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940B1 -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940B1
KR102440940B1 KR1020220071915A KR20220071915A KR102440940B1 KR 102440940 B1 KR102440940 B1 KR 102440940B1 KR 1020220071915 A KR1020220071915 A KR 1020220071915A KR 20220071915 A KR20220071915 A KR 20220071915A KR 102440940 B1 KR102440940 B1 KR 10244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pair
coupled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Priority to KR102022007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940B1/ko
Priority to CN202310687876.7A priority patent/CN117223965A/zh
Priority to US18/209,450 priority patent/US20230397718A1/en
Priority to JP2023097425A priority patent/JP202318255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0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leg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2009/00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inclined slidabl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의 펼침시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전방판 및 후방판과, 좌측판 및 우측판; 테이블의 펼침시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 상기 후방판과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을 각각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모서리판; 및 상기 모서리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모아지는 형태인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상기 모서리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전방판, 후방판, 좌측판 및 우측판을 지지하며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모서리판의 접힘시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지는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다리플레이트는, 상기 모서리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고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레일을 형성하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한 쌍의 메인다리부;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면서 승강되고 양측면에 슬라이딩홈과 가이드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하측 단부에 연질의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한 쌍의 상기 메인다리부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다리플레이트의 길이를 연장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테이블{Folding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블을 펼쳐서 사용 가능함은 물론 테이블을 구성하는 판들을 선택적으로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블 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판들을 선택적으로 연장 또는 확장하는 것이 용이해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아웃도어 캠핑에 대한 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도 야외 캠핑시 취사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테이블은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휴대성과 간편한 설치구조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의 기술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웃도어용 조립식 테이블은 상판부와 다리가 별도로 분리되어 조립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여 야외 캠핑장에서 설치하는 구조인데, 종래에는 상판을 분해하거나, 직경이 다른 원통형의 다리를 절첩식으로 설계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립 및 분해에 따른 다수의 부품이 별도로 분리되어 부품과 기재의 유실이 발생하였으며, 각 부품 간의 마찰에 따른 마모 현상도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4개의 상판부와 다리를 일체로 회동하도록 연결시켜 상판부의 접힘 동작에 연동하여 다리가 접히는 구조의 야외 테이블이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특허문헌 1은 상판부와 다리부가 일체화된 구조로서, 상판과 다리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손 쉽게 접을 수 있는 형태로 휴대성을 향상시켰고, 일반 가정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아웃도어 캠핑용으로 적절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은 다리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삼각형 또는 삼각뿔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어 테이블의 설치 환경에 따른, 다리부의 길이연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테이블을 펼쳐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판들 중 접힘과 펼침의 구조를 갖는 판들의 힌지 연결부위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의도치 않게 판들이 접혀져 테이블의 설치 형태가 변형되어 사용이 불가능함은 물론 기재의 파손 또는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들이 한정된 면적을 갖는 형태이기 때문에, 취식과정에서 다양한 음식들과 다양한 조리용기와 취식도구 등을 상판에 놓을 때, 제한된 수량만을 놓을 수밖에 없어 취식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5281호(2014.03.17.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테이블을 펼쳐서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테이블을 구성하는 판들을 선택적으로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테이블 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판들을 선택적으로 연장 또는 확장하는 것이 용이해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테이블의 펼침시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전방판 및 후방판과, 전후방향 중앙부를 경계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 테이블의 펼침시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 상기 후방판과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을 각각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를 경계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모서리판; 및 상기 모서리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모아지는 형태인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상기 모서리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전방판, 후방판, 좌측판 및 우측판을 지지하며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모서리판의 접힘시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지는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다리플레이트는, 상기 모서리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고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레일을 형성하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한 쌍의 메인다리부;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면서 승강되고 양측면에 슬라이딩홈과 가이드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하측 단부에 연질의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한 쌍의 상기 메인다리부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다리플레이트의 길이를 연장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전후방향 중앙부 바닥면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힌지와 함께 연동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록은,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수단이 삽입 및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잠금홈; 상기 잠금홈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의 삽입 및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 및 상기 지지수단의 상기 잠금홈 삽입시 상기 지지수단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레일에 끼워져 상기 지지수단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삽입 및 중앙부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잠금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보조다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끼움홀을 형성하고, 한 쌍의 상기 메인다리부는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하측 단부에 판스프링을 구비하면서 상기 판스프링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다리부의 슬라이딩에 의한 승강에 따라 상기 끼움돌기가 복수개의 상기 끼움홀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기 공간부를 향하는 내측 단부에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거치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거치블록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판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공간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안착판은 전방 또는 후방 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전방판, 후방판,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기 공간부의 반대편 외측 단부에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연장돌기 또는 연장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판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다.
테이블의 접힘시, 상기 모서리판들이 접혀져 포개어진 상태에서 힌지를 경계로 접혀진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이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의 바닥면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전방판과 좌측판 및 우측판을 연결하는 상기 모서리판들 각각의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는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좌측판과 우측판이 접혀져 각각의 상면이 면접촉된 부위의 전방에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바닥면과 상기 전방판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후방판과 좌측판 및 우측판을 연결하는 상기 모서리판들 각각의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는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이 접혀져 각각의 상면이 면접촉된 부위의 후방에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바닥면과 상기 후방판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부가 연질의 힌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삼각형 또는 삼각뿔과 유사한 형태의 다리플레이트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메인다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다리플레이트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면서도 모서리판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방판, 후방판, 좌측판 및 우측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테이블의 펼침시 지지수단이 지지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공간부 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앙부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좌측판 및 우측판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외력의 작용에 따른 의도치 않은 접힘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테이블의 접힘시 지지수단의 잠금레일에 잠금돌기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블록의 좌측 또는 우측(공간부 측)으로 이동되어 지지블록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테이블이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지지수단의 분실 우려를 차단함은 물론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지는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에는 간섭되지 않게 되어 테이블의 접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공간부를 커버링하는 안착판을 통해 테이블을 구성하는 판들의 영역을 확대하여 확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과 결합이 가능한 연장홈 또는 연장돌기의 구성을 통해 전방판, 후방판, 좌측판 및 우측판들 중 선택적으로 안착판과의 결합을 유도하여 연장 또는 확장하는 것이 용이해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다리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지지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모서리판 및 다리플레이트가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이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 또는 길이방향은 테이블의 펼침시 모서리판이 다리플레이트의 상측에 있도록 한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좌측과 우측 또는 폭 방향은 좌측판과 우측판이 설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함께, 전방과 후방은 전방판과 후방판이 공간부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을 펼쳐서 사용 가능함은 물론 테이블을 구성하는 판들을 선택적으로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블 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판들을 선택적으로 연장 또는 확장하는 것이 용이해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의 펼침시 중앙에 공간부(S)를 형성하도록 공간부(S)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전방판(100) 및 후방판(200)과; 전후방향 중앙부를 경계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H)를 통해 결합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과; 테이블의 펼침시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전방판(100)과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 후방판(200)과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을 각각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를 경계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H)를 통해 결합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모서리판(500)과; 모서리판(5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모아지는 형태인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모서리판(500)을 지지함으로써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을 지지하며 힌지(H)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판(500)의 접힘시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지는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를 포함하는 것을 근간으로 한다.
여기에서,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우측판(400), 모서리판(500) 및 다리플레이트(600)는 각각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은 설정 길이를 갖는 사각의 판 형상일 수 있고, 모서리판(500)은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 각각의 가장자리 부위를 연결하도록 원을 1/4로 분할한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은, 도 2,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전후방향 중앙부 바닥면에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의 힌지와 함께 연동하도록 결합되어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는 지지블록(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700)은, 도 8과 같이, 그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수단(740)이 삽입 및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잠금홈(710)과, 잠금홈(710)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수단(740)의 삽입 및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720)와, 지지수단(740)의 잠금홈(710) 삽입시 지지수단(740)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레일(741)에 끼워져 지지수단(74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삽입 및 중앙부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잠금돌기(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블록(700)은 테이블의 펼침시, 도 8에 도시된 도면의 순서와는 반대로,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잠금돌기(730)가 잠금레일(741)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수단(740)이 좌측 또는 우측(공간부 측)에 위치하여 잠금홈(710)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토퍼돌기(720)와 잠금돌기(730)를 통해 삽입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면, 잠금홈(710) 내에서 우측 또는 좌측(공간부 외측)으로 지지수단(74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지지블록(700)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펼침을 완료할 수 있고, 스토퍼돌기(720)와 잠금돌기(730)에 의해 지지수단(740)의 과도한 슬라이딩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지지수단(740)의 삽입과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잠금돌기(730)는 잠금레일(741)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치 "L"자를 그리는 형상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고, 이는 지지수단(740)의 이동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테이블의 펼침시 지지수단(740)이 지지블록(700)의 좌측 또는 우측(공간부 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폭 방향 중앙부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외력의 작용에 따른 의도치 않은 접힘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테이블의 접힘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700)의 중앙부에 위치한 지지수단(740)을 좌측 또는 우측(공간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부 빼내어 잠금홈(710)으로의 완전한 삽입을 해제한 상태에서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수단(740)의 잠금레일(741)에 잠금돌기(730)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블록(700)의 좌측 또는 우측(공간부 측)으로 이동되어 지지블록(7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테이블이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지지수단(740)의 분실 우려를 차단함은 물론 테이블의 접힘시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지는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에는 간섭되지 않게 되어 테이블의 접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은, 도 1, 도 2, 도 5 및 도 6과 같이, 공간부(S)를 향하는 내측 단부에 공간부(S) 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거치블록(B)을 구비할 수 있고, 거치블록(B)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판(800)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안착되어 공간부(S)를 커버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안착판(800)은 전방 또는 후방 단부에 좌우 방향(폭 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결합돌기(810) 또는 결합홈(820)을 형성하여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될 수 있고,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은 공간부(S)의 반대편 외측 단부에 결합돌기(810) 또는 결합홈(820)에 대응하는 연장돌기 또는 연장홈(E)을 형성하여 안착판(800)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공간부(S)를 커버링하는 안착판(800)을 통해 테이블을 구성하는 판들(100, 200, 300, 400)의 영역을 확대하여 확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결합돌기(810) 또는 결합홈(820)과 결합이 가능한 연장홈 또는 연장돌기(E)의 구성을 통해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들 중 선택적으로 안착판(800)과의 결합을 유도하여 연장 또는 확장하는 것이 용이해 테이블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안착판(800)들 간의 결합 또는 안착판(800)과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들 간의 선택적인 결합은 결합돌기(810) 또는 결합홈(820) 상호 간과, 결합돌기(810) 또는 결합홈(820)에 대응하는 연장돌기 또는 연장홈(E) 상호 간의 억지끼움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는, 도 1 내지 도 7, 도 9와 같이, 한 쌍의 메인다리부(610) 및 한 쌍의 보조다리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메인다리부(610)는 모서리판(5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고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레일(611)을 형성하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612)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보조다리부(620)는 슬라이딩레일(611)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면서 승강되고 양측면에 슬라이딩홈(621)과 가이드단턱(622)을 형성하여 슬라이딩홈(621)에 가이드돌기(612)가 끼워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하측 단부에 연질의 힌지(623)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한 쌍의 메인다리부(610)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의 길이를 연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홈(621)은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측단에서 내측으로 가이드단턱(622)이 연장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홈(621)에 가이드돌기(612)가 끼워져 가이드단턱(622)에 걸려진 상태에서 보조다리부(620)가 슬라이딩레일(611)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특히,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부(620)가 연질의 힌지(623)를 통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삼각형 또는 삼각뿔과 유사한 형태의 다리플레이트(600)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메인다리부(610)로부터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다리플레이트(600)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면서도 모서리판(50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방판(100), 후방판(200),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보조다리부(6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끼움홀(624)을 형성하고, 한 쌍의 메인다리부(610)는 슬라이딩레일(611)의 하측 단부에 판스프링(613)을 구비하면서 판스프링(613)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614)를 형성하여 보조다리부(620)의 슬라이딩에 의한 승강에 따라 끼움돌기(614)가 복수개의 끼움홀(624)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테이블의 설치 환경 또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다리 길이에 따라, 다리플레이트(60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연장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끼움돌기(614)와 끼움홀(624)의 결합에 따른 설치 유지의 안정감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테이블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펼쳐 사용한 후, 테이블을 구성하는 판들을 선택적으로 접어 보관 및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7과 같이, 복수개의 안착판(800)들을 분리시킨 다음, 보조다리부(620)가 메인다리부(610)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레일(611)을 통해 상측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740)을 잠금홈(710)에서 일부 빼낸 다음, 좌측판(300)과 우측판(400)을 각각 힌지(H)를 경계로 접게 됨과 동시에, 도 9와 같이,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과 일체로 결합된 모서리판(500)도 힌지(H)를 경계로 한 쌍의 판이 접혀지게 되면서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 또한 상호 면접촉을 이루며 포개어지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10과 같이, 모서리판(500)들이 접혀져 포개어진 상태에서 힌지(H)를 경계로 접혀진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이 전방판(100)과 후방판(200)의 바닥면에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전방판(100)과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을 연결하는 모서리판(500)들 각각의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는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좌측판(300)과 우측판(400)이 접혀져 각각의 상면이 면접촉된 부위의 전방에서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의 바닥면과 전방판(100)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에 놓이게 된다.
또한, 후방판(200)과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을 연결하는 모서리판(500)들 각각의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600)는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좌측판(300)과 우측판(400)이 접혀져 각각의 상면이 각각 면접촉된 부위의 후방에서 좌측판(300) 및 우측판(400)의 바닥면과 후방판(200)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상태에 놓이게 됨으로써 테이블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전방판 200 : 후방판
300 : 좌측판 400 : 우측판
500 : 모서리판 600 : 다리플레이트
610 : 메인다리부 611 : 슬라이딩레일
612 : 가이드돌기 613 : 판스프링
614 : 끼움돌기 620 : 보조다리부
621 : 슬라이딩홈 622 : 가이드단턱
623 : 연질의 힌지 624 : 끼움홀
700 : 지지블록 710 : 잠금홀
720 : 스토퍼돌기 730 : 잠금돌기
740 : 지지수단 741 : 잠금레일
800 : 안착판 810 : 결합돌기
820 : 결합홈 B : 거치블록
E : 연장돌기 또는 연장홈 H : 힌지
S : 공간부

Claims (6)

  1. 테이블의 펼침시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전방판 및 후방판과, 전후방향 중앙부를 경계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
    테이블의 펼침시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 상기 후방판과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을 각각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를 경계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모서리판; 및
    상기 모서리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모아지는 형태인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상기 모서리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전방판, 후방판, 좌측판 및 우측판을 지지하며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모서리판의 접힘시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지는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다리플레이트는,
    상기 모서리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바닥면에 각각 결합되고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레일을 형성하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한 쌍의 메인다리부; 및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면서 승강되고 양측면에 슬라이딩홈과 가이드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하측 단부에 연질의 힌지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한 쌍의 상기 메인다리부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다리플레이트의 길이를 연장하는 한 쌍의 보조다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전후방향 중앙부 바닥면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힌지와 함께 연동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록은,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수단이 삽입 및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잠금홈;
    상기 잠금홈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의 삽입 및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 및
    상기 지지수단의 상기 잠금홈 삽입시 상기 지지수단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레일에 끼워져 상기 지지수단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삽입 및 중앙부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잠금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보조다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끼움홀을 형성하고,
    한 쌍의 상기 메인다리부는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하측 단부에 판스프링을 구비하면서 상기 판스프링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다리부의 슬라이딩에 의한 승강에 따라 상기 끼움돌기가 복수개의 상기 끼움홀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기 공간부를 향하는 내측 단부에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거치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거치블록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착판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공간부를 커버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안착판은 전방 또는 후방 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전방판, 후방판,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기 공간부의 반대편 외측 단부에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연장돌기 또는 연장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판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테이블의 접힘시,
    상기 모서리판들이 접혀져 포개어진 상태에서 힌지를 경계로 접혀진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이 상기 전방판과 후방판의 바닥면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전방판과 좌측판 및 우측판을 연결하는 상기 모서리판들 각각의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는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좌측판과 우측판이 접혀져 각각의 상면이 면접촉된 부위의 전방에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바닥면과 상기 전방판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후방판과 좌측판 및 우측판을 연결하는 상기 모서리판들 각각의 한 쌍의 다리플레이트는 상호 면접촉되면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이 접혀져 각각의 상면이 면접촉된 부위의 후방에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바닥면과 상기 후방판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KR1020220071915A 2022-06-14 2022-06-14 접이식 테이블 KR10244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15A KR102440940B1 (ko) 2022-06-14 2022-06-14 접이식 테이블
CN202310687876.7A CN117223965A (zh) 2022-06-14 2023-06-12 折叠桌
US18/209,450 US20230397718A1 (en) 2022-06-14 2023-06-13 Folding Table
JP2023097425A JP2023182558A (ja) 2022-06-14 2023-06-14 折り畳み式テーブ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15A KR102440940B1 (ko) 2022-06-14 2022-06-14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940B1 true KR102440940B1 (ko) 2022-09-06

Family

ID=8328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915A KR102440940B1 (ko) 2022-06-14 2022-06-14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97718A1 (ko)
JP (1) JP2023182558A (ko)
KR (1) KR102440940B1 (ko)
CN (1) CN11722396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81B1 (ko) 2012-11-20 2014-03-17 김천기 야외 테이블
KR20160044893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접이식 테이블
KR20160045366A (ko) * 2014-10-17 2016-04-27 남현철 휴대용 테이블
US10390609B2 (en) * 2017-01-24 2019-08-27 Nemo Equipment, Inc. Table top and skirt with foldable le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81B1 (ko) 2012-11-20 2014-03-17 김천기 야외 테이블
KR20160044893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접이식 테이블
KR20160045366A (ko) * 2014-10-17 2016-04-27 남현철 휴대용 테이블
US10390609B2 (en) * 2017-01-24 2019-08-27 Nemo Equipment, Inc. Table top and skirt with foldable le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97718A1 (en) 2023-12-14
JP2023182558A (ja) 2023-12-26
CN117223965A (zh)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7952A (en) Expandable table
US10806247B1 (en) Slider, frame and table having same
US10806248B1 (en) Slider, frame and table having same
EP0790791B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AU2006203492A1 (en) Table assembly
US2591797A (en) Collapsible table
KR102440940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110092436A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20180001186U (ko) 캠핑용 다용도 테이블
KR101554111B1 (ko)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KR100972608B1 (ko) 접이식 의자
US6925944B1 (en) Multiple-use table
US8302540B1 (en) Extendable folding table
US8118358B2 (en) Chair
KR200473929Y1 (ko) 평상 기능을 가진 테이블
KR200479533Y1 (ko) 캠핑 테이블
KR101654910B1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KR102281302B1 (ko) 다용도 테이블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102124294B1 (ko) 접이식 테이블
KR100918356B1 (ko) 절첩식 탁자의 프레임구조
JP2019195456A (ja) ベンチ
CN209353844U (zh) 一种帐篷支架
JP3094520U (ja) 引出し付き折畳式ピクニックテーブル
KR101483771B1 (ko) 다용도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