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74B1 -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74B1
KR101690774B1 KR1020160082248A KR20160082248A KR101690774B1 KR 101690774 B1 KR101690774 B1 KR 101690774B1 KR 1020160082248 A KR1020160082248 A KR 1020160082248A KR 20160082248 A KR20160082248 A KR 20160082248A KR 101690774 B1 KR101690774 B1 KR 10169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ocket
unit
magnet
charg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만드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드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드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74B1/ko
Priority to PCT/KR2017/006924 priority patent/WO20180042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002/543Lower arms or fore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61F2002/702Battery-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 시 소켓부의 저면부가 위치되는 판 형상의 지지부,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 전력과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 및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어 소켓부의 제 1 자석부와 자력을 통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자석부를 포함하고, 소켓부의 양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소켓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벽부를 포함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의 도움 없이 환자가 전자의수를 충전할 수 있고, 특히 양 팔이 절단된 환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전자의수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제 1 자석부 및 제 2 자석부의 자력 결합을 통해 제1 충전 단자 및 제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충전이 용이하고 신속하고, 따르면 벽부로 인해 제 1 자석부 및 제 2 자석부가 서로 자력의 영향권 내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벽부로 인해 소켓부가 지지부에서 회전하거나 이탈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CRADLE DEVICE FOR ELECTRONIC PROSTHETIC HAND RECHARGEABLE}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 충전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전자의수를 충전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전자의수는 절단 환자가 착용하고 절단환자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절단된 환부를 대신한다. 따라서, 전자의수는 환부를 대신하는 동작을 위해 전력을 필요로 한다. 전자의수는 일반적으로 내부 또는 별도로 착용되어 휴대할 수 있는 배터리와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작동된다. 따라서, 휴대용 배터리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때 충전을 요한다. 다만, 종래의 전자의수는 충전을 위해 별도의 전용 충전기와 함께 충전용 커넥터,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가 사용되어 왔다. 충전용 커넥터 또는 USB를 이용한 종래의 기술은 오늘날 어디에서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암수 단자 형식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충전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용 커넥터 또는 USB 암 또는 USB 수 단자를 전자의수의 배터리에 삽입 시켜야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 전용 커넥터 또는 USB 단자를 전자의수에 삽입하는 것을 일반적인 사용자는 손쉬울 수 있으나, 전자의수를 직접 사용하는 절단 환자는 소형화된 각 단자를 알맞은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양 손이 절단된 절단 환자의 경우 한쪽의 전자의수에 USB 단자를 삽입하기 위해 다른 한쪽의 전자의수를 사용해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타인의 도움 없이는 충전용 커넥터 또는 USB 단자를 연결하는 방식의 충전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1434호(2016.05.11.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타인의 도움 없이 손쉽게 전자의수의 충전을 할 수 있는 전자의수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양 팔이 절단된 환자가 전자의수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의수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자의수의 충전과 전자의수의 거치 또는 보관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는 전자의수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자의수 또는 소켓부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의수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충전 시 소켓부의 저면부가 위치되는 판 형상의 지지부,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 전력과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 및 지지부 상면에 형성되어 소켓부의 제 1 자석부와 자력을 통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자석부를 포함하고, 소켓부의 양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소켓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벽부를 포함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의 도움 없이 환자가 전자의수를 충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양 팔이 절단된 환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전자의수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자석부 및 제 2 자석부의 자력 결합을 통해 제1 충전 단자 및 제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충전이 용이하고 신속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벽부로 인해 제 1 자석부 및 제 2 자석부가 서로 자력의 영향권 내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벽부로 인해 소켓부가 지지부에서 회전하거나 이탈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의 거치대 및 전자의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의 거치대 및 전자의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의 전자의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는 전자의수(1)의 소켓부(10)에 구비되어 전자의수(1)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0)를 충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는 전원부(20)가 위치되는 지지부(100), 제 1 충전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130) 및 제 1 자석부(40)와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석부(140)를 포함한다. 이제부터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의수(1)는 절단 환자의 절단 환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부(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소켓부(10)는 팔꿈치 절단 환자용으로서 환자의 손목에서 팔꿈치까지 해당하는 영역의 소켓부(10)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원부(20)는 전자의수(1)를 구동하기 위해 전자의수(1)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소켓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0)는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내부 배터리는 재 충전 및 재 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내부 배터리는 하나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2차 전지의 그룹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대상이 되는 전자의수(1)는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부(20)가 구비되는 소켓부(10)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부(20)는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저면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전원부(20)는 저면가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원부(20)는 저면부(21)가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저면부(21)는 충전을 위한 지지부(100)와의 결합 시 지지부(100)에서 소켓부(10)가 회전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20)는 제 1 충전 단자(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원부(20)의 저면부(21)는 제 1 충전 단자(3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저면부(21)는 내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충전 단자(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충전 단자(3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충전 단자(30)는 판 형상을 갖는 단자들의 그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충전 단자(30)는 내부 배터리의 셀의 개수에 따라 판 형상의 단자의 개수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20)는 제 1 자석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원부(20)는 제 2 자석부(140)와 잔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 1 자석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원부(20)는 하나 이상의 제 1 자석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전원부(20)는 하나 이상의 제 1 자석부(40)가 소켓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원부(20)의 저면부(21)는 하나 이상의 자석부가 소켓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거치대(2)는 상술한 전자의수(1)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공급하고, 소켓부(10)에 위치되어 저면부(21)가 평면형상을 갖고 저면부(21)에 내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30)와 하나 이상의 제 1 자석부(40)가 형성되는 전자의수(1)의 전원부(20)를 충전할 수 있다. 거치대(2)는 충전 시 전원부(20)가 위치되는 지지부(100), 충전 시 제 1 충전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130), 충전 시 제 1 자석부(40)와 자력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석부(140), 소켓부(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벽부(200), 충전 시 소켓부(10)의 일단이 거치되는 제 1 거치부(300) 및 충전 시 소켓부(10)의 타단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충전 시 소켓부(10)가 위치된다. 상세하게, 지지부(100)는 충전 시 전원부(20)가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지지부(100)는 충전 시 전원부(20)의 저면부(21)가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20)는 평면으로 구비되는 저면부(21)가 밀착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저면부(21)가 평면형상이 아닌 곡면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100)도 이에 대응하여 곡면 또는 돌출부와 반전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충전 단자(130)는 지지부(100)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지지부(100)는 상면에 제 2 충전 단자(130)가 형성되고, 충전 시 제 2 충전 단자(130)는 제 1 충전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충전 단자(130)는 지지부(100) 상면에 형성되고 외부 전력원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충전 단자(130)는 외부 전력원과 연결될 때 전압을 변화시키는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충전 단자(130)는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충전 단자(13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제 1 충전 단자(30)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된 쇄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충전 단자(130)는 돌출된 형상의 단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자의수(1)를 충전할 때 제 2 충전 단자(130)는 제 1 충전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충전 단자(130)와 연결된 외부 전력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제 2 충전 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충전 단자(30)를 통해 전원부(20)의 내부 배터리로 이동시켜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 2 자석부(140)는 지지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자석부(140)는 지지부(100)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자석부(140)는 지지부(100) 상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제 2 자석부(140)는 충전 시 제 1 자석부(40)와 자력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자석부(140)는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1 자석부(40)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자석부(140)는 소켓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자석부(40)와 결합되도록 제 1 자석부(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자석부(140)는 충전 시 제 1 자석부(4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이로 인해 전자의수(1)의 소켓부(10)가 충전 시 지지부(100)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충전 시 제 2 자석부(140)와 제 1 자석부(40)가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 제 1 충전 단자(30)와 제 2 충전 단자(13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제 1 충전 단자(30)와 제 2 충전 단자(130)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다.
거치대(2)는 소켓부(10)가 충전을 위해 결합될 때 소켓부(10)의 회전 또는 이탈을 방지하는 벽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거치대(2)는 양 측면에 벽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거치대(2)는 양 측면에 소켓부(10)의 양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거치대(2)는 소켓부(10)가 충전을 위해 결합될 때 소켓부(10)가 삽입되도록 소켓부(10)의 둘레면과 반전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소켓부(10)가 삽입되는 벽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벽부(200)는 소켓부(10)를 고정하는 갈빗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벽부(20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소켓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2)는 충전 시 소켓부(10)의 일단 및 타단이 위치되는 제 1 거치부(300) 및 제 2 거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거치대(2)는 충전 시 소켓부(10)의 손목 방향이 되는 일단과 팔꿈치 방향의 타단이 거치될 수 있는 제 1 거치부(300) 및 제 2 거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거치부(300) 및 제 2 거치부(400)는 소켓부(10)의 일단 및 타단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거치부(300)는 소켓부(10) 일단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거치부(300)는 소켓부(10) 일단의 둘레면과 반전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충전 시 제 1 거치부(300)에 소켓부(10)의 일단이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제 2 거치부(400)는 소켓부(10) 타단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거치부(400)는 소켓부(10) 타단의 둘레면과 반전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충전 시 제 2 거치부(400)에 소켓부(10)의 타단이 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는 제 1 거치부(300)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거치부(300)는 두 겹의 판 부재, 일 판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10), 가이드 홈(310)에 삽입되어 두 겹의 판 부재을 고정시키는 나사(320)를 포함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거치부(400) 또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거치부(400)는 두 겹의 판 부재와 두 겹의 판부재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포함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거치부(300) 및 제 2 거치부(400)는 절단 환자의 환부, 환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소켓부(10)에 대응하여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이한 크기를 갖는 소켓부(10)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높낮이 조절에 착안하여 지지부(100) 또한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높낮이 조절을 위해 지지부(100)와 수직하는 수직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과 지지부(100)를 서로 체결하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지지부(100)는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스프링 및 기둥 프레임의 조합이나, 기어 등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는 사용자가 전자의수(1)의 소켓부(10)를 거치대(2)에 올려 놓음으로써 충전이 시작된다. 상세하게, 거치대(2)에 전원부(20)의 저면부(21)를 안착 시킴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충전을 위해 저면부(21)를 거치대(2)에 위치시키면 지지부(100)에 형성된 벽부(200)가 소켓부(10)를 가이드 이동시켜 제 2 충전 단자(130)가 제 1 충전 단자(30)로 인접하게 이동되도록 가이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제 2 충전 단자(130)와 근접한 위치로 제 2 충전 단자(130)가 이동되면, 제 2 자석부(140)가 제 1 자석부(40)의 인접하게 된다. 제 2 자석부(140)가 제 1 자석부(40)의 자력의 영향권 내에 위치되는 서로 자력에 의해 인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제 1 자석부(40) 및 제 2 자석부(140)가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제 1 자석부(40) 및 제 2 자석부(140)가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 제 1 충전 단자(30) 및 제 2 충전 단자(130)가 서로 접하게 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충전 단자(30) 및 제 2 충전 단자(13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외부 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 2 충전 단자(130) 및 제 1 충전 단자(30)를 통해 내부 배터리로 전원을 이동시켜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벽부(200)와 더불어 제 1 거치부(300) 및 제 2 거치부(400)가 제 1 충전 단자(30) 및 제 2 충전 단자(130)의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소켓부(10)를 지지부(100)의 올바른 위치로 가이드 이동시킨다. 또한, 제 1 거치부(300) 및 제 2 거치부(400)는 각각 소켓부(10)의 손목과 팔꿈치에 거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소켓부(10)의 손목과 팔꿈치 부분의 지름은 소켓부(10)의 중심 방향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소켓부(10)를 거치대(2)에 안착 시킨 뒤 사용자는 소켓부(10)에서 환부를 꺼냄으로서 소켓부(10)를 탈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거치부(400)가 안착되는 소켓부(10)의 팔꿈치에 해당하는 지름은 소켓부(10)의 중심 방향의 지름보다 작게 구비되기 때문에 소켓부(10)의 개구된 팔꿈치 방향으로 환자가 탈거를 시도하는 경우 지름의 차이로 인해 중심 부분이 제 2 거치부(400)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환부를 소켓부(10)에서 손쉽게 탈거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제 1 거치부(300) 또한 팔목에 대응되는 소켓부(10)의 지름과 전자의수(1)의 손 부분의 부피 관계도 동일한 원리로 탈거가 가능하다. 이는 실제 양 팔이 절단되어 양 팔에 전자의수(1)를 착용하는 환자가 손쉽게 전자의수(1)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에서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양 팔에 전자의수(1)를 사용하는 양 팔 절단환자가 전자의수(1)의 탈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양 팔 절단환자가 종래에 사용되던 USB 삽입 방식을 통한 충전을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자의수 10: 소켓부
20: 전원부 21: 저면부
30: 제 1 충전 단자 40: 제 1 자석부
2: 거치대 100: 지지부
130: 제 2 충전 단자 140: 제 2 자석부
200: 벽부 300: 제 1 거치부
400: 제 2 거치부

Claims (6)

  1. 소켓부(10)에 위치되고 저면부(21)가 평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저면부(21)에 내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30)와 하나 이상의 제 1 자석부(40)가 형성되는 전자의수(1)의 전원부(20)를 충전할 수 있는 거치대(2)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거치대(2)는,
    충전 시 상기 저면부(21)가 위치되는 판 형상의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 전력과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130); 및
    상기 지지부(100)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자석부(40)와 자력을 통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자석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석부(40) 및 상기 제 2 자석부(14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충전 단자(30)가 상기 제 2 충전 단자(130)에 위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는 양 측면에 상기 소켓부(10)의 양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소켓부(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벽부(20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는,
    상기 소켓부(10) 일단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충전 시 상기 소켓부(10)의 일단이 거치되는 제 1 거치부(300); 및
    상기 소켓부(10) 타단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충전 시 상기 소켓부(10)의 타단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치부(30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30)는 판 형상을 갖는 단자 그룹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충전 단자(130)는 돌출된 형상을 갖는 단자 그룹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KR1020160082248A 2016-06-30 2016-06-30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KR101690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48A KR101690774B1 (ko) 2016-06-30 2016-06-30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PCT/KR2017/006924 WO2018004285A1 (ko) 2016-06-30 2017-06-29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48A KR101690774B1 (ko) 2016-06-30 2016-06-30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774B1 true KR101690774B1 (ko) 2016-12-28

Family

ID=5772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248A KR101690774B1 (ko) 2016-06-30 2016-06-30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0774B1 (ko)
WO (1) WO20180042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85A1 (ko) * 2016-06-30 2018-01-04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KR102389515B1 (ko) * 2021-08-25 2022-04-25 정세인 인공지능 근전도를 활용한 전자 의수장치 제공방법
US11916583B2 (en) * 2017-12-22 2024-02-27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Supply system for orthopedic technology component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497A1 (ru) * 2022-07-04 2024-01-11 Алексей Геннадиевич РУЖИЦКИЙ Протез и узел прикрепления к протезу внешне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78B1 (ko) * 2005-06-23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20008522U (ko) * 2011-06-02 2012-12-12 어수곤 무선방식 물걸레청소기
KR101285084B1 (ko) *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20160051434A (ko) 2014-11-03 2016-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28B1 (ko) * 2003-11-07 2006-08-2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근관 충전장치
KR200363340Y1 (ko) * 2004-07-16 2004-10-01 홍기상 마사지기의 충전기 접속구조
KR101243034B1 (ko) * 2011-04-27 2013-03-20 박상석 장애인용 의수
JP6115502B2 (ja) * 2014-03-24 2017-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器
KR101690774B1 (ko) * 2016-06-30 2016-12-28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78B1 (ko) * 2005-06-23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20008522U (ko) * 2011-06-02 2012-12-12 어수곤 무선방식 물걸레청소기
KR101285084B1 (ko) * 2012-05-02 2013-07-17 (주)엠에이피테크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20160051434A (ko) 2014-11-03 2016-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85A1 (ko) * 2016-06-30 2018-01-04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US11916583B2 (en) * 2017-12-22 2024-02-27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Supply system for orthopedic technology components and method
KR102389515B1 (ko) * 2021-08-25 2022-04-25 정세인 인공지능 근전도를 활용한 전자 의수장치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285A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74B1 (ko)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US7457649B1 (en) Headset charging station
US8072183B2 (en) Multiple interface device charger with removable battery pack
TWI416781B (zh) 鋰離子電池及應用該鋰離子電池的充電器
CN105207322A (zh) 一种背夹式移动电源车载充电装置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685956B2 (ja) 入力デバイス充電システム
US200502427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harging eyeglasses
US20170229890A1 (en) Multi-functional charger
JP2004350465A (ja) 接触型充電式携帯用電気機器のアダプター及び非接触型充電パッド
CN204481506U (zh) 车载手机保护与充电装置
KR20170040909A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US20040067411A1 (en) Adding in-device battery charging capability to battery-powered devices
JP3739757B2 (ja) 非接触型再充電性電池
CN217469478U (zh) 一种便携式充电装置
KR20170069827A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보조배터리 충전기
CN203911552U (zh) 一种移动电源装置
US20150035479A1 (en) Battery charger
CN207021714U (zh)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
KR201700928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CN104954517A (zh) 接触式无线充电器用的手机套
CN215185975U (zh) 一种方便收纳使用且支持快充的子母移动充电宝
US71218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sitional power supply adaptor
KR101498431B1 (ko) 전자담배용 충전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충전장치
CN220155783U (zh) 一种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