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141B1 - 접이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141B1
KR101791141B1 KR1020150170611A KR20150170611A KR101791141B1 KR 101791141 B1 KR101791141 B1 KR 101791141B1 KR 1020150170611 A KR1020150170611 A KR 1020150170611A KR 20150170611 A KR20150170611 A KR 20150170611A KR 101791141 B1 KR101791141 B1 KR 101791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member
center
hinge connection
front surfac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755A (ko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어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어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어그린
Priority to KR102015017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1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4Table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강성이 뛰어나 테이블뿐만 아니라 평상, 의자, 매트리스 및 간이침대로 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절첩된 상,하부면이 수평면이 되도록 펼쳐져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지지부재와, 외부지지부재의 내부 공간에 면부착 위치되어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펼쳐짐에 따라 동시에 폭 방향으로 펼쳐져서 하중이 지지되는 내부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받침대{FOLDING TYPE SUPPORTER}
본 발명은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실내 또는 야외 활동시 의자, 평상, 간이침대 등으로 이용되도록 용이한 이동 및 간편한 설치가 가능한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현대인들이 도심지를 벗어나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레저문화가 발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차량으로 운반하여 휴양지나 여행지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테이블 또는 의자 등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테이블은 통상 다리를 펼친 후, 그 위에 테이블 상판을 거치시킴으로써, 휴대하기에 용이하고 펼쳐 사용하기 간편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야외에서 식탁, 취사대, 독서대 또는 작업대 등과 같은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즉, 야외 나들이용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테이블의 상판은 절첩 가능하도록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절첩 되는 다리와 같이 최소의 부피로 가방 등에 포함되어 휴대가 이루어지게 된다.
야외에 가서는 설치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야외에서 식사를 하거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휴대용 테이블은 설치가 간편하다고 하더라도, 다리와 상판을 결합하여야 하고, 재질이 금속재로 하여 전체 중량이 가중되어 휴대하기에는 무거운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휴대용 테이블은 지지하중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큰 하중이 요구되지 않는 식탁, 취사대, 독서대 등에 사용이 한정적이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00716호(공개일 2009.01.2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71493호(공고일 2014.0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강성이 뛰어나 테이블뿐만 아니라 평상, 의자, 매트리스 및 간이침대로 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절첩된 상,하부면이 수평면이 되도록 펼쳐져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지지부재와,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내부 공간에 면부착 위치되어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펼쳐짐에 따라 동시에 폭 방향으로 펼쳐져서 하중이 지지되는 내부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 외부지지부재는 판지, 골판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지지부재는, 마주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전면 및 외부후면과,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을 각각 연결하며 중앙에 외부절첩선이 형성되는 외부상면과 외부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상면 및 외부하면과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을 잇는 연결부위에는 절첩시 공간 확보를 위하여 모따기되어 있는 외부힌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힌지연결부는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밀착 지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의 외측면에는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다른 상기 외부지지부재를 연속하여 다수개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수단은 벨크로테이프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중앙에 수직하게 맞대여져 있는 제1,2중앙지지면과, 상기 제1중앙지지면의 전면 양단에 연결 형성되는 전면날개부와, 상기 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내부전면과, 상기 제2중앙지지면의 후면 양단에 연결 형성되는 후면날개부와, 상기 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내부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2중앙지지면과 상기 내부전, 후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지지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부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지지부재는, 중앙에 수직하게 맞대여져 있는 제1,2중앙지지면과, 상기 제1중앙지지면의 전면에 전면날개부와 상기 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2 내부전면과, 상기 제2중앙지지면의 후면에 후면날개부와 상기 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2 내부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중앙지지면에 위치 설치되는 상기 제1내부전면과 상기 제2내부전면은 상대적으로 설치 면적이 상이하며, 상기 제2중앙지지면에 위치 설치되는 상기 제1내부후면과 상기 제2내부후면은 상대적으로 설치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부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중앙지지면에 상기 제2내부후면이 위치 형성되고, 상기 제2내부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중앙지지면에 상기 제1내부후면이 위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받침대에서는,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포개짐이 가능하여 최소한의 부피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며, 펼쳐졌을 때에는 강성이 뛰어나 안정적으로 테이블뿐만 아니라 평상, 의자, 매트리스 및 간이침대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반정도 접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펼쳐진 상태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를 다수개 붙여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내부지지부재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외부지지부재의 상, 하면이 제거된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반정도 접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의 펼쳐진 상태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를 다수개 붙여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내부지지부재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외부지지부재의 상, 하면이 제거된 상태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1)는, 크게 외부지지부재(100)와, 외부지지부재(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지지부재(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내,외부지지부재(200)(100)는 판지, 골판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먼저, 외부지지부재(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절첩된 상,하부면이 수평면이 되도록 펼쳐져서 테이블, 평상, 의자 그리고 여러개를 연결하여 매트리스 및 간이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그 내부로는 형성된 공간에 내부지지부재(200)를 포함시켜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외부지지부재(100)는, 중공의 내부를 가지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동일 면적으로 수직하게 마주하는 외부전면(110)과 외부후면(120)을 포함하며, 이들 외부전면(110)과 외부후면(12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외부상면(130)과 외부하면(140)이 일체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상면(130)과 외부하면(140)에는 반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중앙에 외부절첩선(130a)(140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상면(130) 및 외부하면(140)과 연결되는 외부전면(110) 및 외부후면(120)의 연결부위에는 절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형태로 모따진 외부힌지연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전면(110)과 외부후면(120)의 외측면에는 연결수단(160)이 설치되어 다른 근접하는 외부지지부재(100)를 연속하여 다수개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평면 면적을 확장시켜서 간이침대 또는 평상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시된 연결수단(160)으로는 벨크로테이프가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벨크로테이프 이외에도 후크 결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지지부재(200)는 외부지지부재(100)의 내부 공간에 면부착 위치되어 외부지지부재(100)의 펼쳐짐에 따라 동시에 폭 방향으로 펼쳐져서 하중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수직하게 맞대여져 제1,2중앙지지면(210)(220)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이들 제1중앙지지면(210)의 양단에는 전면날개부(212)와 같이 일체로 이어지는 내부전면(214)이 위치 설치될 수 있다.
제1중앙지지면(210)과 전면날개부(212) 및 내부전면(214)는 수직 방향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일체의 박스 형태일 수 있으며, 내부전면(214)은 외부지지부재(100)의 내측면에 접착제와 같은 부착수단을 통해 면부착되어 있고, 외부지지부재(100)의 외부힌지연결부(150)와 같은 형태로 전면날개부(212)와 내부전면(214)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힌지연결부(215)를 통해 절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2중앙지지면(220)에도 제1중앙지지면(210)과 같이 제2중앙지지면(220)의 양단에 일체의 후면날개부(222)와 내부후면(224)이 위치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중앙지지면(220)과 후면날개부(222) 및 내부후면(224)는 수직 방향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일체의 박스 형태일 수 있으며, 내부후면(224)은 외부지지부재(100)의 내측면에 접착제와 같은 부착수단을 통해 면부착되어 있고, 후면날개부(222)와 내부후면(224)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힌지연결부(225)를 통해 절첩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2중앙지지면(210)(220)과 내부전, 후면(214)(224)의 사이 공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 형상의 날개지지면(2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강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내부지지부재(200)는, 전,후면날개부(212)(222)에 다른 전, 후면날개부(212)(222)이 대향하여 마주하는 배치로 외부지지부재(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받침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지지부재(100)의 내부에 내부지지부재(200)가 연속하여 두 개가 내장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며, 다음과 같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하나 또는 다수개를 포개어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이용시에는 외부지지부재(100)의 외부상면(130)을 향하여 하방으로 힘을 주게 되면, 외부상면(130)과 외부하면(140)의 외부절첩선(130a)(140a)이 펼쳐지면서 외부전면(110)과 외부후면(120)도 동시에 폭이 벌어지게 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어서 하방으로 힘을 더 주게 되면, 도 4a에서와 같이 외부힌지연결부(150)를 통해 외부상면(130)과 외부하면(140)은 편평한 상태로 접이식 받침대(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외부지지부재(100)에 면부착으로 위치되어 있던 내부지지부재(200)도 같이 펼쳐져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즉, 내부지지부재(200)의 내부전면(214)과 내부후면(224)은 각각 외부전면(110)과 외부후면(120)에 면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전면(110)과 외부후면(120)의 펼쳐짐에 따라 내부힌지연결부(215)(225)를 통해 전면날개부(212)와 후면날개부(222) 및 다수개의 날개지지면(230)도 공간 허용 범위 내에서 펼쳐지게 된다.
제1,2 중앙지지면(210)(220)과 같이 전, 후면날개부(212)(222), 내부전, 후면(214)(224), 날개지지면(230)들은 펼쳐진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덧붙여, 도4b에서와 같이 외부힌지연결부(150)는 지지력이 약할 수 있으므로 내측으로 수직한 내부지지부재(200)가 밀착 위치되어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을 때에는 외부전면(110)과 외부후면(120)을 마주하도록 양방향에서 힘을 가하면 용이하게 접힘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접이식 받침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므로 도 1 내지 도 5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되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따라서 도6 및 도 7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부지지부재(200)에 관한 것이다.
내부지지부재(200)는, 수직하게 맞대여져 제1,2중앙지지면(210)(220)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제1중앙지지면(210)에는 제1,2내부전면(214a)(214b)이 위치되고, 제2중앙지지면(220)에는 제1,2내부후면(224a)(224b)이 위치될 수 있다.
제1,2내부전면(214a)(214b)은 내부힌지연결부(215)를 통해 절첩가능하도록 전면날개부(212)를 포함하고, 제1,2내부후면(224a)(224b) 역시 내부힌지연결부(225)를 통해 절첩가능하도록 후면날개부(222)를 포함하고 잇다.
여기서 제1중앙지지면(210)에 위치되는 제1내부전면(214a)과 제2내부전면(214b)은 상대적으로 설치 면적이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내부전면(214a)이 제2내부전면(214b)보다는 길이 방향으로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1내부후면(224a)과 제2내부후면(224b)도 상대적으로 설치 면적이 상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1내부후면(224a)이 제2내부후면(224b)보다 길이 방향으로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내부전면(214a)에 대향하여 제2중앙지지면(220)에 제2내부후면(224b)이 위치 형성되고, 제2내부전면(214b)에 대향하여 제2중앙지지면(220)에 상기 제1내부후면(224a)이 위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내부전면(214a)(214b)과 제1,2내부후면(224a)(224b)은 외부지지부재(100)의 내측면에 접착제와 같은 부착수단을 통해 부착되어서, 외부지지부재(100)의 펼쳐짐 작동에 따라 상기의 제1실시예서와 같이 펼쳐짐 작동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제1,2내부전면(214a)(214b)과 제1,2내부후면(224a)(224b)이 상호 교차 설치됨에 따라 전면날개부(212)와 후면날개부(222)도 지그재그로 교차 설치되어 하중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접이식 받침대 100 : 외부지지부재
110 : 외부전면 120 : 외부후면
130 : 외부상면 140 : 외부하면
130a, 140a : 외부절첩선 150 : 외부힌지연결부
160 : 연결수단 200 : 내부지지부재
210 : 제1중앙지지면 212 : 전면날개부
214 : 내부전면 215, 225 : 내부힌지연결부
220 : 제2중앙지지면 222 : 후면날개부
224 : 내부후면 230 : 날개지지면

Claims (11)

  1. 절첩된 상,하부면이 수평면이 되도록 펼쳐져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지지부재와,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내부 공간에 면부착 위치되어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펼쳐짐에 따라 동시에 폭 방향으로 펼쳐져서 하중이 지지되는 내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지지부재는,
    마주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전면 및 외부후면과,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을 각각 연결하며 중앙에 외부절첩선이 형성되는 외부상면과 외부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상면 및 외부하면과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을 잇는 연결부위에는 절첩시 공간 확보를 위하여 모따기되어 있는 외부힌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힌지연결부는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밀착 지지되는 것이고,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중앙에 수직하게 맞대여져 있는 제1,2중앙지지면과,
    상기 제1중앙지지면의 전면 양단에 연결 형성되는 전면날개부와,
    상기 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내부전면과,
    상기 제2중앙지지면의 후면 양단에 연결 형성되는 후면날개부와,
    상기 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내부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부지지부재는 판지, 골판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의 외측면에는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다른 상기 외부지지부재를 연속하여 다수개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중앙지지면과 상기 내부전, 후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지지면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9. 절첩된 상,하부면이 수평면이 되도록 펼쳐져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지지부재와,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내부 공간에 면부착 위치되어 상기 외부지지부재의 펼쳐짐에 따라 동시에 폭 방향으로 펼쳐져서 하중이 지지되는 내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지지부재는,
    마주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전면 및 외부후면과,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을 각각 연결하며 중앙에 외부절첩선이 형성되는 외부상면과 외부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상면 및 외부하면과 상기 외부전면과 외부후면을 잇는 연결부위에는 절첩시 공간 확보를 위하여 모따기되어 있는 외부힌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힌지연결부는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밀착 지지되는 것이고,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중앙에 수직하게 맞대여져 있는 제1,2중앙지지면과,
    상기 제1중앙지지면의 전면에 전면날개부와 상기 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2 내부전면과,
    상기 제2중앙지지면의 후면에 후면날개부와 상기 후면날개부에 절첩가능하도록 내부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2 내부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앙지지면에 위치 설치되는 상기 제1내부전면과 상기 제2내부전면은 상대적으로 설치 면적이 상이하며,
    상기 제2중앙지지면에 위치 설치되는 상기 제1내부후면과 상기 제2내부후면은 상대적으로 설치 면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중앙지지면에 상기 제2내부후면이 위치 형성되고,
    상기 제2내부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2중앙지지면에 상기 제1내부후면이 위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대.
KR1020150170611A 2015-12-02 2015-12-02 접이식 받침대 KR101791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11A KR101791141B1 (ko) 2015-12-02 2015-12-02 접이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11A KR101791141B1 (ko) 2015-12-02 2015-12-02 접이식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55A KR20170064755A (ko) 2017-06-12
KR101791141B1 true KR101791141B1 (ko) 2017-10-27

Family

ID=5921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611A KR101791141B1 (ko) 2015-12-02 2015-12-02 접이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1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178B2 (ja) * 1991-04-22 2000-10-1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誘電体磁器組成物
JP3156973B2 (ja) * 1991-10-18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
CN202277063U (zh) * 2011-09-02 2012-06-20 深圳市美盈森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由旧包装箱折叠成的凳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178B2 (ja) * 1991-04-22 2000-10-1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誘電体磁器組成物
JP3156973B2 (ja) * 1991-10-18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
CN202277063U (zh) * 2011-09-02 2012-06-20 深圳市美盈森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由旧包装箱折叠成的凳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55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93614S1 (en) Stand
US10716392B2 (en) Table top and skirt with foldable legs
US6158361A (en) Foldable table frame
JP3055863U (ja) 組立式机
US6234089B1 (en) Foldable table top
KR101464114B1 (ko) 접이식 의자가 달린 접이식 책상
US11478071B2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and folding frame thereof
US4060275A (en) Collapsible table
US10617213B2 (en) Folding storage stool
US20130099547A1 (en) Automatic deployable, foldable furniture system
KR20110092436A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102347574B1 (ko) 다리 분리형 테이블
US3365258A (en) Knock-down counter construction
KR101554111B1 (ko)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KR101791141B1 (ko) 접이식 받침대
CN209018260U (zh) 一种折叠式展具
KR20110008518U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0473929Y1 (ko) 평상 기능을 가진 테이블
US20070210142A1 (en) Folding collapsible storage box
TWM601041U (zh) 車用延伸桌
CN207767887U (zh) 一种桌椅床柜多变家具
JP3155667U (ja) コンテナ
KR200245185Y1 (ko) 조립식 간이 의자
CN219020535U (zh) 一种户外折叠便携餐桌
KR200459474Y1 (ko) 접이식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