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507B1 -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507B1
KR101692507B1 KR1020150032529A KR20150032529A KR101692507B1 KR 101692507 B1 KR101692507 B1 KR 101692507B1 KR 1020150032529 A KR1020150032529 A KR 1020150032529A KR 20150032529 A KR20150032529 A KR 20150032529A KR 101692507 B1 KR101692507 B1 KR 10169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unting
seating
electronic devic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984A (ko
Inventor
김은광
Original Assignee
김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광 filed Critical 김은광
Priority to KR102015003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50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가구 등에 설치되되, 특히 주방가구의 싱크대 선반 하부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인출 하여 전자기기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방일을 하면서 용이하게 전자기기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한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거치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ei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가구 등에 설치되되, 특히 주방가구의 싱크대 선반 하부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인출 하여 전자기기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방일을 하면서 용이하게 전자기기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사회생활이 바빠지고, 사회 활동이 활달한 현대인의 가정생활은 요리, 식사, 대화 등의 중요한 가정사가 주로 주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가정 주부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주방에서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 주부들의 주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며, 주방용폼에 대한 질적인 향상이 눈부시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질적인 향상은 주로 싱크대의 재질, 디자인 등의 주방가구 변화에 중점을 두고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주방가구에 대한 개선은 상당한 발전이 있었으며, 현재에는 주방에서 음악을 청취하거나 TV를 시청 가능하게 하는 등 문화적 방향으로 그 구조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방가구, 특히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음악이나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를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전자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방에서 주방일을 할 때 신체 부위에 걸려 행동반경에 제약을 받는 등 불편함과 동시에 사람 또는 주방용품에 의해 전자기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기기가 싱크대 선반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주방에서 주방일을 할 때나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 등에 의해 전자기기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요즘에는 전자기기의 발달로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전자기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휴대용 전자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설치하는 전자기기의 문제점 등에 의해 최근에는 조작이 편리하고,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전자기기(통신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를 주방에서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탁 위에 안착시킨 후 전자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식탁에 안착시켜 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는 식탁 위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한 거치대를 보관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식탁 등 주방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25432호에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차량에 설치하여 스마트폰 등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운전 중 용이하게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등록 제10-1025432호는 차량 설치에 한정된 것으로, 가정이나 업소 등 주방에 설치하여 전자기기를 거치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2012-112634호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출원 제10-2012-112634호는 거치부에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방향을 전환하기 어려워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방 가구에 절첩되게 설치되어 전자기기를 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전자기기를 거치부에 거치시켜 주방 등 실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주방가구의 싱크대 선반 하부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거치부를 인출시켜 전자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함으로써, 실내에서 활동하는 과정에서 걸려 거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방가구의 싱크대 선반 하부에는 거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여 전자기기를 거치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안착부에 거치부를 안착시킴으로써, 주방 등에서 활동하는데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착부에 설치되는 회동부에는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안착부로부터 인출시켜 전자기기를 거치시킨 거치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거치부에는 무선충전기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착부는 회동부에 의해 안착부와 연결됨으로써, 거치부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내측에 거치부가 안착되는 안착실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실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실내에 구비된 가구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단부에 제2볼이 형성된 결합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실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고정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회동판과;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볼이 끼워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움 결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단에 상부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실의 바닥부에는 제1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제1자성체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실의 전방 내측면에는 제3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판의 타측면 상부에는 제3자성체에 부착되는 제4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일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림판이 형성되며, 안착면의 일측에는 가림판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가 구비되어 실내에 구비된 가구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단부에 제2볼이 형성된 결합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가 일면에 구비되고, 폭 방향의 양측부에는 고정구에 결속되는 제3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고정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회동판과,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볼이 끼워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움 결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단에 상부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실내에 구비된 가구에 고정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안착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봉과, 회동봉이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결속부재와, 상기 제2결속부재에 구비되고 단부에 제2볼이 형성된 결합축과, 상기 제2볼이 끼워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의 주변에는 회동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연계되는 수직 방향으로는 회동봉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내측에 거치부가 안착되는 안착실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실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봉의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안착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는 회동봉을 따라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거치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상기 결합구가 구비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움 결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단에 상부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 상부 내측에는 다수 개의 제1체결봉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개방되고 타측부는 제2체결봉이 구비된 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봉과 제2체결봉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의 상부부재 후부에는 거치된 전자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는 제2회동판의 제3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타측부에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탄성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회동판의 폭방향 양 측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결속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면의 타측부에는 한 쌍의 탄성편이 고정구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편의 내측에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2탄성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회동판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제2탄성판의 걸림돌기가 결속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면에는 제2회동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3탄성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회동판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제3탄성판의 걸림돌기가 결속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방 가구에 절첩되게 설치되어 전자기기를 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전자기기를 거치부에 거치시켜 주방 등 실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방가구의 싱크대 선반 하부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거치부를 인출시켜 전자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함으로써, 실내에서 활동하는 과정에서 걸려 거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방가구의 싱크대 선반 하부에는 거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여 전자기기를 거치시키지 않을 경우 안착부에 거치부를 안착시킴으로써, 주방 등에서 활동하는데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착부에 설치되는 회동부에는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안착부로부터 인출시켜 전자기기를 거치시킨 거치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부에는 무선충전기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부에 전자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착부는 회동부에 의해 안착부와 연결됨으로써, 거치부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착부를 보인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회동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거치부를 보인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a 및 도 11b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a 및 도 12b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안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회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거치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는 실내에 구비된 가구의 하단부, 즉 주방에 배치되는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부(110)와, 상기 안착부(110)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회동부(210)와, 상기 회동부(210)에 설치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양면테이프나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안착부재(1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안착부재(112)는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안착실(114)이 형성되고, 이 안착실(114)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안착부재(112)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에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11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형성된 결합홈(116)의 외측에 위치되게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결속공(1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로 회동부(210)가 설치되고, 이 회동부(210)의 동작에 의해 거치부(310)가 안착 또는 인출되어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의 바닥부, 즉 결합홈(116)이 형성된 타측부의 안착실(114) 바닥부에는 제1자성체(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2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과 연통되게 관통공(214)이 형성된 회동부재(2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212)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는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형성된 결합홈(116)에 결합 고정되는 제1결합돌기(2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12)는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형성된 결합홈(116)에 결합 고정된 제1결합돌기(218)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회동부재(212)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부에 결합 고정되되, 탄성력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돌기(222)가 형성된 고정판(2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12)의 회동시 안착실(114)에 형성된 결속공(118)에 고정판(220)의 탄성돌기(222)가 선택적으로 안착되게 되어 회동부재(212)의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212)에 형성된 관통공(214)에 결합 고정되되, 이 관통공(214)에 끼워지는 걸림홈(232)이 형성된 제1연결부재(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재(230)는 회동부재(212)의 관통공(214)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230)를 회동부재(212)에 결합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회동부재(212)의 하부에 관통공(214)이 형성된 커버수단(미도시)이 구비되고, 제1연결부재(230)는 걸림홈(232)을 중심으로 상, 하부로 분리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커버수단의 상, 하부에 분리 형성된 걸림홈(232)을 위치시킨 후 나사 결합 한 다음 커버부단을 회동부재(212)에 결합 고정시키게 되면 제1연결부재(230)가 회동부재(21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310)는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슬라이드공(314)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공(314)의 상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제1체결봉(318)이 형성된 상부부재(312)가 구비되고, 상부부재(312)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상부지지부재(3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312)는 회동부재(212)의 관통공(214)에 결합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230)와 일체 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부재(312)의 슬라이드공(314)에 결합되는 하부부재(320)가 구비되고, 이 하부부재(320)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개방되고, 타측부는 제2체결봉(324)이 구비된 설치홀(322)이 형성되며, 하부부재(320)의 하단에는 상부지지부재(316)에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하부지지부재(32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체결봉(318)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제2체결봉(324)에 결합 고정되는 탄성부재(3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지지부재(326)에 전자기기의 하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되면 하부부재(320)가 상부부재(312)로부터 인출되면서 상부지지부재(316)와 하부지지부재(326)의 사이에 전자기기가 위치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하부부재(320)에 가해지는 힘을 해지시키게 되면 하부부재(320)는 탄성부재(330)에 의해 원상복귀하면서 전자기기를 파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320)의 후면에는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구비된 제1자성체(120)에 대응되게 제2자성체(3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10)를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시킬 때 제1,2자성체(120)(340)에 의해 거치부(310)가 고정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거치부(31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310)의 상부부재(312)의 후부에 구비되되, 상부부재(312) 후부에 함몰되도록 무선충전기(3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1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 이 무선충전기(350)에 의해 전자기기가 충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는 먼저, 상기 안착부재(112)를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또는 나사못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거치부(310)가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310)를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시 안착실(114)에 구비된 제1자성체(120)와 거치부(310)의 하부부재(320)에 구비된 제2자성체(340)가 자성력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10)는 제1,2자성체(120)(340)에 의해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거치부(310)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자성체(120)(340)는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310)가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치부(310)를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로부터 인출시키게 되면 회동부재(212)가 안착부재(112)의 결합홈(116)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펼쳐져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로부터 거치부(310)가 하부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12)가 회전할 때 회동부재(212)의 양측부에 구비된 고정판(220)의 탄성돌기(222)는 안착실(114)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속공(118)을 타고 넘어가 펼쳐진 회동부재(212)가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판(220)의 탄성돌기(222)가 결속공(118)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12)는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판(220)에 형성된 탄성돌기(222)가 안착실(114)에 형성된 결속공(118)에 안착되게 되어 흔들림 없이 거치부(3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거치부(310)가 펼쳐진 상태에서 거치부(31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31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작용관계는 통상적인 기술로서, 여기에서는 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310)에 거치된 전자기기는 제1연결부재(230)의 회전에 의해 좌, 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고, 회동부재(212)의 회동 동작에 의해 거치부(310)에 거치된 전자기기를 상, 하 방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212)의 관통공(214)에 결합 고정된 제1연결부재(230)가 관통공(214)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어 제1연결부재(230)에 결합 고정된 거치부(31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킨 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31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킨 후에는 거치부(310)의 상부부재(312)의 후부에 구비된 무선충전기(350)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는 싱크대 등 주방 가구의 선반 하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거치부(310)를 인출시켜 사용함으로써,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거치부(310)를 인출시키게 되면 회동부재(212)가 회동하면서 안착실(114)로부터 인출되어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부(310)를 안착실(114)로 안착시켜 보관하는 경우에 안착실(114)과 거치부(310)의 하부부재(320)에 구비된 제1,2자성체(120)(340)의 자성력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거치부(310)는 유동하지 않고 안착실(11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는 거치부(310)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어느 방향에서나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는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책상 등 테이블의 상부에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를 안착시킨 후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12)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219)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219)에는 탄성력을 가지되,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끝단부 중 어느 일측부가 설치홈(219)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탄성판(24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거치부(310)를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하여 회동부재(212)를 회동시키게 되면 탄성판(240)은 안착부재(112)의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압착된 상태로 회동부재(212)가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부재(212)의 회동 완료 후에 탄성판(240)은 안착실(114)의 바닥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탄성판(240)이 원상복귀되어 회동부재(11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판(240)이 회동부재(212)를 지지함으로써, 안착실(114)로부터 인출된 거치부(310)는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전자기기를 거치부(310)에 거치시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의 안착부(110)는 내측에 안착실(114)이 형성된 안착부재(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 바닥면 일측부에는 체결공(130)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130)에는 지지턱(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210a)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부재(112)의 상부로부터 결속되게 체결공(130)으로 결합 고정되어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안착부재(112)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2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50)의 일측부에는 체결공(130)에 형성된 지지턱(132)에 지지되도록 단턱돌기(252)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고정단턱(25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50)에 결합 고정되되,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서 고정부재(250)의 내측으로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260)이 구비되고, 고정부재(250)에 결합 고정되는 타측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구(2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50)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260)의 일측부에는 다수개의 절개홈(264)이 형성되고, 끝단부의 외측부에는 고정부재(250)의 고정단턱(254)에 결속되는 고정돌기(26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60)에 다수개의 절개홈(264)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250)의 내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돌기(266)가 고정단턱(254)에 안착되며, 고정단턱(254)에 고정돌기(266)가 결속된 상태에서 좌, 우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310)의 상부부재(312)의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270)가 구비되되, 제2연결부재(270)는 하우징(260)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구(262)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부재(270)는 고정구(262)에 결합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 하 방향으로 회동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고정부재(250)에 결합 고정된 하우징(260)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거치부(310)를 펼쳐 전자기기를 거치시킨 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60)의 고정구(262)에 결합 고정된 제2연결부재(270)가 상, 하부 방향으로 회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가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기기를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치부(310)를 안착실(114)로부터 인출시키게 되면 하우징(260)의 고정구(262)에 결합 고정된 제2연결부재(270)가 회전하면서 거치부(310)가 펼쳐지게 되고, 반대로 안착실(114)로 거치부(310)를 안착시킬 경우에는 제2연결부재(270)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거치부(310)가 안착실(114)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60)이 고정부재(250)를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거치부(310)에 거치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70)의 회동에 의해 거치부(310)가 안착실(114)로 안착되거나 안착실(114)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져 거치부(310)에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0)는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안착실(114)이 형성된 안착부재(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재(112)의 하부 일측에는 안착실(114)과 연통되는 볼안착홈(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210b)는 안착부재(112)에 형성된 볼안착홈(140)에 결합 고정되는 제1볼(28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볼(280)은 볼지지구(119)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볼(280)은 거치부(310)의 상부부재(312)의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볼트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볼안착홈(140)으로부터 제1볼(280)이 회동되어 펼쳐진 거치부(3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거치부(310)의 안착시 볼안착홈(140)으로부터 제1볼(280)이 회전하면서 안착 및 인출하여 거치부(310)를 펼칠 수 있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210c)는 일측부에 안착부(110)의 안착실(114)에 형성된 결합공(116)에 결합 고정되는 제2결합돌기(292)가 형성된 제1회동판(29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동판(290)의 일측면, 즉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94)이 형성되고, 이 돌출편(292)에는 안착실(114)에 구비된 제1자성체(120)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3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동판(290)은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형성된 결합공(116)에 결속 고정된 제2결합돌기(292)를 중심으로 회동 되게 되어 안착실(114)에 제1회동판(290)을 안착시킬 수도 있고, 안착실(114)에 안착된 제1회동판(290)을 인출시킬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돌기(292)가 형성된 제1회동판(290)의 타측면에는 거치부(310)를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부(410a)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410a)는 제1회동판(29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일측 끝단부에 제2볼(414)이 형성된 결합축(4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310)의 상부부재(312)의 후부에는 제2볼(414)이 끼워지는 결합공간(422)이 형성된 결합구(4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10)는 제1회동판(290)에 구비된 제2볼(414)을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회동되게 되어 거치부(310)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 전방 내측면에는 제3자성체(3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판(290)의 타측면 상부에는 제3자성체(342)에 탈부착되는 제4자성체(34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동판(290)이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로부터 인출되게 되면 제1회동판(290)에 구비된 제4자성체(344)가 안착실(114)에 구비된 제3자성체(342)에 부착되어 제1회동판(290)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제1회동판(290)을 안착실(114)로 안착시키게 되면 제4자성체(344)는 제3자성체(342)로부터 떨어지면서 제1회동판(290)에 구비된 제2자성체(340)가 안착실(114)에 구비된 제1자성체(120)에 부착되면서 안착실(114)이 제1회동판(290)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0a)는 접착테이프나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선반에 설치되되, 하부에 안착면(113)이 형성되고, 이 안착면(113)의 일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가림판(150)이 형성된 안착부재(112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재(112a)의 안착면(113) 일측, 즉 가림판(150)의 내측면에 위치되게 한 쌍의 고정구(15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52)에는 일측에 결합공(154)이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걸림돌기(156a)가 마련된 제1탄성판(156)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구(152)가 형성된 안착부재(112a)의 안착면(113) 타측부에는 고정구(152)에 대응되게 한 쌍의 탄성편(158)이 구비되되, 이 탄성편(158)은 내측으로 걸림돌기(158b)가 마련된 제2탄성판(15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210d)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는 고정구(152)에 형성된 결합공(154)에 결속되는 제3결합돌기(292a)가 형성되고, 고정구(152)에 형성된 제1탄성판(156)의 걸림돌기(156a)에 결속되는 제1고정홈(296a)이 형성되며, 탄성편(158)에 형성된 제2탄성판(158a)의 걸림돌기(158b)가 결속되는 제2고정홈(296b)이 형성된 제2회동판(290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결합돌기(292a)가 형성된 제2회동판(290a)의 일면에는 거치부(310)를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부(410b)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410b)는 제2회동판(290a)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일측 끝단부에 제2볼(414)이 형성된 결합축(4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310)의 상부부재(312)의 후부에는 제2볼(414)이 끼워지는 결합공간(422)이 형성된 결합구(4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10)는 제2회동판(290a)에 구비된 제2볼(414)을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회동되게 되어 거치부(310)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회동판(290a)을 펼치게 되면 제3결합돌기(292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면서 고정구(152)에 형성된 제1탄성판(156)의 걸림돌기(156a)가 제2회동판(290a)의 측부에 형성된 제1고정홈(296a)에 결속 되어 제2회동판(290a)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회동판(290a)을 접게 되면 제1고정홈(296a)으로부터 제1탄성판(156)에 구비된 걸림돌기(156a)가 제1고정홈(296a)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2회동판(290a)이 안착면(113)에 안착됨과 동시에 제2탄성판(158a)에 구비된 걸림돌기(158b)가 제2고정홈(296b)에 결속되어 제2회동판(290a)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재(112a)의 안착면(113)에는 제2회동판(290a)이 안착되는 안착홈(113a)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13a)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걸림돌기(159a)가 마련된 한 쌍의 제3탄성판(159)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회동판(290a)을 접었을 때 안착면(113)에 형성된 안착홈(113a)에 삽입되게 안착됨과 동시에 안착홈(113a)에 형성된 제3탄성판(159)의 걸림돌기(159a)가 제2회동판(290a)의 제2고정홈(296b)에 결속되어 안착홈(113a)에 제2회동판(290a)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재(112)에 형성된 결합홈(116)의 주변에 형성되되, 안착부재(112)의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지지돌기(160)가 형성되고, 안착부재(112)에 형성된 결합홈(116)과 연통되게 세로 방향으로 지지홈(1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210e)는 긴봉을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시키되, 양측 끝단부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인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시켜 안착부재(112)의 결합홈(116)에 결합되는 결속구(299)가 형성된 회동봉(29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봉(298)은 일측부, 즉 결속구(299)가 형성된 방향은 넓고 타측부는 좁은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동봉(298)의 결속구(299)가 안착부재(112)의 결합홈(116)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봉(298)을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안착시키게 되면 이 회동봉(298)은 안착부재(112)에 형성된 지지돌기(16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안착실(11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회동봉(298)을 펼치게 되면 이 회동봉(298)은 지지돌기(160)를 타고 넘어 펼쳐짐과 동시에 안착부재(112)에 형성된 지지홈(162)에 안착되어 펼져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410)는 내측면에 회동봉(298)이 안착되는 한 쌍의 제1안착공(432)이 형성된 제1결속부재(4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속부재(430)에 대응되는 방향에 한 쌍의 제2안착공(442)이 형성되어 제1결속부재(430)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제2결속부재(4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2결속부재(430)(440)의 사이에는 제1,2안착공(432)(442)에 안착되는 회동봉(298)이 위치하게 되고, 이 회동봉(298)을 따라 제1,2결속부재(430)(440)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거치부(31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안착공(442)이 형성된 제2결속부재(440)의 타측부에는 제2볼(414)이 형성된 결합축(41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거치부(310)의 상부부재(312)에는 제2볼(414)이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결합공간(422)이 형성된 결합구(42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는 싱크대 선반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착부(110)를 책상이나 테이블 등과 같이 상부에 전자기기용 거치장치(100)를 안착시킨 후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160)는 안착실(114)의 결합홈(116)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 결합홈(11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봉(298)의 펼쳐지는 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회동봉(298)을 안착부재(112)의 안착실(114)에 수납시킬 경우에는 회동봉(298)의 하부를 지지돌기(160)가 지지하여 안착실(11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회동봉(298)을 안착실(114)로부터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결합홈(116)에 결합 고정된 회동봉(298)의 타측부를 파지 후 회전시키게 되면 회동봉(298)은 결속구(299)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돌기(160)를 타고 넘어가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홈(162)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봉(298)은 지지홈(162)에 안착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거치부(310)에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310)는 제1,2결속부재(430)(44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동봉(298)에 결속된 제1,2결속부재(430)(440)는 회동봉(298)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결합부(410)에 설치된 거치부(3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310)는 제2결속부재(440)에 구비된 제2볼(414)을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회동되게 되어 거치부(310)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동봉(298)을 안착실(114)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동봉(298)을 펼칠 때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이 회동봉(298)은 지지홈(162)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지지돌기(160)를 타고 넘어가 안착실(114)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실(114)에 안착된 회동봉(298)은 안착실(114)에 형성된 지지돌기(16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안착실(11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110 : 안착부
112 : 안착부재 113 : 안착면
113a : 안착홈 114 : 안착실
116 : 결합홈 118 : 결속공
120 : 제1자성체 130 : 체결공
132 : 지지턱 140 : 볼안착홈
150 : 가림판 152 :고정구
154 : 결합공 156, 158a 159 : 제1,2,3탄성판
156a, 158b, 159a : 걸림돌기
210, 210a, 210b, 210c, 210d, 210e : 회동부
212 : 회동부재 214 : 관통공
218 : 제1결합돌기 219 : 설치홈
220 : 고정판 222 : 탄성돌기
230 : 제1연결부재 232 : 걸림홈
240 : 탄성판 250 : 고정부재
252 : 탄성돌기 254 : 고정단턱
260 : 하우징 262 : 고정구
264 : 절개홈 266 : 고정돌기
270 : 제2연결부재 280 : 제1볼
290, 290a : 제1,2회동판 292, 292a : 제2,3결합돌기
294 : 돌출편 296a, 296b : 제1,2고정홈
298 : 회동봉 299 : 결속구
310 : 거치부 312 : 상부부재
314 : 슬라이드공 316 : 상부지지부재
318 : 제1체결봉 320 : 하부부재
322 : 설치홀 324 : 제2체결봉
326 : 하부지지부재 330 : 탄성부재
340 : 제2자성체 350 : 무선충전기
410 : 결합부 412 : 결합축
414 : 제2볼 420 : 결합구
422 : 결합공간 430 : 제경속부재
432 ; 제1안착공 440 : 제2결속부재
442 : 제2안착공

Claims (28)

  1.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내측에 거치부가 안착되는 안착실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실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실내에 구비된 가구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단부에 제2볼이 형성된 결합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실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고정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회동판과;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볼이 끼워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움 결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단에 상부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실의 바닥부에는 제1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제1자성체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실의 전방 내측면에는 제3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판의 타측면 상부에는 제3자성체에 부착되는 제4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2.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일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림판이 형성되며, 안착면의 일측에는 가림판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가 구비되어 실내에 구비된 가구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단부에 제2볼이 형성된 결합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가 일면에 구비되고, 폭 방향의 양측부에는 고정구에 결속되는 제3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고정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회동판과,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볼이 끼워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움 결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단에 상부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3.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있어서,
    실내에 구비된 가구에 고정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안착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봉과,
    회동봉이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결속부재와,
    상기 제2결속부재에 구비되고 단부에 제2볼이 형성된 결합축과,
    상기 제2볼이 끼워지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의 주변에는 회동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연계되는 수직 방향으로는 회동봉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내측에 거치부가 안착되는 안착실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실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봉의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안착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는 회동봉을 따라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거치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상기 결합구가 구비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움 결합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하단에 상부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8. 제 1항, 제2항 및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슬라이드공 상부 내측에는 다수 개의 제1체결봉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개방되고 타측부는 제2체결봉이 구비된 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봉과 제2체결봉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부부재 후부에는 거치된 전자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는 제2회동판의 제3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타측부에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탄성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회동판의 폭방향 양 측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결속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의 타측부에는 한 쌍의 탄성편이 고정구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편의 내측에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2탄성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회동판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제2탄성판의 걸림돌기가 결속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제2회동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3탄성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회동판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제3탄성판의 걸림돌기가 결속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50032529A 2015-03-09 2015-03-09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10169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29A KR101692507B1 (ko) 2015-03-09 2015-03-09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29A KR101692507B1 (ko) 2015-03-09 2015-03-09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84A KR20160108984A (ko) 2016-09-21
KR101692507B1 true KR101692507B1 (ko) 2017-01-17

Family

ID=5708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529A KR101692507B1 (ko) 2015-03-09 2015-03-09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81B1 (ko) * 2018-05-02 2020-03-30 이종곤 다용도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28B1 (ko) * 2013-05-23 2013-11-27 김충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28B1 (ko) * 2013-05-23 2013-11-27 김충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84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105B2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JP3119144U (ja) 電子デバイス掛け留め機構
CN107850311B (zh) 便携式炉以及操作其锁定机构的方法
CN217206935U (zh) 底盘、支撑杆组件、支撑锁紧组件、支撑座、翻转锁定机构、风扇以及电器设备
KR20170132511A (ko)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KR20160045366A (ko) 휴대용 테이블
KR101692507B1 (ko)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10150089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21014B1 (ko) 휴대용 태블릿 pc 거치대
US9445653B2 (en) Bluetooth audio
KR101805897B1 (ko)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US20210177139A1 (en) Bra rescue closet
KR20140042762A (ko) 식탁이 구비된 홈바
US20090217847A1 (en) Nesting task table
CN209031398U (zh) 一种具有锁扣固定功能的折叠桌
JP3216124U (ja) 隠しブラケット付きポータブルファン
KR10149043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WO2020023814A1 (en) Portably suspended retractable shelf
US20200012314A1 (en) Portable stand for electronic device
CN109659753A (zh) 插排设备
KR20180063792A (ko) 책상과 의자를 주용도로 하는 복합가구
CN220896727U (zh) 一种手机支架
JP3199422U (ja) 吊下げ式テーブル用展開・収納構造体
KR101166559B1 (ko) 접이식 식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