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226A -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9226A KR20130079226A KR1020120151861A KR20120151861A KR20130079226A KR 20130079226 A KR20130079226 A KR 20130079226A KR 1020120151861 A KR1020120151861 A KR 1020120151861A KR 20120151861 A KR20120151861 A KR 20120151861A KR 20130079226 A KR20130079226 A KR 201300792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terminal
- portable information
- arm
- controller
- too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가능한 휴대정보 단말기의 사이즈가 한정되지 않고, 동시에 컴펙트하게 가지고 다니기 용이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해당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정보 단말기를 지지하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는,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하며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암과,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를 조작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암이 임의의 개폐 각도로 고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휴대정보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와, 휴대정보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정보 단말기를 구비하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해당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정보 단말기에 접속하여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것으로, 휴대정보단말기의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게임 등을 즐기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정보단말기(휴대정보단말기)가 장착된 단말 장착부를 중앙에 구비한 베이스부와, 정보단말기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단말 장착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컨트롤 버튼을 구비하는 컨트롤부 및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와, 정보 단말기를 유지하는 서포트 암을 구비하는 정보 단말용 입력 보조 장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보 단말용 입력 보조 장치에서는, 정보단말기의 통신 포트의 접속 단자와 정보 단말용 입력 보조 장치의 커넥터의 접속 단자를 확실히 접촉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정보단말기의 장착 상태에 따라서는 접속 단자 간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정보 단말용 입력 보조 장치와 정보 단밀기 사이에서는 통신이 가능하지 않고, 정보 단말기의 조작이 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휴대정보 단말기)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한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와, 블루투스(Bluteooth: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조작부에서 조작된 조작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외부 조작 장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이 외부조작 장치에서는, 외부 조작 장치의 조작부에 통신 단말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 조작 장치와 통신 단말 장치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 장치와 같은 접속 단자의 접촉 불량에 의해 외부 조작 장치와 통신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통신 불능에 빠지지 않고, 외부 조작 장치에서 통신 단말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2002-123353호
[특허문헌2] 일본특허공개 2011-176602호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외부 조작 장치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장착부가, 케이스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또한 통신 단말장치의 외형 치수와 같은 정도의 깊이 및 내부 폭이 있는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의 사이즈가 한정됨과 동시에, 외부 조작 장치가 클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 정보 단말기의 사이즈가 한정되지 않고, 또한 컴팩트하게 가지고 다니기 용이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해당 휴대 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정보 단말기를 지지하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를 선단부로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암과,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를 조작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암의 선단부 사이의 간격은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서는, 상기 선단부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암의 선단부에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므로, 사용 가능한 휴대정보 단말기의 사이즈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한 쌍의 암의 선단부의 간격을 최소로 하면 컴팩트하게 되므로, 비사용시의 수납도 용이하다.
또한, 제1의 발명에 관한 휴대 정보 단말기 지지구에서는, 한 쌍의 상기 암은,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하는 기구이며, 한 쌍의 상기 암의 각 기단부에 축지지되는 상기 지지축에 원통부재가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원통부재는, 일측의 상기 암의 기단부에 연결되고, 이 암과 같이 상기 지지축의 주위에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원통부재에 형성된 제1치부와 타측의 상기 암의 기단부에 형성된 제2치부가 치합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암의 개폐 각도가 고정되고, 상기 제1치부와 상기 제2치부의 사이를 이격됨으로써 상기 고정이 해제 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한 쌍의 암이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하는 기구로 되고, 지지축을 둘러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원통부재가, 일측의 암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이 암과 같이 상기 지지축 주위에서 회동한다. 상기 원통부재는 지지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원통부재를 지지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원통부재에 형성된 제1치부와 타측 암의 기단부에 형성된 제2치부가 치합되어, 일측의 암의 지지축 주위의 회동 자유도가 구속된다. 한편, 상기 원통부재를 지지축의 다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원통부재에 형성된 제1치부와 타측의 암의 기단부에 형성된 제2치부가 이격되어, 일측의 암이 지지축 주위에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의 발명과 관련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암은 일측의 상기 암에 대하여 타측의 상기 암이 슬라이드 하는 기구로 되고, 타측의 상기 암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제3치부와 일측의 상기 암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4치부가 치합함으로써 일측의 상기 암에 대하여 타측의 상기 암의 슬라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제3치부와 상기 제4치부가 이격됨으로써 상기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 각 구성에서는, 일측의 암에 대해 타측의 암을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한 쌍의 암의 선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일측의 암에 설치된 제4치부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타측의 암에 형성된 제3치부와 제4치부가 치합하여, 일측의 암에 대하여 타측의 암이 슬라이드 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4치부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치부와 상기 제4치부가 이격되고, 일측의 암에 대하여 타측의 암이 슬라이드 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정보단말기를 조작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가 있어서, 상기 제1의 발명에 관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발명에서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에 설치된 장착부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설치된 피장착부를 이용하여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를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동 시에 부피가 커지지 않고 가지고 다니기도 용이하다.
또한, 제1발명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상기 장착부 및 제2발명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상기 피장착부를 슬라이드 감합식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장착부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휴대정보 단말기의 피장착부를 슬라이드 감합식으로 하여,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와의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슬라이드 감합식은 예를 들면,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장착부를 돌출편부 또는 홈부로 하고,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피장착부를,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돌출편부를 감합하는 홈부 또는 휴대정보 단말기 홈부와 감합되는 돌기부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선단부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한쌍의 암의 각 선단부에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므로, 사용가능한 휴대정보 단말기의 사이즈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를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콤팩트하게 가지고 다니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에 추가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같이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단말기 지지구(10)의 사시도를 도 1에, 그 분해 사시도를 도 2에 나타낸다.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정보 단말기를 지지하는 치구로서, 지지축(18)을 지지점으로 개폐하여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암의 일예인 상부암(11)및 하부암(12)과,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를 조작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도 6 참조)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9)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정보 단말기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가 사용 가능한 휴대전화기 또는 PDA, 스마트폰 등을 들 수 있다.
상부암(11)은, 대략 U자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두 갈래로 분리된 양 선단부는,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는 협지부(11a, 11b)를 이루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L 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상부암(11)의 중앙에 설치된 기단부는, 지지축(18)을 축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축지지부(13)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18)의 방향은, 상부암(11)을 대칭으로 분할한 가상면과 직교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부암(12)은,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선단부는,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는 협지부(12a)이며, 측단면이 L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또, 하부암(12)의 기단부는 두 갈래로 나뉘어, 상기 지지축(18)을 축지지하는 원통상의 축지지부(14),(15)로 형성된다. 다만, 축지지부(15)는, 제작상의 이유로 2개의 반원통(15a,15b)으로 구성되고, 핀(22)으로 결합된 기구로 된다. 상기 지지축(18)의 방향은, 하부암(12)을 대칭으로 분할한 가상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와 접촉하는 상기 상부암(11)의 협지부(11a,11b) 및 하부암(12)의 협지부(12a)에는, 고무 등의 탄성체(21)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암(12)의 축지지부(14,15) 사이에 상부암(11)의 축지지부(13)가 개재되고, 상기 축지지부(13,14,15)에 지지축(18)은 삽입 통과된다.
상기 지지축(18)에는, 상기 지지축(18)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원통부재(16)가 둘러싸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재(16)의 일단부는 하부암(12)의 축지지부(14)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부재(16)의 타단부는, 상부암(11)의 축지지부(13)에 형성된 오목부분(미도시)에 삽입된다. 상기 오목부분의 바닥면과 원통부재(16)의 타단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7)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원통부재(16)는 상기 하부암(12)의 축지지부(14)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원통부재(16)의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전 부분에 걸쳐서 제1치부(16a)가 형성되고, 원통부재(16)의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16b)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암(12)의 축지지부(14)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통부재(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치부(16a)와 치합하는 제2치부(14)가 형성되고, 상부암(11)의 축지지부(13)에 형성된 오목부분에는, 원통부재 (16)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16b)가 삽입되는 홈(미도시)이 지지축(18)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8)은, 일단부(내주면에 제2치부(14a)가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부(14)외주)가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큰 확경부(18a)이며, 상기 확경부(18a)의 단면은 누름버튼(20)으로 되어있다.
상기 누름버튼(20)을 누르면, 지지축(18)에 형성된 확경부(18a)가 원통부재(16)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부재(16)는 상부암(11)의 축지지부(13) 주변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원통부재(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치부(16a)와 하부암(12)의 축지지부(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치부(14a)의 치합이 해제된다. 누름버튼(20)을 누른 상태에서, 상부암(11)을 지지축(18) 주위에서 회동시키면, 돌기부(16b)를 개재하여 상부암(11)의 축지지부(13)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부재(16)는, 상부암(11)과 같이 회동한다. 즉, 하부암(12)에 대해 상부암(11)을 자유롭게 회동(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하부암(12)와 상부암(11)의 선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20)에서 손을 떼면, 상기 상부암(11)의 축지지부(13)안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통부재(16)가 상기 하부암(12)의 축지지부(14) 주변으로 이동하고, 상기 원통부재(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치부(16a)와 하부암(12)의 축지지부(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치부(14a)가 치합 한다. 따라서 상기 원통부재(16) 및 상기 돌기부(16b)를 통하여 원통부재(16)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암(11)의 축지지부(13)는, 지지축(18) 주변에서 회동 할 수 없게 된다. 즉, 상부암(11)과 하부암(12)의 개폐 각도가 고정된다. 다시 누름버튼(20)을 눌러 제1치부(16a)와 제2치부(14a)를 이격시키는 것으로 고정은 해제된다.
후술할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9)는, 하부암(12)의 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암(12)의 중간부에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설계된 고정버튼(34)(도 3 참조)이 삽입되는 개구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이다.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는 가로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 표면의 일측의 긴 가장자리 사이드에 휴대정보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하기 위해 복수의 조작 키(35)가 배치되고,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 표면의 타측의 긴 가장자리 사이드 중앙부에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피장착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일측의 긴 가장자리 주변 측면부에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내장된 배터리(53)(도 5 참조)를 충전할 때에 사용되는 USB단자(37)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일측의 짧은 가장자리 주변 측면부에는, 전원 스위치(36)가 배치된다.
상기 피장착부(31)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 표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이가 낮은 단차부(32)로 되고.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타측의 긴 가장자리 사이드가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의 삽입구(32a)로 되어 있다. 삽입구(32a)와 직교하는 단차부(32)의 양측부에는,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의 장착부(19)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홈(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32)의 중앙에는, 하부암(12)에 설치된 개구부(12b)에 삽입되는 고정버튼(34)이 배치되고,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타측의 긴 가장자리 주변 측면부에는, 고정버튼(34)을 조작하는 슬라이드버튼(38)(도 4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버튼(34)은,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를 삽입하기 쉽도록, 삽입구(32a)주변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쐐기 모양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휴대정보 단밀기용 컨트롤러(30)의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정보 단밀기용 컨트롤러(30)는, 휴대정보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로 구성된 조작부(51)와,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50)와,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억부(54)와, 이들 각부의 제어를 하는 제어부(52)와, 이들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3)를 구비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50)는, 안테나가 일체로 구성된 통신 모듈이고, 블루투스(Bluettoth: 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휴대정보 단말기 간의 통신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를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의 장착부(19)인 돌출편부를,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피장착부(31)에 형성된 홈부(33)에 삽입구(32a)주변으로부터 삽입하여, 홈부(33)에 따라 슬라이드 시키면 좋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고정버튼(34)이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어,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로부터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가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서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슬라이드 버튼(38)을 슬라이드시켜 상기 고정버튼(34)을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내로 투입시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를,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피장착부(31)의 삽입구(32a) 주위로 슬라이드 시키면 좋다.
도 7은,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스마트 폰 등 휴대정보 단말기(40)를 상부암(11)의 협지부(11a, 11b)와 하부암(12)의 협지부(12a)로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배치한 조작키(35)를 조작하여, 휴대정보 단말기(40)의 표시화면(40a) 위에서 실행된 게임 등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각종 조작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실시한다.
도 8은,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의 다른 사용예를 표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를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장착하지 않고, 상부암(11)과 하부암(12)을 소정의 개폐각도에서 고정하여 휴대정보 단말기(40)의 스탠드로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를 사용하고, 떨어진 위치에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를 이용하여 휴대정보 단말기(40)를 조작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60)의 사시도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암(61) 및 하부암(62)을 세운 상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60)는,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암의 일 예인 상부암(61) 및 하부암(62)과, 휴대정보 단말기를 조작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도 6참조)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6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암(61)은 대략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선단부(상단부)는,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지지하는 협지부(61a)로 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L 자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상부암(61)의 플레이트면은, 후술할 누름 버튼(64)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부암(61)의 긴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존재하는 장공(61b)이 형성 된다.
한편, 하부암(62)은, 상면이 개구된 편평한 상자모양이 되고, 상기 상부암(61)이 상자 안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하부암(62)의 두 갈래로 갈라진 양 선단부(하단부)는, 휴대정보 단말기를 끼워 지지하는 협지부(62a)가 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휴대정보 단말기를 접촉하는 상부암(61)의 협지부(61a) 및 하부암(62)의 협지부(62a)에는, 고무 등의 탄성체(21)가 접착 되어 있다.
상기 상부암(61)의 일측 긴 가장자리에는, 긴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제3치부(65)가 형성된다.(도 10 참조). 상기 제3치부(65)의 각 치는, 수평면과 이 수평면의 모서리에서 아래 방향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삼각형상으로 되어있다.
한편, 상기 하부암(62) 일측의 긴 가장자리 주변 측면부에는, 상기 제3치부(65)와 치합하는 제4치부(66)가 형성된 누름버튼(64)이 설치된다. 상기 누름버튼(64)은,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오목함부(64a)를 가진 コ자 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3치부(65)는 오목함부(64a)안을 삽입 통과하고, 상기 제3치부(65)와 치합되는 제4치부(66)는 오목함부(64a)의 벽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64)과 상기 하부암(62)은 코일스프링(67)으로 연결되고, 상기 누름버튼(64)은 하부암(62)의 일측의 긴 가장자리 주변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받고 있다.
상기 누름버튼(64)을 누르면, 상기 누름버튼(64)와 일체로 형성된 제4치부(66)가, 하부암(62)의 타측의 긴 가장자리 주변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치부(65)와 상기 제4치부(66)의 치합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하부암(62)에 대하여 상부암(61)을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상부암(61)의 협지부(61a)와 하부암(62)의 협지부(62a)의 간격을 넓힌다.)
또한, 상기 하부암(62)에 대하여 상기 상부암(61)을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경우에는,(상부암(61)의 협지부(61a)와 하부암(62)의 협지부(62a)의 간격을 좁힌다), 누름버튼(64)을 누를 필요는 없다.
상기 누름 버튼(64)에서 손을 떼면, 상기 누름버튼(64)과 일체로 형성된 제4치부(66)가, 코일 스프링(67)의 가압력에 의하여 하부암(62)의 일측의 긴 가장자리 주변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치부(65)와 제4치부(66)는 치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하부암(62)에 대하여 상부암(61)을 슬라이드 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착탈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63)는, 하부암(62)의 표면에 형성되고, 장착부(63)의 양측부는, 하부암(62)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서 돌출한 돌출편부(63a)로 되어있다. 또, 장착부(63)의 중간부에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설치된 고정버튼(34)(도 3 참조)이 삽입되는 개구부(6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60)가 장착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60)를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 장착하는 방법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30)에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60)을 떼어내는 방법은,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10)의 경우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어느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있는 사항의 범위 안에서 생각할 수 있는 그 기타의 실시 형태나 변형예도 포함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암의 축지지부 내주면에 치부를 설치하고, 상부암의 축지지부에 오목부분을 설치하였으나, 상부암의 축지지부 내주면에 치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암의 축지지부에 오목부분을 설치해도 좋다. 또,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장착부를 돌출편부로서,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피장착부를 홈 부분으로 하였지만,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의 장착부를 홈 부분으로 하고,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피장착부를 돌출편부로 하여도 좋다.
10,60 : 휴대정보단말기 지지구 11, 61 : 상부암
12, 62 : 하부암 11a, 11b, 12a, 61a, 62a : 협지부
12b, 63b : 개구부 13, 14, 15, :축지지부
14a : 제2치부 15a, 15b : 반원통
16 : 원통부재 16a : 제1치부
16b : 돌기부 17, 67 : 코일스프링
18 : 지지축 18a : 확경부
19, 63, : 장착부 20,64 : 누름 버튼
21 : 탄성체 22 : 핀
30 :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31 : 피장착부
32 : 단차부 32a :삽입구
33 : 홈부 34 : 고정버튼
35 : 조작키 36 : 전원스위치
37 : USB단자 38 : 슬라이드 버튼
40 : 휴대정보 단말기 40a : 표시화면
50 : 근거리무선통신부 51 : 조작부
52 : 제어부 53 : 배터리
54 : 기억부 61b : 장공
63a : 돌출편부 64a : 오목함부
65 : 제3치부 66 : 제4치부
12, 62 : 하부암 11a, 11b, 12a, 61a, 62a : 협지부
12b, 63b : 개구부 13, 14, 15, :축지지부
14a : 제2치부 15a, 15b : 반원통
16 : 원통부재 16a : 제1치부
16b : 돌기부 17, 67 : 코일스프링
18 : 지지축 18a : 확경부
19, 63, : 장착부 20,64 : 누름 버튼
21 : 탄성체 22 : 핀
30 :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31 : 피장착부
32 : 단차부 32a :삽입구
33 : 홈부 34 : 고정버튼
35 : 조작키 36 : 전원스위치
37 : USB단자 38 : 슬라이드 버튼
40 : 휴대정보 단말기 40a : 표시화면
50 : 근거리무선통신부 51 : 조작부
52 : 제어부 53 : 배터리
54 : 기억부 61b : 장공
63a : 돌출편부 64a : 오목함부
65 : 제3치부 66 : 제4치부
Claims (6)
-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정보 단말기를 지지하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를 선단부에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암과,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를 조작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탈착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암의 선단부 간의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암은,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되고,
한 쌍의 상기 암의 각 기단부에 축지지되는 상기 지지축에 원통부재가 둘러싸여 장착되고,
상기 원통부재는, 일측의 상기 암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일측의 상기 암과 같이 상기 지지축 주위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원통부재에 형성된 제1치부와 타측의 상기 암의 기단부에 형성된 제2치부가 치합함에 의하여 한 쌍의 상기 암의 개폐각도가 고정되고,
상기 제1치부와 상기 제2의 치부가 이격됨에 의하여 상기 고정이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암은, 일측의 상기 암에 대하여 타측의 상기 암이 슬라이드할 수 있고,
타측의 상기 암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존재하는 제3치부와, 일측의 상기 암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4치부가 치합됨에 의하여 일측의 상기 암에 대하여 타측의 상기 암의 슬라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제3치부와 상기 제4치부가 이격됨에 의하여 상기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슬라이드 감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정보 단말기를 조작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상기 휴대정보 단밀기에 대한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휴대정보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장착부가 슬라이드 감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284035 | 2011-12-26 | ||
JP2011284035A JP5143276B1 (ja) | 2011-12-26 | 2011-12-26 | 携帯情報端末機保持具及び携帯情報端末機用コントロー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226A true KR20130079226A (ko) | 2013-07-10 |
Family
ID=4778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1861A KR20130079226A (ko) | 2011-12-26 | 2012-12-24 |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11165A1 (ko) |
JP (1) | JP5143276B1 (ko) |
KR (1) | KR20130079226A (ko) |
TW (1) | TW201333670A (ko) |
WO (1) | WO201309973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21412A (zh) * | 2013-12-28 | 2014-04-16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电子设备支架及安装有该支架的多功能游戏手柄 |
WO2019004490A1 (ko) * | 2017-06-26 | 2019-01-03 |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21414B (zh) * | 2013-12-28 | 2016-08-24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电子设备支架及安装有该支架的多功能游戏手柄 |
CN105518371B (zh) | 2014-09-30 | 2017-07-07 |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 固持装置及使用该固持装置的遥控器 |
CN104639702A (zh) * | 2015-03-07 | 2015-05-20 | 张大勇 | 手机支架 |
US11924532B2 (en) | 2017-01-04 | 2024-03-05 | Google Llc |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
US10277785B2 (en) | 2017-01-04 | 2019-04-30 | Google Llc |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
US10697583B2 (en) | 2017-01-04 | 2020-06-30 | Google Llc | Mount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
US10602035B2 (en) | 2017-09-19 | 2020-03-24 | Google Llc | Temperature-controlled camera assembly |
JP6388296B1 (ja) * | 2018-05-16 | 2018-09-1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表示制御プログラム |
US10773172B2 (en) * | 2018-12-18 | 2020-09-15 | Fixture Gaming, LLC | Video game controller adapter for holding a display of a portable video game system |
USD929390S1 (en) | 2019-06-19 | 2021-08-31 | Google Llc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USD997927S1 (en) | 2019-11-19 | 2023-09-05 | Google Llc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USD898728S1 (en) * | 2020-01-15 | 2020-10-13 | Huafa Lin | Case for smartphone |
JP7030160B2 (ja) * | 2020-07-08 | 2022-03-04 | 株式会社バンダイ | ゲーム装置の周辺装置、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
US11662778B2 (en) * | 2021-10-01 | 2023-05-30 | Lenovo (Singapore) Pte. Ltd | Keyboard dock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0984B2 (ja) * | 2000-10-16 | 2004-04-1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情報端末用入力補助装置 |
JP2002182820A (ja) * | 2000-12-11 | 2002-06-28 | Mitsumi Electric Co Ltd | 保持機構付きコントローラ |
JP2002182856A (ja) * | 2000-12-15 | 2002-06-28 | Mitsumi Electric Co Ltd | 保持機構付きコントローラ |
JP2002182836A (ja) * | 2000-12-15 | 2002-06-28 | Mitsumi Electric Co Ltd | 保持機構付きコントローラ |
JP2002196859A (ja) * | 2000-12-25 | 2002-07-12 | Mitsumi Electric Co Ltd | 保持機構付きコントローラ |
JP2003018275A (ja) * | 2001-07-04 | 2003-01-17 | Hori Co Ltd | 携帯電話機に組み合わせて使用する拡張コントローラ |
JP2003144748A (ja) * | 2001-11-14 | 2003-05-20 | Toshiba Corp | コントローラ及びゲーム機 |
EP2018030A1 (en) * | 2007-07-18 | 2009-01-21 | Blue Bee Limited | A docking station and a kit for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
US8638557B2 (en) * | 2011-12-07 | 2014-01-28 | Wen-Feng Tsai |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
-
2011
- 2011-12-26 JP JP2011284035A patent/JP5143276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12-19 WO PCT/JP2012/082925 patent/WO201309973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2-19 US US14/368,800 patent/US2015001116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2-24 KR KR1020120151861A patent/KR20130079226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25 TW TW101149881A patent/TW201333670A/zh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21412A (zh) * | 2013-12-28 | 2014-04-16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电子设备支架及安装有该支架的多功能游戏手柄 |
CN103721412B (zh) * | 2013-12-28 | 2016-08-24 |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 电子设备支架及安装有该支架的多功能游戏手柄 |
WO2019004490A1 (ko) * | 2017-06-26 | 2019-01-03 |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135317A (ja) | 2013-07-08 |
TW201333670A (zh) | 2013-08-16 |
US20150011165A1 (en) | 2015-01-08 |
WO2013099734A1 (ja) | 2013-07-04 |
JP5143276B1 (ja) | 2013-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79226A (ko) |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 |
CA2971912C (en) | Flexible screen extension structure, flexible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 |
EP4142305A1 (en) | Cradle and portable sound device | |
JP2006270836A (ja) | 携帯電話機 | |
KR20120099992A (ko) | 휴대 단말기의 슬림형 거치대 | |
EP3093730B1 (en) | Separable electronic device | |
CN101660569A (zh) |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 |
JP2015012615A (ja) | チップカードの着脱構造 | |
JP2017116988A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拡張装置 | |
KR101848780B1 (ko) |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 |
JP4740066B2 (ja) | 情報入力装置 | |
JP2020013375A (ja) | 電子機器 | |
JP2013034290A (ja) | 充電アダプタ | |
CN110417948B (zh) | 一种移动终端 | |
CN102237500A (zh) | 盖体卡锁结构 | |
KR101155054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 |
JP4200566B2 (ja) | 携帯情報端末の携帯電話保持装置 | |
CN219123947U (zh) | 一种移动电源 | |
KR20110060683A (ko) | 단말기 및 이의 슬라이딩장치 | |
CN110417950B (zh) | 一种移动终端 | |
EP2903098B1 (en) | Cradle device having excellent usability and reliability and simple structure | |
KR100690750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JP5729943B2 (ja) | 情報処理装置 | |
KR20160037536A (ko) |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 |
KR101117599B1 (ko) |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