2 접점(149b)과 접촉하고, 제1 접점(149a)과 제2 접점(149b)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유저가 키 톱(174)의 누름을 멈추면, 판 스프링(133)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133b)가 상승하고, 접촉부(133c)와 제2 접점(149b)이 떨어지므로, 다시 제1 접점(149a)과 제2 접점(149b)은 절연 상태로 된다.
도 9는, 프린트 기판 모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표면측의 단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프린트 기판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배면측의 단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화살표(10)로 가리킨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 화살표(12)로 가리킨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프린트 기판 모듈(130)은, 접힘부(166)가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의 단면에서 접혀지고, 이면 접착부(168)가,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접착된다. 이에 의해, 톱 테이프(160)는, 표면 접착부(163)와 이면 접착부(168)에 의해, 키 플렉시블(140)과 베이스 테이프(150)를 사이에 끼워 넣게 되어 있다. 또한, 이면 접착부(168)의 접힘 치수는, 이면 접착부(168)가 키 플렉시블(140)의 이면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3.0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톱 테이프(160)에 접힘부(166) 및 이면 접착부(168)를 설치함으로써, 프린트 기판 모듈(130)의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즉, 톱 테이프(160)에 접힘부(166) 및 이면 접착부(168)를 설치함으로써, 키 플렉시블(140)의 단부에 있어서의 톱 테이프(160)의 접착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톱 테이프(160)에 접힘부(166) 및 이면 접착부(168)를 설치함으로써, 키 플렉시블(140)의 단부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키 플렉시블(140)의 단부에 배치된 메탈 돔(132)을 반복하여 누름 조작했다고 해도, 키 플렉시블(140)의 단부에서 톱 테이프(160)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린트 기판 모듈(130)의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키 플렉시블(140)의 단부에 메탈 돔(132)을 배치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메탈 돔(132)과 키 플렉시블(140)의 단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6mm 내지 1.8mm)를 두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 모듈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접착부(168)를, 적어도 키 플렉시블(140)의 메탈 돔(132)이 배치된 위치의 이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메탈 돔(132)이 키 톱(174)을 통하여 유저에게 누름 조작되는 때마다,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이 이면 접착부(168)를 누르므로, 키 플렉시블(140)과 이면 접착부(168)와의 사이의 밀착성이 유지되어 이면 접착부(168)가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2)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2 실시예)
도 13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프린트 기판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키 플렉시블(140) 및 베이스 테이프(150)에 대하여는, 도 4, 도 5에서 도시한 키 플렉시블(140) 및 베이스 테이프(150)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톱 테이프(160)는, 이면 접착부(168)의 형상이 도 6에서 도시한 톱 테이프(160)와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6과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테이프(160)는,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에 대응하는 변에 있어서, 접힘부(166)가 형성되고, 이면 접착부(168)는,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접착된다. 여기서, 이면 접착부(168)는,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의 일부뿐만 아니라,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이면에 접착된다. 바꿔 말하면, 톱 테이프(160)는, 키 플렉시블(140)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변의 단면에 각각 접힘부(166)가 형성되고, 각 접힘부(166)로부터 연신하는 이면 접착부(168)의 단면(169)끼리는,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서 대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면 접착부(168)의 단면(169)끼리는,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있어서의 긴 변끼리의 중간 라인 근방에서 대향한다.
이렇게, 이면 접착부(168)를,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의 일부뿐만 아니라,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을 전면적으로 덮도록 접착함으로써, 이면 접착부(168)를 키 플렉시블(140)로부터 더욱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접착부(168)의 단면(169)끼리를,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있어서의 긴 변끼리의 중앙 라인 근방에서 대향시킴으로써, 이면 접착부(168)와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3 실시예)
도 14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프린트 기판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키 플렉시블(140) 및 베이스 테이프(150)에 대하여는, 도 4, 도 5에서 도시한 키 플렉시블(140) 및 베이스 테이프(150)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톱 테이프(160)는, 이면 접착부(168)의 형상이 도 6에서 도시한 톱 테이프(160)와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6과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테이프(160)는,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에 대응하는 변의 절결(144)을 제외하는 부분에 있어서 접힘부(166)가 형성되고, 이면 접착부(168)는,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접착된다. 이 경우도, 각 접힘부(166)로부터 연신하는 이면 접착부(168)의 단면(169)끼리는, 키 플렉시블(140)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있어서의 긴 변끼리의 중간 라인 근방에서 대향한다.
이에 따르면, 이면 접착부(168)를 키 플렉시블(140)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이면 접착부(168)를 접을 때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4 실시예)
도 15, 도 16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힘부를 접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접힘부를 접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키 플렉시블(140) 및 베이스 테이프(150)에 대하여는, 도 4, 도 5에서 도시한 키 플렉시블(140) 및 베이스 테이프(150)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톱 테이프(160)는, 접힘부(166)의 형상이 도 14에서 도시한 톱 테이프(160)와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14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테이프(160)는,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의 절결(144)을 제외하는 단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힘부(166)가 형성된다. 각 접힘부(166)는, 키 플렉시블(140)의 긴 변의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반원 형상의 절결(16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힘부(166)에 절결(165)을 형성함으로써, 이면 접착부(168)를 접을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절결(165)은 반원형상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V자 형상 등의 절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인 키 플렉시블(140)을 구비한 프린트 기판 모듈(13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프린트 기판 모듈(130)의 구성 요소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린트 기판 모듈(130)의 구성 요소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리지드 기판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5)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5 실시예)
도 17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200)는, 표시측 케이스(210)와 조작측 케이스(230)를 구비한다. 표시측 케이스(210)와 조작측 케이스(230)는, 힌지 구조(212)에 의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200)는, 접이식의 휴대 전화기이다. 도 17은, 표시측 케이스(210) 및 조작측 케이스(230)가 서로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측 케이스(210)에는, 표시부(214)와, 스피커(216)가 수용된다. 표시부(214)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표시부(120)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측 케이스(230)에는, 프린트 기판 모듈(240)과 키 모듈(270)이 수용된다.
프린트 기판 모듈(240)은, 키 모듈(270)측의 표면에 복수의 메탈 돔(242) 등의 접점 스위치가 설치된다. 키 모듈(270)은, 프린트 기판 모듈(240) 상에 재치되는 사각형의 베이스 러버(272)와, 베이스 러버(272) 상에 접착된 복수의 키 톱(274)을 구비한다. 베이스 러버(272)는, 프린트 기판 모듈(240)측의 면의 메탈 돔(2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베이스 러버(272)에는 후육부와 박육부가 형성된다. 후육부는 프린트 기판 모듈(240)에 재치되어 박육부를 부동 지지한다. 박육부의 메탈 돔(242)측의 면에는 돌기 형상의 누름 부재가 형성되고, 박육부 상에는 키 톱(274)이 접착된다. 유저가 키 톱(274)을 누르면, 베이스 러버(272)의 박육부가 휘고, 누름 부재가 메탈 돔(24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탈 돔(242)을 누른다.
프린트 기판 모듈(240)은, 메탈 돔(242) 등의 접점 스위치나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과,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부품 실장면 상을 덮는 베이스 테이프(246)를 구비한다. 또한, 프린트 기판 모듈(240)은, 베이스 테이프(246) 상을 덮는 톱 테이프(248)를 구비한다. 프린트 기판 모듈(240)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프린트 기판 모듈(130)의 키 플렉시블(140)이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으로 치환된 것 이외는, 기본적으로 프린트 기판 모듈(130)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즉, 베이스 테이프(246)는, PET 시트 등으로 형성되고,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키 모듈(270)측의 면을 덮고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에 접착된다. 베이스 테이프(246)에는, 메탈 돔(242) 등의 각종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품 구멍이 형성된다. 베이스 테이프(246)의 외형은, 기본적으로는,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외형에 대응시켜 형성된다. 베이스 테이프(246)는, 베이스 테이프(246)의 외주 단면이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외주 단면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톱 테이프(248)는, PET 시트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톱 테이프(248)는, 베이스 테이프(246)의 키 모듈(270)측의 면을 덮고 베이스 테이프(246)에 접착되는 표면 접착부(249)를 갖는다. 바꿔 말하면, 표면 접착부(249)는,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메탈 돔(242)이 배치된 면을 덮는다. 표면 접착부(249)의 베이스 테이프(246)측의 면에는, 도전성 재료로 돔 형상으로 형성된 메탈 돔(242)의 꼭대기부가 접착된다.
또한, 톱 테이프(248)는,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긴 변에 대응하는 변에 있어서, 표면 접착부(249)로부터 연신하고,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긴 변의 단면에서 접혀지는 접힘부(250)를 갖는다. 또한, 톱 테이프(248)는, 접힘부(250)로부터 연신하여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접착되는 이면 접착부를 갖는다. 즉, 톱 테이프(248)의 외형은, 기본적으로는,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외형에 대응시켜 형성되지만,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긴 변에 대응하는 변에 있어서는, 접힘부(250) 및 이면 접착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과 톱 테이프(248)를 서로 겹치면, 접힘부(250) 및 이면 접착부는,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단면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톱 테이프(248)의 이면 접착부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의 부품 배치면의 이면에 접착된다. 이에 의해, 톱 테이프(248)는, 표면 접착부(249)와 이면 접착부에 의해, 리지드 프린트 기판(244)과 베이스 테이프(246)를 사이에 끼워 넣게 되어 있다. 또한, 이면 접착부의 접힘 치수는, 이면 접착부가 이면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3.0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톱 테이프에 접힘부 및 이면 접착부를 설치함으로써,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즉, 톱 테이프에 접힘부 및 이면 접착부를 설치함으로써, 프린트 기판의 단부에 있어서의 톱 테이프의 접착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톱 테이프에 접힘부 및 이면 접착부를 설치함으로써, 키 플렉시블의 단부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의 단부에 배치된 접점 스위치를 반복하여 누름 조작했다고 해도, 프린트 기판의 단부에서 톱 테이프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의 단부에 메탈 돔을 배치할 경우에, 종래와 같이, 메탈 돔과 프린트 기판의 단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6mm 내지 1.8mm)가 확보되도록 하는 사이즈로 프린트 기판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 모듈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 모듈의 방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100, 200 : 휴대 전화기
130, 240 : 프린트 기판 모듈
132, 242 : 메탈 돔
133 : 판 스프링
140 : 키 플렉시블
150, 246 : 베이스 테이프
160, 248 : 톱 테이프
163, 249 : 표면 접착부
166, 250 : 접힘부
168 : 이면 접착부
169 : 단면
170 : 프론트 키 모듈
172, 272 : 베이스 러버
174, 274 : 키 톱
192, 270 : 키 모듈
244 : 리지드 프린트 기판
130, 240 : 프린트 기판 모듈
132, 242 : 메탈 돔
133 : 판 스프링
140 : 키 플렉시블
150, 246 : 베이스 테이프
160, 248 : 톱 테이프
163, 249 : 표면 접착부
166, 250 : 접힘부
168 : 이면 접착부
169 : 단면
170 : 프론트 키 모듈
172, 272 : 베이스 러버
174, 274 : 키 톱
192, 270 : 키 모듈
244 : 리지드 프린트 기판
Claims (5)
-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접점 스위치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 면에 접착된 제1의 면 형상부, 상기 제1의 면 형상부로부터 연신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의 단면에서 접혀진 접힘부 및 상기 접힘부로부터 연신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 면의 이면에 접착된 제2의 면 형상부를 갖는 보호 시트를 구비한 프린트 기판 모듈과,
상기 접점 스위치에 대향하여 상기 보호 시트 상에 설치된 키 톱과, 상기 키 톱과 상기 접점 스위치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키 톱의 상기 접점 스위치의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접점 스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점 스위치를 누르는 돌기 형상의 누름 부재를 구비한 키 모듈과,
상기 프린트 기판 모듈 및 상기 키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제2의 면 형상부가 적어도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 위치의 이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프린트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변의 단면에 각각 접힘부가 형성되고, 각 접힘부로부터 연신하는 제2의 면 형상부의 단면끼리가 상기 프린트 기판의 이면의 상기 대향하는 2개의 변의 중간 라인 근방에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리지드 프린트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된 접점 스위치와,
상기 접점 스위치 및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 면에 접착된 제1의 면 형상부, 상기 제1의 면 형상부로부터 연신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의 단면에서 접혀진 접힘부 및 상기 접힘부로부터 연신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기 접점 스위치가 배치된 면의 이면에 접착된 제2의 면 형상부를 갖는 보호 시트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50065A JP2012104282A (ja) | 2010-11-08 | 2010-11-08 | 電子機器およびプリント基板モジュール |
JPJP-P-2010-250065 | 2010-1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9146A KR20120049146A (ko) | 2012-05-16 |
KR101266679B1 true KR101266679B1 (ko) | 2013-05-28 |
Family
ID=4601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5225A KR101266679B1 (ko) | 2010-11-08 | 2011-11-07 |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11713A1 (ko) |
JP (1) | JP2012104282A (ko) |
KR (1) | KR101266679B1 (ko) |
CN (1) | CN10259576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06434B1 (en) * | 2018-07-09 | 2023-09-06 | Honor Device Co., Ltd. | Terminal |
CN109762476B (zh) * | 2019-02-02 | 2023-09-19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板件包边机构及板件包边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2114A (ja) | 2003-08-21 | 2005-03-17 | Sharp Corp | 携帯機器 |
JP2008182532A (ja) | 2007-01-25 | 2008-08-07 | Kyocera Corp | 携帯端末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67150A (en) * | 1982-02-24 | 1984-08-21 |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 Electronic keyboard |
US5121091A (en) * | 1989-09-08 | 1992-06-0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Panel switch |
US4977298A (en) * | 1989-09-08 | 1990-12-1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Panel switch |
US5089671A (en) * | 1989-12-15 | 1992-02-18 | Val Ranetkins | Underwater zoom switch |
JPH08273472A (ja) * | 1995-03-30 | 1996-10-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照光式スイッチユニット |
JP4153058B2 (ja) * | 1997-06-19 | 2008-09-17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反転ばね付き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キースイッチ |
US5912612A (en) * | 1997-10-14 | 1999-06-15 | Devolpi; Dean R. | Multi-speed multi-direction analog pointing device |
JPH11232963A (ja) * | 1998-02-13 | 1999-08-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パネルスイッチ用可動接点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スイッチ |
JP3848901B2 (ja) * | 2002-07-12 | 2006-11-22 | ニッタ株式会社 | 静電容量式センサ |
JP2005158579A (ja) * | 2003-11-27 | 2005-06-16 | Alpine Electronics Inc | 電子機器 |
JP2008027613A (ja) * | 2006-07-18 | 2008-02-07 | Alps Electric Co Ltd | 板ばね付き粘着シート及びスイッチ装置 |
JP2009032588A (ja) * | 2007-07-27 | 2009-02-12 | Fujikura Ltd | スイッチ装置 |
-
2010
- 2010-11-08 JP JP2010250065A patent/JP2012104282A/ja active Pending
-
2011
- 2011-11-07 KR KR1020110115225A patent/KR1012666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1-07 US US13/290,337 patent/US2012011171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11-08 CN CN2011103512188A patent/CN102595769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2114A (ja) | 2003-08-21 | 2005-03-17 | Sharp Corp | 携帯機器 |
JP2008182532A (ja) | 2007-01-25 | 2008-08-07 | Kyocera Corp | 携帯端末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104282A (ja) | 2012-05-31 |
CN102595769A (zh) | 2012-07-18 |
KR20120049146A (ko) | 2012-05-16 |
US20120111713A1 (en) | 2012-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5178B1 (ko) | 누름버튼 스위치의 방수 구조 | |
US7834853B2 (en) | Handset keypad | |
KR101050030B1 (ko) | 전자 기기 | |
US7620175B2 (en) | Handset device with audio porting | |
US7991147B2 (en) | Handset device with laminated architecture | |
US8619067B2 (en) | User interface substrate for handset device having an audio port | |
WO2008017191A1 (en) | Sub-assembly for handset device | |
JP2011510459A (ja) | キー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 |
KR101266679B1 (ko) |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 |
JP5085223B2 (ja) | 電子機器 | |
US20090266697A1 (en) | Handheld device | |
KR101263123B1 (ko) | 전자 기기 | |
JP5507863B2 (ja) | 電子機器 | |
JP4818954B2 (ja) | 携帯電子機器 | |
JP2013168890A (ja) | 携帯端末 | |
JP4545693B2 (ja) | 携帯電子機器 | |
JP4954822B2 (ja) | 携帯電子機器 | |
JP2010056973A (ja) | 電子機器 | |
JP5995606B2 (ja) | 複数接点を持つ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 |
JP2011166644A (ja) | 携帯電子機器 | |
JP2009260461A (ja) | 電子機器 | |
JP2008131442A (ja) | 携帯無線機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0258826A (ja) | 携帯無線装置 | |
JP2009089060A (ja) | 携帯電子機器 | |
KR20070101085A (ko) |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