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434B1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434B1
KR101490434B1 KR20130111367A KR20130111367A KR101490434B1 KR 101490434 B1 KR101490434 B1 KR 101490434B1 KR 20130111367 A KR20130111367 A KR 20130111367A KR 20130111367 A KR20130111367 A KR 20130111367A KR 101490434 B1 KR101490434 B1 KR 10149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main body
crad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광
Original Assignee
김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광 filed Critical 김은광
Priority to KR2013011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가구, 특히 주방가구에 설치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좌, 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거치대를 회전시켜 거치대에 거치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휴대 전자기기가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정면 또는 후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가구, 특히 주방가구에 설치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좌, 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거치대를 회전시켜 거치대에 거치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사회 생활이 바빠지고, 사회 활동이 활달한 현대인의 가정생활은 요리, 식사, 대화 등의 주요한 가정사가 주로 주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가정 주부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주방에서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 주부들의 주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어 주방용품에 대한 질적인 향상이 눈부시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질적인 향상은 주로 싱크대의 재질, 디자인 등의 주방가구 변화에 중점을 두고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주방가구에 대한 개선은 거의 완료되었으며, 현재에는 주방에서 음악을 청취하거나 TV를 시청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전자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방일을 할 때 행동반경에 제약을 받는 등 불편함과 동시에 사람 또는 주방용품에 의해 전자기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기기가 싱크대 선반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주방에서 주방일을 할 때나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 등에 의해 전자기기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요즘에는 전자기기의 발달로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전자기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휴대용 전자기기가 많이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설치하는 전자기기의 문제점 등에 의해 최근에는 조작이 편리하고,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를 주방 등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탁 위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전자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식탁에 안착시켜 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는 식탁 위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또한 거치대를 보관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주방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231239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등록받은바 있다.
상기 선등록특허는 실내가구나 주방가구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부와, 본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하부지지부와,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전자기기를 안착시켜 거치시키게 되고, 이때 거치된 전자기기는 하부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에 의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본체부가 가구에 고정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거치된 전자기기를 항상 정면에서만 시청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이동한 상태에서 전자기기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화면이 비스듬한 상태로 시청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자기기의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내 가구나 주방가구 등에 설치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이 고정부에 본체부가 결합 고정되는 회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가 거치된 거치대를 좌, 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시켜 전자기기의 화면을 어느 각도에서나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회동부는 힌지 방식으로 고정부에 결속힌지가 구비되고, 본체부에는 결속힌지핀에 결속되는 결속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회동부는 고정부재의 양측부에 자바라 방식으로 한 쌍의 지지링크를 구비하여 이 지지링크의 동작에 의해 본체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하게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회동부는 주름관 방식을 이용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회동부를 볼 방식을 이용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전, 후부에는 가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테이프, 흡착판 또는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가구나 유리 및 벽 등 어느 곳이나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휴대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정면 또는 후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면에 부착구가 마련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부착구는 양면테이프, 자석, 흡착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와 본체부의 사이 중앙부 또는 양측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 일측면에 지지구가 구비되고, 이 지지구의 상부에는 결속힌지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정면 또는 후면에는 결속힌지핀에 결속되는 결속공이 형성된 결속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회동부는 한 쌍의 지지링크가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되, 지지링크의 교차점이 힌지 고정되고, 한 쌍의 지지링크 일측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타측부는 본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장홈이 형성된 제1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제1고정구의 장홈에 결속되는 결속핀이 형성된 제2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에 고정되는 주름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속볼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결속볼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일측부가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되. 이 연결부재는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실내 가구나 주방가구 등에 설치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이 고정부에 본체부가 결합 고정되는 회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가 거치된 거치대를 좌, 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시켜 전자기기의 화면을 어느 각도에서나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부는 힌지 방식으로 고정부에 결속힌지가 구비되고, 본체부에는 결속힌지핀에 결속되는 결속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동부는 고정부재의 양측부에 자바라 방식으로 한 쌍의 지지링크를 구비하여 이 지지링크의 동작에 의해 본체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하게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부는 주름관 방식을 이용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동부를 볼 방식을 이용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전, 후부에는 가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테이프, 흡착판 또는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가구나 유리 및 벽 등 어느 곳이나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회동부를 보인 도면.
도 3의(a),(b),(c)는 본 발명의 부착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회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부착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는 휴대전자기기가 설치되는 본체부(102)와, 실내 가구나 주방 가구의 도어 등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와 본체부(102)의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부(2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에 대한 구성은 본체부(102)와, 본체부(102)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부(103)와, 본체부(102)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하부지지부(104)와, 본체부(102)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지지부(104)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전자기기를 거치시키킬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여기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의 본체부(102)는 통상의 기술로 이에 대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0)는 후부에 가구의 도어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착구(114)가 형성된 고정부재(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부착구(114)는 도 3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가구나 도어 및 벽 등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114a)가 구비되거나, 유리 등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흡착판(114b)을 구비할 수도 있고, 자성을 갖는 재질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석(114c)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부착구(114)는 이 이외에 도어나 벽체 등에 부착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12)의 후부에 부착구(114)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도어 및 유리 등 어느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210)는 고정부재(112)의 정면 중앙부에는 정면으로 돌출된 지지구(212)가 구비되고, 이 지지구(212)의 상부에는 결속힌지핀(2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2)의 후부에는 결속힌지핀(214)에 결속되는 결속공(218a)이 형성된 결속부재(2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210)는 고정부재(112)와 본체부(102)의 사이에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12)에 구비된 결속힌지핀(214)에 본체부(102)에 구비된 결속부재(218)를 결속시킴으로써, 결속부재(218)는 결속힌지핀(214)을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힌지핀(214)을 본체부(102)의 후부에 구비하고, 결속공(218a)이 형성된 결속부재(218)는 고정부재(112)에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210)의 결속부재(218)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부(102)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결속홈(미도시) 등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는 먼저,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부재(112)와 부착구(114)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다음 본체부(102)에 구비된 결속부재(218)의 결속공(218a)을 결속힌지핀(214)에 결합 고정시키게 되면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의 상부지지부(103)와 하부지지부(104) 사이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켜 사용자가 거치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따라 전자기기를 회전시켜 이동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전자기기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를 좌, 우 방향 중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속힌지(214)에 결속된 결속부재(218)가 회전을 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를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선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어느 위치에서나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2)를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안착시키게 되면 회동부(210)의 결속부재(218)가 자유롭게 결속힌지핀(214)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210)는 가구, 특히 가구의 도어 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12)가 구비되고, 이 고정부재(112)에는 부착구(114)와, 이 부착구(114)가 구비된 타측부에 지지구(212)가 구비되고, 이 지지구(212)에 결속힌지핀(2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2)의 정면에 결속힌지(214)에 결속되는 결속공(218a)이 형성된 결속부재(21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본체부(102)의 정면에 결속부재(218)가 구비되어 고정부재(112)를 도어 등의 내측에 부착시 본체부(102)에 구비된 결속부재(218)를 결속힌지핀(214)에 결속시키게 되면 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가 설치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거치시 전자기기의 화면이 정면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12)를 도어의 내측에 부착시킨 후 본체부(102)를 결속시킴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100)가 도어의 정면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210)는 고정부재(112)와 본체부(102)의 사이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한 쌍의 지지링크(220)가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고, 한 쌍의 지지링크(220)의 교차점은 힌지(222) 고정되며, 한 쌍의 지지링크(220) 각각의 일측부는 고정부재(112)에 회동되게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102)에 회동되게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12) 및 본체부(102)에 한 쌍의 지지링크(220)의 양측부가 각각 힌지(226)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구(224)가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링크(220)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가 힌지(226) 고정되는 고정구(224)에는 지지링크(220)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공(22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본체부(112)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를 들어올리게 되면 들어 올려지는 방향의 본체부(100)와 고정부재(112)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링크(220)가 힌지(22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펼쳐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부재(112)와 본체부(102))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에 구비된 지지링크(220)가 펼쳐지게 되어 펼쳐지는 지지링크(220)의 반대 방향으로 본체부(102)가 경사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본체부(10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2)의 양측부에는 정면으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제1고정구(230)가 구비되되, 제1고정구(230)에는 장홈(2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2)에는 제1고정구(230)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구(234)가 구비되되, 제2고정구(234)에는 제1고정구(230)의 장홈(232)에 결속되는 결속핀(23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본체부(102)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를 들어올리게 되면 제1고정구(230)에 결속된 결속핀(238)은 제1고정구(230)에 형성된 장홈(232)의 가이드에 의해 본체부(102)에 구비된 제2고정구(234)가 이동하면서 본체부(102)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2)와 본체부(102)의 사이 양측부에 주름관(240)이 구비되되, 이 주름관(240)의 일측부는 고정부재(112)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10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고정부제(112)와 본체부(102)의 사이에 다수개의 주름관(240)을 구비함으로써, 이 주름관(240)의 접히고 펼쳐지는 작용관계에 의해 본체부(102)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2)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속볼(2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2)에는 결속볼(250)이 결속되는 결합공(254)이 형성된 결합부재(25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속볼(250)은 본체부(102)에 구비하고, 결합공(254)이 형성된 결합부재(252)는 고정부재(112)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결합부재(252)의 결합공(254)에 결속볼(250)이 결속된 상태에서 본체부(102)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속볼(250)은 결합공(254) 상에서 자유롭게 회동을 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부(102)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210)는 고정부(110)의 고정부재(112)에는 부착수단에 의해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102)에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부재(2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60)는 외측부에 원호 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고정부재(112)와 본체부(102)의 사이에 주름이 형성된 연결부재(260)를 구비함으로써, 이 연결부재(260)의 주름이 접히고 펼쳐지는 작용관계에 의해 본체부(102)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102 : 본체부
103 : 상부지지부 104 : 하부지지부
110 ; 고정부 112 : 고정부재
114 : 부착구 210 : 회동부
212 : 지지구 214 : 결속힌지핀
218 : 결속부재 218a : 결속홈
220 : 지지링크 222, 226 : 힌지
224 : 고정구 224a : 장공
230, 234 : 제1,2고정구 232 : 장홈
238 : 결속핀 240 : 주름관
250 : 결합볼 252 : 결합부재
254 : 결합공 260 : 연결부재

Claims (11)

  1. 휴대 전자기기가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정면 또는 후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되,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장홈이 형성된 제1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제1고정구의 장홈에 결속되는 결속핀이 형성된 제2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면에 부착구가 마련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양면테이프, 자석, 흡착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130111367A 2013-09-16 2013-09-16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49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367A KR101490434B1 (ko) 2013-09-16 2013-09-16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367A KR101490434B1 (ko) 2013-09-16 2013-09-16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434B1 true KR101490434B1 (ko) 2015-02-09

Family

ID=5259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367A KR101490434B1 (ko) 2013-09-16 2013-09-16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4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70Y1 (ko) * 2002-02-22 2002-05-18 김동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70112589A (ko) * 2006-05-22 200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00384B1 (ko) 2008-05-15 2009-06-02 박옥련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70Y1 (ko) * 2002-02-22 2002-05-18 김동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70112589A (ko) * 2006-05-22 200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00384B1 (ko) 2008-05-15 2009-06-02 박옥련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1651B2 (ja) 表面上または表面に沿った製品の装着、アクセス、移動、収納システム
KR2012006142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침대용 거치대
US11226656B2 (en) Computer
US20150182022A1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US20070022918A1 (en) Laptop port
TW201332355A (zh) 平板式顯示裝置之支撐架結構
JP5778871B2 (ja) モバイル器機用クレードル
KR10149043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490436B1 (ko)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US9445653B2 (en) Bluetooth audio
JP2010032197A (ja) コンロ付厨房装置
KR20120023291A (ko) 키친 유니트
KR101692507B1 (ko)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JP2004065759A (ja) スクリーン、簡易テーブル
US20200012314A1 (en) Portable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100747620B1 (ko)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 작업대
TWI483142B (zh) 支撐結構及使用該支撐結構之電子裝置
KR200469232Y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CN108777409B (zh) 一种桌面插座
CN217827094U (zh) 一种可拆卸式旋转桌
JP3139694U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JP3108348U (ja) パソコン卓用埋込式ソケットの構造
KR20180063792A (ko) 책상과 의자를 주용도로 하는 복합가구
JP3909558B2 (ja) テラス等の屋外空間用のカウンター装置
JP3074483U (ja) 電話機の壁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