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149B1 -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149B1
KR102355149B1 KR1020170052913A KR20170052913A KR102355149B1 KR 102355149 B1 KR102355149 B1 KR 102355149B1 KR 1020170052913 A KR1020170052913 A KR 1020170052913A KR 20170052913 A KR20170052913 A KR 20170052913A KR 102355149 B1 KR102355149 B1 KR 102355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member
input device
housing
electronic devic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324A (ko
Inventor
임창옥
김동희
박영문
조남형
장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149B1/ko
Priority to US15/960,668 priority patent/US10564738B2/en
Publication of KR2018011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2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sent by a satellite, e.g. G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26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a near-field communication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를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detachable coupled)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면 상에 개구(opening); 및 상기 개구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돌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detachably coupled)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rotatably coupled) 제2 환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내주면에 맞닿는 볼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ETACHABLE INPUT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분리형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술의 발달은 우리 생활에 밀착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에 대한 관심도 및 보급률도 증가하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란 안경, 시계, 액세서리처럼 목에 착용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하는 전자 장치이다. 몸의 일부처럼 지니고 다닐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하기 편리하며 지속적으로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휴대성은 노트북, 전화, 스마트폰을 직접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출원인이 삼성전자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0825(2016년 03월 10일 공개)에 개시되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휴대성을 위하여 크기가 제한되는 반면, 제한된 크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한된 크기에서,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써 분리형 입력 장치(예: 회전 가능한 휠(wheel), 용두(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분리형 입력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integrated formed)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분리형 입력 장치가 몸체와의 조립이 완료되어야 분리형 입력 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조립 단계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의 불량이 발견되거나, 사용자의 사용 중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한 조립 해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분리형 입력 장치 및 본체의 조립 해체 시, 외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변형에 따른 손실이 발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를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detachable coupled)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면 상에 개구(opening); 및 상기 개구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돌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detachably coupled)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rotatably coupled) 제2 환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내주면에 맞닿는 볼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환형 부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rotatably coupled) 제2 환형 부재;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는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본체와 교체 가능한 분리형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독립형 디바이스(discrete devices)로서 단독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입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능 불량에 따른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입력 장치의 교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외관의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우징과 분리형 입력 장치(420)가 분리된 상태(configuration)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의 제1 환형 부재가 가지는 결합 구조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제1 환형 부재의 결합 상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자성 부재 및 볼의 배치관계의 예시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7a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7a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탄성 구조 및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대안적인 탄성 구조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대안적인 탄성 구조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가 다양한 예시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조립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립을 도와주는 도구(tool)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분리형 입력 장치의 상호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절감을 구현하는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절감을 구현하는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의 자성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 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중앙처리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중앙처리장치(예: 임베디드 중앙처리장치),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중앙처리장치(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 (예: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예: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bus)(110), 프로세서(processor)(120), 메모리(memory)(130), 입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150), 디스플레이(display)(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command) 또는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software) 및/또는 프로그램(program) (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kernel)(141), 미들웨어(middleware)(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1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 또는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file control), 창 제어(window control),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 또는 문자 제어(character control)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function)(예: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비디오(video), 아이콘(icon), 또는 심볼(symbol)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touch), 제스처(gesture), 근접(proximity),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02),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1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164)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네트워크(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7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210), 통신 모듈(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2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229)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224)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프로세서(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예: DRAM(dynamic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240A), 자이로 센서(gyro sensor)(240B), 기압 센서(barometer)(240C),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240D),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240E), 그립 센서(grip sensor)(240F),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240G), 컬러 센서(color sensor)(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medical sensor)(240I),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240J),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240K), UV(ultra violet) 센서(240M) 또는 회전 감지 센서(240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iris scan sensor), 초음파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finger scan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254), 키(key)(2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분리형 입력 장치, 또는 키패드(keypa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회전 감지 센서(240N)에 의해 체결 장치에 포함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의 회전 정도(rotation parameter)를 제공받고, 해당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26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대응 기능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마이크(예: 마이크(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2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screen)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272), USB(universal serial bus)(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296)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2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에 관하여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하우징(예: 본체)에 체결 가능한 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일부에 착용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예: 손목 시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본체로 사용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하며, 상기 전자 장치(300)를 인체의 적어도 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 부재(mounting member)(302, 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부재(302, 303)는 인체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착 부재(302, 303)는 스트랩 (예: 밴드, 시계줄(watch strap), 연결부, 또는 착용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10)을 손목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스트랩(302, 303)을 손목에 감는 방식으로 착용될 수 있다. 하나의 스트랩(302)에는 버클 부재(30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스트랩(303)에는 버클 부재(3021)가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용 개구(303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조절용 개구(3031)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에 버클 부재(3021)를 체결함으로써,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맞게 착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의 스트랩은 별도의 버클 구조 없이 탄력있는 탄성 밴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의 스트랩은 마그네트의 자력을 이용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트랩(302, 303)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지고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즈마다 정해진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금속, 가죽, 러버,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랩(302,303)은 전자 장치(300)로부터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스트랩(302, 303)은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디자인의 스트랩(302,303)의 교체를 통하여 다양한 외관의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디스플레이(30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1)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스크린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310)의 적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미도시 됨)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은 하우징(310)의 측 면에 누름 버튼 또는 회전 입력 버튼(예: 용두)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내부에 전원 공급 수단으로 배터리(미도시)(예: 충전용 배터리 등)가 적용될 수 있고,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용 코일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소정의 휴대용 충전 크래들(cradle)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10)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320)(예: 휠, 회전체, 또는 베젤(beze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하우징(31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301)의 주변(periphery)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전자 장치(300)가 손목 착용형 전자 장치일 경우, 회전 가능한 베젤(bezel)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하우징(310)(또는 디스플레이(301))에 대하여 원주 방향(예: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하우징(310)에 대한 회전량(또는 회전 파라미터)이 일정 각도로 제한되거나, 무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교체형 입력 장치 또는 휠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테두리를 따라 상면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 부재(340)는 다양한 형상, 재질 및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식 부재(340)는 그 상면에 도료가 도포되거나, 각인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분리형 입력 장치(320)의 회전 정도(parameter)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인식 요소(indication ele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장식 부재(340)는 사용자가 분리형 입력 장치(3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톱니 형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장식 부재(340)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거나 폴리에스터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320)는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300)는 다양한 디자인의 분리형 입력 장치(320)의 교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외관의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장치는 카메라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적외선 센서, HRM 센서, 포토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에서 하우징(410)과 분리형 입력 장치(420)가 분리된 상태(configuration)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도 3의 전자 장치(4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 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본체로 사용되는 하우징(410), 분리형 입력 장치(420) 및 고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4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410)은 원형의 제1 면(411)의 중앙에 배치되는 원형의 디스플레이(4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하우징(410)의 제1 면(4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디스플레이(412)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의 링 형상 또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제1 환형 부재(421) 및 제2 환형 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제1 환형 부재(421) 및 제2 환형 부재(422)의 조립체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422)는 제 1 환형 부재(421)의 외측에 대하여 원주 방향(rd)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환형 부재(421)는 기준 부재로, 제2 환형 부재(422)는 회전 부재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제1 환형 부재(421) 에 대한 제2 환형 부재(422)의 회전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 부재, 또는 제2 환형 부재(422)의 회전에 따른 조절감(예: 회전 중 걸리는 느낌 또는 회전 중 멈추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탄성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 및 탄성 구조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410)은 디스플레이(4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고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430)는 제1 면(411)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와 고정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410)과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고정부(430)가 포함하는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430)와 제1 환형 부재(421) 사이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하우징(410)과 분리되어 분리 상태(configur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420)는 하우징(410)과 결합하여 체결 상태(configur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420)의 제1 환형 부재(421)는 하우징(410)과 결합하여 하우징(41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421)가 하우징(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환형 부재(422)는 제1 환형 부재(421)의 외측에 대하여 원주 방향(rd)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환형 부재(422)는 하우징(410) 또는 디스플레이(412)에 대하여 회전 방향(rd)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d1)을 중심축으로 정의할 때, 원주 외 측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의 정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는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510), 분리형 입력 장치(520), 리어 하우징(rear housing)(530) 및 고정링(5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50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는 프론트 하우징(510), 하우징(510)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 및 리어 하우징(5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510)은 리어 하우징(530)과 외측 경계에서 결합하여 전자 장치(500)의 각 종 구성부품이 조립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론트 하우징(510)은 제1 방향(d1)을 향하는 제1 면(51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510)의 제1 면(511)에는 개구(opening)(51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512)는 적절한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51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개구(512)는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520)는, 제1 면(511)을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개구(512)를 둘러싸는 회동 구조체(rotatable structure)에 의하여 제1 면(5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500)가 포함하는 회동 구조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510)은 개구(512)의 테두리(또는 원주)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돌출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13)는 반경 방향(또는, 개구(512)의 중심으로부터 개구(513)의 테두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후크(51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후크(5131)들은 돌출부(513)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링(540)은 돌출부(5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링(540)은 링 형상 또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링(540)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후크(5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링(540)은 돌출부(513)의 제1 후크(5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후크(5131)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절삭부(542)(cutou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링(540)과 돌출부(513)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링(540)과 돌출부(513)의 결합은 고정링(540)의 복수의 절삭부(542)에 돌출부(513)의 복수의 제1 후크(5131)가 각각 걸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링(540)의 절삭부(542) 및 돌출부(513)의 제1 후크(5131)는 돌출부(513)와 고정링(540)을 결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고정링(540)과 돌출부(513)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 수단으로 서로 고정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513)와 고정링(540)이 각각 서로 결합하는 것이 아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자 장치(500)는 디스플레이(예: 도4의 4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는 개구(512) 상에 배치되거나 개구(512) 안에 내장될 수 있다. 돌출부(513)의 복수의 제1 후크(5131) 및 고정링(540)의 복수의 제2 후크(541)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가 하우징(5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구조, 또는 회동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 구조는 도 6a 내지 6c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520)는 제1 환형 부재(521), 제2 환형 부재(522), 가이드 부재(523), 볼(524), 자성 부재(525) 및 바닥 부재(5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는 제1 환형 부재(521), 제2 환형 부재(522), 가이드 부재(523), 볼(524), 자성 부재(525) 및 바닥 부재(526)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환형 부재(521)는 대체적으로 프론트 하우징(510)의 제1 면(5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환형 부재(521)는 대략적으로 링 형상 또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환형 부재(521)는 제1 환형 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환형 부재(521)는 제2 방향을 향하는 외주면(5211)을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5211)은 제2 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521)는 외주면(5211)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멈춤 홀(52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23)는 제1 환형 부재(523)의 외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 하게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23)는, 대략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나,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주면(5211)을 구조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23)는 내측(또는, 제1 환형 부재(521)를 향하는 방향)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5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볼(524)은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주면(5211)과 맞닿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23)는,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주면(5211)과 맞닿은 볼(524)이 외주면(521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제1 환형 부재(521)에 대하여 회전 방향(rd)으로 회전 할 수 있다. 따라서, 볼(524)은 베어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523)는 외주면(5211)에 대향하는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주면(5211)(또는, 제2 면)은 가이드 부재(523)의 내주면(또는, 제3 면)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볼(524)(또는, 베어링)은 제2 면 및 제3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볼(524)은, 가이드 부재(523)의 제1 환형 부재(523)에 대한 가상의 회전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522)는 프론트 하우징(510)의 제1 면(5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환형 부재(521)는 대략적으로 링 형상 또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환형 부재(522)는 제2 환형 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522)는 제1 환형 부재(521)와 가이드 부재(523)의 조립체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환형 부재(522)는, 제1 환형 부재(521)보다 더 큰 반지름을 가지는 링 형상 또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측에서 제1 환형 부재(521)와 결합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환형 부재(522)는 내부 공간에 가이드 부재(523)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부재(523)와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 부재(526)는 제2 환형 부재(5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부재(521)는 대략적으로 링 형상 또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 부재(526)는 제1환형 부재(521), 가이드 부재(523) 및, 제2 환형 부재(522)의 조립체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부재(526)는, 가이드 부재(523)를 수용하고 있는 제2 환형 부재(522)의 반대 면에서 고정 결합되어, 가이드 부재(52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 부재(526)와 제2 환형 부재(522)와의 고정 결합은 임의의 적절한 결합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부재(526)는 제2 환형 부재(522)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되고, 바닥 부재(526)가 이탈 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핀(527)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고정핀(527)은 고정 테이프(5271)에 의하여 바닥 부재(526)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바닥 부재(526)는 윤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 부재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가 프론트 하우징(510)에 결합한 상태(또는 결합 상태)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520)의 바닥 부재(526)가 프론트 하우징(510)의 제1 면(511)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윤활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윤활 부재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테프론 재질의 일정 두께를 갖는 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윤활 부재는 POM 등의 테프론, 나일론 계열 사출물, 합성 수지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기능으로, 윤활 부재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가 회전될 때, 바닥 부재(526) 또는 제1 면(511)에 달라붙은 이물질(예: 볼(524) 또는 금속 재질의 제1 환형 부재(521)의 마찰에 따른 파티클)을 제거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520)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자성 부재(525)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자성 부재(525)는 제2 환형 부재(522) 또는 제2 환형 부재(522)와 가이드 부재(523)의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환형 부재(522)가 제1 환형 부재(52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 시, 제2 환형 부재(522)와 함께 제1 환형 부재(521) 또는 프론트 하우징(510)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522)가 회전할 때, 자성 부재(525)의 회전 궤적과 수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자성 부재(525)의 자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모듈(53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 부재(525)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8개소가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리어 하우징(530)은 프론트 하우징(510)과 각각의 외측 경계에서 고정 결합하여 전자 장치(500)의 각 종 구성부품이 조립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0)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531)(예: 인쇄회로기판(PCB), 연성 회로 기판(F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에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에 배치되는 복수의 자성 부재(525)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모듈(532)(또는, 디텍터(detector))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532)은 홀 IC센서(hall integrated circuit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 구조(또는, 회동 구조체)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의 제1 환형 부재가 가지는 결합 구조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제1 환형 부재의 결합 상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분리형 입력 장치(620)가 프론트 하우징(6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하우징(610)은 제1 면(612)에 형성되는 개구(opening)(61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6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610)은 개구(611)의 테두리(또는 원주)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13)는 반경 방향(또는, 개구(611)의 중심으로부터 개구(611)의 테두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후크(61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후크(6131)들은 돌출부(613)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링(630)은 돌출부(613)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돌출부(613)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링(630)은 원주 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로 구성된 복수의 제2 후크(63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후크(631)들은 고정링(630)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론트 하우징(610)의 돌출부(613)와 고정링(630)이 결합하여 복수의 제1 후크(6131) 및 복수의 제2 후크(631)로 구성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후크(6131) 및 제2 후크(631)로 구성된 결합구조는 프론트 하우징(6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의 제1 환형 부재가 가지는 결합 구조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환형 부재(621)는 내주면의 둘레을 따라 복수의 제1후크 홈(6211) 및 복수의 제2후크 홈(62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후크 홈(6211) 및 각각의 제2 후크 홈(6212)은 제1 환형 부재(621)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에 따르면, 제1 후크 홈(6211)과 각각의 제2 후크 홈(6212)은 제1 환형 부재(621)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번갈아(alternately) 배치될 수 있다. 제1 후크 홈(6211) 및 제2 후크 홈(6212) 한 쌍은 제1환형 부재(6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4개소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후크 홈(6211)은 프론트 하우징(610)의 제1 후크(6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 후크 홈(6212)은 프론트 하우징(610)의 제2 후크(6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환형 부재(621)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멈춤 홈들(6213)을 포함할 수 있다. 멈춤 홈들(6213)은, 제1 환형 부재(621)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환형 부재(621)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는 제2 환형 부재(미도시)에 고정된 볼 유닛(미 도시)들이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라 멈춤 홈들(6213)에 삽입과 이탈을 반복하여, 사용자에게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조절 감(예: 클릭 감 또는 디텐트 감)을 경험하게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조절 감은 멈춤 홈들 사이의 간격(interval)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멈춤 홈(6213a) 및 제2 멈춤 홈(6213b) 사이의 간격(i)이 길게 형성되는 사용자는 제2 환형 부재(미도시)를 보다 많이 회전시키는 경우에 조절 감을 경험할 수 있다. 또는, 제1 멈춤 홈(6213a) 및 제2 멈춤 홈(6213b) 사이의 간격(i)이 짧게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환형 부재의 작은 회전에도 클릭감을 경험할 수 있다. 복수의 멈춤 홈들(6213) 및 볼 유닛에 의한 클릭감을 제공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6c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후크 구조(제1 후크(6131) 및 제1 후크 홈(6211)) 와 제2 후크 구조(제2 후크 홈(6212) 및 제2 후크(631))에 의하여 이뤄지는, 프론트 하우징(610)과 제1 환형 부재(621)(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620))가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환형 부재(621)의 제1 후크 홈(6211)은 수직 홈(6211a) 및 수평 홈(621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c의 부분 확대도 A를 참조하면, 제1환형 부재(621)(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는, 화살표 방향(d1)의 조립동작을 통하여, 프론트 하우징(610)과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환형 부재(621)가 수직방향으로 프론트 하우징(610)과 결합할 때, 프론트 하우징(610)의 제1 후크(6131)는 제1 후크 홈(6211)의 수직 홈(621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후크(6131)가 제1 후크 홈(6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환형 부재(621)가 시계 방향(rd)으로 회전 시, 제1 후크(6131)는 제1 후크 홈(6211)의 수평 홈(6211b)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후크 구조(제1 후크(6131) 및 제1 후크 홈(6211))는 제1 후크(6131)가 제1 후크 홈(6211)의 수평 홈(6211b)에 걸려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환형 부재(621)는 제1 후크(6131)가 제1 후크(6211)의 수평 홈(6211b)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환형 부재(621)의 제2 후크 홈(6212)은 삽입 홈(6212a) 및 고정 홈(621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c의 부분 확대도 B를 참조하면, 제1 환형 부재(621)(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620))가 프론트 하우징(610)에 결합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후크 홈(6212)도 함께 프론트 하우징(610)의 고정링(630)의 외주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621)가 프론트 하우징(610)에 결합하여 일정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제2 후크 홈(6212)은 프론트 하우징(610)의 제2 후크(63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환형 부재(621)가 수직방향으로 프론트 하우징(610)과 결합할 때, 프론트 하우징(610)의 제2 후크(631)는 제2 후크 홈(6212)의 삽입 홈(6212a)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후크(631)가 삽입 홈(6212a)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환형 부재(621)가 시계 방향(rd)으로 회전 시, 제2 후크(631)는 제2 후크 홈(6212)의 고정 홈(6212b)에 구속(confine)될 수 있다. 제2 후크 구조(제2 후크(631) 및 제2 후크 홈(6212))는 제2 후크(631)가 제2 후크 홈(6212)의 고정 홈(6212b)에 걸려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리형 입력 장치(620)는 제2 후크 구조에 의하여 하우징(610)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후크(6131) 및 제1 후크 홈(6211)의 결합 구조는 제1 환형 부재(621)가 수직방향으로 프론트 하우징(6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후크(631) 및 제2 후크 홈(6212)은 제1 환형 부재(621)가 회전 방향으로 프론트 하우징(6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제1환형 부재(621)(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는, 제1 후크 구조 및 제2 후크 구조를 화살표 방향(d1)으로 조립하여 프론트 하우징(610)과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자 장치(600)는, 제공하는 제1 후크 구조 및 제1 후크 구조에 의하여, 분리형 입력 장치(6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론트 하우징과 탈부착이 용이한 분리형 입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능 불량에 따른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600)가 프론트 하우징(610)이 제1 후크(6131) 및 제2 후크 (631)을 포함하며, 제1 환형 부재(621)가 제1 후크 홈(6211) 및 제2 후크(6212)를 포함하고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후크 구조 및 제2 후크 구조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프론트 하우징(610) 및 제1 환형 부재(62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론트 하우징(610)이 제1 후크 및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제1 환형 부재(621)가 제1 후크 홈 및 제2 후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환형 부재(621)가 제1 후크 및 제2 후크를 포함하고 프론트 하우징(610)이 제1 후크 홈 및 제2 후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610) 및 제1 환형 부재(621)의 결합은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자성 부재 및 볼의 배치관계의 예시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의 프론트 하우징(710)에는 디스플레이(711)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제1 환형 부재(721), 제2 환형 부재(722), 볼 유닛(724) 및 자성 부재(7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722)는 제1 환형 부재(721)의 테두리를 둘러싸며, 제1 환형 부재(7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721)는 디스플레이(711)의 테두리의 일 부분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detachable secured)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환형 부재(722)는 프론트 하우징(7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환형 부재(722)는 회전 부재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제2 환형 부재(722)의 회전에 따른 조절 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볼 유닛(7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볼 유닛(724)은 2 환형 부재(722)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볼(7241) 각각은 등각도(90도)의 사이 각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7241)은 제2 환형 부재(722)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제1 궤적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볼(7241)은 제2 환형 부재(722)에 고정되며, 제2 환형 부재(722)가 포함하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제1 환형 부재(721)를 외주면에서 가압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볼(7241) 및 탄성 부재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1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제2 환형 부재(722)의 회전 정도(rotation parameter)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자성 부재(7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자성 부재(725)는 제2 환형 부재(722)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제2 궤적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자성 부재(725)는 분리형 입력 장치(720)가 회전 하는 가상의 경로를 따라 정렬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는 제2 환형 부재(722)의 회전에 따라 유동되는 자성 부재(725)의 회전 궤적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예: 도 5의 532)을 포함하여 제2 환형 부재(722)의 회전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자성 부재(722)는 제2 환형 부재(722)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8개의 자성 부재(722)가 등각도(45도)의 사이 각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722)가 프론트 하우징(710)에 대하여 회전될 때, 볼(7241)과 제1 환형 부재(7210)의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파티클이 발생할 수 있다. 발생된 파티클은 자성 부재(725)에 의해 복수의 자성 부재의 제2 궤적을 기준으로 수집될 수 있다. 발생된 파티클이 자성 부재(725)에 수집되는 경우, 복수의 볼 유닛(724)과 제1 환형 부재(721)의 외주면과의 접촉 회전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볼(7241)이 배치되는 제1 궤적과 복수의 자성 부재(725)가 배치되는 제2 궤적은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궤적 및 제2궤적은 서로 이격 될수록 유리할 수 있다. 또는, 제1궤적과 제2궤적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궤적과 제2 궤적은 분리형 입력 장치(7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자성 부재(725)가 배치되는 제2 궤적은 복수의 볼 유닛(724)이 배치되는 제1 궤적보다 큰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도 7b는 도 7a의 A-A' 단면은 분리형 입력 장치(720)에서 볼 유닛(724)이 포함된 부분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제1 환형 부재(721), 제2 환형 부재(722), 가이드 부재(723), 볼 유닛(724), 자성 부재(도 7b의725) 및 바닥 부재(726)의 조립체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프론트 하우징(7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프론트 하우징(710)의 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712)와 고정링(730)이 결합으로 구성된 조립체와 제1 환형 부재(72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결합 구조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6b에서 설명된 바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723)는 제1 환형 부재(721)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3)는, 분리형 입력 장치(7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볼 유닛(724)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유닛(724)은 볼(7241)과 결합봉(72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볼 유닛(724)은 가이드 부재(723)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유닛(724)은 결합봉(7242)이 수용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가이드 부재(723)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볼 유닛(724)은 가이드 부재(72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볼 유닛(724)은 볼(7241)과 결합봉(7242)이 별도로 생성된 후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7241)은 결합봉(7242)과 임의의 적절한 접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거나, 볼(7241)과 결합봉(7242)은 이중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볼(7241)은 제1 환형 부재(721)의 외주면에 맞닿을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721)의 외주면과 맞닿은 볼(7241)은, 가이드 부재(723)(또는 가이드 부재와 고정된 제2 환형 부재(722))가 제1 환형 부재(721)에 대하여 회전할 때,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722) 및 바닥 부재(726)는 제1 환형 부재(721) 및 가이드 부재(723)의 조립체에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환형 부재(722)는 제1 환형 부재(721)의 외측 방향에서 가이드 부재(723)를 가이드 부재(723)의 위 방향에서 수용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726)는, 제2 환형 부재(722)가 조립된 가이드 부재(723)에 가이드 부재(723)의 아래 방향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722)의 상 면에는 장식 부재(미도시)가 부착되거나, 제2 환형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장식 부재는, 결합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외관을 담당하는 제2 환형 부재(722)의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윤활 부재(미도시)는, 바닥 부재(726) 및 프론트 하우징(710)의 디스플레이(711)의 둘레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윤활 부재는 바닥 부재(726)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윤활 부재는 프론트 하우징(710)의 디스플레이(711)의 둘레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윤활 부재는, 분리형 입력 장치(720)가 프론트 하우징(710)에 결합한 상태(또는 결합 상태)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720)의 바닥 부재(726)가 프론트 하우징(710)의 디스플레이(711)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윤활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윤활 부재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테프론 재질의 일정 두께를 갖는 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윤활 부재는 POM 등의 테프론, 나일론 계열 사출물, 합성 수지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기능으로, 윤활 부재는 분리형 입력 장치(720)가 회전될 때, 바닥 부재(726) 또는 디스플레이(711)에 달라붙은 이물질(예: 볼(7241) 또는 금속 재질의 제1 환형 부재(721)의 마찰에 따른 파티클)을 제거하는 역할도 수행 할 수 있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7a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도 7a의 B-B' 단면은 분리형 입력 장치(720)에서 자성 부재(725)가 포함된 부분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720)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자성 부재(725)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자성 부재(725)는 제2 환형 부재(722) 또는 제2 환형 부재(722)와 가이드 부재(723)의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자성 부재(725)는 바닥 부재(726)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722)가 제1 환형 부재(72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 시, 제2 환형 부재(722)와 함께 제1 환형 부재(721) 또는 프론트 하우징(710)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는 제2 환형 부재(722)가 회전할 때 자성 부재(725)의 회전 궤적과 수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센서 모듈(도 5의 53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자성 부재(725)의 자력을 검출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 부재(525)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8개소가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723)는 제1 환형 부재(721) 방향(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72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3)의 돌출부는 제1 환형 부재(721)의 외주면에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는 가이드 부재(723)(또는 가이드 부재와 고정된 제2 환형 부재(722))가 제1 환형 부재(721)에 대하여 회전할 때, 볼(도 7b의 7241)와 함께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탄성 구조 및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분리형 입력 장치(800)는 제1 환형 부재(810), 제2 환형 부재(820) 및, 제1 환형 부재(810)와 제2 환형 부재(820)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830)는 제1 환형 부재(810)의 외주면(812)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23)는 제2 환형 부재(820)와 고정 결합되거나, 제2 환형 부재(8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제2 환형 부재(820)의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환형 부재(820)와 가이드 부재(830)는 함께 제1 환형 부재(810)에 대하여 원주 방향(rd)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830)는, 분리형 입력 장치(800)의 원주 방향(rd)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볼 유닛(840)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유닛(840)은 볼(841)과 결합봉(8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볼 유닛(840)은 가이드 부재(830)의 적어도 일부분에 원주 방향(rd)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유닛(840)은 결합봉(842)이 수용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가이드 부재(830)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볼 유닛(840)은 볼(841)과 결합봉(842)이 별도로 생성된 후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841)은 결합봉(842)과 임의의 적절한 접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거나, 볼(841)과 결합봉(842)은 이중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볼(841)은 제1 환형 부재(810)의 외주면(812)과 맞닿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830)(또는 제2 환형 부재(820)는, 제1 환형 부재(810)의 볼(841)이 외주면(81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제1 환형 부재(810)에 대하여 원주 방향(rd)(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810)의 외주면(812)은 원주 방향(rd)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멈춤 홈(81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환형 부재(820)가 원주 방향(rd)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환형 부재(820)에 구속된 또는 고정된 가이드 부재(830)는 제1 환형 부재(810)에 대하여 원주 방향(rd)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830)의 회전에 따라, 제1 환형 부재(810)의 외주면(812)에 맞닿은 볼(841)은 멈춤 홈(811)과 평면 영역(812a)을 교차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볼(841)의 직경은 멈춤 홈(8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830)의 회전에 따라 볼(841)이 평면 영역(812a)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볼(841)이 멈춤 홈(811)에 완전히 걸려 원활한 회전이 방해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800)는 볼 유닛(840), 즉, 볼(841)을 분리형 입력 장치(800)의 원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d)에 대하여 가압하는 탄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830)는 구조적인 형상으로 볼(841)을 가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830)는 볼 유닛(840)이 포함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 리브(831) 및 제2 리브(8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831) 및 제2 리브(832)는, 볼(841)이 멈춤 홈(811)에 삽입되는 위치(interposition)에서 평면 영역(812a)으로 이동(또는, 멈춤 홈(811)에서 이탈)하는 경우, 제2 환형 부재(8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831) 및 제2 리브(832)는, 볼(841)이 평면 영역(812a)에 위치(또는 멈춤 홈(811)에서 이탈)하는 경우, 각각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또는 응력)을 가지게 되어 볼(841)을 반경 방향(d)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830)는 제1 환형 부재(810)에 대하여 제2 환형 부재(820)가 회전하는 동안, 제1 리브(831) 및 제2 리브(832)의 변형에 따라서 볼(84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830)는 가요성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리브(831) 및 제2 리브(832)는, 제2 환형 부재(820)가 회전하여 볼(841)이 다시 멈춤 홈(811)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841)이 멈춤 홈(811)에 삽입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볼(841)의 멈춤 홈(811)에 대한 삽입과 이탈을 반복하는 동작에 의하여, 분리형 입력 장치(800)는 사용자에게 조절 감(예: 회전 중 걸리는 느낌 또는 회전 중 멈추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조절 감은 클릭 감 또는 디텐트 감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조절 감은 볼(841) 및 볼(841)과 맞닿은 제1 환형 부재(810)의 외주면(812)의 재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841) 및 제1 환형 부재(810)는 금속,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러버, 또는 세라믹 재질 중 하나 또는 각각의 이 조합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볼(841) 및 제1 환형 부재(810) 각각의 소재에 따라 조절감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조절 감은 볼(841)을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830)의 재질 및/또는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볼(841)이 멈춤 홈(811)에서 삽입되고 이탈하는 동작들의 속도에 의하여 조절 감이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속도는 가이드 부재(83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830)가 제공하는 탄성력(또는, 탄성 계수)은, 제1 리브(831) 및 제2 리브(83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거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830)의 제1 리브(831) 및 제2 리브(832)의 재질 및/또는 형상에 따라 조절 감이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대안적인 탄성 구조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8 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볼 유닛(940)은 볼(941) 및 탄성 부재(94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942)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942)는 제2 환형 부재(920)에 포함된 수용 홈(921)에 수용되어 볼(941)을 제1 환형 부재(910)의 외주면(912)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부재(942)는, 볼(941)이 평면 영역(912a)에 위치(또는 멈춤 홈(911)에서 이탈)하는 경우, 볼(941)을 반경 방향(d)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부재(942)는, 제2 환형 부재(920)가 회전하여 볼(941)이 멈춤 홈(911)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941)이 멈춤 홈(911)에 삽입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볼(941)의 멈춤 홈(911)에 대한 삽입과 이탈을 반복하는 동작에 의하여, 분리형 입력 장치(900)는 사용자에게 조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대안적인 탄성 구조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1020)는 내측에 수용 홈(10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 홈(1021)에는 회전 부재(1041)가 연결된 연결부(1042)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부재(1041)는 연결부(1042)의 일 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 부재(1041)는 바퀴로 지칭될 수 있다. 회전 부재(1041)의 외주면은 제1 환형 부재(1010)의 외주면(1012)과 맞닿을 수 있다. 회전 부재 (1041)는, 제2 환형 부재(1020)가 원주 방향(rd)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환형 부재(1010)의 외주면(1012)에 회전하며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1041)는, 제2 환형 부재(1020)가 원주 방향(rd)으로 회전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멈춤 홈(1011) 과 평면 영역(1012a)을 포함하는 외주면(1012)을 회전하며 슬라이딩 운동하여, 사용자에게 조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0)의 프론트 하우징(1110), 프론트 하우징(1110)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101), 디스플레이(110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1120) 및 하우징(1110)의 양 단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1120)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 무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론트 하우징(1110)으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트랩(1130)도 다양한 형상 및 재질, 무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론트 하우징(1110)으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원하는 형상 및 재질, 무늬를 가지는 분리형 입력 장치(1120) 및/또는 스트랩(1130)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1120a)는, 디자인적 요소로서, 외주면에 볼록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정 각도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인식 요소로서 눈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의 측면부는, 사용자가 분리형 입력 장치(1120a)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또는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주면의 측면부는 복수의 오목부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형상을 가지거나(예: 도 3의 340)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 도5의 522)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1130a)은 결 무늬를 포함하며, 가죽 또는 금속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1a)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시간이 표시된 UI(user interface)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b)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1120b)는, 디자인적 요소로서, 평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짙은 명암의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1130b)은 무늬를 가지지 않으며, 러버, 실리콘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1b)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간 표시가 없는 심플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론트 하우징과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입력 장치의 교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외관의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조립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여 도 12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210 동작에서, 가이드 부재(523)를 준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523)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23)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524)(또는 볼 유닛(도 7a의 724))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볼 각각은 등각도(90)의 사이 각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1220 동작에서, 1210 동작에서의 조립체와 제2 환형 부재(52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환형 부재(522)의 내측 공간에 가이드 부재(523)가 수용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1230 동작에서, 1220 동작에서의 조립체와 제1 환형 부재(521)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23)는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측에서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주면(5211)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내측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볼(524)은 제1 환형 부재(521)의 외주면(5211)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23)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볼(524)은 외주면(5211)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 홈(5212)에 삽입과 이탈을 반복하여, 사용자에게 조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1240 동작에서, 1230 동작에서의 조립체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 부재(52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성 부재(525)는 가이드 부재(523) 또는 제2 환형 부재(522)에 제공되는 수용 홈에 실장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성 부재(525)는 일정한 사이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8개의 자성 부재(525)는 일정 한 각도(45도)의 사이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1250 동작에서, 1240의 조립체에 바닥 부재(526)가 결합될 수 있다. 바닥 부재(526)는 제2 환형 부재(522)의 내측 공간에 가이드 부재(523)를 단속하는 방식으로 제2 환형 부재(522)와 결합될 수 있다.
1260 동작에서, 1250의 조립체에 고정핀(527)을 결합하여 바닥 부재(526)를 제2 환형 부재(522)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핀(527)은 바닥 부재(526)가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거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핀(527)은 고정 테이프(5271)를 접착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 부재(526) 및 제2 환형 부재(522)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1260 동작은 생략 될 수 있다.
1210동작 내지 1260 동작에 의하여 분리형 입력 장치(52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1270 동작에서, 하우징(510)이 준비될 수 있다. 하우징(510)은 상면(또는 제1 면(511))에 형성된 개구(512) 및 개구의 테두리에서 제1 방향(d1)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돌출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13)에는 고정링(54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510)은 고정링(540)의 결합을 통하여 1210동작 내지 1260 동작에 의하여 완성된 분리형 입력 장치(520) 사이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1280 동작에서, 1210동작 내지 1260 동작에 의하여 완성된 분리형 입력 장치(520)를 1270 동작에서 준비된 하우징(5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분리형 입력 장치(520) 및 하우징(510) 사이의 결합 구조는 제1 방향(d1)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원주 방향(rd)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형 입력 장치(520)는 하우징(510)의 개구(512)를 둘러싸도록 제2 방향(d2)으로 장착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5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분리형 입력 장치(5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형 입력 장치(520)를 일정한 힘 이상의 힘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제1 방향으로 이탈시켜 분리형 입력 장치(520)를 하우징(5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동작 후에, 환형 부재가 결합된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스트랩을 조립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립을 도와주는 조립 도구(tool)를 도시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300)의 하우징(1310)과 분리형 입력 장치(1320)의 결합 동작(예: 도 12의 동작 1280)은 조립 도구(1330)(또는 지그(Jig))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1320)는 하우징(1310)과 고정 결합하는 제1 환형 부재(1321)와 제1 환형 부재(13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환형 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1321)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13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조립 도구(1330)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1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조립 돌기(133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립 도구(1330)를 조립 돌기(1331)가 조립 홈(1321)에 삽입되도록 분리형 입력 장치(1320)에 안착시키고 조립 도구(1330)를 회전하여 제1 환형 부재(13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제2 환형 부재(13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1 환형 부재(1321)를 하우징(1310)에 회전 결합시키는 물리적 힘을 직접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환형 부재(1321)에 직접 회전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조립 도구(1330)를 이용하여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 도구(1330)는 사용자가 회전 힘을 전달하기에 용이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 도구(133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들이 포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조립 도구(133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은 마찰력이 큰 재질,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소재가 씌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분리형 입력 장치의 상호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하우징(1410)과 분리형 입력 장치(142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형 입력 장치(1420)의 제1 환형 부재(1421)는 내측면에 암-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10)은 하우징(1410)의 상면에서 돌출된 고정부(14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11)는 고정부(1411)의 외측면에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수-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환형 부재(1421) 및 고정부(1411)는 각각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서로 고정됨으로써, 분리형 입력 장치(1420)는 하우징(1410)에 조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대안적으로, 고정부(1411)의 내측면에 암-나사산을 포함하고 제1 환형 부재(1421)의 외측면에 수-나사산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1500)는 프론트 하우징(1510)에 분리형 입력 장치(1520)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 입력 장치(1520)는 프론트 하우징(15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환형 부재(1521)와 제1 환형 부재(15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2 환형 부재(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환형 부재(1522)는 프론트 하우징(15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extended part)(1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론트 하우징(1510)은 연장부(1523)의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하우징(1510)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론트 하우징(1510)은 연장부(1523)가 노출되지 않도록 연장부(1523)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5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절감을 구현하는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위해 도 16의 전자 장치(1600)는 도 15에 개시된 전자 장치(15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600)는 프론트 하우징(1610)과 분리형 입력 장치(162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 입력 장치(1620)는 제1 환형 부재(1621) 및 제2 환형 부재(1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1621)는 프론트 하우징(1610)의 상부에 배치된 고정부(161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환형 부재(1621) 및 고정부(1611) 상호 간의 결합 구조는 상술한 후크 결합 구조 또는 나사 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제2 환형 부재(1622)는 프론트 하우징(16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장부(162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1610)은 상기 연장부(1623)를 수용할 수 있는 도랑(trench)(1612)(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랑(1612)은 프론트 하우징(1610)의 개구부(예: 도 15의 1511) 주변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랑(1612)은 제2 환형 부재(1622)의 회전에 따라 연장부(1623)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1600)는 제2 환형 부재(1622)의 회전에 따르는 조절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측면 탄성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환형 부재(1622)의 연장부(1623)는 내측면(1623a)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멈춤홈(1623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1610)은 연장부(1623)의 내측면(1623a)과 마주보는 도랑(1612)의 내측면(1612a)에 적어도 하나의 볼 유닛(1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유닛(1630)은 제2 환형 부재(1622)가 회전함에 따라 연장부(1623)의 멈춤홈(1623b)이 회전하는 가상의 경로를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 유닛(1630)은 볼(1631) 및 탄성 부재(1632)(예: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볼(1631)은 탄성 부재(1632)에 의하여 연장부(1623)의 내측면(1623a)을 향하여 가압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환형 부재(1622)가 회전함에 따라 내측면(1623a)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홈(1623b)에 상기 볼(1631)이 삽입과 이탈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는 분리형 입력 장치(1620)의 제2 환형 부재(16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감을 느낄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5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조절감을 구현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도 17의 전자 장치(1700)는 도 15 또는 도 16에 개시된 전자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700)는 자성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환형 부재(1722)는 연장부(1723)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자성 부재(1723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1710)은 제2 환형 부재(172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제1 자성 부재(1723b)의 가상의 회전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자성 부재(171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자성 부재(1723b)는 연장부(1723)의 내측면(1723a)에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자성 부재(1712b)는 프론트 하우징(1710)의 도랑(1712)의 내측면(1712a)에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자성 부재(1723b)와 제2 자성 부재(1712b) 사이의 자력(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제2 환형 부재(1722)를 회전시킴에 따르는 조절감을 느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자성 부재(1723b) 및 제2 자성 부재(1712b)는 같은 극의 자석으로 구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척력이 작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자성 부재(1723b) 및 제2 자성 부재(1712b)는 서로 다른 극의 자석으로 구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자성 부재(1712b)는 서로 다른 극의 자석이 번갈아 배치되도록 프론트 하우징(1710)에 정렬되어 제2 환형 부재(1722)의 회전에 따라 인력과 척력이 번갈아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자성 부재(1723b) 및 제 2 자성 부재(1712b)는 N극 또는 S극의 자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5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성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도 18의 전자 장치(1800)는 도 15 또는 도 16에 개시된 전자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800)는 분리형 입력 장치(1820)의 회전 정도를 검출할 수 있는 측면 센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형 입력 장치(18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18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형 입력 장치(18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제2 환형 부재(1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환형 부재(1822)는 프론트 하우징(1810)에 일부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82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1822)는 상기 연장부(1823)에 상기 하우징의 중심(예: 도 15의 개구부(1511)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론트 하우징(18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1822)는 제2 환형 부재(1822)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가상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프론트 하우징(1810)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30)은 제2 환형 부재(182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자기 요소(1824)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회전 정도(rotation parameter)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30)은 홀 IC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자기 요소(1824)는 연장부(1823)(또는, 제2 환형 부재(1822))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8개의 자기 요소(1824)가 등각도(45도))의 사이 각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를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detachable coupled)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제1 면 상에 개구(opening) 및 상기 개구의 테두리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돌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결합 구조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결합 구조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크 구조,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후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후크 구조에 제한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조립된 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시 상기 제2 후크 구조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detachably coupled)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rotatably coupled) 제2 환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는 볼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볼을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볼을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는 회전 축을 가지는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은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원주 면에 대응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환형 부재가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원주 면에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멈춤 홀을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멈춤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interpose)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른 조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복수의 자성 부재(magnetic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성 부재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원주 방향으로 분리형 입력 장치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회전에 따른 상기 자성 부재의 회전 정도(rotation parameter)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검출된 상기 회전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내용을 적어도 일부분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인체의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분리형 입력 장치는 제1 환형 부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rotatably coupled) 제2 환형 부재,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는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외주면에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멈춤 홀을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멈춤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interpose)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른 조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내주면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면을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회동 구조체(rotatable structure),-상기 회동 구조체는: 상기 제1 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가상의 경로(imaginary path)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들(recesses) 및 돌출부들(protrusions)을 포함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환형 링; 상기 제1 환형 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rotatably mounted)되며, 상기 제2 면을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를 따라 제1 환형 링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2 환형 링; 상기 제2 환형 링이 상기 제1 환형 링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는 동안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 사이의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들; 및 상기 복수의 베어링들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재를 포함-; 상기 하우징 상에 또는 안에 위치되며, 상기 제2 환형 링의 회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디텍터(detector); 상기 개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텍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검출된 회전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변경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상기 전자 장치를 인체의 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착 부재는 인체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3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면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면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목부들의 적어도 하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베어링은 제2 환형 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복수의 베어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가요성 부재는, 상기 제2 환형 링이 상기 제1 환형 링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게 위치(positioned to be deformable)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회동 구조체는 상기 경로를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 환형 링에 분기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기 요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텍터는 상기 자기 요소의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분리형 입력 장치;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를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detachable coupled)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면 상에 개구(opening); 및
    상기 개구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돌출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detachably coupled)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rotatably coupled) 제2 환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는 볼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압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 사이에 구성되는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결합 구조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후크 구조; 및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후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후크 구조에 제한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조립된 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시 상기 제2 후크 구조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전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볼을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볼을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는 회전 축을 가지는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은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원주 면에 대응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환형 부재가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원주 면에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멈춤 홀을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멈춤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interpose)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른 조절감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는 복수의 자성 부재(magnetic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성 부재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원주 방향으로 분리형 입력 장치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분리형 입력 장치의 회전에 따른 상기 자성 부재의 회전 정도(rotation parameter)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검출된 상기 회전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내용을 적어도 일부분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인체의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 환형 부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측에 대하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rotatably coupled) 제2 환형 부재;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 및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는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압하는 분리형 입력 장치.
  17. 삭제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외주면에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멈춤 홀을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멈춤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interpose)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회전에 따른 조절감을 제공하는 분리형 입력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내측 내주면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분리형 입력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장식 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입력 장치.
KR1020170052913A 2017-04-25 2017-04-25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5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13A KR102355149B1 (ko) 2017-04-25 2017-04-25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5/960,668 US10564738B2 (en) 2017-04-25 2018-04-24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etachable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13A KR102355149B1 (ko) 2017-04-25 2017-04-25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24A KR20180119324A (ko) 2018-11-02
KR102355149B1 true KR102355149B1 (ko) 2022-01-25

Family

ID=6385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913A KR102355149B1 (ko) 2017-04-25 2017-04-25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64738B2 (ko)
KR (1) KR102355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763B2 (en) * 2015-01-20 2019-05-0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671807B2 (en) * 2016-11-11 2023-06-06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8205150A (ja) * 2017-06-06 2018-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KR102588809B1 (ko) * 2018-02-21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부재의 유동 제한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87843B (zh) * 2018-05-07 2020-03-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裝置、及其通知系統與通知方法
CN112470213A (zh) * 2018-07-25 2021-03-09 蓝博Ip有限公司 电子设备、充电端口及便携式托架
CN109270830A (zh) * 2018-11-22 2019-01-25 歌尔科技有限公司 屏幕安装结构及腕戴电子产品
EP3674815B1 (fr) * 2018-12-27 2021-09-29 Omega SA Boite de montre munie d'une bague annulaire, et montre-bracelet et kit d'assemblage d'une montre-bracelet la comprenant
CN110716420B (zh) * 2019-09-23 2020-1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显示方法
KR20210079657A (ko) * 2019-12-20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기 및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1352559B (zh) * 2020-02-27 2021-07-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1381484B (zh) * 2020-03-10 2021-10-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10150665A (ko) * 2020-06-04 202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 가능한 장식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03816B2 (en) * 2020-07-08 2022-04-12 Facebook Technologies, Llc Detachable camera block for a wearable device
CN114355755A (zh) * 2021-12-30 2022-04-1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7891153A (zh) * 2022-10-09 2024-04-16 深圳叩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机械齿轮联动电子设备信号录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1688A1 (en) * 2010-03-15 2011-09-15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mobile terminal
JP2015518967A (ja) * 2012-06-06 2015-07-06 オメガ・エス アー 回転ベゼ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862A (ja) * 1997-11-19 1999-08-06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US6556222B1 (en) * 2000-06-30 2003-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zel based input mechanism and user interface for a smart watch
US20020101457A1 (en) * 2001-01-31 2002-08-01 Microsoft Corporation Bezel interface for small computing devices
DE602004023622D1 (de) * 2004-11-26 2009-11-26 Swatch Group Man Serv Ag Uhr mit verwechselbarer Lunette
DE602006015261D1 (de) * 2005-07-08 2010-08-19 Richemont Int Sa Uhr
US8511890B2 (en) * 2006-08-27 2013-08-20 Nike, Inc. Rocking bezel control
US7874722B2 (en) * 2006-08-27 2011-01-25 Nike, Inc. Watch casing integrally formed with watch band
US7778118B2 (en) * 2007-08-28 2010-08-17 Garmin Ltd. Watch device having touch-bezel user interface
US7856697B2 (en) * 2007-08-31 2010-12-28 John Quimod Button with removable face
US8387412B2 (en) * 2008-09-24 2013-03-05 Christopher J. O'Byrne Articl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ornaments
US8957835B2 (en) * 2008-09-30 2015-02-17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8624836B1 (en) * 2008-10-24 2014-01-07 Google Inc. Gesture-based small device input
CN104793482B (zh) * 2009-04-26 2019-01-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运动手表
US8205370B2 (en) * 2010-03-01 2012-06-26 Disney Enterprises, Inc. Two-piece wristband with interchangeable lasso band element for user selectable sizing
AU2013266070A1 (en) * 2012-05-25 2015-01-29 James J. Jacobi Jr. Apparatus for horologe with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face
US8994827B2 (en) *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GB201306989D0 (en) * 2013-04-17 2013-05-29 Tomtom Int Bv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6160482B2 (ja) * 2013-12-27 2017-07-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26116A (ko) 2014-05-02 2015-11-11 김귀탁 교체 가능한 패션 시계
US9706829B2 (en) * 2014-07-21 2017-07-18 Rocky Gabriel Tilney Portable docking device
KR102271833B1 (ko) * 2014-09-01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239316B1 (ko) * 2014-09-02 2021-04-13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CN105511846B (zh) * 2014-09-24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显示控制方法
US9785123B2 (en) * 2014-09-26 2017-10-10 Intel Corporation Digital analog display with rotating bezel
CN105792579B (zh) * 2014-12-23 2020-08-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及应用该壳体的穿戴式电子装置
KR20160099399A (ko) * 2015-02-12 201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KR102313898B1 (ko) * 2015-02-27 202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장치
KR20160104950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8027B1 (ko) * 2015-02-27 2022-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104935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체의 회전 인식부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28120A (ko) * 2015-04-28 2016-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353456B1 (ko) * 2015-05-07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9892715B2 (en) * 2015-06-26 2018-02-13 Polar Electro Oy Rotating display
TWM516175U (zh) * 2015-07-23 2016-01-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智慧型手錶
KR102445940B1 (ko) * 2015-08-07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448688B1 (ko) * 2015-08-13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7083978A (ja) * 2015-10-26 2017-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2501766B1 (ko) * 2015-12-01 2023-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열화 방지 방법
KR102535081B1 (ko) * 2015-12-09 202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계-타입 웨어러블 장치
KR102527360B1 (ko) * 2015-12-15 2023-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791833B1 (en) * 2016-04-13 2017-10-17 Google Inc. Physical watch hands for a computerized watch
KR20180024632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45184B2 (en) * 2016-11-11 2018-08-07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guest eng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1688A1 (en) * 2010-03-15 2011-09-15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mobile terminal
JP2015518967A (ja) * 2012-06-06 2015-07-06 オメガ・エス アー 回転ベゼ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24A (ko) 2018-11-02
US10564738B2 (en) 2020-02-18
US20180307333A1 (en)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149B1 (ko)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34554B1 (ko) 밴드 체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0141B1 (ko)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313898B1 (ko) 웨어러블 전자장치
KR10245924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촬영 방법
KR102573190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KR10246812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작 방법
KR102348365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043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recognition unit of rotating bod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52448B1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73491B1 (ko) 회전체의 회전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537543B1 (ko) 지능형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25464B1 (ko)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27624A (ko) 무선 충전용 크래들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
US9750316B2 (en) Buckle apparatus for wearable device
KR1024853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0178462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097102A (ko)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217687A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53532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104950A (ko)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38463B2 (en) Input apparatus i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0423B1 (ko) 전자 장치
EP3550415B1 (en)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427843B1 (ko)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