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054B1 -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054B1
KR101155054B1 KR1020100129132A KR20100129132A KR101155054B1 KR 101155054 B1 KR101155054 B1 KR 101155054B1 KR 1020100129132 A KR1020100129132 A KR 1020100129132A KR 20100129132 A KR20100129132 A KR 20100129132A KR 101155054 B1 KR101155054 B1 KR 10115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radle
stop unit
main lin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0012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입력을 위한 키입력부가 구비된 바디부에 태블릿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일정한 각도로 세워서 지지하거나 다시 접을 수 있는 틸팅기구를 구비하여 정보입력을 편리하게 하고 시야각을 좋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바디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링크; 상기 메인링크로부터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링크; 상기 메인링크의 타단 및 상기 가이드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입력을 위한 키입력부가 구비된 바디부에 태블릿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일정한 각도로 세워서 지지하거나 다시 접을 수 있는 틸팅기구를 구비하여 정보입력을 편리하게 하고 시야각을 좋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단말기란 무선통신이나 정보처리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휴대용단말기는 넓은 의미로 볼 때 스마트폰, 휴대폰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이 포함된다. 종래에도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과 고화질의 디스플레이를 갖춘 스마트폰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겔럭시탭 또는 아이패드 등과 같은 고사양의 태블릿피씨가 출시되면서 더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휴대폰 등과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크기가 작고 기능이 간단하여 휴대성과 정보입력에 있어서 크게 불편함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 중 태블릿피씨 또는 겔럭시탭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용 키패드 만으로는 이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에 QWERTY방식의 입력창을 구비하여 정보입력을 하도록 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에 정보입력창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 감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태블릿피씨는 양손으로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보입력창과 표시창이 동일평면에 배열되므로 적절한 시야각이 유지되지 않아 정보입력과 입력된 정보의 확인을 동시에 수행하기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감상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적절한 시야각을 유지하면서 사용하거나 다른 물체에 비스듬하게 대고 감상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불안정하게 고정된 태블릿피씨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정보입력수단을 구비한 바디부에 태블릿피씨를 일정한 시야각이 유지되도록 이동하여 지지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접을 수 있는 틸팅기구를 구비하여 정보입력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문서작업이나 동영상감상을 하는 경우에 적절한 시야각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바디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링크; 상기 메인링크로부터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링크; 상기 메인링크의 타단 및 상기 가이드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의하며, 별도의 정보입력수단이 구비되어 태블릿피씨의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정보표시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태블릿피씨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져서 지지 및 고정되므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야각을 제공해 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모터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입력수단(110)이 구비된 바디부(100); 일단이 상기 바디부(10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링크(130); 상기 메인링크(130)로부터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링크(150); 상기 메인링크(130)의 일단과 상기 가이드링크(150)의 일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바디부(100)에 밀착ㆍ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70); 상기 메인링크(130)의 타단 및 상기 가이드링크(15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190); 상기 바디부(100)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링크(130)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구동모터(210); 상기 상부플레이트(190)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고정수단(195) 및 상기 바디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90)에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00)는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직사각형의 판상의 구조다. 바디부(100)의 일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110)이 구비된다. 입력수단(110)은 터치방식 또는 스위치방식이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복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입력수단(110)은 QWERTY방식의 키보드가 구비된다.
바디부(100)의 일단의 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101)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0)를 바닥면에 놓았을 경우에 상기 바디부(100)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입력수단(110)을 조작하기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돌출부(101)가 구비됨으로써 후술하여 설명할 구동모터(210) 및/또는 메인링크(130)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홈(103)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01)는 바디부(100)의 일단의 타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타면의 양측의 일부구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바디부(100)의 일단의 타면에는 필요에 따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수납식의 키보드다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키보드다리는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키보드다리와 돌출부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바디부(100)의 일단의 일면에는 제1 결합홈(103)이 형성된다. 제1 결합홈(103)은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바디부(100)의 일단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된다. 제1 결합홈(103)은 후술하여 설명할 구동모터(210) 및 메인링크(130)가 수납ㆍ결합되는 곳으로, 상기 구동모터(210) 및 메인링크(130)의 결합부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메인링크(130)는 제1 결합홈(103)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제1 결합홈(103)은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며, 구동모터(210)가 함께 수납되는 제1 결합홈(103)에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추가로 구비된다. 메인링크(130) 및 구동모터(210)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바디부(100)의 일면으로, 전술한 제1 결합홈(103)으로부터 상기 바디부(100)의 타단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제2 결합홈(105)이 형성된다. 제2 결합홈(105)은 후술하여 설명할 가이드링크(150)의 일단이 결합되는 곳으로, 상기 가이드링크(150)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2 결합홈(105)은 바디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105)의 일측에만 구비되도록 한다. 제2 결합홈(105)과 바디부(100)의 타단 사이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입력수단(110)이 구비된다.
메인링크(170)는 판상의 구조의 양단에 결합부가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H자 형상에 유사하고,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133, 이하 '바디결합부'라 한다)는 바디부(100)의 제1 결합홈(10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며, 타단에 구비된 결합부(135, 이하 '플레이트결합부'라 한다)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상부플레이트(19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메인링크(130)에 구비된 각 결합부는 결합되는 유닛의 방향으로 편심되거나 치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디부(100)와 결합되는 바디결합부(133)는 바디부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고, 상부플레이트(190)와 결합되는 플레이트결합부(135)는 상부플레이트(190)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메인링크(130)가 바디부(100)에 접히는 경우에 바디결합부(133)가 제1 결합홈(103)에 수납되고, 플레이트결합부(135)는 상부플레이트(190)와 겹쳐져서 세 개의 유닛이 밀착되어 접힐 수 있게 된다.
가이드링크(150)는 막대형상의 바(bar) 구조로, 일단은 바디부(100)의 제2 결합홈(10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고, 타단은 상부플레이트(19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가이드링크(150)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는 일측으로 절곡되거나 편심되도록 하고, 타단에 구비된 결합부는 타측으로 치우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링크(150)가 바디부(100)에 접히는 경우에 상기 바디부(100)의 일면과 상기 가이드링크(150) 및 상부플레이트(190)가 밀착되도록 한다. 가이드링크(150)는 바디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베이스프레임(170)은 전술한 제1 결합홈(101)과 제2 결합홈(105)의 간격에 대응되는 넓이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로, 일단에는 링(ring) 형상의 메인링크결합부(17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가이드링크결합핀(175)이 구비된다. 이때 메인링크결합부(173)와 가이드링크결합핀(175)은 베이스프레임(170)의 타측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링크결합부(173)와 가이드링크결합핀(175)이 제1 결합홈(103)과 제2 결합홈(105)에 각각 수납되어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70)은 바디부(100)에 밀착고정된다.
메인링크(130)와 가이드링크(150)는 바디부(100)에 직접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70)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7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고 원활한 작동이 보장된다.
상부플레이트(190)는 태블릿피씨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 및 고정하는 판상의 구조로,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양측이 메인링크(13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이 가이드링크(15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부플레이트(190)의 일단과 타단의 양측에는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핀 또는 몸체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선택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메인링크 또는 가이드링크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핀 또는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핀 또는 결합홈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모터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구동모터(21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몸체(211)와, 상기 모터몸체(2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스탑유닛(213)과, 상기 모터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모터축(214)과, 상기 모터축(21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스탑유닛(215)과, 상기 제2 스탑유닛(215)의 외측에 구비되며 메인링크(130)의 바디결합부(133)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유닛(217) 및 상기 동력전달유닛(217)과 상기 제2 스탑유닛(21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탑유닛(215)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219)으로 구성된다.
구동모터(210)는 메인링크(130)의 회전력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하면서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속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탑유닛(213)은 일측에 곡면형상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평편한 링(ring)형상으로 상기 제1 스탑유닛(213)의 타측이 구동모터의 모터몸체(211) 일측에 결합되며 모터축(214)은 상기 제1 스탑유닛(213)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 스탑유닛(213)을 관통하여 돌출된 모터축(214)에는 제2 스탑유닛(215)이 상기 모터축(21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스탑유닛(215)은 타측이 전술한 제1 스탑유닛(213)의 일측에 형성된 요철형상에 대응되는 곡면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축(214)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동력전달유닛(217)은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폐쇄되어 있으며, 타측은 개방된 캡(cap)형태로 내측에는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수단(219)이 수납된 다음 상기 탄성수단(219)의 타측에 전술한 제2 스탑유닛(215)이 상기 동력전달유닛(217)의 내측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동력전달유닛(217)과 제2 스탑유닛(215)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례로, 상기 제2 스탑유닛(215)의 외측을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217)의 내측을 상기 제2 스탑유닛(215)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2 스탑유닛(215)이 상기 동력전달유닛(217)의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제2 스탑유닛(215)의 회전력은 상기 동력전달유닛(217)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상기 제2 스탑유닛(215)이 상기 동력전달유닛(217)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형상은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다각형 외에 상기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제2 스탑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홈을 형성하는 등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모터(210)는 몸체(211)가 바디부(100)에 고정되고 모터축(214)에 구비된 동력전달유닛(217)이 메인링크(130)의 바디결합부(133)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링크(130)가 상기 바디부(100)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2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제1 스탑유닛(213)과 제2 스탑유닛(215)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메인링크(130)는 그 자리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구동모터(210)가 정지된 상태에서 메인링크(13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강제로 회전시키면 제2 스탑유닛(215)의 요철부가 제1 스탑유닛(213)의 요철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스탑유닛(215)의 철(凸)부와 제1 스탑유닛(213)의 철(凸)부가 만나는 지점에서는 탄성수단(219)이 수축되고, 제2 스탑유닛(215)의 요(凹)부가 제1 스탑유닛(213)의 철(凸)와 만나는 지점에서는 상기 탄성수단(219)이 제2 스탑유닛(215)을 타측으로 밀어내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면서 메인링크(130)에 일정한 저항력을 형성하면서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단말기고정수단(195)은 상부플레이트(19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90)에 장착되는 단말기를 고정한다. 단말기고정수단(190)은 공지의 다양한 클램프방식 또는 압착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디부(100)의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는 통신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바디부(100)에 구비된 입력수단(110)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통신수단은 블루투스, RFID 또는 지그비 등 공지의 근거리 통신수단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는 전술한 구동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전원공급수단은 외부전원 또는 축전지가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축전지는 충전식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전원은 콘센트방식이 사용되거나 거치대에 장착되는 단말기에 USB 등과 같은 케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바디부(100)에는 구동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스위치를 누르면(ON) 구동모터(210)가 회전하면서 메인링크(130)를 바디부(100)의 일단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메인링크(130)가 회전하면 상부플레이트(190)가 함께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가이드링크(150)가 상부플레이트(190)를 지지하면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90)는 메인링크(130) 및 가이드링크(150)의 타단의 위치변화차이로 인하여 바디부(10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스위치를 다시 누르면(OFF) 구동모터(2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메인링크(130)를 바디부(100)의 타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90) 및 가이드링크(150)는 메인링크(130)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부플레이트(190)는 바디부(100)에 대하여 평행하게 수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바디부 101: 돌출부
103: 제1 결합홈 105: 제2 결합홈
110: 입력수단 130: 메인링크
133: 바디결합부 135: 플레이트결합부
150: 가이드링크 170: 베이스프레임
173: 메인링크결합부 175: 가이드링크결합핀
190: 상부플레이트 195: 단말기고정수단
210: 구동모터 211: 모터몸체
213: 제1 스탑유닛 214: 모터축
215: 제2 스탑유닛 217:동력전달유닛
219: 탄성수단

Claims (7)

  1. 바디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링크;
    상기 메인링크로부터 이격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링크;
    상기 메인링크의 타단 및 상기 가이드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고정수단;
    상기 메인링크의 일단과 상기 가이드링크의 일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바디부에 밀착ㆍ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링크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터치방식 또는 스위치방식의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스탑유닛과,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탑유닛과, 상기 제2 스탑유닛의 외측에 구비되며 메인링크의 바디결합부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유닛 및 상기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제2 스탑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탑유닛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단의 일면에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타단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링크의 일단에는 바디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플레이트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크는 막대형상의 바(bar)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결합부에는 상부플레이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2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탑유닛은 일측에 곡면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구동모터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탑유닛은 타측이 상기 제1 스탑유닛의 요철형상에 대응되는 곡면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20100129132A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115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32A KR101155054B1 (ko)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32A KR101155054B1 (ko)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054B1 true KR101155054B1 (ko) 2012-06-11

Family

ID=4660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132A KR101155054B1 (ko)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79B1 (ko) * 2021-08-04 2022-02-08 장승재 절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핸드그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768A (ko) * 2002-04-22 2003-11-01 (주)티오디 휴대기기용 키보드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441009Y1 (ko) * 2006-11-28 2008-07-17 정지완 노트북용 받침대
KR20100031235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탠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768A (ko) * 2002-04-22 2003-11-01 (주)티오디 휴대기기용 키보드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441009Y1 (ko) * 2006-11-28 2008-07-17 정지완 노트북용 받침대
KR20100031235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탠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79B1 (ko) * 2021-08-04 2022-02-08 장승재 절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핸드그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1847B (zh) 便携式终端及其滑动支架
US20200155928A1 (en) Gamepad with detachable handgrip
US8060165B2 (en) Portable terminal
CN110073309A (zh) 模块化计算系统
US7919948B2 (en) Desktop charger holder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663925B2 (ja) 折り畳み可能携帯電子装置および折り畳み可能携帯電子装置用ハンドル装置
KR20130079226A (ko)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US20040097127A1 (en) Support for a mobile terminal
JP2006270836A (ja) 携帯電話機
JP2002140133A (ja) 折り畳み式携帯電子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ヒンジ機構
JP2004215180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US10806043B2 (en)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85533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155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KR20210116218A (ko) 게임컨트롤러
KR101992297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KR101117599B1 (ko)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JP4740066B2 (ja) 情報入力装置
US20040253132A1 (en) Crad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52638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200465121Y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KR102200573B1 (ko) 휴대폰 액세서리
KR102200869B1 (ko) 스마트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