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4804A1 -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4804A1
WO2020184804A1 PCT/KR2019/013887 KR2019013887W WO2020184804A1 WO 2020184804 A1 WO2020184804 A1 WO 2020184804A1 KR 2019013887 W KR2019013887 W KR 2019013887W WO 2020184804 A1 WO2020184804 A1 WO 202018480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ctronic device
coupled
charging head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8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허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70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047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04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558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허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허킨스
Priority to US16/610,4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075256A1/en
Publication of WO202018480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48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agnetic or electric supporting means
    • F16C32/0406Magnetic bearings
    • F16C32/0408Passive magnetic bearings
    • F16C32/041Passive magnetic bearings with permanent magnets on one part attracting the other part
    • F16C32/0421Passive magnetic bearings with permanent magnets on one part attracting the other par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and an adsorp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even if the electronic device is operated by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touching the user's hand to the electronic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device for stably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at the changed posi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mounted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and an adsorption device used therein.
  • Smartphone users use their smartphones in various postures. Rather than holding and using the smartphone directly with the user's hand, there is a constant demand to fix the smartphone to a separate device and use the smartphone in a comfortable posture for the user. Is increasing.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1187 name of the invention: smartphone cradle
  • a battery storage space a charging PCB installed in the battery storage space, a femal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CB, and the female connector
  • a pedestal including a charging hole
  • a smart phone mounting portion including a suppo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edestal and configured to be freely bent in multiple directions, and a holding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holding a mobile phone; And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PCB.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operated by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touching the user's hand to the electronic devi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ly mount the electronic device at the changed posi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device is changed.
  •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arging head portion that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charges the electronic device by a wireless charging method when combin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 a support module that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charging head unit, fixedly supports the charging head unit when coupled to the charging head unit, and changes shape according to a three-dimensional position change of the charging head unit including at least one joint unit ;
  •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support module to support the support module, and to restrain the support module during a tilting motion of the support module, wherein the support part includes another spring coil coupled to an outside of one portion of one spring co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uble core coil formed by doing.
  • the charging head unit includes a charging pad in which a portion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o wirelessly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harging pad It may be provided with a pad assembly, which is coupled to other portions, has a spherical shape, and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subto module.
  • the charging head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ad coupled to the charging pad and vacuum-sucking the electronic device.
  • the support module includes a first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arging head part in the shape of a tub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joint part, and one end connected with the joint part in the shape of a tube, and the other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support.
  • the join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and has an internal spac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has a sphe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joint housing. It may include a joint assembly.
  • the support module includes a first cable formed through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support, and the joint, and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charging head part.
  • the second cable may be separated, and a cable portion for transmitting power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 housing into which the double core coil is inserted, a support assembly coupled to the support module, having a spherical shap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housing, and the support assembly
  • a support elastic body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housing in a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upport housing and having elasticity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other part of one spring coil forming the double core coil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assembly.
  •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objec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part.
  • the support part is a first support body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and has an inner space,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being combined with the first support body.
  • a second support body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a plurality of slits, and a toggle clamp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ody and selectively couples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its to fix the second support body, Can include.
  • the charging head unit having a flat surface; And a suction pad that is coupled to the plane of the charging head unit and has a plurality of suction layers that pressuriz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an object that is an object to be mounted, and vacuum-adsorbs and supports the object.
  • a suction pad that is coupled to the plane of the charging head unit and has a plurality of suction layers that pressuriz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an object that is an object to be mounted, and vacuum-adsorbs and supports the object.
  • another suction layer is formed at a position surround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layers, and the plurality of suction layers are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shap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suction layers are constant.
  • the outer shap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layers may b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inclin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height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ngest length. have.
  • the suction pa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 the charging head unit may wirelessly supply power to the object when the object is supported by the suction pad by suction coupling.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by forming a double core coil and a supporting elastic body on the support, even if vibration occurs by a use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odule, etc. is absorbed, and the electronic device It is that vibration can be minimized when using
  • the tilting motion of each of the charging head and the support module is eas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ount electronic devices. It is easy.
  • a suction pad formed of a plurality of suction layers is coupled to the charging head, and by fixing the electronic device using such a suction pad, the electronic device of various weights can be easily adsorbed and fix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harging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charg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arg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nal structure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mounting device.
  • a charging head unit 100 that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charges the electronic device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when combin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 the charging head unit 100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charging head unit 100, fixedly supports the charging head unit 100 when combined with the charging head unit 100, and includes at least one joint unit 220, and the charging head unit 100 A support module 200 whose shap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And a support part 300 that is coupled with the support module 200 to support the support module 200 and constrains the support module 200 during a tilting motion of the support module 200.
  • the tilting motion may mean a mo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or an e-book.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harging head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harging head un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ction pad 130 is not coupled to the charging pad 110
  • FIGS. 5 and 6 the suction pad 130 is coupled to the charging pad 110.
  • the charging head unit 100 is a charging pad 110 in which a portion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wirelessly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 a pad assembly 120 which is coupled to other portions of the charging pad 110, has a spherical shape, and is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module 200.
  • the charging pad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of the charging pad 110 and may include a pad protruding body 112 coupled to the pad assembly 120.
  • a charging head assembly 240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charging head 100 by magnetic force may be formed. have.
  • the charging head assembly 240 is formed of a magne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ad assembly 120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and the head magnetic body 241, and the head magnetic body 241,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pad assembly 120 using magnetic force. )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head 241 and a magnetic head housing 242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211.
  • the magnetic head housing 24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211. Specifically, the magnetic head housing 242 and the first support 211 may be coupled by screwing.
  • the head magnetic body 241 Since the head magnetic body 241 has a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ad assembly 120, when the pad assembly 120 and the head magnetic body 241 are coupled by magnetic force, the spherical pad assembly 120 rotates This is possible, and according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surface 111 of the charging pad 110 that transmits power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can be changed.
  • the charging head assembly 240 and the charging head unit 100 are separable, the user can separate the charging head, and another device having another head magnetic body 24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head magnetic body 241 It can be combined by moving the separated charging head unit 100.
  • the charging pad 110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upled by magnetic force, or a clamp-shaped configuration for tightening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charging head unit 100 is combined to tighten the electronic device. While holding the charging pad 110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mbine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mounted adjacent to the charging pad 110 by using the suction pad 130 as follows.
  • the charging head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ad 130 coupled to the charging pad 110 and vacuum-sucking the electronic device.
  • the suction pad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suction layer.
  • the suction pad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 the suction pad 130 may be formed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uter shap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layers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re inclin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height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ce, which is the longest.
  • a triangular inner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one suction layer. That is, the suction layer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suction pad 130 and is formed by a triangle having no bas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pad 130 perpendicular to the filling surface 111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It can be a shape.
  • another suction lay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urrounding one suction layer. Accordingly, when looking at the suction pad 130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e plurality of suction layers It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centric circle with a constant interval.
  •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of each suction layer may be located at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filling surface 111.
  •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ction layer may mean a portion of the suction layer that contacts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fixedly supported by the suction pad 130.
  •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ction laye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uction pad 130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most spaced apart from the filling surface 111, and the suction layer located at the edge of the suction pad 130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st to the filling surface 111.
  • the suction pad 130 may include a first suction layer 131 to a fifth suction layer 135.
  • the second suction layer 132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first suction layer 131 located at the center, and the formation of such a suction layer is repeatedly performed, and finally, the fourth suction layer 134 is surrounded.
  • the fifth suction layer 135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 each of the first suction layer 131 to the fifth suction layer 135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suction layer 131 is formed at a position most spaced apart from the filling surface 111
  • Each suction layer may be form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of each suction layer gradually approaches the filling surface 111 from the second suction layer 132 to the fifth suction layer 135. . Accordingly, when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pad 130, the first suction layer 131 first contacts the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fifth suction layer 135 is the last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come into contact with.
  • the positions of the first to fifth suction layers 131 to 135 are described as being formed as described abov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contact portions of each suction layer The posit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Specifically, the positions of the contact portions of each suction layer may be formed identically, or may b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stead of sequenti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 suction pad 130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pad 130 as described above, when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pad 130 and pressurized, vacuum adsorption is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by a plurality of suction layers, so that electronic devices of various weights It can be easily supported and mounted.
  • the support module 200 has a first support 211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head part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joint part 220 in the shape of a tube, and one end with the joint part 220 in the shape of a tub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212, which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300.
  •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second support 212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 the number of supports such as the first support 211 or the second support 212 may increase.
  • a case where one joint part 220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 the joint part 22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211 and coupled to the joint housing 221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the second support 212, and has a spherical shape and a joint It may include a joint assembly 222,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21.
  • the joint housing 221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joint assembly 222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212.
  • the inner space of the joint housing 221 is formed of a magnet and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joint assembly 222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a magnetic joint 223 that fixes the joint assembly 222 using magnetic force can be formed.
  • the joint housing 22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211. Specifically, the joint housing 221 and the first support 211 may be coupled by screwing.
  • the spherical joint assembly 222 is rotated. This becomes possible, and accordingly, the relativ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second support 212 by the relative tilting motion of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second support 212 by the user's manipulation. May be changed, and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second support 212 whose positions are chang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joint magnetic body 223 and the joint assembly 222 as described above may be fixed.
  • a joint fixture that is formed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having elasticity in the inner space of the joint housing 221 and has a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joint joint 222 to fix the joint joint 222 using frictional force. 224 may be formed.
  • the joint fixture 224 is formed instead of the magnetic joint 223, the spherical joint assembly 222 is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and thus, the first support 211 by the user's manipulation
  •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second support 212 can be changed by the relative tilting movement of the and second support 212, and the joint fixture 224 and the joint assembly 222 as described above
  •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second support 212 whose positions are chang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may be fixed.
  • the joint fixture 224 having elasticity may have magnetism at the same time, and in this case, the joint fixture 224 may perform the function implemented by the joint magnet body 223 by using magnetic force. .
  • the support module 200 includes a first cable 231 formed through the first support 211 and the second support 212 and the joint 220, and the first cable 231 ) And a second cable 232 that is connected to and selective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charging head unit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cable unit for transmitting power.
  • the second cable 232 is a coil-shaped body 232a formed of a coil-shaped electric cable and a power supply 232b coupled with the charging head 100 to supply power to the charging head 100 It can be provided.
  • the charging pad 110 may have a power connector 113, and the power supply unit 232b is inserted into the power connector 113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charging head unit 100 through the cable unit. I can.
  • the length of the second cable 232 can be varied by the coil-shaped body 232a, and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second cable 232 when the power supply 232b is combined with the charging head unit 100 It is easy to adjus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32b and the power connector 113 even during the tilting motion of the charging head unit 100.
  • the support part 300 may include a double core coil 310 formed by coupling another spring coil outside a portion of one spring coil.
  • the support part 300 is coupled to the support housing 320 into which the double core coil 310 is inserted, the support module 200, and has a sphe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housing 320 330, and a support elastic body 340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housing 320 in a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upport assembly 330 and having elasticity,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other part of one spring coil forming the double core coil 3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pport assembly 330.
  •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may be formed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 the double core coil 310 includes a first core coil 311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re coil 311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in the shape of a coil.
  • a second core coil 312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il surrounding a portion to be performed.
  •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re coil 31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re coil 312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re coil 312 It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212 may be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 the first core coil 311 Silv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 the contact rotation angle which is the rotation angle at which the first core coil 311 and the support assembly 330 begin to contact
  •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is smaller than that, the frictional force and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core coil 312 are provided to the support assembly 330, whereby the charging head part 100 and The weight of the support module 200 may be supported.
  • the second core coil 312 is bent due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assembly 330,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core coil 312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support force for the second support 212.
  •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tilting angle of the second support 212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is the same or greater than the contact rotation angle, the friction force of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And the elastic force,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core coil 312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core coil 311 are provided to the support assembly 330, whereby the weight of the charging head unit 100 and the support module 200 is supported. I can.
  • the first core coil 311 and the second core coil 312 are bent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assembly 330, the elasticity of the first core coil 311 and the second core coil 312 increases. Supporting force for the second support 212 may be increased.
  • the first core coil 311 and the second core coil 312 respectivel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is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support assembly 33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core coil 311 and the second core coil 312 is variable, so that the support part 300 becomes the charging head part 100 and the support module ( 200) can be easily supported.
  • the most load can be transmitted to the support part 300, and when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and the support assembly 330 is increased in the support part 300,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 the force to operate the support module 200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and the support assembly 330 is reduced, the charging head unit ( It may not be easy to fix the support module 200 by the support part 300 due to the weight of 100) and the support module 200.
  • the dual core coil 310 which has a variabl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assembly 33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assembly 330 and coupled to the user.
  • the second support 212 moves smoothly,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odule 200 even after time passes.
  •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is formed in a shape in contact with an area of a portion of the support assembly 330, so that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provides a frictional force when the support assembly 330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head unit 100 ),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may absorb vibration generated by the user's contact with the electronic device.
  • the second core coil 312 or the first core coil 311 in contact with the support assembly 330 (the first core coil 311 is a support assembly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tilting angle of the second support 212).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bsorbed by (can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330).
  • FIGS. 1 to 3 the support part 400 may be formed in a disc shape to simply place the support part 300 on a plane, but like the support part 400 of FIG. 10, the support part 400 It may be formed in a shape for fixing to the same plate-shaped object.
  • the support part 4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410 and the first support body 410, which are coupled with the support part 300 and have an internal space.
  • a second support body 420 having a variable length exposed to the outside by combining with the sieve 410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ts 422, and a second support body 420 having a plurality of slits 422, and a plurality of slits 422 combined with the first support body 410 It may include a toggle clamp 430 for fixing the second support body 420 by selectively coupling with any one slit 422.
  • the first support body 410 may have a shape of a tub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 the second support body 4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410.
  • a support part fixing body 412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00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410.
  • the first support body 410 and the second support body 420 each have a first fixing body 411 and a second fixing body 421 that contact the side of the plate-shaped object to fix the support part 400, ,
  • the entire length of the support part 400 is adjusted, so that the first fixing body 411 and the second fixing body 42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shaped object at the same time, and the ring body 431 having a curved end provided in the toggle clamp 430 is inserted into any one slit 422 and the first support body 410 and
  • the combined toggle clamp 430 provides a pulling force to the second support body 420, so that the first fixing body 411 and the second fixing body 421 pressurize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shaped object while the support part 400 Can be fixed to a plate-shaped object. Matters on the principle of the toggle clamp 430 are known techniques, and thus will be omitted.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by forming the double core coil 310 and the support elastic body 340 on the support part 300, even if the user manipulates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e support module It is said that vibrations such as 200 are absorbed, so that vibration can be minimized when using electronic devices.
  • each of the charging head unit 100 and the support module 200 The tilting movement of the device is easy an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mount electronic devices.
  • a suction pad 130 formed of a plurality of suction layers is coupled to the charging head unit 100, and by fixing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uction pad 130, electronic devices of various weights are easily adsorbed. It can be fixed.
  • charging head 110 charging pad
  • suction pad 131 first suction layer
  • support module 211 first support
  • joint magnetic body 224 joint fixture
  • first cable 232 second cable
  • charging head assembly 241 head magnetic body
  • head magnetic housing 300 support
  • support assembly 340 support elastomer
  • support 410 first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를 거치시키고 전자 기기에 사용자의 손을 접촉시켜 전자 기기를 조작하더라도 전자 기기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거치된 전자 기기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위치에서 전자 기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전자기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전자기기와 결합 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자기기를 충전 시키는 충전헤드부; 충전헤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충전헤드부와 결합 시 충전헤드부를 고정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충전헤드부의 3차원 위치 변경에 따라 형상이 변경되는 서포트모듈; 및 서포트모듈과 결합하여 서포트모듈을 지지하고, 서포트모듈의 틸팅 운동 시 서포트모듈을 구속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대표도 - 도 1>

Description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본 발명은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흡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를 거치시키고 전자 기기에 사용자의 손을 접촉시켜 전자 기기를 조작하더라도 전자 기기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거치된 전자 기기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위치에서 전자 기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흡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이에 비례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직접 사용자의 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아닌 스마트폰을 별도의 장치에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편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 기기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접촉 시 스마트폰의 진동이 발생하거나, 스마트폰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187호(발명의 명칭: 스마트폰 거치대)에서는, 배터리 수납공간,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 내에 설치된 충전용 PCB, 상기 충전용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암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를 수용하는 충전홀을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굽어지도록 구성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휴대폰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부; 및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충전용PCB와 접속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를 거치시키고 전자 기기에 사용자의 손을 접촉시켜 전자 기기를 조작하더라도 전자 기기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에 거치된 전자 기기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위치에서 전자 기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자기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전자기기와 결합 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 시키는 충전헤드부; 상기 충전헤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충전헤드부와 결합 시 상기 충전헤드부를 고정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헤드부의 3차원 위치 변경에 따라 형상이 변경되는 서포트모듈; 및 상기 서포트모듈과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서포트모듈의 틸팅 운동 시 상기 서포트모듈을 구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스프링코일 일 부위 외측에 다른 스프링코일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이중코어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헤드부는, 일 부위가 상기 전자기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무선으로 상기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패드, 및 상기 충전패드의 타 부위와 결합하고, 구형의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서프토모듈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패드결합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헤드부는, 상기 충전패드와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진공 흡착하는 석션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모듈은, 관의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충전헤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절부와 결합하는 제1서포트, 및 관의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관절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제2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1서포트와 결합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관절하우징, 및 상기 제2서포트와 결합하며, 구의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관절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관절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모듈은, 상기 제1서포트와 상기 제2서포트 및 상기 관절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충전헤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고, 전력을 전달하는 케이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중코어코일이 인입되는 지지하우징, 상기 서포트모듈과 결합하며, 구의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지지결합체, 및 상기 지지결합체의 일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지지하우징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지지탄성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코어코일을 형성하는 하나의 스프링코일 타 부위가 상기 지지결합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고, 소정의 물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제1받침체, 상기 제1받침체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제1받침체와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하고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제2받침체, 및 상기 제1받침체와 결합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릿 중 어느 하나의 슬릿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2받침체를 고정시키는 토글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평면을 구비하는 충전헤드부; 및 상기 충전헤드부의 평면과 결합하고, 거치의 대상이 되는 물체인 대상물체의 일면과 가압 접촉되는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체를 진공 흡착하여 지지하는 석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패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석션레이어를 둘러 싸는 위치에 다른 석션레이어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는 각각의 석션레이어의 간격이 서로 일정한 동심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석션레이어의 외형은 내측면과 외측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고 가장 길이가 긴 외측 원주 길이 보다 높이가 작은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석션패드는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헤드부는, 상기 석션패드에 상기 대상물체가 흡착 결합으로 지지되는 경우, 무선으로 상기 대상물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부에 이중코어코일과 지지탄성체를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서포트모듈 등의 진동이 흡수되어, 전자 기기의 사용 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헤드부 및 서포트모듈의 틸팅 운동에도 탄성력과 마찰력 및 자기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틸팅 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충전헤드부 및 서포트모듈 각각의 틸팅 운동이 용이함과 동시에 전자 기기의 거치도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충전헤드부에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로 형성되는 석션패드가 결합하고, 이와 같은 석션패드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중량의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헤드부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헤드부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내부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전자기기와 결합 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자기기를 충전 시키는 충전헤드부(100); 충전헤드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충전헤드부(100)와 결합 시 충전헤드부(100)를 고정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220)를 포함하여 충전헤드부(100)의 3차원 위치 변경에 따라 형상이 변경되는 서포트모듈(200); 및 서포트모듈(200)과 결합하여 서포트모듈(200)을 지지하고, 서포트모듈(200)의 틸팅 운동 시 서포트모듈(200)을 구속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틸팅 운동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책 등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헤드부(100)의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헤드부(100)의 모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헤드부(10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4에서는 충전패드(110)에 석션패드(130)가 결합되어 있지 않고, 도 5와 도 6에서는 충전패드(110)에 석션패드(130)가 결합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전헤드부(100)는, 일 부위가 전자기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무선으로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패드(110), 및 충전패드(110)의 타 부위와 결합하고, 구형의 형상을 구비하며, 서포트모듈(200)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패드결합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패드(110)는 충전패드(110)의 일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패드결합체(120)와 결합하는 패드돌출체(1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포트모듈(200)에 포함되는 제1서포트(211)의 일단에는 자기력에 의해 충전헤드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충전헤드결합체(240)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헤드결합체(240)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패드결합체(120)와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자기력을 이용하여 패드결합체(120)의 탈부착이 가능한 헤드자성체(241), 및 헤드자성체(241)가 인입되도록 헤드자성체(241)와 대응되는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제1서포트(211)와 결합하는 헤드자성체하우징(242)을 구비할 수 있다. 헤드자성체하우징(242)은 제1서포트(21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자성체하우징(242)과 제1서포트(211)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헤드자성체(241)에서는 패드결합체(120)와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패드결합체(120)와 헤드자성체(241)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구형의 패드결합체(120)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와 접촉 또는 근접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패드(110)의 충전면(111)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충전헤드결합체(240)와 충전헤드부(100)는 분리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충전헤드를 분리할 수 있고, 헤드자성체(241)와 동일한 형상의 다른 헤드자성체(241)를 구비하는 다른 장치에 분리된 충전헤드부(100)를 이동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전자기기에 자석이 부착되어, 충전패드(110)와 전자기기는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충전헤드부(100)에 전자기기를 조여 잡는 집게 형상의 구성이 결합되어 전자기기를 조여 잡아 충전패드(110)와 전자기기가 결합될 수도 있으나, 하기와 같이, 석션패드(13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가 충전패드(110)에 인접하도록 거치시킬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전헤드부(100)는, 충전패드(110)와 결합하고 전자기기를 진공 흡착하는 석션패드(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석션패드(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션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석션패드(130)는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션패드(13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석션레이어의 외형은 내측면과 외측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고 가장 길이가 긴 외측 원주 길이 보다 높이가 작은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석션레이어의 측벽에서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는 삼각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석션레이어는 석션패드(130)의 중심을 관통하고 충전면(111)에 수직인 석션패드(1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밑변이 없는 삼각형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환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석션레이어를 둘러 싸는 위치에 다른 석션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석션패드(130)를 바라보는 경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는 각각의 석션레이어의 간격이 서로 일정한 동심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석션레이어의 접촉부위 각각은 충전면(111)으로부터 각각 다른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석션레이어의 접촉부위는 석션패드(13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전자기기의 일면과 접촉하는 석션레이어의 일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션패드(130)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는 석션레이어의 접촉부위가 충전면(1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석션패드(130)에서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석션레이어의 접촉부위가 충전면(1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션패드(130)에 대한 일 실시 예로써, 석션패드(130)는 제1석션레이어(131) 내지 제5석션레이어(135)를 구비할 수 있고, 가장 중심에 위치하는 제1석션레이어(131)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제2석션레이어(132)가 형성되고, 이와 같은 석션레이어의 형성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제4석션레이어(134)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제5석션레이어(1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석션레이어(131) 내지 제5석션레이어(135) 각각의 형상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며, 제1석션레이어(131)의 접촉부위가 충전면(111)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석션레이어(132)로부터 제5석션레이어(135)로 갈수록 각각의 석션레이어의 접촉부위가 점점 충전면(111)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도록 각각의 석션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일면이 석션패드(130)에 접촉되는 경우, 제1석션레이어(131)가 가장 먼저 전자기기의 일면과 접촉되고, 제5석션레이어(135)가 가장 나중에 전자기기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석션레이어(131) 내지 제5석션레이어(135)의 위치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석션레이어의 접촉부위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석션레이어의 접촉부위의 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석션패드(130)의 구성에 의해, 전자기기의 일면이 석션패드(130)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경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에 의해 다단으로 진공 흡착이 수행되어, 다양한 무게의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지지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
서포트모듈(200)은, 관의 형상으로 일단이 충전헤드부(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관절부(220)와 결합하는 제1서포트(211), 및 관의 형상으로 일단이 관절부(220)와 결합하고 타단이 지지부(300)와 결합하는 제2서포트(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절부(220)가 복수 개인 경우, 제1서포트(211) 또는 제2서포트(212)와 같은 서포트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관절부(220)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절부(220)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절부(220)는, 제1서포트(211)와 결합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관절하우징(221), 및 제2서포트(212)와 결합하며, 구의 형상을 구비하고 관절하우징(221)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관절결합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절하우징(221)은 제1서포트(211)의 타단과 결합하고, 관절결합체(222)는 제2서포트(212)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절하우징(221)의 내부공간에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관절결합체(222)와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자기력을 이용하여 관절결합체(222)를 고정시키는 관절자성체(223)가 형성될 수 있다. 관절하우징(221)은 제1서포트(21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절하우징(221)과 제1서포트(211)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관절자성체(223)에서는 관절결합체(222)와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관절결합체(222)와 관절자성체(223)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구형의 관절결합체(222)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의 상대적인 틸팅 운동에 의해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의 상대적인 3차원 위치가 변경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관절자성체(223)와 관절결합체(222)의 자기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관절하우징(221)의 내부공간에는 탄성을 구비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관절결합체(222)와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이용하여 관절결합체(222)를 고정시키는 관절고정체(2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절자성체(223)가 아닌 관절고정체(224)가 형성되는 경우, 구형의 관절결합체(222)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의 상대적인 틸팅 운동에 의해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의 3차원 위치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관절고정체(224)와 관절결합체(222)의 마찰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을 구비하는 관절고정체(224)가 동시에 자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관절고정체(224)가 자기력을 이용하여 관절자성체(223)가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포트모듈(200)은, 제1서포트(211)와 제2서포트(212) 및 관절부(2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케이블(231), 및 제1케이블(231)과 연결되고 충전헤드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케이블(232),을 포함하고, 전력을 전달하는 케이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블(232)은, 코일 형상의 전기 케이블로 형성되는 코일형상체(232a)와 충전헤드부(1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헤드부(100)와 결합하는 전력공급체(232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패드(110)는 전원연결구(113)를 구비할 수 있고, 전력공급체(232b)가 전원연결구(113)에 인입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케이블부를 거쳐 충전헤드부(100)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형상체(232a)에 의해 제2케이블(232)의 길이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공급체(232b)를 충전헤드부(100)와 결합 시 제2케이블(232)의 길이 조절이 용이함과 동시에 충전헤드부(100)의 틸팅 운동에도 전력공급체(232b)와 전원연결구(113)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300)의 내부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300)의 단면도이다. 지지부(300)는, 하나의 스프링코일 일 부위 외측에 다른 스프링코일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이중코어코일(31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00)는, 이중코어코일(310)이 인입되는 지지하우징(320), 서포트모듈(200)과 결합하며, 구의 형상을 구비하고 지지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지지결합체(330), 및 지지결합체(330)의 일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지지하우징(320)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지지탄성체(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중코어코일(310)을 형성하는 하나의 스프링코일 타 부위가 지지결합체(3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지지탄성체(34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코어코일(310)은 코일의 형상으로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는 제1코어코일(311)과 제1코어코일(311)의 하부를 포함하는 일 부위를 감싸는 코일의 형상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구비하는 제2코어코일(31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제1코어코일(311)의 상부와 제2코어코일(312)의 상단이 지지결합체(330)의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으며, 제2코어코일(312)의 상단이 지지결합체(33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서포트(212)의 타단이 지지결합체(33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지지결합체(330)의 길이 방향 종중심축과 지지결합체(33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지지결합체(330)의 종중심축이 평행한 경우, 제1코어코일(311)은 지지결합체(330)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서포트(212)의 틸팅 운동을 위해 지지결합체(330)가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제1코어코일(311)과 지지결합체(330)가 접촉하기 시작하는 회전 각도인 접촉회전각도 보다 지지결합체(330)의 회전 각도가 작은 경우, 지지탄성체(340)의 마찰력 및 탄성력과 제2코어코일(312)의 탄성력이 지지결합체(330)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충전헤드부(100)와 서포트모듈(200)의 중량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결합체(330)의 회전에 의해 제2코어코일(312)이 휨에 따라 제2코어코일(312)의 탄성이 증가함으로써 제2서포트(212)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서포트(212)의 틸팅 각도 증가로 인해 지지결합체(330)가 회전 각도가 증가하여 접촉회전각도 보다 지지결합체(330)의 회전 각도가 동일하거나 큰 경우, 지지탄성체(340)의 마찰력과 탄성력, 제2코어코일(312)의 탄성력 및 제1코어코일(311)의 탄성력이 지지결합체(330)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충전헤드부(100)와 서포트모듈(200)의 중량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결합체(330)의 회전에 의해 제1코어코일(311)과 제2코어코일(312)이 휨에 따라 제1코어코일(311) 및 제2코어코일(312)의 탄성이 증가함으로써 제2서포트(212)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서포트(211) 또는 제2서포트(212)의 틸팅 각도 증가에 의해 지지부(300)에 전달되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제1코어코일(311)과 제2코어코일(312) 각각의 탄성력이 지지결합체(330)에 순차적으로 제공되고, 제1코어코일(311)과 제2코어코일(312)의 탄성력이 가변함으로써, 지지부(300)가 충전헤드부(100) 및 서포트모듈(20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서 가장 많은 하중이 지지부(3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지지부(300)에서 지지탄성체(340)와 지지결합체(330)의 접촉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지지탄성체(340)와 지지결합체(330)의 마찰력에 의해 서포트모듈(200)을 작동시키는 힘이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고, 반대로 지지탄성체(340)와 지지결합체(330)의 접촉력을 감소시키는 경우, 충전헤드부(100)와 서포트모듈(200)의 중량에 의해 지지부(300)에 의한 서포트모듈(200)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300)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지지결합체(3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탄성력이 가변하는 이중코어코일(310)을 지지결합체(330)에 인입시켜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서포트(212)를 움직일 때는 부드럽지만 시간이 지나도 전자기기의 위치가 서포트모듈(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탄성체(340)가 지지결합체(330)의 일 부위의 면적과 접촉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탄성체(340)가 지지결합체(330)의 회전 시 마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충전헤드부(100)와 결합한 전자기기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지지탄성체(340)가 흡수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결합체(330)와 접촉한 제2코어코일(312) 또는 제1코어코일(311)(제1코어코일(311)은 제2서포트(212)의 틸팅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지결합체(33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에 의해서도 상기와 같은 진동이 흡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4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지지부(300)와 결합하고, 소정의 물체에 설치되어 지지부(300)를 고정 지지하는 받침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400)는 평면에 단순히 지지부(300)를 위치시키기 위해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0의 받침부(400)와 같이, 책상의 상판과 같은 판형의 물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400)는, 지지부(300)와 결합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제1받침체(410), 제1받침체(41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어 제1받침체(410)와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하고 복수 개의 슬릿(422)을 구비하는 제2받침체(420), 및 제1받침체(410)와 결합하고 복수 개의 슬릿(422) 중 어느 하나의 슬릿(422)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제2받침체(420)를 고정시키는 토글클램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받침체(410)는 단면이 사각형인 관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제2받침체(420)는 제1받침체(410)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받침체(410)의 상부면에는 지지부(300)와 결합하는 지지부고정체(4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받침체(410)와 제2받침체(420)는 각각 판형의 물체 측면에 접촉하여 받침부(400)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체(411)와 제2고정체(421)를 구비하고, 제2받침체(420)가 제1받침체(410)에 인입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받침부(4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제1고정체(411)와 제2고정체(421)가 동시에 판형의 물체 측면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고, 토글클램프(430)에 구비된 말단이 휜 형상의 고리체(431)가 어느 하나의 슬릿(422)에 인입되어 제1받침체(410)와 결합한 토글클램프(430)가 제2받침체(420)에 당기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제1고정체(411)와 제2고정체(421)가 판형의 물체 측면을 가압 접촉하면서 받침부(400)가 판형의 물체에 고정될 수 있다. 토글클램프(430)의 원리에 대한 사항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부(300)에 이중코어코일(310)과 지지탄성체(340)를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서포트모듈(200) 등의 진동이 흡수되어, 전자 기기의 사용 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충전헤드부(100) 및 서포트모듈(200)의 틸팅 운동에도 탄성력과 마찰력 및 자기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틸팅 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충전헤드부(100) 및 서포트모듈(200) 각각의 틸팅 운동이 용이함과 동시에 전자 기기의 거치도 용이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헤드부(100)에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로 형성되는 석션패드(130)가 결합하고, 이와 같은 석션패드(13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중량의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 충전헤드부 110 : 충전패드
111 : 충전면 112 : 패드돌출체
113 : 전원연결구 120 : 패드결합체
130 : 석션패드 131 : 제1석션레이어
132 : 제2석션레이어 133 : 제3석션레이어
134 : 제4석션레이어 135 : 제5석션레이어
200 : 서포트모듈 211 : 제1서포트
212 : 제2서포트 220 : 관절부
221 : 관절하우징 222 : 관절결합체
223 : 관절자성체 224 : 관절고정체
231 : 제1케이블 232 : 제2케이블
232a : 코일형상체 232b : 전력공급체
240 : 충전헤드결합체 241 : 헤드자성체
242 : 헤드자성체하우징 300 : 지지부
310 : 이중코어코일 311 : 제1코어코일
312 : 제2코어코일 320 : 지지하우징
330 : 지지결합체 340 : 지지탄성체
400 : 받침부 410 : 제1받침체
411 : 제1고정체 412 : 지지부고정체
420 : 제2받침체 421 : 제2고정체
422 : 슬릿 430 : 토글클램프
431 : 고리체

Claims (14)

  1. 전자기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전자기기와 결합 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 시키는 충전헤드부;
    상기 충전헤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충전헤드부와 결합 시 상기 충전헤드부를 고정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헤드부의 3차원 위치 변경에 따라 형상이 변경되는 서포트모듈; 및
    상기 서포트모듈과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서포트모듈의 틸팅 운동 시 상기 서포트모듈을 구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스프링코일 일 부위 외측에 다른 스프링코일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이중코어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헤드부는,
    일 부위가 상기 전자기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무선으로 상기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패드, 및
    상기 충전패드의 타 부위와 결합하고, 구형의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서프토모듈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패드결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헤드부는, 상기 충전패드와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진공 흡착하는 석션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모듈은,
    관의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충전헤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절부와 결합하는 제1서포트, 및
    관의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관절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제2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1서포트와 결합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관절하우징, 및
    상기 제2서포트와 결합하며, 구의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관절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관절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모듈은, 상기 제1서포트와 상기 제2서포트 및 상기 관절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충전헤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고, 전력을 전달하는 케이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중코어코일이 인입되는 지지하우징,
    상기 서포트모듈과 결합하며, 구의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는 지지결합체, 및
    상기 지지결합체의 일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지지하우징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탄성을 구비하는 지지탄성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중코어코일을 형성하는 하나의 스프링코일 타 부위가 상기 지지결합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고, 소정의 물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제1받침체,
    상기 제1받침체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어 상기 제1받침체와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하고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제2받침체, 및
    상기 제1받침체와 결합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릿 중 어느 하나의 슬릿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2받침체를 고정시키는 토글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 장치.
  11. 평면을 구비하는 충전헤드부; 및
    상기 충전헤드부의 평면과 결합하고, 거치의 대상이 되는 물체인 대상물체의 일면과 가압 접촉되는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체를 진공 흡착하여 지지하는 석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패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석션레이어를 둘러 싸는 위치에 다른 석션레이어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는 각각의 석션레이어의 간격이 서로 일정한 동심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석션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석션레이어의 외형은 내측면과 외측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고 가장 길이가 긴 외측 원주 길이 보다 높이가 작은 원통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석션패드는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충전헤드부는, 상기 석션패드에 상기 대상물체가 흡착 결합으로 지지되는 경우, 무선으로 상기 대상물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PCT/KR2019/013887 2019-03-08 2019-10-22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WO202018480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10,437 US20210075256A1 (en) 2019-03-08 2019-10-22 Electronic-device holding apparatus and electronic-device holding su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56A KR102150476B1 (ko) 2019-03-08 2019-03-08 거치용 흡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거치 장치
KR10-2019-0027056 2019-03-08
KR10-2019-0120463 2019-09-30
KR1020190120463A KR102185589B1 (ko) 2019-09-30 2019-09-30 전자기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804A1 true WO2020184804A1 (ko) 2020-09-17

Family

ID=7235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887 WO2020184804A1 (ko) 2019-03-08 2019-10-22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75256A1 (ko)
JP (1) JP6973815B2 (ko)
WO (1) WO2020184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2384B1 (fr) * 2019-10-24 2021-10-15 Renault Georges Ets Dispositif industriel de recharge d’un outil électromécanique lorsque celui-ci est fixé à un support
US11649848B1 (en) * 2021-10-12 2023-05-16 Amazon Technologies, Inc. Friction vacuum suction cup
US11493080B1 (en) * 2021-10-12 2022-11-08 Amazon Technologies, Inc. Elliptical vacuum suction cup
CN117404574B (zh) * 2023-12-15 2024-03-08 凯晖科技股份有限公司 无限旋转充电平板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661A (ko) * 2004-11-01 2006-05-04 브이케이 주식회사 화상채팅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20120082260A (ko) * 2011-01-13 2012-07-23 (주) 에스문 휴대용 기기의 다단 다관절 거치대
KR101700339B1 (ko) * 2015-11-16 2017-01-26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된 차량용 거치대
KR20170143472A (ko) * 2017-10-11 2017-12-29 오세훈 모바일 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661A (ko) * 2004-11-01 2006-05-04 브이케이 주식회사 화상채팅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20120082260A (ko) * 2011-01-13 2012-07-23 (주) 에스문 휴대용 기기의 다단 다관절 거치대
KR101700339B1 (ko) * 2015-11-16 2017-01-26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된 차량용 거치대
KR20170143472A (ko) * 2017-10-11 2017-12-29 오세훈 모바일 기기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End plate king appearance] Wireless charging? cell-phone holder? One smart supporter!", WADIZ, 31 December 2018 (2018-12-3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26259> [retrieved on 202002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75256A1 (en) 2021-03-11
JP2020145669A (ja) 2020-09-10
JP6973815B2 (ja)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4804A1 (ko)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및 전자기기 거치용 흡착 장치
WO2020141680A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WO2019059473A1 (ko)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WO2014157998A1 (en) Camera lens module
WO2016021865A1 (ko) 카메라 모듈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12030010A1 (ko)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WO2014003281A1 (en) Camera module
WO2010123288A2 (en) Linear vibrator
WO2018026154A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WO2015182806A1 (ko) 이동 단말기의 부상 시스템
WO2011002202A2 (ko) 각변위 가능한 진공-그리퍼 장치
WO2018126568A1 (zh) 夹持装置及移动电源
WO2014133220A1 (ko) 유닛 확장이 가능한 이동통신기기 케이스
WO2019022449A1 (ko)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7164432A1 (ko) 렌즈 구동 장치
WO2017069326A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21235584A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WO2022177141A1 (ko) 플렉시블 부품 공급 장치용 선형 액츄에이터
WO2021137311A1 (ko)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150476B1 (ko) 거치용 흡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거치 장치
KR102185589B1 (ko) 전자기기 거치 장치
WO2022025576A1 (ko) 가압장치, 배터리 모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9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9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