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218A - 게임컨트롤러 - Google Patents

게임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218A
KR20210116218A KR1020210013905A KR20210013905A KR20210116218A KR 20210116218 A KR20210116218 A KR 20210116218A KR 1020210013905 A KR1020210013905 A KR 1020210013905A KR 20210013905 A KR20210013905 A KR 20210013905A KR 20210116218 A KR20210116218 A KR 2021011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evice
game
unit
mounting
gam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준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48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 A63F2250/485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using a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뛰어난 게임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게임 디바이스(1)에 접속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제어하는 게임컨트롤러로서, 상기 게임 디바이스(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그립부(200)와;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조작하는 버튼부(300)를 포함하는 게임컨트롤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게임컨트롤러{Game controller}
본 발명은, 게임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뛰어난 게임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컨트롤러는 게임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게임용 PC나 게임 콘솔에서 동작하는 게임 내 장치들을 조작하는 장치로서, 게임 콘솔에서 사용되는 전용의 조이스틱이나 조이패드와 같은 전용 컨트롤러와 개인용 PC에서 주로 사용되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범용 사용자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게임컨트롤러는 PC나 게임 콘솔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안정적인 통신연결이 담보된 상태에서 사용되었으나, 최근들어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모바일을 통한 게임산업이 발전하면서 게임컨트롤러l 무선연결을 통한 조작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연결이 가능한 게임컨트롤러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게임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바일을 거치한 상태에서 게임 컨트롤이 가능한 게임컨트롤러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게임컨트롤러의 경우, 게임 디바이스를 단순히 거치하여 게임을 컨트롤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거치된 게임 디바이스의 컨트롤에만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과 같은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를 이용한 게임 컨트롤의 경우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를 함께 휴대하여야 하나, 부피가 크고 무거워 휴대성이 떨어져,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에 대한 최적화된 게임컨트롤러로서의 역할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과 같은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지 못해, 게임컨트롤러로부터 게임 디바이스가 임의로 분리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성이 뛰어난 게임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게임 디바이스(1)에 접속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제어하는 게임컨트롤러로서, 상기 게임 디바이스(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그립부(200)와;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조작하는 버튼부(300)를 포함하는 게임컨트롤러를 개시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중심에 상기 게임 디바이스(1)가 장착되는 장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 사이에서 분리확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브릿지부(110)와; 상기 브릿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S)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거치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장착부(120)에 장착되는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20)는, 양단이 상기 브릿지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연장확장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110)는, 상기 장착공간(S) 측 내측면에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장착부(120)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되며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확장부(131)와, 상기 탄성확장부(131)의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00)는,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방향조작을 위한 방향버튼부(310)와,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입력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버튼부(320)와,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버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버튼부(310)는,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의 접촉면이 평면 상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장착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후면에 구비되는 자성체(2)와 자기력을 통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상기 장착부(120)에 고정하는 자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부(140)는, 상기 게임 디바이스(1)에 구비되는 무선충전 수신부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게임 디바이스(1)에 전원을 생성하도록 하는 무선충전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회전가능한 그립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시와 조작 시의 구조 변형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조작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회전을 통해 조작하는 그립부를 휴대 시에는 회전없이 휴대함으로써, 단순한 일자형태를 유지하여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휴대성이 뛰어나면서도 조작 시 회전을 통해 그립부를 구조변형 함으로써, 게임 컨트롤에 최적화된 그립환경을 제공하여 조작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모바일 등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를 거치하여 게임 컨트롤이 가능한 구성이면서 휴대성이 뛰어나 공간의 제약없이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모바일 등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거치함으로써,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의 임의의 분리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게임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모바일 등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거치한 상태에서, 배터리 공급, 단자 연결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게임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의 휴대 시 보관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의 사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의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의 거치를 위해 연장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의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의 거치를 위한 고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의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가 거치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의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의 거치를 위한 자기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의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의 거치를 위한 자기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디바이스(1)에 접속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제어하는 게임컨트롤러로서, 상기 게임 디바이스(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그립부(200)와;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조작하는 버튼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게임 디바이스(1)를 표시하는 호스트표시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연결된 게임 디바이스(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단자부와, 게임 디바이스(1)와의 유선연결 등을 위한 통신단자부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게임 디바이스(1)에 접속되어, 게임 디바이스(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양한 종류의 게임 디바이스(1)에 호환되어 연결되며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디바이스(1)는, 개인용 PC, 게임 콘솔, 태블릿 및 모바일 등 게임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게임 디바이스(1)는, 게임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지그비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디바이스(1)는, 게임컨트롤러에 장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게임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로서, 모바일, 태블릿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게임 디바이스(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00)는, 중심에 게임 디바이스(1)가 장착되는 장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그립부(200) 사이에서 분리확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브릿지부(110)와, 브릿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장착공간(S)에 위치하여 게임 디바이스(1)를 거치하는 거치부(120)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장착부(120)에 장착되는 게임 디바이스(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게임 디바이스(1)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부로서, 블루투스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후술하는 버튼부(300)의 입력 등에 따라 게임 디바이스(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1), 즉 태블릿, 모바일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110)는, 중심에 게임 디바이스(1)가 장착되는 장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그립부(200) 사이에서 분리확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브릿지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립부(20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이 분리확장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좌우 가압에 따라 중심이 분리확장되어 장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릿지부(1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분리확장을 통해 게임 디바이스(1)가 장착되는 장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릿지부(110)는, 장착공간(S) 측 내측면에 게임 디바이스(1)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착홈(111)은, 브릿지부(110)의 장착공간(S) 측 내측면, 즉 거치부(12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게임 디바이스(1)의 두께에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되어 게임 디바이스(1)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홈(111)은, 게임 디바이스(1)의 가장자리가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형태면 어떠한 형태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장착홈(111)은, 브릿지부(110)의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되어 상측에서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게임 디바이스(1)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로써 브릿지부(110)의 장착홈(111) 하부에서 게임 디바이스(1)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장착홈(111)은, 브릿지부(110)의 상측 및 하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홈부로서, 게임 디바이스(1)를 측면에서 끼워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홈(111)은, 브릿지부(110)의 하측이 폐쇄되며, 게임 디바이스(1)를 상측에서부터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삽입되어 지지하는 경우, 홈 하단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삽입된 게임 디바이스(1)를 고정하는 탄성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홈(111)은, 게임 디바이스(1)가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삽입되는 경우 게임 디바이스(1)의 슬라이딩에 의해 간격이 벌어지며, 탄성력에 의해 간격이 좁아지면서 게임 디바이스(1)의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20)는, 브릿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장착공간(S)에 위치하여 게임 디바이스(1)를 거치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거치부(120)는, 양단이 브릿지부(110)에 결합되어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연장확장될 수 있고, 장착공간(S)에 위치하여 게임 디바이스(1)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치부(120)는, 장착공간(S)에 위치하여 게임 디바이스(1)를 지지하는 제1확장부(121)와, 제1확장부(121)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끝단이 브릿지부(110)에 결합되어 브릿지부(110)의 추가적인 확장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는 제2확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120)는, 브릿지부(110)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제1확장부(121)가 노출되며 장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브릿지부(110)의 추가적인 확장에 따라 제1확장부(121)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2확장부(122)가 노출되며, 장착공간(S)을 추가적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확장부(121)는, 게임 디바이스(1)가 브릿지부(110)에 장착되는 경우, 안정적인 게임 디바이스(1)의 지지를 위하여, 전면에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는, 제1확장부(121)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장착되는 게임 디바이스(1)의 하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게임구동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부(122)는, 브릿지부(110)의 추가적인 확장에 따라 제1확장부(121)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노출되어, 장착공간(S)을 추가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확장부(122)는, 제1확장부(121)의 양단에서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타단이 브릿지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릿지부(110)의 추가적인 확장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확장부(1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제2확장부(122)가 외부로 펼쳐져 노출되면서 장착공간(S)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확장부(122)는, 장착되는 게임 디바이스(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확장부(12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확장부(121) 내부로의 삽입 등을 고려하여, 제1확장부(121) 보다는 작은 폭으로 게임 디바이스(1)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장착부(120)에 장착되는 게임 디바이스(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30)는, 장착부(120)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통해 게임 디바이스(1)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부(130)는, 장착홈(111)에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장착되는 게임 디바이스(1)에 대하여,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게임 디바이스(1)의 상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20)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되며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확장부(131)와, 탄성확장부(131)의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게임 디바이스(1)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확장부(131)는, 장착부(120)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되며,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확장부(131)는, 장착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에 결합되어 장착부(120)의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장착부(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확장부(121)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탄성체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2)는, 탄성확장부(131)의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게임 디바이스(1)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가압부(132)는, 탄성확장부(131)의 상측 끝단에 결합되며, 정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게임 디바이스(1)의 상측 가장자리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게임 디바이스(1)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132)는, 탄성확장부(131)의 탄성체에 따른 탄성력으로 하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30)는, 게임 디바이스(1)가 브릿지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111)에 슬라이딩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이 개방되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게임 디바이스(1)의 양 측면 가장자리가 장착홈(111)에 상측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제1확장부(121)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되어 게임 디바이스(1)의 상측 가장자리를 가압부(132)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게임 디바이스(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보관 시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의 이용 시 본체부(100)와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본체부(100)와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의 게임컨트롤러의 모습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일자형태의 위치에서도 게임 디바이스(1)의 컨트롤이 가능함과,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도 휴대 또는 보관이 가능함은 또한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본체부(100)와의 접촉면이 평면 상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본체부(100)와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의 컨트롤러의 모습을 갖출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구동환경을 고려하여, 본체부(100)와의 사이 각도가 둔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와 그립감 향상 및 피로도 해소를 위하여 부분적으로 곡률을 가지거나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튼부(300)는, 한 쌍의 그립부(200) 및 본체부(1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게임 디바이스(1)를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부(300)는, 게임 디바이스(1)의 방향조작을 위한 방향버튼부(310)와, 게임 디바이스(1)의 입력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버튼부(320)와, 게임 디바이스(1)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버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버튼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작을 위하여 구비되는 버튼으로서, 좌측스틱(311), 우측스틱(312) 및 방향키(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스틱(311) 및 우측스틱(312)의 경우 스틱방식으로 방향지시를 위한 조작 시, 게임 상 방향과 대응되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향키(413)의 경우, 방향조작을 위한 가압입력 버튼으로서, 상하좌우 4개의 조작버튼을 통해 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버튼부(310)는, 사용자의 방향조작 버튼의 최적의 위치를 위하여 한 쌍의 그립부(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그립부(200)의 브릿지측(110)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버튼부(320)는, 사용자의 결정을 입력하기 위한 선택버튼과, 게임의 실행을 위한 스타트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브릿지부(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실수에 의한 가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능버튼부(330)는, 게임상의 다양한 기능을 조작하고, 다양한 게임에서의 기능과 매핑되어 게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발현하는 버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버튼부(330)는, 한 쌍의 그립부(200) 중 일측에 배치되는 4개의 기능버튼들과, 본체부(100)의 정면에 배치되는 트리거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표시부(400)는, 연결된 게임 디바이스(1)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할 경우, 다수의 게임 디바이스(1)들 또는 게임 디바이스(1) 내 다수의 OS 환경에 호환되어 통신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연결대상 디바이스(1)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연결대상 디바이스(1)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호스트표시부(400)가 본체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표시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LED 또는 LCD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점등 가능한 LED 또는 LCD를 통해 점등위치, 점등개수 및 점등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현재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4개의 LED가 구비되어, 연결대상 디바이스 또는 OS를 특정 LED의 점등에 따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임컨트롤러는, 다수의 디바이스(1) 또는 OS환경의 호스트정보를 저장하는 것 뿐만 아니라, 특정 버튼 또는 버튼부(300)들의 특정 조합에 따라 연결되는 디바이스(1) 또는 OS환경을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1)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연결된 게임 디바이스(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단자부와, 게임 디바이스(1)와의 유선연결 등을 위한 통신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게임컨트롤러의 외부 전원 공급을 위하여, 전원공급단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단자부는, 본체부(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디바이스(1)가 거치되는 거치부(120) 또는 브릿지부(1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게임 디바이스(1)의 장착과 동시에 단자접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게임 디바이스(1)의 구동과 동시에, 게임 디바이스(1)에 전원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게임컨트롤러의 외부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로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로서, 한 쌍의 그립부(200)의 끝단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장착부(120)에 구비되어, 게임 디바이스(1)의 후면에 구비되는 자성체(2)와 자기력을 통해 게임 디바이스(1)를 장착부(120)에 고정하는 자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디바이스(1)는, 일예로 스마트폰으로서, 스마트폰의 후면에 별도로 자성체(2)가 구비되거나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에 자성체(2)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기부(140)는, 장착부(120)에 구비되어 게임 디바이스(1)와의 자기력을 통해 게임 디바이스(1)를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자기부(140)는, 장착부(120) 중 제1확장부(121) 및 제2확장부(12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게임 디바이스(1)가 장착되는 장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부(1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확장부(121)를 사이에 두고 제2확장부(122)에 각각 구비되어, 게임 디바이스(1)를 양단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기부(140)는,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으며, 자석을 통해 게임 디바이스(1)가 위치하면 자성체(2)와의 인력으로 게임 디바이스(1)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자기부(140)는, 전자석으로서 게임 디바이스(1)가 위치하는 경우에만 전류를 통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게임 디바이스(1)를 고정하고 게임 디바이스(1)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류를 차단하여 게임 디바이스(1)를 쉽게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기부(140)는, 고가의 게임 디바이스(1)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여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자기부(140)는, 게임 디바이스(1)와의 관계에서 무선충전패드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자기부(140)는, 게임 디바이스(1)와의 관계에서 전자기유도 또는 자기공명이 가능하도록 하여 게임 디바이스(1)를 무선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부(140)는, 게임 디바이스(1)를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게임 디바이스(1)에 구비되는 무선충전 수신부와의 상호 작용으로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도록 하는 무선충전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부(140)의 무선충전 송신부는 게임 디바이스(1)에 구비되는 무선충전 수신부와의 관계에서 전자기유도 또는 자기공명 방식을 통해 게임 디바이스(1)에 소정의 전원이 생성되어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자기부(140)는, 게임 디바이스(1)와의 전자기적 신호 교환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게임 디바이스 100: 본체부
200: 한 쌍의 그립부 300: 버튼부
400: 호스트표시부

Claims (11)

  1. 게임 디바이스(1)에 접속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제어하는 게임컨트롤러로서,
    상기 게임 디바이스(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그립부(200)와;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조작하는 버튼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중심에 상기 게임 디바이스(1)가 장착되는 장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 사이에서 분리확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브릿지부(110)와;
    상기 브릿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S)에 위치하여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거치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장착부(120)에 장착되는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1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20)는,
    양단이 상기 브릿지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브릿지부(110)의 분리확장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연장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110)는,
    상기 장착공간(S) 측 내측면에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가장자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착홈(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장착부(120)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되며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확장부(131)와, 상기 탄성확장부(131)의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00)는,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방향조작을 위한 방향버튼부(310)와,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입력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버튼부(320)와,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버튼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향버튼부(310)는,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립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의 접촉면이 평면 상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장착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게임 디바이스(1)의 후면에 구비되는 자성체(2)와 자기력을 통해 상기 게임 디바이스(1)를 상기 장착부(120)에 고정하는 자기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140)는,
    상기 게임 디바이스(1)에 구비되는 무선충전 수신부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게임 디바이스(1)에 전원을 생성하도록 하는 무선충전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컨트롤러.

KR1020210013905A 2020-03-16 2021-02-01 게임컨트롤러 KR20210116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2087 2020-03-16
KR1020200032087 2020-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218A true KR20210116218A (ko) 2021-09-27

Family

ID=7792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905A KR20210116218A (ko) 2020-03-16 2021-02-01 게임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2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7973B1 (en) 2022-10-13 2024-04-16 T2M, Inc. Video gaming system
WO2024081324A1 (en) * 2022-10-13 2024-04-18 T2M, Inc. Video gam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7973B1 (en) 2022-10-13 2024-04-16 T2M, Inc. Video gaming system
WO2024081402A1 (en) * 2022-10-13 2024-04-18 T2M, Inc. Video gaming system
WO2024081324A1 (en) * 2022-10-13 2024-04-18 T2M, Inc. Video gam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13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ler device and accessory
US11724178B2 (en) Game controller
US20200155928A1 (en) Gamepad with detachable handgrip
KR20210116218A (ko) 게임컨트롤러
US20040137983A1 (en) Gaming accessory for wireless devices
US20060250367A1 (en) Keyboard with detachable module
JP71318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210904925U (zh) 一种带有可拆卸游戏手柄的平板电脑
JP4740066B2 (ja) 情報入力装置
CN209405658U (zh) 一种游戏手柄
KR101522631B1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CN215298179U (zh) 电子设备、零终端及键盘
KR101155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462443Y1 (ko) 휴대형 단말기용 게임패드
KR20130128959A (ko) 스마트폰용 키보드
JP2011175473A (ja) 周辺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