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678B1 -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678B1
KR101143678B1 KR1020050054678A KR20050054678A KR101143678B1 KR 101143678 B1 KR101143678 B1 KR 101143678B1 KR 1020050054678 A KR1020050054678 A KR 1020050054678A KR 20050054678 A KR20050054678 A KR 20050054678A KR 101143678 B1 KR101143678 B1 KR 10114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in body
cradle
mount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749A (ko
Inventor
전민수
권용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678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 및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의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부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면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방향성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HOLDER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단말기 10 : 본체
12 : 스피커 20 : 폴더
21 : 디스플레이부 30 : 거치대
31 : 본체부 32 : 거치부
32a : 수용홈 33 : 주름관
33' : 링크부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 및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의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1)는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10)와, 내면에 소정의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 등을 구비하여 본체(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되며 스테레오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쌍의 스피커(12)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각 스피커(12)는 본체의 상단부 좌우측에 형성된 스피커 수용부(11)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각 스피커 수용부(11)에는 스피커(12)를 통해 방출된 음향이 통과되며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음방출공(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부(21) 및 스피커(12)가 폴더(20) 및 본체(10)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 및 스피커(12)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비교적 장시간 동안 음악 및 동영상 등을 감상할 시 사용자 자세의 변화에 대응해서 디스플레이부(21) 및 스피커(12)의 방향성을 적절히 조절하는데 많 은 불편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21) 및 스피커(12)의 방향성을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는 거치대(도시하지 않음)에 거치한 상태에서 각종 정보를 확인하거나 음악 및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종래 거치대의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가 거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자세 및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 및 스피커(12)의 각도 및 방향성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면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구부림 및 인장/압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선택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부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제1자석부와, 상기 제1자석부와 서로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안착부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30)는, 판상의 본체부(31)와, 휴대용 단말기(1)가 거치될 수 있도 록 거치면을 구비하여 본체부(31)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거치부(32)와, 상기 거치부(32)가 본체부(31)에 대해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은 본체부(31)에 연결되고 타단은 거치부(32)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로서, 내부에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으며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스피커(12)가 구비된 본체(10)와,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를 구비하여 본체(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20)로 이루어진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1)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구부림 및 인장/압축 가능한 주름관(33)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주름관(33)은 본체부(31)와 거치부(3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부(31)와 거치부(32)에 각각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부려지거나 인장/압축되며 거치부(32)가 본체부(31)에 대해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주름관(33)은 구부림상태와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강성을 갖는 금속주름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가요성 재질의 주름관 내부에 별도의 금속재 와이어를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32)의 저면에는 주름관(3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를 갖는 수용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거치대(30)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주름관(33)이 압축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거치부(3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하며 미관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거치부(32)에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1)는 고정수단에 의해 그 거치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수단은 휴대용 단말기(1)의 본체(10) 배면에 구비되는 제1자석부(41)와, 상기 제1자석부(41)와 서로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거치부(32)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2자석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비교적 장시간 동안 음악 및 동영상 등을 감상할 시에는, 휴대용 단말기(1)를 거치대(30)의 거치부(32)에 거치한 상태에서 거치부(32)에 연결된 주름관(33)을 구부리거나 인장/압축함으로써, 사용자 자세의 변화에 대응해서 디스플레이부(21) 및 스피커(12)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30)의 거치부(32)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는 본체(10)의 배면과 거치부(32)의 상면에 구비된 각 자석부(41,42)의 자기력에 의해 그 거치 상태가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의 일반적인 사용시에는 거치대(3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를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거치부(32)가 본체부(31)에 대해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부로서 구부림 및 인장/압축 가능한 주름관(33)이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연결부를 주름관(33) 대신 도 5와 같이 선택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33')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대(30)가 단순히 휴대용 단말기(1)의 거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충전거치대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의 거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충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 및 상태에 따라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며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의 방향성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본체부와;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면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제1 둘레 및 상기 제1 둘레 보다 작은 복수의 제2 둘레가 교대하여 형성되는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둘레 사이의 거리가 가변 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직으로 인장/압축되거나 구부러지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접촉면의 가장자리와 이격 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장자리는 상기 연결부가 구부러지면 상기 본체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부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제1자석부와, 상기 제1자석부와 서로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거치부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20050054678A 2005-06-23 2005-06-23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114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678A KR101143678B1 (ko) 2005-06-23 2005-06-23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678A KR101143678B1 (ko) 2005-06-23 2005-06-23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49A KR20060134749A (ko) 2006-12-28
KR101143678B1 true KR101143678B1 (ko) 2012-05-09

Family

ID=3781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678A KR101143678B1 (ko) 2005-06-23 2005-06-23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74B1 (ko) * 2016-06-30 2016-12-28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42Y1 (ko) * 2010-02-09 2012-05-25 신기진 다용도 거치대
KR101042534B1 (ko) * 2010-07-06 2011-06-21 김현수 핸드폰 거치대
KR101155054B1 (ko) * 2010-12-16 2012-06-11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1117599B1 (ko) * 2010-12-16 2012-02-24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1361762B1 (ko) * 2012-10-23 2014-02-12 박천진 모바일기기의 거치대
KR101490434B1 (ko) * 2013-09-16 2015-02-09 김은광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0472994Y1 (ko) * 2014-03-12 2014-06-03 김호철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KR101721751B1 (ko) * 2015-04-15 2017-04-10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CN107534695B (zh) * 2015-04-15 2020-11-10 申雄秀 终端支架、终端壳体及终端组装体
KR20190013328A (ko) * 2017-08-01 2019-02-11 김기현 휴대폰 거치대
KR101885820B1 (ko) * 2017-11-24 2018-08-06 주식회사 마이팝 휴대기기용 홀더
EP4231872A1 (en) 2020-10-21 2023-08-30 Black Jet Innovations, Inc. Mobile device grip and stand
KR200497298Y1 (ko) * 2021-07-21 2023-09-26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KR102603613B1 (ko) * 2021-10-29 2023-11-17 (주) 폰플라자 모바일단말기케이스용 악세사리 겸용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204U (ko) * 1998-02-17 1999-09-27 장성원 차량용 휴대전화 고정구
KR20040048512A (ko) * 2002-12-03 200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204U (ko) * 1998-02-17 1999-09-27 장성원 차량용 휴대전화 고정구
KR20040048512A (ko) * 2002-12-03 200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74B1 (ko) * 2016-06-30 2016-12-28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 충전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49A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6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N105453585B (zh) 便携式扬声器
USD507311S1 (en) Exercise device with elongated flexible member
USD526148S1 (en) Bench support
US9226057B1 (en) External sound systems with integral flat panel loudspeaker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D526147S1 (en) Bench support
US9615162B2 (en) Earphone with inverse sound waves
CN106464992B (zh) 可弯曲线阵列
US9942640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D526149S1 (en) Bench support
USD526518S1 (en) Bench support
EP1617699A3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stand and speaker apparatus
USD520017S1 (en) Support for flat screens
CN110714976A (zh) 折叠式电子设备及折叠式电子设备的控制方法
USD531986S1 (en) Loudspeaker housing
JP2005295554A (ja) 患者の両耳用耳内補聴器
WO2014043282A1 (en) Amplifying cover for a portable audio device
CN101161030A (zh) 带话筒的便携电子设备
US20180048962A1 (en) Vibration output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vibration output apparatus
CN109314805B (zh) 扬声器装置
US20070072658A1 (en) Clam Type Mobile Phone
USD467632S1 (en) Exercise device
CN103597851A (zh) 创新音响系统
EP0651546A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set
US10264335B1 (en) Speaker box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