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366A - 휴대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366A
KR20160045366A KR1020140140780A KR20140140780A KR20160045366A KR 20160045366 A KR20160045366 A KR 20160045366A KR 1020140140780 A KR1020140140780 A KR 1020140140780A KR 20140140780 A KR20140140780 A KR 20140140780A KR 20160045366 A KR20160045366 A KR 2016004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eg
flange
hol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철
Original Assignee
남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철 filed Critical 남현철
Priority to KR102014014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5366A/ko
Publication of KR2016004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을 테이블에 장착 내지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테이블 자체의 설치 내지 분해, 테이블의 높이 조절 등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그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진된 휴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테두리부재; 한 쌍의 테두리부재에 대해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 및 상기 테두리부재에 대해 설치된 복수의 레그(leg);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는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개구의 적어도 일부에 연료통의 플랜지가 걸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테이블{PORTABLE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을 테이블에 장착 내지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테이블 자체의 설치 내지 분해, 테이블의 높이 조절 등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그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진된 휴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테이블은 식사, 응접, 회의 등에 쓰이는 가구의 총칭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의 상판 및 이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이블로는, 식사용 테이블, 응접용 테이블, 티테이블, 회의용 테이블, 사이드테이블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야외 행사시에 활용될 수 있는 휴대용 테이블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테이블은 그 특성상 이동이 매우 용이하여야 하고, 또한 그 이동시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리부분이 접힘식으로 이루어진다.
근래에 이르러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등산, 낚시, 캠핑, 야외 나들이 등과 같은 레저활동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레저활동 시에 승용차 등에 적재하기 용이하고 휴대가 편리한 휴대용 테이블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외에도 식당이나 가정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야외에서 휴대용 테이블에서 음식물의 요리 등을 위해서는 휴대용 버너 등을 준비하여야 하지만, 휴대용 버너를 테이블 위에 안전한 안착이 용이하지 못하여 그 사용 도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용 테이블 자체에 휴대용 버너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구조를 마련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장착구조는 휴대용 버너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그 중량이 전체적으로 높아져 휴대 내지 이동 등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그외에도 종래의 휴대용 테이블은 일부 구성요소가 접힙식으로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보관 시에 부피를 최소하는데 한계가 크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KR 20-0330787 Y1(2003.10.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테이블의 일측에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이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 내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단순화되어 그 제조단가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휴대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을 테두리부재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테이블의 전체적인 조립 내지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분해 시에 부피를 매우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보관성이 향상되는 휴대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테두리부재;
한 쌍의 테두리부재에 대해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 및
상기 테두리부재에 대해 설치된 복수의 레그(leg);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는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개구의 적어도 일부에 연료통의 플랜지가 걸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개구는 연료통의 플랜지 보다 큰 내경을 가져 상기 연료통의 플랜지가 하부에서 삽입되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공을 가지고, 상기 걸림공은 상기 연료통의 플랜지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연료통의 플랜지가 상기 걸림공에 걸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재는 외측부재 및 내측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측부재는 경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부재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부재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에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끼움부는 상기 내측부재의 끼움홈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의 끼움부 및 상기 내측부재의 끼움홈은 상호 대응하는 "ㄱ"자형 단면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개구의 삽입공과 걸림공의 경계부분에는 연료통의 플랜지가 걸림공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회동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스토퍼의 일단부는 회동핀에 의해 상판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동스토퍼의 타단부에는 결합핀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핀의 맞은편에 위치한 상판의 타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스토퍼의 결합핀은 상기 상판의 결합공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스토퍼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테두리부재에 힌지결합된 제1레그와, 제1레그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되는 제2레그와, 상기 제2레그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레그 및 제1레그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가 제1레그의 내측에 고정되며, 그 타단부에는 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레그 및 제2레그 각각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이 테두리부재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수단은, 내측부재의 끼움홈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된 볼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볼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테두리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진 상판의 끼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의 끼움부 일측에는 볼의 구면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의 일측에 마련된 장착개구의 삽입공 및 걸림공을 통해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 내지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연료통을 장착개구에 장착할 때 연료통의 플랜지 저면이 걸림공의 가장자리에 걸려짐에 따라 연료통의 가스배출관이 상판의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휴대용 버너의 어댑터를 가스배출관에 매우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어 음식물의 요리 내지 조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더불어 연료통의 통체가 상판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연료통의 통체가 외부로 노출됨이 방지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의 끼움부가 내측부재의 끼움홈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판의 좌우 양측단부는 한 쌍의 테두리부재에 대해 그 분리 및 결합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테두리부재가 외측부재 및 내측부재로 구성되고, 상판의 끼움부는 연질의 내측부재에 대해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판의 결합 및 분리가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이 한 쌍의 테두리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 및 테두리부재가 끼움부 및 끼움홈의 "ㄱ"자형 단면구조에 의해 측방향으로 서로 이탈될 우려가 없으므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스토퍼에 의해 연료통의 플랜지가 걸림공에 지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연료통이 외부로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스토퍼가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동스토퍼의 회동 및 회동스토퍼의 결합 등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두리부재를 지지하는 레그가 펼침 내지 접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2레그가 제1레그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위치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레그의 전체 길이 가변이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에 의해 제2레그가 제1레그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므로, 그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안정되게 가이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레그가 제1레그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그 위치가 조절된 이후에 제1레그의 고정공과 제2레그의 고정공이 서로 맞춰질 경우에 고정부재의 탄력성에 의해 고정돌기가 제1레그의 고정공 및 제2레그의 고정공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고, 특히 고정부재의 탄력성에 의해 제1 및 제2 레그의 결합 상태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에 의해 볼이 끼움홈에 끼워진 상판의 끼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판의 끼움부가 테두리부재에 대해 결합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임의 외력에 의해 분리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의 끼움부에 볼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상판은 테두리부재의 일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그 결합된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의 테두리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의 테두리부재에서 레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테이블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테두리부재(10)와, 한 쌍의 테두리부재(11)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20)과, 테두리부재(11)에 대해 설치된 복수의 레그(30, leg)를 포함한다.
한 쌍의 테두리부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 테두리부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재(11) 및 내측부재(1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외측부재(11)는 알루미늄 등과 같이 가볍고 강성이 높은 경질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개방된 채널(channel)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측부재(11)의 측벽에는 복수의 살빼기홈(1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이에 외측부재(11)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그 재료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외측부재(11)의 하면에는 보조 살빼기구멍(11b)이 부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부재(12)는 합성수지 등과 같이 가볍고 부드러운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부재(11)의 내측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재(12)에는 끼움홈(1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끼움홈(13)에는 후술하는 상판(20)의 끼움부(21)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진다. 특히, 내측부재(12)가 합성수지 등과 같이 연질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판(20)의 끼움부(21)가 내측부재(12)의 끼움홈(13)을 통한 슬라이딩이동이 보다 원활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내측부재(12)에는 복수의 살빼기구멍(12a)이 형성되고, 이러한 살빼기홈(12a)에 의해 내측부재(12)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그 재료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외측부재(11)의 살빼기홈(11a)과 내측부재(12)의 살빼기홈(12a)은 서로 소통가능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휴대용 테이블의 조립 시에 테두리부재(10)를 통해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상판(2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에 형성된 끼움부(21)를 가지고, 끼움부(21)는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가진 "ㄱ"자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판(20)의 끼움부(21)는 테두리부재(10)의 끼움홈(13)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지고, 특히 테두리부재(10)의 끼움홈(13)은 상판(20)의 끼움부(21)에 대응하는 형상인 "ㄱ"자형 단면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판(20)의 끼움부(21)가 내측부재(12)의 끼움홈(13)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판(20)의 좌우 양측단부는 한 쌍의 테두리부재(10)에 대해 그 분리 및 결합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판(20)이 한 쌍의 테두리부재(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20) 및 테두리부재(10)가 끼움부(21) 및 끼움홈(13)의 "ㄱ"자형 단면구조에 의해 측방향으로 서로 이탈될 우려가 없으므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2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 각각에 형성된 마감절곡부(22)를 가지고, 이러한 마감절곡부(22)는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판(20)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는 미려한 마감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마감절곡부(22)는 상판(20)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에서 끼움부(21)에 인접한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상판(20)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평탄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평탄부(23)에 의해 상판(20)의 끼움부(21)가 테두리부재(10)에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 내지 분리될 때 마감절곡부(22)로 인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판(20)이 한 쌍의 테두리부재(10)들 사이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 내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상판(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판(20)에는 휴대용 버너(미도시)의 연료통(50)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개구(40)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중간에 위치한 상판(20)의 일측에 장착개구(40)가 형성됨이 예시되어 있지만, 장착개구(40)는 그외 다른 상판(2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모든 상판(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개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41)과 이 삽입공(41)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공(42)을 가진다.
한편, 휴대용 버너(미도시)의 연료통(50)은 이소부탄 등과 같은 가스가 저장된 통체(51)와, 이 통체(51)의 상부에 마련된 플랜지(52)와, 플랜지(52)의 중심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가스배출관(53)을 가진다.
삽입공(4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통(50)의 플랜지(52) 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걸림공(42)은 연료통(50)의 플랜지(52) 및 삽입공(41)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이러한 연료통(50)의 장착 및 분리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료통(50)의 플랜지(52)를 삽입공(41)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시켜 연료통(50)의 플랜지(52)를 삽입공(41)의 상부로 돌출시키고(도 10의 점선 참조), 그 이후에 연료통(50)의 플랜지(52)를 걸림공(42) 측으로 이동시킨 이후에 연료통(50)을 놓으면 플랜지(52)의 저면이 걸림공(42)의 가장자리에 걸려져 지지된다(도 10의 실선 참조). 이렇게 연료통(50)의 플랜지(52)가 장착개구(40)의 걸림공(42)에 지지됨에 따라 연료통(50)의 가스배출관(53)은 상판(2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휴대용 버너의 어댑터(미도시)를 가스배출관(53)에 매우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더불어 연료통(50)의 통체(51)는 상판(20)의 하부에 위치됨에 따라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연료통(50)의 분리는 상술한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판(20)의 일측에 마련된 장착개구(40)의 삽입공 및 걸림공을 통해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50)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 내지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연료통(50)을 장착개구에 장착할 때 연료통(50)의 플랜지(52) 저면이 걸림공(42)의 가장자리에 걸려짐에 따라 연료통(50)의 가스배출관(53)이 상판(20)의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휴대용 버너의 어댑터를 가스배출관(53)에 매우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어 음식물의 요리 내지 조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더불어 연료통(50)의 통체(51)가 상판(2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연료통(50)의 통체(51)가 외부로 노출됨이 방지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장착개구(40)의 삽입공(41)과 걸림공(42)의 경계부분에는 연료통(50)이 걸림공(42)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회동스토퍼(45)가 설치될 수 있다.
회동스토퍼(45)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동스토퍼(45)의 일단부는 회동핀(46)에 의해 상판(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스토퍼(45)의 타단부에는 결합핀(47)이 마련되고, 회동핀(46)의 맞은편에 위치한 상판(20)의 타측에는 결합공(48)이 형성되며, 회동스토퍼(45)의 결합핀(47)은 상판(20)의 결합공(48)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회동스토퍼(45)는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회동스토퍼(45)는 결합핀(47)을 눌러 결합공(48)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12의 점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핀(46)에 대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상판(20)의 하부방향으로 벌어진 이후에 회동핀(46)을 중심으로 도 11과 같이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스토퍼(45)의 작동관계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1의 점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스토퍼(45)가 회동핀(46)을 중심으로 삽입공(41)의 외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연료통(50)의 플랜지(52)를 삽입공(41)을 통해 삽입시킨 후에 플랜지(52)를 걸림공(42)에 지지시킨다.
그리고, 연료통(50)의 플랜지(52)가 걸림공(42)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스토퍼(45)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삽입공(41)과 걸림공(42)의 경계부분에 위치시키면(도 11의 실선 참조), 회동스토퍼(45)는 그 자체의 탄력성에 의해 결합핀(47)이 상판(20)의 결합공(48)에 끼움결합될 수 있고, 이에 연료통(50)의 플랜지(52)는 회동스토퍼(45)에 걸려 연료통(50)이 삽입공(41)으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 이후에 연료통(5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스토퍼(45)을 회동핀(46)을 중심으로 상판(20)의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시켜 회동스토퍼(45)의 결합핀(47)을 상판(20)의 결합공(48)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회동스토퍼(45)를 삽입공(41)의 외측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점선 참조).
레그(30)는 테두리부재(10)에 대해 회동함과 더불어 그 길이가 조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재(10)에 힌지결합된 제1레그(31)와, 제1레그(31)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되는 제2레그(33)와, 상기 제2레그(32)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5)를 가진다.
제1레그(31)는 그 상단부가 힌지핀(32)을 매개로 테두리부재(10)에 힌지결합되어 테두리부재(10)에 대해 접힘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제1레그(31)의 상단부에 인접한 일측에는 스토퍼부(31c)가 마련되고, 제1레그(31)가 테두리부재(10)에 대해 펼쳐질 때 스토퍼부(31c)에 의해 그 펼쳐진 각도가 일정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레그(31)의 일측에는 체결공(31a)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31a)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35)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39)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2레그(33)는 제1레그(31)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를 통해 레그(30)의 전체 길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변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레그(33)와 제1레그(31)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가이드홈(36) 및 가이드돌기(37)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2레그(33)는 제1레그(31)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이 안정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그(31)의 양측면에 가이드홈(36)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레그(33)의 양측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돌기(37)가 돌출하며, 이에 제2레그(33)의 가이드돌기(37)가 제1레그(31)의 가이드홈(36)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제2레그(33)는 제1레그(31)에 대해 정밀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고정부재(35)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일단부가 제1레그(31)의 내측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며, 고정부재(35)의 타단부에는 제2레그(32)를 제1레그(31)에 대해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38)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5)의 일단부에는 체결공(35a)이 형성되고, 이에 고정부재(35)의 체결공(35a)과 제1레그(31)의 체결공(31a)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구(39)가 체결됨에 따라 고정부재(35)의 일단부는 제1레그(31)의 내측에 노출되지 않게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35)는 길이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고정부재(35)는 도 7의 점선과 같이 일단부(35a)를 중심으로 제1레그(31)에 대해 탄력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제1레그(31) 및 제2레그(33) 각각에는 복수의 고정공(31b, 33b)이 각각 형성되고, 제2레그(33)가 제1레그(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그 위치가 조절된 이후에 제1레그(31)의 고정공(31b) 및 제2레그(33)의 고정공(33b)이 서로 맞춰질 경우에 고정부재(35)의 고정돌기(38)가 제1레그(31)의 고정공(31b) 및 제2레그(33)의 고정공(33b)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판(20)이 테두리부재(10)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임의의 외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유지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수단(6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1)과, 하우징(61)의 일단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된 볼(62)과, 하우징(61) 내에 설치되어 볼(6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3)을 포함한다.
하우징(61)은 내측부재(12)의 끼움홈(13)에 인접하여 매립되게 설치된다.
볼(62)은 하우징(61)의 일단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러한 볼(62)은 스프링(63)에 의해 끼움홈(13)으로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된다.
스프링(63)은 하우징(61) 내에서 볼(62)을 끼움홈(13) 측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유지수단(60)에 의해, 유지수단(60)의 볼(62)은 끼움홈(13)에 끼워진 상판(20)의 끼움부(21)를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판(20)의 끼움부(21)가 테두리부재(10)에 대해 결합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임의 외력에 의해 분리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지수단(6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판(20)의 끼움부(21)의 수직부에 볼(62)의 구면에 대응하는 안착홈(65)이 형성되며, 이러한 안착홈(65)에 볼(62)이 안착됨으로써 상판(20)은 테두리부재(10)의 일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그 결합된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지수단(60)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판(20)의 끼움부(21)의 수평부에 볼(62)의 구면에 대응하는 안착홈(65)이 형성되며, 이러한 안착홈(65)에 볼(62)이 안착됨으로써 상판(20)은 테두리부재(10)의 일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그 결합된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유지수단(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재(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테두리부재(10)에 결합된 상판(20)이 임의의 외력에 의해 외부로 쉽게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테두리부재 11: 외측부재
12: 내측부재 20: 상판
21: 끼움부 30: 레그
40: 장착개구 41: 삽입공
42: 걸림공

Claims (7)

  1. 휴대용 테이블로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테두리부재;
    한 쌍의 테두리부재에 대해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상판; 및
    상기 테두리부재에 대해 설치된 복수의 레그(leg);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는 휴대용 버너의 연료통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개구의 적어도 일부에 연료통의 플랜지가 걸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개구는 연료통의 플랜지 보다 큰 내경을 가져 상기 연료통의 플랜지가 하부에서 삽입되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공을 가지고,
    상기 걸림공은 상기 연료통의 플랜지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연료통의 플랜지가 상기 걸림공에 걸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외측부재 및 내측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측부재는 경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부재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부재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각각에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끼움부는 상기 내측부재의 끼움홈에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끼움부 및 상기 내측부재의 끼움홈은 상호 대응하는 "ㄱ"자형 단면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개구의 삽입공과 걸림공의 경계부분에는 연료통의 플랜지가 걸림공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회동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테두리부재에 힌지결합된 제1레그와, 제1레그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되는 제2레그와, 상기 제2레그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판이 테두리부재에 대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수단은 내측부재의 끼움홈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된 볼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볼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테두리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진 상판의 끼움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테이블.
KR1020140140780A 2014-10-17 2014-10-17 휴대용 테이블 KR20160045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80A KR20160045366A (ko) 2014-10-17 2014-10-17 휴대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80A KR20160045366A (ko) 2014-10-17 2014-10-17 휴대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66A true KR20160045366A (ko) 2016-04-27

Family

ID=5591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780A KR20160045366A (ko) 2014-10-17 2014-10-17 휴대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536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767A (zh) * 2017-06-16 2017-09-08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防夹功能的升降式电暖茶几
CN108185653A (zh) * 2017-12-19 2018-06-22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升降式电暖茶几的感应防夹控制方法及智能防夹电暖茶几
CN108209177A (zh) * 2017-12-19 2018-06-29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电暖茶几的压力升降控制方法
CN108577175A (zh) * 2017-12-19 2018-09-28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电暖茶几的触摸升降控制方法
KR102440940B1 (ko) * 2022-06-14 2022-09-06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접이식 테이블
KR20230136928A (ko) * 2022-03-21 2023-10-04 혜 숙 김 캠핑카용 테이블 조립체
KR20230001885U (ko) * 2022-03-21 2023-10-04 혜 숙 김 캠핑카용 테이블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787Y1 (ko) 2003-07-18 2003-10-22 김경중 가스버너가 장착된 절첩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787Y1 (ko) 2003-07-18 2003-10-22 김경중 가스버너가 장착된 절첩식 테이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767A (zh) * 2017-06-16 2017-09-08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防夹功能的升降式电暖茶几
CN108185653A (zh) * 2017-12-19 2018-06-22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升降式电暖茶几的感应防夹控制方法及智能防夹电暖茶几
CN108209177A (zh) * 2017-12-19 2018-06-29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电暖茶几的压力升降控制方法
CN108577175A (zh) * 2017-12-19 2018-09-28 贵州德鑫冲压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电暖茶几的触摸升降控制方法
KR20230136928A (ko) * 2022-03-21 2023-10-04 혜 숙 김 캠핑카용 테이블 조립체
KR20230001885U (ko) * 2022-03-21 2023-10-04 혜 숙 김 캠핑카용 테이블 조립체
KR102440940B1 (ko) * 2022-06-14 2022-09-06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접이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5366A (ko) 휴대용 테이블
US20220338618A1 (en) Desk system with expandable benching
RU2749341C2 (ru) Подставка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0537171B2 (en) Shelf attachment for lounge chair
US20170332794A1 (en) Shelf attachment for lounge chair
US20170251803A1 (en) Portable adjustable desk system
US20090241811A1 (en) Collapsible table
KR101803436B1 (ko) 기능성 확장 테이블
US9084491B1 (en) Portable tray table
US10357110B2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KR2019005780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US20140361583A1 (en) Stackable chair with cupholder and folding table
KR20210007656A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0470472Y1 (ko) 접이식 캠핑용 그릴 테이블
EP2630895B1 (en) Securing element,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with tablet-arm chairs
US20090193576A1 (en) Simply-Assembled Bath Chair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US20190045920A1 (en) Adjustable height table
KR200477782Y1 (ko) 휴대용 접이식 거치대
KR101692507B1 (ko)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20150004023U (ko) 레저용 접이식 상
KR200485428Y1 (ko)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가구 조립체
KR101824215B1 (ko) 일체형 파티션을 갖는 조립식 책상
KR101207383B1 (ko)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