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539B1 -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 Google Patents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539B1
KR102514539B1 KR1020210021274A KR20210021274A KR102514539B1 KR 102514539 B1 KR102514539 B1 KR 102514539B1 KR 1020210021274 A KR1020210021274 A KR 1020210021274A KR 20210021274 A KR20210021274 A KR 20210021274A KR 102514539 B1 KR102514539 B1 KR 10251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less charging
water
blackout
m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654A (ko
Inventor
김희선
신현찬
Original Assignee
김희선
신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선, 신현찬 filed Critical 김희선
Priority to KR102021002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5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속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막새기와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확장성을 부여함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충전할 수 있으면서 전통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며 상면에 놓인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수막새 유닛; 가장자리가 곡선을 이루는 판 형태로 형성된 암막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암막새 유닛은, 일 수막새 유닛의 일측편과 타 수막새 유닛의 타측편을 연결하게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Antefix type wireless charging cradle}
본 발명은 무선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막새기와 형태를 이루어 전통적 미감을 발휘하면서도 확장성을 가져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등이 가능한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점차 더 나은 성능을 가지게끔 계속적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충전기의 커넥터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전 수신부를 장착하거나 연결하고, 충전 수신부를 무선 충전기에 올려놓음으로써 충전되는 무선충전방식을 채택한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무선 충전기는 하나의 휴대용 전자기기만을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복수 개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기는 모두 확장성을 가지지 못하여 일 제품을 통해 정하여진 개수의 휴대용 전자기기만을 충전할 수 밖에 없으며, 확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여러 개의 제품을 배치할 경우 외관이 투박하고 조형적인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다.
한편, 막새기와는 전통 목건축물의 기와 끝단을 장식하는 것으로 동양(한중일)의 독특한 기와 양식이다. 그 기원은 3천년 전 서주(西周)로 알려져 있으나, 다양한 기와 양식의 완성은 고대 한국(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이루어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며, 타국에서 범접하지 못할 뛰어난 예술성을 띄고 있다. 특히, 막새기와의 암막새와 수막새는 무한히 연결되는 기왓장들에 아름다운 조형미를 부여하고, 연결/확장의 실용적 기능을 심미적 아름다움으로 덮어주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6234호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속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막새기와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확장성을 부여함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충전할 수 있으면서 전통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는,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며 상면에 놓인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수막새 유닛; 가장자리가 곡선을 이루는 판 형태로 형성된 암막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암막새 유닛은, 일 수막새 유닛의 일측편과 타 수막새 유닛의 타측편을 연결하게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암막새 유닛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막새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암막새 유닛으로부터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막새 유닛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전원입력단자가 측면에 구비되고 상면에 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커넥터가 구비된 수막새 받침과, 통 형태를 이루면서, 저면에 전원공급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원인가커넥터가 구비되고, 전원인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거치되는 전자기기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모듈이 내부에 구비되는 수막새 충전구를 포함하되, 상기 수막새 충전구는, 수막새 받침의 상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막새 유닛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막새 유닛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막새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면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막새 유닛이 한 쌍의 수막새 유닛을 연결하는 구조를 연속적으로 이루게끔 할 수 있으므로, 막새기와를 모티브로 한 확장성을 부여하여,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 충전할 수 있으면서 전통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암막새 유닛과 수막새 유닛 간의 탈부착가능한 결합과, 수막새 받침과 수막새 충전구를 포함하는 수막새 유닛의 분리가능한 구조, 스피커 유닛 등을 통해, 본 발명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전자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적용되는 수막새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적용되는 수막새 유닛을 구성하는 수막새 받침과 수막새 충전구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적용되는 수막새 유닛에 구비된 전원입력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적용되는 수막새 유닛이 암막새 유닛과 탈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적용되는 수막새 유닛을 대체하여 스피커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적용되는 수막새 유닛과 암막새 유닛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에 적용되는 수막새 유닛, 암막새 유닛, 스피커 유닛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활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계속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막새기와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확장성을 부여함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충전할 수 있으면서 전통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며 상면에 놓인 전자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수막새 유닛; 가장자리가 곡선을 이루는 판 형태로 형성된 암막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암막새 유닛은, 일 수막새 유닛의 일측편과 타 수막새 유닛의 타측편을 연결하게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새 유닛(100)과 암막새 유닛(200)을 포함한다.
수막새 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새기와의 수막새와 유사하게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통 형태로 형성된다. 즉, 수막새 유닛(100)은 원통 형태를 이룬다. 수막새 유닛(100)의 상면은, 일 예로 지면과 나란하도록 이루어져 상면에 전자기기(10)가 놓여질 시 전자기기(10)를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막새 유닛(100)의 상면은 다른 일 예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면에 전자기기(10)가 놓여진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전자기기(1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거치된 전자기기(1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수막새 유닛(100)의 상면에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마찰패드가 구비될 경우 미감이 저해될 수 있는바, 수막새 유닛(100)의 상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전통 문양을 새김으로써 마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통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막새 유닛(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놓이는 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무선충전모듈(122)이 구비된다. 따라서, 수막새 유닛(100)의 상면에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10)가 거치되면, 무선충전모듈(122)에 의해 해당 전자기기(10)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때, 무선충전모듈(122)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코일 간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전자기유도방식을 통해 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 할 수 있음은 물론,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의 송수신단 간에 주파수를 통해 전력을 보내는 자기공명방식을 통해 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 할 수도 있다.
수막새 유닛(100)은, 다양한 활용을 위하여,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새 받침(110)과, 수막새 충전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막새 받침(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때 수막새 받침(110)의 두께는 후술할 암막새 유닛(200)의 두께와 동일하여, 이질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막새 받침(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전원입력단자(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전원입력단자(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커넥터(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입력단자(111)는 USB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커넥터(112)는 포고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막새 충전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새 받침(11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막새 충전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전원공급커넥터(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원인가커넥터(121)가 구비되고, 내부에 전원인가커넥터(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모듈(122)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인가커넥터(121)는 포고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막새 충전구(120)는, 수막새 받침(1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전원입력단자(111)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공급커넥터(112), 전원인가커넥터(121)를 거쳐 무선충전모듈(122)로 전원이 공급되어, 무선충전모듈(122)이 작동됨으로써, 수막새 충전구(120)의 상면에 거치된 전자기기(10)가 무선충전된다.
또한, 수막새 받침(110)의 상측에 수막새 충전구(120)가 결합될 시, 수막새 충전구(120)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막새 받침(110)의 상면과 수막새 충전구(120)의 저면은 돌기홈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새 받침(110)의 상면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소정의 깊이로 함입되어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막새 충전구(120)의 저면은 수용홈에 대응되는 수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수막새 받침(110)에 형성된 수용홈은, 수막새 충전구(120)가 결합될 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접시와 같은 형태를 이루므로 수막새 충전구(1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컵받침 또는 디퓨저 받침 등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수막새 받침(110)과 수막새 충전구(120)은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손쉽게 탈부착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예로 수막새 받침(110)의 내부와 수막새 충전구(120)의 내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인력이 작용되게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자력에 의한 수막새 받침(110)과 수막새 충전구(120) 간의 결합을 통해, 결합시 안정성을 높임과 더불어, 상호 분리시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암막새 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새기와의 암막새와 유사하게 가장자리가 곡선을 이루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의 가장자리란, 암막새 유닛(20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측과 타측 가장자리만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 타측을 비롯하여 상측과 하측 가장자리 모두 또는 어느 한 쪽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암막새 유닛(200)은, 한 쌍의 수막새 유닛(100)을 연결하게끔 구비되는데, 일 수막새 유닛(100)의 일측편과 타 수막새 유닛(100)의 타측편을 연결한다. 이때, 한 쌍의 수막새 유닛(100)과 암막새 유닛(200) 간의 이질감이나 벌어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암막새 유닛(200)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는, 각각에 맞닿는 수막새 유닛(100)의 측면과 대응되는 곡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암막새 유닛(200)의 상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전통 문양을 새김으로써 마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통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암막새 유닛(200)은, 수막새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상면에 놓인 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복수 개의 USB 포트가 구비되어 USB 허브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암막새 유닛(200)은, 안테나가 구비되고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공유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암막새 유닛(200)은 수막새 유닛(100)과 별도로 전원단자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음은 물론, 이와 연결되는 수막새 유닛(100)에 구비된 전원입력단자(111)로부터 외부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암막새 유닛(20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막새 유닛(100) 중 적어도 하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막새 유닛(200)으로부터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암막새 유닛(200)은 일 수막새 유닛(100)의 측면으로부터 일측편을 향해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타 수막새 유닛(100)은 암막새 유닛(200)의 일측 가장자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자력에 의한 수막새 유닛(100)과 암막새 유닛(200) 간의 결합을 통해, 결합시 안정성을 높임과 더불어, 상호 분리시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막새 유닛(200)과 분리된 수막새 유닛(100)은, 휴대성을 지녀 소지하고 다니며 필요시 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암막새 유닛(20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막새 유닛(100) 중 적어도 하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30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300)은, 수막새 유닛(1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암막새 유닛(200)과 맞닿으며 연결될 시 이질감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소리가 방사하는 지향성을 고려하여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막새 유닛(100)이 수막새 받침(110)과 수막새 충전구(120)로 분리 구성됨과 마찬가지로, 스피커 유닛(300)은 스피커 받침(310)과 스피커(320)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받침(310)은 상술한 수막새 받침(11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즉, 수막새 받침(110)을 활용할 수 있음), 스피커(320)는 스피커 받침(310)과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막새 유닛(200)이 한 쌍의 수막새 유닛(100)을 연결하는 구조를 연속적으로 이루게끔 할 수 있으므로, 막새기와를 모티브로 한 확장성을 부여하여,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10)를 동시에 무선 충전할 수 있으면서 전통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암막새 유닛(200)과 수막새 유닛(100) 간의 탈부착가능한 결합과, 수막새 받침(110)과 수막새 충전구(120)를 포함하는 수막새 유닛(100)의 분리가능한 구조, 스피커 유닛(300) 등을 통해, 본 발명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10 : 전자기기
100 : 수막새 유닛 110 : 수막새 받침
111 : 전원입력단자 112 : 전원공급커넥터
120 : 수막새 충전구 121 : 전원인가커넥터
122 : 무선충전모듈
200 : 암막새 유닛
300 : 스피커 유닛 310 : 스피커 받침
320 : 스피커

Claims (5)

  1.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며 상면에 놓인 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하는 수막새 유닛(100); 및
    가장자리가 곡선을 이루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 수막새 유닛(100)의 일측편과 타 수막새 유닛(100)의 타측편을 연결하게끔 구비되는 암막새 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수막새 유닛(100)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전원입력단자(111)가 측면에 구비되고 상면에 전원입력단자(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커넥터(112)가 구비된 수막새 받침(110)과,
    통 형태를 이루면서, 저면에 전원공급커넥터(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원인가커넥터(121)가 구비되고, 전원인가커넥터(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거치되는 전자기기(10)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모듈(122)이 내부에 구비되는 수막새 충전구(120)를 포함하며,
    상기 수막새 충전구(120)는, 수막새 받침(110)의 상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막새 유닛(20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막새 유닛(100) 중 적어도 하나는, 암막새 유닛(200)으로부터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새 유닛(100)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막새 유닛(20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막새 유닛(100) 중 적어도 하나는,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면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300)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5. 삭제
KR1020210021274A 2021-02-17 2021-02-17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KR10251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74A KR102514539B1 (ko) 2021-02-17 2021-02-17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74A KR102514539B1 (ko) 2021-02-17 2021-02-17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54A KR20220117654A (ko) 2022-08-24
KR102514539B1 true KR102514539B1 (ko) 2023-03-29

Family

ID=8311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274A KR102514539B1 (ko) 2021-02-17 2021-02-17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5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692A (ja) 2009-07-24 2013-01-07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電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34B1 (ko) 2012-05-18 2014-06-12 주식회사 이랜텍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KR102395507B1 (ko) * 2015-02-27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WO2018093022A1 (ko) * 2016-11-21 2018-05-24 고소영 다중결합이 가능한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시스템
KR102574119B1 (ko) * 2018-07-03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상태에 기반한 멀티 무선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692A (ja) 2009-07-24 2013-01-07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電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54A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8003B2 (en) Multi-functional adaptation winder
KR101548465B1 (ko) 스마트 워치용 배터리 장치
KR101755320B1 (ko)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CN203951503U (zh) 听筒可分离式手机
AU2001224089A1 (en) Mobile phone charger using a usb
CN207853537U (zh) 磁吸无线充电支架
CN202872885U (zh) 一种移动通讯设备
CN105721637B (zh) 一种兼具对讲功能的移动通讯装置
KR102514539B1 (ko) 막새기와형 무선충전거치대
CN204420705U (zh) 一种球形台灯
KR20120110669A (ko) 진동 및 음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80234768A1 (en) Speaker System
CN211352382U (zh) 户外便携式蓝牙音箱
CN206962922U (zh) 蓝牙电话机
CN202103720U (zh) 一种手机外壳
CN203850870U (zh) 一种供电装置
CN206004878U (zh) 项链式蓝牙耳机
CN105915671B (zh) 一种手机保护壳结构
CN213426405U (zh) 一种蓝牙音箱
CN206820503U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CN213243573U (zh) 电子设备、支撑设备及电子系统
CN203800981U (zh) 多功能移动设备底座支架
CN104917226A (zh) 隐藏式手机支架移动电源
CN208971767U (zh) 一种带有手机支架的多功能蓝牙音响
CN216217501U (zh) 一种头戴包耳式无线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