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559B1 - 접이식 식탁 - Google Patents

접이식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559B1
KR101166559B1 KR1020110034177A KR20110034177A KR101166559B1 KR 101166559 B1 KR101166559 B1 KR 101166559B1 KR 1020110034177 A KR1020110034177 A KR 1020110034177A KR 20110034177 A KR20110034177 A KR 20110034177A KR 101166559 B1 KR101166559 B1 KR 10116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b
base plate
main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원
Original Assignee
최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원 filed Critical 최상원
Priority to KR102011003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2003/082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table legs being individually collapsible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편평하게 연장된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레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높낮이를 가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와 메인레그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메인레그를 지면에 접촉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메인레그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레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 의하면 메인레그를 폈다 접었다 하는 접이식 작동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는 보조레그를 구비하여 교자상과 더불어 비교적 높게 사용되는 제사상으로 겸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식탁{folding type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접이식 식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자상은 앉은 자세에서 적합하도록 대체로 낮고, 재래 제사상은 비교적 그 높이가 대략 60㎝정도가 되는데, 일반 가정에서는 이들을 각기 갖추기 위해 장소의 협소함과 경제적인 측면 등의 거추장스러움을 고려하여 격식없이 교자상을 그대로 제사상으로 공용하고 있어 그 품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우리 고유의 전통예법에도 어긋나 아이들의 교육상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상다리에 있어서도, 접이식 상다리의 접철식 고정장치가 여러종류로 안출되었으나, 이들 중 교자상 레그 고정장치의 일 예를 들면, 상판의 측판 양측부에 지지판을 착설시켜서 된 격실 내측에 걸림판이 부착된 상다리를 축설하고, 지지판에는 덮개판을 경첩으로 착설하여 상다리를 고정시키거나 접철시킬 수 있도록 덮개판과 측판에 괘지구 및 협지구를 설치한 고정장치가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덮개판의 개폐 및 괘지구 등의 괘해지 등의 작동으로 상다리를 고정시키거나 접철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장기 사용에 따른 덮개판의 힌지부 탈리 현상 등의 견고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는 단지 일정한 길이의 상다리로서 교자상 외의 높게 사용되는 제사상에는 부적합한 결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식 작동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용도에 따라 교자상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교자상과 더불어 비교적 높게 사용되는 제사상으로 겸용할 수 있는 접이식 식탁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은 편평하게 연장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레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높낮이를 가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와 상기 메인레그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메인레그를 지면에 접촉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인레그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레그;를 구비한다.
상기 서브레그는 상호 대향되는 상기 메인레그의 내측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메인레그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레그와 상기 서브레그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레그에 고정되는 끼움돌기가 양 단에 각각 마련된 수평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레그에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서브레그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시 상기 서브레그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서브레그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될 시 상기 서브레그의 일단이 이탈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레그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시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 및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끼움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관통홀과, 상기 서브레그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관통홀로부터 이탈되게 상기 관통홀의 주위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확장된 확장홀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레그에는 상기 서브레그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시킬시 상기 서브레그가 자중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차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서브레그의 일 측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부재에 탈부착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메인레그와 인접되게 설치되되 상기 서브레그의 폭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커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튼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게 단차진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 의하면, 메인레그를 폈다 접었다 하는 접이식 작동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는 보조레그를 구비하여 교자상과 더불어 비교적 높게 사용되는 제사상으로 겸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의 메인레그와 서브레그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브레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서브레그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발췌사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브레그가 접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접이식 식탁(1)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지부(2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그릇 또는 접시가 놓일 수 있게 편평하게 연장형성된다.
지지부(20)는 메인레그(30)와, 서브레그(40) 및 수평지지대(50)를 포함한다.
메인레그(30)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고,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게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레그(3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모서리에 인접된 부분에 각각 4개가 고정된 구조를 적용한다.
메인레그(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사용자가 방 또는 거실 등의 바닥에 착석한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단이 사용자의 복부와 흉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레그(3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 끼움 결합 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못, 볼트, 피스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메인레그(30)의 일 측면에는 메인레그(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서브레그(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대(50)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31)이 형성된다.
수평지지대(50)는 메인레그(30)와 후술되는 서브레그(40)를 관통하여 메인레그(30)에 고정된다. 수평지지대(50)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각각 고정된 메인레그(30)를 지지하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메인레그(30)에 일단과 타단이 끼움 결합되어 메인레그(30)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수평지지대(50)는 메인레그(30)의 끼움홈(31)에 끼움결합 될 수 있게 양단에 각각 끼움돌기(51)가 형성된다. 이 끼움돌기(51)는 수평지지대(50)와 메인레그(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서브레그(40)가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단면 형상이 각지게 형성된다. 끼움돌기(51)는 단면형상이 정사각 또는 직사각 또는 마름모 형상을 이루는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수평지지대(50)의 끼움돌기(5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평지지대(50)의 양 측단이 메인레그(30)에 고정되며 메인레그(30)의 끼움홈(31)은 수평지지대(50)가 삽입될 수 있게 수평지지대(50)의 단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레그(4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높낮이를 가변하여 지지할 수 있게 메인레그(30)의 길이방향 즉,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방 또는 거실 등의 바닥에 접촉되는 제1위치와, 메인레그(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메인레그(30)의 하단이 바닥에 접촉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메인레그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1위치는 서브레그(40)가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직교하고 메인레그(30)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방으로 펼쳐진 상태이고, 제2위치는 서브레그(40)가 메인레그(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접어진 상태이다.
서브레그(40)는 제사상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를 높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높낮이를 가변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를 지지시키는 것으로, 메인레그(30)와 수평지지대(5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지지대(50)를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을 향하여 접어지거나 그 반대로 펼쳐진다.
서브레그(40)는 제1위치에서 메인레그(30)가 방 또는 거실의 바닥면으로부터 부양된 상태가 되도록 메인레그(3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서브레그(40)의 길이는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가 사용자의 허리 내지 흉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레그(40)에는 장착돌기(41)와, 관통홀(42)과, 확장홀(43)이 형성된다.
장착돌기(41)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 마련된 장착홈(11)에 삽입장착될 수 있게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관통홀(42)은 수평지지대(50)의 끼움돌기(51)가 삽입 및 통과될 수 있게 끼움돌기(5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서브레그(40)는 장착홈(11)에 장착되는 장착돌기(41)와 수평지지대(50)의 끼움돌기(51)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확장홀(43)은 관통홀(42)을 통과하여 메인레그(30)의 끼움홈(3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51)가 장착홈(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관통홀(42)로부터 서브레그(40)의 장착돌기(4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홀을 포함한다. 여기서, 끼움돌기(51)는 메인레그(30)의 끼움홈(31)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끼움돌기(51)가 장착홈(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아니라 확장홀(43)이 끼움돌기(51)를 향하여 이동된 것이다.
확장홀(43)은 끼움돌기(51)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브레그(40)를 회전시킬 경우 내주면이 끼움돌기(51)와 이격된 상태로 즉, 끼움돌기(51)가 내주면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서브레그(4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 서브레그(40)를 도면상의 상부 즉,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장착돌기(41)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장착홈(11)으로부터 이탈시키면 관통홀(42) 및 확장홀(43) 또한 상승하게 되어 서브레그(40)는 수평지지대(50)의 끼움돌기(51)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서브레그(40)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고, 서브레그(40)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방으로 회전되지 않게 서브레그(40)의 장착돌기(41)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즉, 수평지지대(50)의 끼움돌기(51)가 확장홀(43)에서 관통홀(42)에 위치하도록 후퇴시키면 서브레그(40)의 접는 과정이 완료된다. 이와는 반대로 서브레그(40)가 접어진 상태에서 서브레그(40)를 펼치는 과정은 상술한 접는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와 서브레그(40)에는 회전차단부(60)가 구비된다.
회전차단부(60)는 수평지지대(50)를 기준으로 서브레그(40)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을 향하여 접어진 상태에서 서브레그(40)가 자중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 및 서브레그(40)에 각각 부착되어 자기력에 의해 상호 간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이로써 서브레그(40)는 관통홀(42)에 끼워진 상태의 끼움돌기(51)와, 회전차단부(60)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방으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커튼부(70)가 더 구비된다.
커튼부(7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 고정된 메인레그(30)의 측면을 지지하며, 서브레그(40)가 제2위치에 위치될 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베이스플레이트(10)를 바라보았을 때 서브레그(40)가 보이지 않도록 은폐한다.
커튼부(7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와 메인레그(30)의 결합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나사결합되거나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커튼부(7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게 단차진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서브레그(40)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커튼부(70)에는 접어진 서브레그(40)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방으로 펼쳐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커튼부(7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80)가 형성된다.
걸림돌기(80)는 확장홀(4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장착돌기(41)에 간섭되지 않도록 확장홀(43)의 중심과 장착돌기(41)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는 먼 거리에 위치되고, 서브레그(40)의 자석부재가 사용자의 의도가 아닌 외부 충격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자석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서브레그(4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관통홀(42)의 중심과 장착돌기(41)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52는 서브레그(40)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지대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플레이트
20 : 지지부
30 : 메인레그
40 : 서브레그
50 : 수평지지대
60 : 회전차단부
70 : 커튼부
80 : 걸림돌기

Claims (4)

  1. 편평하게 연장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레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높낮이를 가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와, 상기 메인레그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메인레그를 지면에 접촉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인레그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레그는 상호 대향되는 상기 메인레그의 내측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메인레그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레그와 상기 서브레그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레그에 고정되는 끼움돌기가 양 단에 각각 마련된 수평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레그에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서브레그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시 상기 서브레그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서브레그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될 시 상기 서브레그의 일단이 이탈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레그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시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 및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끼움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관통홀과, 상기 서브레그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관통홀로부터 이탈되게 상기 관통홀의 주위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확장된 확장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식탁.
  2. 삭제
  3. 편평하게 연장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레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높낮이를 가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와, 상기 메인레그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메인레그를 지면에 접촉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인레그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레그에는 상기 서브레그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시킬시 상기 서브레그가 자중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차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서브레그의 일 측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부재에 탈부착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식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메인레그와 인접되게 설치되되 상기 서브레그의 폭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커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튼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게 단차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식탁.
KR1020110034177A 2011-04-13 2011-04-13 접이식 식탁 KR10116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77A KR101166559B1 (ko) 2011-04-13 2011-04-13 접이식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77A KR101166559B1 (ko) 2011-04-13 2011-04-13 접이식 식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559B1 true KR101166559B1 (ko) 2012-07-18

Family

ID=4671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177A KR101166559B1 (ko) 2011-04-13 2011-04-13 접이식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281A (zh) * 2016-05-06 2016-09-07 中山美得盛休闲家具有限公司 一种折叠式多功能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281A (zh) * 2016-05-06 2016-09-07 中山美得盛休闲家具有限公司 一种折叠式多功能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0414C (en) Modular walls incorporating recessed, extendable furniture
US20160220015A1 (en) Foldable table having legs of unequal length
KR20110092436A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20160024695A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1166559B1 (ko) 접이식 식탁
KR20130107469A (ko) 벽면 부착 의자의 절첩식 다리
EP2273052A1 (en) Masking device for wall-embedded equipment
KR20120134775A (ko)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KR20110114408A (ko) 벽면에 설치하는 접이식 테이블
KR100528681B1 (ko) 공동주택 주방용 벽걸이 식탁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KR200440034Y1 (ko) 다수의 좌판을 갖는 조립식 의자
KR200463856Y1 (ko) 벽면 부착형 상/하 슬라이드 행거
KR10125719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JP3169702U (ja) ハンガー掛け
KR200454234Y1 (ko) 접이식 테이블
RU2651516C1 (ru) Стул складывающийся с вращающимся сиденьем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20130085896A (ko) 회전 접이식 ''탁자와 진열대 또는 조리대''
KR20130088714A (ko)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KR20130089129A (ko) 접이''탁자와 의자''가 장착되는 인테리어 판재
KR20026324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296015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235236Y1 (ko) 다리미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00005040U (ko) 로스터의 보조 테이블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