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04490A1 -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 Google Patents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04490A1
WO2019004490A1 PCT/KR2017/006718 KR2017006718W WO2019004490A1 WO 2019004490 A1 WO2019004490 A1 WO 2019004490A1 KR 2017006718 W KR2017006718 W KR 2017006718W WO 2019004490 A1 WO2019004490 A1 WO 20190044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head
receiving unit
user
electric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67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Priority to PCT/KR2017/0067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04490A1/ko
Publication of WO20190044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044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without holding a portabl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directly, and can stably support the mobile without shaking, so that the DMB, the moving image, and the navigation imag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radle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that allows a user to view an output image of a mobile terminal with a viewing angle suitable for a user.
  • Mobile which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to a mobile phone, is a portable hybrid device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media, interne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mobile has to be portable, so it has to be equipped with the maximum screen configuration which is relatively small and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view the screen. Therefore, the conventional design of mobile has to concentrate on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carrying and using the screen. As a result, design development that allows users to safely hold and use mobile has been neglected, and most mobile products have been forced to break frequently due to operational inconvenience and dropping.
  • the mobile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various images and music as well as a TV, and a user can watch music or an image that is turned on and outputt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obile.
  • such a usage method has an inconvenience of a viewing posture in which a user must manually hold a mobile to view an image reproduced by the mobile.
  • the screen is moved by the shaking of the hand, which causes the user to increase the eye fatigue.
  • the plate-shaped mobile is laid out on a table or a desk. In this case, the screen is directed upward,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holder for a user to easily carry out ordinary photography and self-photographing in a desired posture and shape To solve the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watch a play image of a mobile at a comfortable viewing angle, and when a user has to hold a mobile by hand in order to make a call or the like, It is another task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sion of a mobile stand capable of easily mounting and dismounting for supporting mobile devices and semi-permanently utilizing electronic devices.
  • a mobile cradle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A mobile cradle with a remote control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normal photography and self-photographing in a stable posture and shape using a mobi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cratches or the like from being damaged in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mobile device, and maintaining the stable moun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watch a play image of a mobile at a comfortable viewing angle, and when a user has to hold a mobile by hand in order to make a call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variously adjust the method, and to attach and detach for mobile support easily and semi-permanent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mobile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radle shown in Fig. 1,
  •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radle shown in FIG. 1,
  • FIG. 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the handling of the cradle shown in Fig. 3,
  •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ical component of a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attery compartment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radle shown in Fig. 9,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device for a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 hanger capable of linking a head separated from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other use of the cradle shown in Fig. 13,
  • 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radle shown in Fig. 13,
  •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radle shown in Fig. 13 is used in various ways,
  •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adle shown in Fig. 17,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mobile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product mounted on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and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the mobile 200 to be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output image of the mobile 200 at a desired viewing angle.
  • the holder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200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screen on the front of the mobile 200 is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user's viewing angle. Since the position of the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hanged by attaching / detaching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20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200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radle 100 have.
  • the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200 without the user holding the mobile 200 directly. That is, the user can operate the camera of the mobile 200, select a play image or music, and adjust the volume while holding the cradle 100 alone.
  • the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body 110 supporting the mobile 200 and a head 120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110.
  • the cradle 100 constitutes an electronic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electric device ") for controlling the mobile 200 on the head 120.
  • the electric component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remotely controls the mobile 2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200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 the electric device can perform control functions such as camera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200, play image or music selection, volume control, and the like.
  •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witch 141 disposed in the head 120 for user operation and a process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witch 141 into a control signal compatible with the mobile 20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43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ing module 142 to the mobile 200 and for outputting electricity for driving the processing module 142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And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144.
  • the switch 141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user holding the cradle 100 can easily touch with his / her finger.
  • the switch 141 may be a device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mechanical click of a user, or may b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n electrical click, such as a touch screen.
  • This embodiment is a button requiring a mechanical click of the switch 141, and is utilized as an operation such as turning on / off the phone and a shutt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200 with one button.
  • the processing module 142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rms the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witch 141 and outputs it as a control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recognized by the mobile 200. Since the technique of receiving the input signal of the switch 141 and converting it into an input signal for execution of the mobile 200 is a known technique, the description of the type of the processing module 142, the conversion process, and the like will be omitted here.
  •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of the present embodiment transfer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ing module 142 to the mobile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may be a cable such as an earphone jack standard of the mobile phone 200 or a USB code standard,
  •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may be a device conforming to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 the processing module 142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are required to have power for their own processing.
  • the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144.
  • the power module 144 may include a battery or a mercury battery as a power source.
  • the power module 144 may further include a charger (not shown).
  • a one-time battery such as a mercury battery is appli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new battery is required to be discharged if all the mercury batteries are discharged.
  •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is wired in the cradle 100 of this embodimen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mobile 100 through the USB port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and the processing module 142 . ≪ / RTI > Therefore, the power supply module 144 for the operation of the crad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construc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control function of the mobile station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sensing unit or an IOT-based communication unit that detects the user's living state and transmits data to the mobile station 100, Modules, and the lik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 the electrical product 140 is connected to the mobile 200 such as a sensor, a remote controller,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bio-meter, which operate in cooperation with the mobile 200, Can be exemplifie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radle shown in FIG. 1
  •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radle shown in FIG.
  • the body 110 includes a base 111 that mates with the mobile 200.
  • the head 120 includes a receiving unit 121 for receiving the electric component and a neck 124 for connecting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base 111.
  • the receiving unit 121 is a housing for housing and wrapping electrical equipment, and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neck 124 are integrally formed.
  • the head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e time of the mobile 200 and contacts with the palm dur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so that the receiving unit 121 of the head 120 is not limited to the mounting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body forms a flat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switch 141 by using his or her thumb.
  • the switch may be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ead 120.
  • the body 110 and the head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base 110 of the body 110 and the neck 120 of the head 120 124 are mutually detachable.
  • a nut groove 111a is formed in the base 111 and a bolt 12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neck 124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nut groove 111a. Accordingly,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body 110 and the head 120 in such a manner that the bolt 125 is loosened or engaged in the nut groove 111a.
  • This embodiment of the cradle 100 further includes a removable pad 130 for attachment with the mobile 200.
  • the first surface 131 of the desorption pad 130 is fixed to the base 111 and the second surface 132 is attached to the mobile 200.
  • the second surface 132 is attached in a manner that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mobile 200 so that the base 111 is secured to the mobile 200 via the desorption pad 130.
  • the second surface 132 fixed to the mobile 200 can be sufficiently separated by the user's gravity, so that the cradle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bile 200 according to the user's need.
  • the detachable pad 130 of this embodiment has a pad made of a urethane material having adhesive properties.
  • the detachable pad 130 of this embodiment is a double-sided tape made of a urethane material having re-adhesion properties, which is widely known as a so-called 'gel pad' Double-sided tape '.
  • the first surface 131 prevents the detachment pad 13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se 111 due to strong adhesive force
  • the second surface 13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bile 200 with a force And has a relatively weak adhesive force as compared with the surface 131.
  • the head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ence 126 extending circumferentially to define a boundary between the neck 124 and the bolt 125.
  • the fence 126 is in contact with the body 110 when the bolt 125 is bolted to the nut groove 111a to cover the exposure gap between the nut groove 111a and the bolt 125, ) Have a clean appearance.
  • the bolt 125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sheave portion 125a in which no pitch is formed between the bolt 125 and the fence 126.
  • the elastic ring 127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thigh section 125a is reinforced. The bolt 125 of the bolt 125 is inserted into the nut groove 111a of the base 111 with the ring 127 being reinforced as shown in Fig.
  • the ring 127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nut groove 111a while the bolt 125 is inserted into the nut groove 111a.
  • the elastic ring 127 is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eave portion 125a, (111a).
  • the bolt 125 is tightly engaged with the nut groove 111a, and the bolt 125 adheres to the current position without rotating in the nut groove 111a by the friction of the sheave portion 125a itself.
  • the bolt 125 inserted into the nut groove 111a is restricted in its loosening, so that the binding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head 120 is strengthened.
  • FIGS. 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the handling of the cradle shown in FIG. 3,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dy 11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120 has a dome shape without a corner so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grip and stable feeling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bile 200 with the cradle 100 attached thereto. .
  • the palm of the user is in the form of an ARCH from the back of the mobile 200 It is separated.
  • the palm holding the mobile 2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110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200.
  • the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dom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dy 11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lm surface opened in an arch shape, so that the user can feel a gripless feeling when the user holds the mobile 200.
  • the corners of the body 110 can feel comfortable not to scratch or interfere with the palm of the hand.
  • the neck 124 of the head 120 is sandwiched between the index finger F1 and the stop F2, even if the user changes the hand of the mobile 200 from right to left or vice versa, have. Since the end of the neck 124 is formed with the receiving unit 121 having a relatively larger width than the neck 124, the user's detection F1 and stop F2 can be detected by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mobile 200 without having to grip the mobile 200 directly merely by interposing the neck 124 between the detection F1 and the stop F2.
  • the user when a user takes a picture of a self camera or the like using the mobile 200, the user holds the head 120 of the cradle 100.
  • the user allows the neck 124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index finger F1 and the stop F2, and the ring finger F3 and the backing F4 support the head 120 to prevent swaying.
  • the thumb F5 is disposed in the plane of the receiving unit 121 in which the electrical switch 141 is located, and can directly click the switch 141 with the thumb F5 if necessary.
  • the input signal of the switch 141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200 via the processing module 15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200 without directly holding or manipulating the mobile 200.
  • the holder 10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with a dome-like supporter 122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unit 121 and connected to the neck 124, and a neck 124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er 122 . Since the supporter 122 has a curved dome shape, the finger of the user holding the receiving unit 121 like the dome-shaped body 110 does not feel empty and can grip the receiving unit 121, Can feel a comfortable grip.
  • the user can handle the cradle 100 in various manners in accordance with the posture and the purpose of use.
  • the receiving unit 121 of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has a shape that is wider than the neck 124 by a relatively wide width, various othe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rights if the user can easily handle with a finger .
  • the switch 141 '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in the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cradle 100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with respect to the mobile 200.
  •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ayback / stop button 141a, a volume button 141b, and a selection button 141c so that the switch 141 'has a function for operating a play of video or music.
  • the play / stop button 141a pauses or retunes the video or music being played back
  • the volume button 141b adjusts the output volume
  • the select button 141c controls the next video / Select video / music.
  • the switch 141 '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d click.
  •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for photographing in the photographing mode.
  • the processing module 142 confirms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witch 141 ', converts it into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outputs it.
  • the volume button 141b for increasing the volume performs a shutter function in the shooting mode.
  • the switches 141 and 141 '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head 120, the user holds the head 120 as shown in FIG. 6,
  • the switches 141 and 141 ' can be easily operated.
  • a multifunctional system of a relatively complicated form such as the switch 141 'shown in Fig. 7 can be easily operate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ical component of a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attery compartment.
  • the power source of the power source module 144 is a single-use battery such as a mercury battery
  • the electric device 140 can be replaced with a battery case 140b .
  • the battery case 140b on which the battery 144a is moun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electrical component formed on the head 120 and slides in a drawer manner and is sli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attery 144a .
  • the battery housing 140b of this embodiment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120 without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20 where the switch 141 is installed.
  • the battery 144a mounted on the battery box 140b is mov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can easily remove or mount the battery 144a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140b.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the switch 121 and the power module 144 for mobile 200 control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the relatively narrow head 120,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switch 141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s caused by the battery case 140b. Also, even if the battery 144a is discharged, the battery case 140b can be pulled out from the head 120 and the battery 144a can be replaced.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radle shown in FIG. 9,
  •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radle shown in FIG. 9, and FIG.
  •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housed in the head 120 is constructed independently, and the receiving unit 121 has a bowl shap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 the stand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s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and the separated receiving unit 121 and the supporter 122 so as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ince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20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is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efficiency with the mobile 200.
  • the receiving unit 121 is a circular container shape in which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s detachably received and mountable. 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 121 receives and mounts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n such a manner that a part of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s tightly tightened, so that the shape of the receiving unit 121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And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tightening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with its own elastic force. Therefore, when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s press-fitted into the receiving unit 121, the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while being elastically stretched, and stably mounts the received electrical component 140 with the elasticity.
  •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s forcibly extruded from the receiving unit 121 in order to separate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from the receiving unit 121.
  • the receiving unit 121 should have elasticity and strength to tightly accommodate the independent electrical components 140.
  • the receiving unit 12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As a result, the metal receiving unit 121 tightly fixes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o that the body 110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can be stably coupled.
  • the electric component 140 and the storage unit 12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hand held and handled by the user and can be fixed to the mobile 200 without restraining the mount 200 , And the periphery is formed into a convex disk shape in a curved shape. Therefore, since the receiving unit 121 or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n the form of a round circular pl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the mounting table 100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200, The stable stationary posture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bent shape of the floor or the like.
  •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disc shape. If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are connected to the body 110 supporting the mobile 200, The electrical components 121 and the electrical components 140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rights.
  • the head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er 122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 124 so as to allow mutual assembly and disassembly between the elastic receiving unit 121 and the neck 124, 121) and a supporter (122).
  • the supporter 122 is a section in which the neck 124 having a relatively narrow cross-sectional area as compared with the accommodating unit 121 is expanded in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accommodating unit 121 can be stably seated and fastened, A bolt or a pin insert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21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er 122.
  • the fastening member 123 of this embodiment is a bolt, and the supporter 122 constitutes a nut hole to which the bolt bolts.
  • the receiving unit 12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 the neck 124 for smooth press-fitting and extrusion of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 the supporter 122 is provid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neck 124.
  • the nut 124 may be directly formed with a nut hole.
  • a nut groove 111a is formed in the base 111 and a screw 111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neck 124 to form a nut groove 111a, Thereby forming a bolt 125 for engagement. Accordingly,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body 110 and the head 120 in such a manner that the bolt 125 is loosened or engaged in the nut groove 111a. Since the bolt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 124, the entire head 120 must be bolted to connect the neck 124 to the body 110.
  • the electric device 140 which is an off-the-shelf product, is integrally fixed to the head 120. Damage to the case 141 of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Lt; / RTI >
  •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s detached from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head 120 And the body 110 are assembled,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unit 121 and utilized as the mount 100.
  •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head 120 in this embodiment, constitutes a battery compartment 140b for mounting the battery 144a as shown in FIG.
  • the stand 100 of this embodiment accommodates the electrical components 140 constituting the battery compartment 140b in the receiving unit 121. 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 121 'may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 removal of the battery case 140b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so that the opening 121a is formed as shown in FIG.
  • the opening 121a is formed in a section where the battery box 140b is located, and the user can easily remove and insert the battery box 140b without interference of the storage unit 121 '.
  • the opening 121a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the opening 121a cut along the one end of the receiving unit 121 'in a specified range, the receiving unit 121' It can easily happen. Also, when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unit 121 ', the user can push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through the opening 121a with his / her fingers, so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receiving unit 121'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It's handy.
  • the receiving unit 121 '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elf-elasticity,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which is once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121', remains in a state of being held by the receiving unit 121 ' It accomplishes.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 hanger capable of linking a head separated from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adle 100 further includes a hanger 300 for connecting and storing the separated head 120.
  • the cradle 100 may be used as a combination of the body 110 and the head 120, but the body 11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supporter .
  • the head 120 when a separate supporter is used, the head 120 must be separated from the body 110, so that there is a risk of losing the head 120 during use of the supporter.
  • the crad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hanger 300 for connecting and storing the separated head 120.
  • the hanger 300 includes a main body 320 having a cord 310 to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connecting holes 210 and 220 of the mobile 200 and a nut groove 321 into which the bolt 125 of the head 120 is inserted, And a wire 330 connecting the cord 310 and the main body 320 to each other.
  • the connecting halls 210 and 220 of the mobile 200 include an earphone hole 210 for inserting an earphone terminal and a USB hole 220 for inserting a USB terminal. And a dedicated code 310.
  • the present embodiment code 310 may be a terminal dedicated to the USB hole 220, or both of the terminals may be composed of the code 310.
  • the cradle 100 when the cradle 100 is not used, the cradle 100 can be carried on the mobile 200 as a key ring, and when the cradle 100 is used, the cradle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hanger 300 and used as a mobile 200.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execute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mobile 200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anger 300.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nother use of the cradle shown in Fig. 13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adle shown in Fig.
  •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dle shown in Fig. 13 is used in various ways.
  • the nut grooves 111a, 111a 'and 111a "are preferably formed separately for the outer surfaces fa1, fa2 and fa3 of the base 111" and the outer surfaces fa1, fa2 and fa3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 the first outer surface fa1 of the present base 111 "forms a horizontal surface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outer surface fa2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outer surface fa3 has a first outer surface fa1,
  • the head 120 is fitted into the nut grooves 111a, 111a 'and 111a'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fa1, fa2 and fa3, respectively, the head 120 is connected to the base Quot; 111 ").
  • the cradle 100 when the head 120 is install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fa1 of the base 111 "of the body 110", the cradle 100 "is attached to the mobile 200
  • the head 120 protrudes vertically so that the head 120 protrudes from the mobile 200 together with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to support the mobile 200 at the floor B.
  • the front screen (screen) of the mobile 200 is inclined by seating on the floor B to the head 120 and the mobile 200.
  • the cradle 100 is attached to the mobile 200
  • the head 120 is projected obliquely from the mobile 200 to support the mobile 200 on the floor B.
  • the head 120 is supported on the floor B as shown in FIG.
  • the screen of the mobile 200 is inclined by seating on the floor B in the mobile 200.
  • the head 120 installed on the second exterior surface fa2 is positioned on the floor B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obile 120 can be made larger than the head 120 install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fa1 of the mobile device 200.
  •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200 is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user, The user can view the output image of the mobile 200 in another posture.
  • the cradle 100 is attached to the mobile 200
  • the head 120 is positioned in line with the mobile 200.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unt 100 "for the mobile 200 i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mobile 200, 200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the mobile 200 by handling the head 120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on behalf of the mobile 200. That is,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mobile 200 while holding the head 120.
  • the hea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switch 141 by grasping the electrical component 140 protruded from the mobile 200. Therefore, the user can take the mobile 200 in various postures and various directions.
  • the body 110 '' base 111 ' has nut grooves 111a, 111a' and 111a 'formed on three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surfaces fa1, fa2 and fa3, respectively,
  • the outer surface fa1 is horizontal
  • the second outer surface fa2 is inclined at 45 degrees
  • the third outer surface fa3 is inclined at 90 degrees.
  • the nut grooves 111a, 111a ', and 111e' are formed on two outer surfaces or four or more outer surfaces, 111a "), and the forming angles of the respective outer surfaces can be varied.
  • the body 110 '' may be a polyhedron as shown in the figure, but may be a curved body having an outer surface of a curved surface.
  • the outer surface forming the curved surface forms angled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surfaces fa1, fa2, and fa3 are not limi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olyhedron, provided that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11a, 111a ', and 111a "
  •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d 120 '' and the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bolt 125 and the nut groove 111a.
  •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head 120 " located in the body 110 ' varies.
  • the head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ence 124 'and the bolt 125 rotatably fixed, and the fence 124' and the neck 124 integrally connected, When the bolt 125 is turned, the male thread portion of the bolt 125 idles around the neck 124.
  • the head 121 ' can be coupled to the body 110' while keeping the head 121 'in its current posture without rotating itself by aligning the nut 121' with the nut groove 111a and then screwing the bolt 125 into the nut groove 111a. ).
  • the fence 124 ' integrally fixes the fence 124' to the lower end of the neck 124 while the fence 124 'forms a receiving pipe 126a and the receiving pipe 126a has a handle (128) is rotatably housed and constitutes a finishing plate (126b) closing the receiving pipe (126a) so as to prevent the disengagement of the received handle (128).
  • the finishing plate 126b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26c through which the bolt 125 passes.
  •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tube 126a is cut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ortion of the handle 128 where the edge is opened.
  • the user can manipulate the exposed handle 128 to rotate the handle 128 and the bolt 125.
  • the bolt 125 is aligned with the nut groove 111a and the bolt 125 is inserted into the nut groove 111a while rotating the handle 128
  • the head 121 'and the neck 124 can be coupled to the body 110'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posture without self-rotation.
  • 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adle shown in Fig.
  • the mounting tab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 120' 'and the body 110' coupled to each other via the nut groove 111a and the bolt 125 are not separated by the self loosening of the bolt 125,
  • the cover 112 covering the body 110 ' is formed so that the rotating body 110' or the fence 124a does not directly rub against the body 110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olt 125 into the nut groove 111a.
  • the cover 112 has a pad shape of an elastic material covering one surface of the body 110 'and forms a through groove 112a through which the bolt 125 passes.
  • the bolt 125 is fit into the nut groove 111a and the bolt 125 is inserted into the nut groove 111a to tighten the bolt 125 against the cover 112,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unwinding direction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ubber cover 112 so that the head 12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110 '. Since the cover 112 has its own elasticity, the fence 126 is pushed up and the thread of the bolt 125 is pushed upward by the force of the nut groove 111a, so that the bolt 125 and the nut groove 111a.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ence 126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body 1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e 111' of the body 110 'from being worn or damaged.
  • the cover 112 and the base 111 'of the body 110' may be fixed to each other via a separate adhesive agent. However,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111 and the base 111 ' So that the cover 112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1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휴대형 모바일을 직접 쥐고 조작하지 않아도 상기 모바일의 카메라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모바일을 흔들림 없이 안정하게 받쳐서 상기 모바일이 출력하는 DMB와 동영상과 내비게이션 이미지 등의 출력 영상을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시선 각으로 맞춰 시청할 수 있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모바일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머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휴대형 모바일을 직접 쥐고 조작하지 않아도 상기 모바일의 카메라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모바일을 흔들림 없이 안정하게 받쳐서 상기 모바일이 출력하는 DMB와 동영상과 내비게이션 이미지 등의 출력 영상을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시선 각으로 맞춰 시청할 수 있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인 모바일은 일반 전화는 물론 통신 미디어, 인터넷,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사진촬영,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형 복합 장치이다. 또한, 모바일은 사용자의 휴대 이용이 가능해야 하므로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사용자가 스크린을 보는데 불편이 없는 최대한의 스크린 구성을 갖추어야 했다. 따라서 종래 모바일의 디자인은 휴대와 스크린 활용을 위한 형태로 개발이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사용자가 모바일을 안전하게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 개발은 등한시되어서, 제품화된 대부분의 모바일이 조작 불편과 낙하로 인한 파손이 빈번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사용자의 잦은 조작과 불편한 핸들링 자세가 요구되는 촬영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 미숙과 실수로 인한 모바일의 낙하사고가 더욱 빈번했고, 사용자가 촬영결과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높은 일명 '셀카'로 불리는 촬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더욱 안정적으로 모바일을 쥐고 촬영할 수 있어야 하지만 종래 모바일의 디자인은 이러한 요구가 무시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일명 '셀카봉'으로 불리는 도구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종래 '셀카봉'은 명칭 그대로 봉의 형태를 이루므로, 때와 장소에 따라 그 사용이 제한되었다.
한편, 모바일은 TV는 물론 다양한 영상과 음악의 출력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는 실내외에서 모바일을 켜고 출력되는 음악 또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 방식은 모바일이 재생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하기 위해서 모바일을 직접 손으로 들어야 한다는 시청 자세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모바일을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할 경우에는 손의 흔들림에 의해서 화면이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은 사용자의 눈 피로를 가중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상을 시청해야 할 경우에는 판 형상의 모바일을 탁자나 책상 등에 그냥 뉘어놓는데, 이 경우에는 화면이 상방을 향하므로 사용자의 시선 각을 벗어나는 불편 또한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모바일의 배면을 받치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가 개발되었다. 상기 지지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852호(이하 '선행기술')에서 공지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자성체와 자력을 띠는 금속재가 부착된 것과; 영상촬영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걸고리에 끈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상기 금속재와 밀착고정자성체가 설치되고, 이 자성체가 설치된 타측에는 수평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 기능의 구성요소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금속재를 부착하여야 하고, 받침대 기능의 구성요소에는 금속재에 대응되는 자성체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는 물론 판매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상촬영장치에 부착되는 금속재가 돌출된 턱을 이룰 수밖에 없으므로, 영상촬영장치를 휴대하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 부위에 상처를 입힐 수도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를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지면 금속재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이탈하여 기능을 상실한다는 단점 또한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이용해서 일반 촬영은 물론 셀프 촬영을 안정하면서도 원하는 자세와 형태로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수용하고 모바일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전자기기의 안정한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의 플레이 영상을 편안한 시선 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고, 통화 등을 위해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어야 할 때에는 안전하고 불편 없이 모바일을 쥐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며, 모바일 지지 방식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한편, 모바일 지지를 위한 탈부착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과 연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모바일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머리:
를 포함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을 이용해서 일반 촬영은 물론 셀프 촬영을 안정하면서도 원하는 자세와 형태로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러를 포함한 전자기기를 모바일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전자기기의 안정한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의 플레이 영상을 편안한 시선 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고, 통화 등을 위해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어야 할 때에는 안전하고 불편 없이 모바일을 쥐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며, 모바일 지지 방식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한편, 모바일 지지를 위한 탈부착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의 거치대가 모바일을 지지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된 전장품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보인 일실시의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거치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거치대의 핸들링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의 전장품에 전지함에 설치된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의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거치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의 전장품에 전지함에 설치된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로부터 분리된 머리를 링크할 수 있는 행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거치대의 다른 사용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거치대를 다양하게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거치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의 거치대가 모바일을 지지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된 전장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모바일(200)이 입설하도록 받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선 각으로 모바일(200)의 출력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거치대(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200)의 배면에 밀착해서 모바일(200) 정면의 스크린이 사용자의 시선 각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몸체(110)와 모바일(200) 배면 간의 탈착을 통한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거치대(100)의 설치 위치 변경에 의한 모바일(200)의 입설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직접 쥐고 조작하지 않아도, 모바일(200)의 동작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는 거치대(100)만을 쥔 상태에서 모바일(200)의 카메라 조작, 플레이 영상 또는 음악 선택, 음량 조절 등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기능을 갖는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모바일(200)을 받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말단에 구성되는 머리(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머리(120)에 모바일(200) 제어를 위한 전자기기(이하 '전장품')을 구성한다. 상기 전장품은 모바일(200)을 원격제어하는 전자기기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신해서 모바일(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전장품은 모바일(200)의 카메라 조작, 플레이 영상 또는 음악 선택, 음량 조절 등의 제어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전장품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머리(120)에 배치되는 스위치(141)와, 스위치(141)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모바일(200)에 호환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해 생성하는 처리모듈(142)과, 처리모듈(142)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모바일(200)에 발신하는 통신모듈(143)을 포함하고, 처리모듈(142)과 통신모듈(143)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출력하는 전원모듈(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스위치(141)는 거치대(100)를 손으로 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터치해 클릭하면 입력신호를 발생시켜서 처리모듈(142)에 전달한다. 스위치(141)는 사용자의 기계적인 클릭을 통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고, 터치스크린과 같이 전기적인 클릭을 통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는 스위치(141)가 기계적인 클릭을 요하는 버튼이고, 1개의 버튼으로도 모바일(2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셔터와 전화 ON/OFF 등의 조작용으로 활용된다.
본 실시의 처리모듈(142)은 스위치(141)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확인해서 모바일(200)이 인지하는 해당 기능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스위치(141)의 입력신호를 받아서 모바일(200)의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처리모듈(142)의 종류와 변환 프로세스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통신모듈(143)은 처리모듈(142)이 출력한 제어신호를 모바일(200)에 전달한다. 거치대(100)와 모바일(200) 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선의 경우 통신모듈(143)은 모바일(200)의 이어폰잭 규격 또는 USB 코드 규격 등의 케이블일 수도 있고, 무선의 경우 통신모듈(143)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에 맞춘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처리모듈(142)과 통신모듈(143)은 자체 프로세싱을 위한 전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전원모듈(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모듈(144)은 충방전지 또는 수은전지 등을 전원으로 구성하고, 충방전지가 전원인 경우에 전원모듈(144)은 충전기(미 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전원에 수은전지와 같은 일회성 전지가 적용될 경우에는 수은전지를 모두 방전하면 새로운 전지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거치대(100)에 통신모듈(143)이 유선방식이면, 케이블이 연결된 USB 포트를 통해서 모바일(1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처리모듈(142)은 상기 전력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동작을 위한 전원모듈(144)이 반드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에서 전장품을 모바일(100) 제어기능의 리모트컨트롤러인 것으로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모바일(100)과 연동하면서 사용자의 생체상태를 감지해 모바일(100)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감지수단 또는 IOT 기반의 통신모듈 등일 수 있으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참고로, 전장품(140)은 IOT 시대인 요즘, 모바일(200)과 연동해 동작하는 센서, 리모트컨트롤러, 통신모듈, 바이오측정기 등, 모바일(200)과 연동하나 모바일(100)과는 독립한 개체인 다양한 종류가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보인 일실시의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거치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몸체(110)는 모바일(200)과 접합하는 베이스(111)를 포함한다.
머리(120)는 상기 전장품을 수용하는 수용유닛(121)과, 수용유닛(121)과 베이스(111)를 연결하는 넥(1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에서 수용유닛(121)은 전장품을 감싸 수용하는 하우징이고, 수용유닛(121)과 넥(124)은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머리(120)는 모바일(200) 거치시에 지면에 닿게 되고, 사용자의 조작시 손바닥과도 접촉하므로, 머리(120)의 수용유닛(121)은 거치대가 설치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손바닥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둘레면이 만곡된 원형체이며, 상기 원형체의 윗면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스위치(141)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위치는 머리(120)의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100)는 몸체(110)와 머리(120)가 일체일 수 있으나, 본 실시는 몸체(110)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베이스(111)와 머리(120)의 넥(124)을 상호 탈착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실시는 베이스(111)에 너트홈(111a)을 형성하고, 넥(124)의 말단에는 너트홈(111a)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125)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너트홈(111a)에 볼트(125)를 풀거나 결합하는 방식으로 몸체(110)와 머리(120)를 탈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모바일(200)과의 부착을 위한 탈착패드(130)를 더 포함한다. 탈착패드(130)의 제1면(131)은 베이스(111)에 고정되고, 제2면(132)은 모바일(200)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2면(132)은 모바일(200)에 밀착하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이를 통해서 베이스(111)는 탈착패드(130)를 매개로 모바일(200)에 고정된다. 또한, 모바일(200)에 고정된 제2면(132)은 사용자의 인력으로 충분히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치대(100)를 모바일(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탈착패드(130)는 접착성질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패드를 적용했다. 참고로, 본 실시의 탈착패드(130)는 재접착 성질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양면 테이프로서, 일명 '겔패드'란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스카치테이프 제작사로 유명한 '3M™'의 '재접착 폼 양면 테이프'가 대표적이다. 여기서, 제1면(131)은 강한 접착력에 의해서 탈착패드(130)가 베이스(111)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고, 제2면(132)은 인력으로도 모바일(200)과의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1면(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접착력을 갖는다.
본 실시의 머리(120)는 넥(124)과 볼트(125) 사이의 경계를 이루도록 둘레를 따라 확장 형성된 펜스(126)를 더 포함한다. 펜스(126)는 볼트(125)가 너트홈(111a)으로 볼팅할 때 몸체(110)에 면접촉해서, 너트홈(111a)과 볼트(125) 사이의 노출 틈을 가리고, 이를 통해서 거치대(100)가 깔끔한 외관 미를 갖게 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볼트(125)는 펜스(126)와의 사이에 피치가 형성되지 않은 미끈부(125a)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미끈부(125a)의 둘레를 감싸는 탄성의 링(127)이 보강된다. 따라서 볼트(125)의 미끈부(125a)에는 링(127)이 보강된 상태로, 도 4의 (b)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1)의 너트홈(111a)에 삽입된다.
그런데 링(127)은 볼트(125)가 너트홈(111a)에 삽입되면서 너트홈(111a)의 내면과 밀착하고, 이 과정에서 탄성의 링(127)이 미끈부(125a)의 외면과 너트홈(111a)의 내면에 밀착해 가압한다. 이로 인해 볼트(125)는 너트홈(111a)과 긴밀하게 맞물리게 되고, 미끈부(125a) 자체의 마찰에 의해서 볼트(125)는 너트홈(111a)에서 회전 없이 현 위치를 고수한다.
결국, 너트홈(111a)에 삽입된 볼트(125)는 풀림이 제한되어서, 몸체(110)와 머리(12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거치대의 핸들링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의 몸체(110)는 머리(120) 방향으로 돌출하며 모서리가 없는 돔(Dome) 형상으로 되어서, 사용자는 거치대(100)가 부착된 모바일(200)을 쥘 때 간섭 없이 편안한 그립감과 안정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을 받치는 상황(도 1 참조)에서 모바일(200)을 이용해 전화를 해야 할 경우엔,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손으로 감싸쥐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오른손의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거치대(100)의 넥(124)을 끼우면서 약지(F3)와 함께 모바일(200)의 일측을 감싸고, 모바일(200)의 타측은 엄지(미도시)로 감싼다.
그런데, 모바일(200)의 폭은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F1) 사이, 엄지와 중지(F2) 사이의 폭보다 짧으므로, 사용자의 손바닥은 모바일(200)의 배면으로부터는 아치(ARCH) 형태로 이격하게 된다. 결국, 모바일(200)을 쥔 손바닥은 모바일(2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한 몸체(110)와 직접 접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몸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을 이루므로, 아치 형태로 벌어진 손바닥 면을 따라 밀착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쥐었을 때 공허함 없는 그립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모서리가 손바닥에 긁힘이나 간섭을 주지 않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머리(120)의 넥(124)이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워지므로, 사용자가 모바일(200)의 사용 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꾸거나 그 반대로 하더라도 불편 없이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넥(124)의 말단에는 넥(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의 수용유닛(121)이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검지(F1)와 중지(F2)는 수용유닛(121)과 몸체(110") 사이에 걸리게 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넥(124)을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모바일(200)을 직접 쥘 필요 없이 모바일(200)을 들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활용해서 셀프 카메라 등의 촬영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거치대(100)의 머리(120)를 감싸 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넥(124)이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도록 하고, 약지(F3)와 소지(F4)는 머리(120)를 받치면서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엄지(F5)는 전장품의 스위치(141)가 위치한 수용유닛(121)의 평면에 배치되어서, 필요한 경우에 엄지(F5)로 스위치(141)를 바로 클릭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대로 스위치(141)의 입력신호는 처리모듈(150) 및 통신모듈(160)을 통해 모바일(200)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직접 쥐거나 조작하지 않아도 모바일(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수용유닛(121)로부터 돌출해서 넥(124)과 연결되는 돔 형상의 서포터(122)가 형성되고, 넥(124)은 서포터(122)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서포터(122)는 곡면의 돔 형상을 이루므로, 돔 형상의 몸체(110)와 같이 수용유닛(121)를 감싸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공허함을 느끼지 않으며 수용유닛(121)를 쥘 수 있게 해서, 사용자는 편안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다.
전술한 핸들링 외에도 사용자는 자세와 사용 목적 등에 맞춰서 거치대(100)를 다양하게 핸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수용유닛(121)은 바람직하게 넥(124)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확장된 형상을 이루나, 이외에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핸들링할 수 있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거치대(100)에 스위치(141')는 버튼이 다수 개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거치대(100)는 모바일(200)에 대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다. 본 실시는 스위치(141')가 영상 또는 음악 등의 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재생/정지 버튼(141a)과 음량 버튼(141b)과 선택 버튼(141c)을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재생/정지 버튼(141a)은 재생 중인 영상 또는 음악을 일시정지시키거나 재싱시키고, 음량 버튼(141b)은 출력 음량을 조정하며, 선택 버튼(141c)은 다음 영상/음악 또는 이전 영상/음악을 선택한다.
해당 스위치(141')는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해서 클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위해 다수의 버튼 중 1개 이상이 혼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처리모듈(142)은 스위치(141')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한다. 본 실시는 음량을 높이는 음량 버튼(141b)이 촬영 모드에서 셔터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장품에 구성된 스위치(141, 141')는 원형 머리(120)의 윗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도 6에서 보인 대로 머리(120)를 쥐고 모바일(200)을 든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스위치(141, 141')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스위치(141')와 같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태의 다기능 방식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의 전장품에 전지함에 설치된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는 전원모듈(144)의 전원이 수은전지와 같은 1회용 전지인 경우에, 1회용 전지가 모두 방전하면 사용자가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전장품(140)은 전지함(140b)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에서 전지(144a)를 탑재하는 전지함(140b)은 머리(120)에 구성된 전장품에 배치되고, 서랍방식으로 슬라이딩하며 측방향으로 삽탈해서 사용자가 전지(144a)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본 실시의 전지함(140b)은 스위치(141)가 설치된 머리(120)의 윗면을 피해서 저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사용자는 스위치(141)의 간섭없이 전지함(140b)을 머리(120)로부터 당겨 슬라이딩하면, 전지함(140b)에 실장된 전지(144a)가 외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는 전지(144a)를 전지함(140b)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거나 탑재할 수 있다.
결국, 본원발명은 상대적으로 협소한 머리(120)에 모바일(200) 제어를 위한 스위치(121)와 전원모듈(144)을 상호 간에 간섭없이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스위치(141)를 조작할 때도 전지함(140b)에 의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144a)가 방전해도 전지함(140b)을 머리(120)로부터 인출해서 전지(144a)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적 편의에서도 우수한 배치 구조를 이룬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의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거치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의 전장품에 전지함에 설치된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머리(120)에 수용된 전장품(140)이 독립하게 구성되고, 수용유닛(121)은 전장품(140)과 탈착 가능하도록 보울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전장품(140)과 분리된 수용유닛(121)과 서포터(122)를 상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의 전장품(140)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서 모바일(200)과 통신하므로, 모바일(200)과의 통신 효율 개선을 위해 하우징은 합성수지와 같은 비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수용유닛(121)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유닛(121)은 전장품(140)을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용기 형상이다. 이때, 수용유닛(121)은 전장품(140)의 일부를 긴밀히 감싸 조이는 방식으로 전장품(140)을 수용해 장착하므로, 수용유닛(121)의 형상은 전장품(1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체 탄력으로 전장품(140)을 조이기 위한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장품(140)을 수용유닛(121)에 압입하면 수용유닛(121)은 탄발하면서 전장품(140)을 수용하고, 수용된 전장품(140)을 탄성에 의해 조이면서 안정하게 장착한다. 물론 전장품(140)을 수용유닛(12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전장품(140)을 수용유닛(121)로부터 강제로 압출한다. 이를 위해 수용유닛(121)은 독립된 전장품(140)을 긴밀하게 조여 수용할 수 있는 탄성과 강도를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수용유닛(121)은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금속재질의 수용유닛(121)은 비금속재질의 전장품(140)을 긴밀히 고정해서, 몸체(110)와 전장품(140)을 안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전장품(140)과 수용유닛(121)은 사용자가 손으로 편안하게 쥐고 핸들링할 수 있으면서도, 거치대(100)를 모바일(200)에 자세 제한 없이 고정해서 모바일(200)을 거치할 수 있도록, 둘레가 곡면 형태로 볼록한 원판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거치대(100)는 둥근 원편 형상의 수용유닛(121) 또는 전장품(140)이 바닥에 맞닿아 놓이게 되므로, 모바일(200)과의 연결 위치와, 모바일(200)이 바닥에 놓인 자세와, 상기 바닥의 굴곡 형태 등에 상관없이, 안정한 고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의 수용유닛(121)과 전장품(140)은 원판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바일(200)을 받치는 몸체(110)와 연결되어서 모바일(200)을 바닥에서 지지할 수 있다면, 수용유닛(121)과 전장품(140)은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머리(120)는 탄성 재질의 수용유닛(121)과 넥(124) 간의 상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넥(124)과 일체를 이루는 서포터(122)와, 수용유닛(121)과 서포터(122)를 체결하는 체결부재(123)를 더 포함한다. 서포터(122)는 수용유닛(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갖는 넥(124)이 수용유닛(121)을 안정하게 안착하며 체결될 수 있도록 단면적을 확장시킨 구간이고, 체결부재(123)는 수용유닛(121)을 관통해서 서포터(122)에 삽입되는 볼트 또는 핀 등의 수단이다. 본 실시의 체결부재(123)는 볼트이고, 서포터(122)는 볼트가 볼팅하는 너트홀을 구성한다.
참고로, 수용유닛(121)은 탄성 재질이며 전장품(140)의 원활한 압입과 압출을 위해서 넥(124)과의 조립과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에서 수용유닛(121)과 넥(124) 간의 연결을 위해 별도의 서포터(122)를 구성했으나, 넥(124)에 직접 너트홀을 구성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베이스(111)와 넥(124) 간의 상호 탈부착을 위해서, 본 실시는 베이스(111)에 너트홈(111a)을 형성하고, 넥(124)의 말단에는 너트홈(111a)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125)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너트홈(111a)에 볼트(125)를 풀거나 결합하는 방식으로 몸체(110)와 머리(120)를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볼트(125)는 넥(124)과 일체를 이루므로, 넥(124)을 몸체(11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머리(120) 전체를 돌리며 볼팅해야 한다.
그런데 머리(120)에 기성제품인 전장품(140)을 일체로 고정하며, 머리(120)를 몸체(110)에 연결하기 위해 볼팅하는 과정에서 전장품(140)의 케이스(141)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의 수용유닛(121)은 전장품(140)과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머리(120)를 몸체(110)에 조립할 때에는 수용유닛(121)에서 전장품(140)을 분리하고, 머리(120)와 몸체(110)가 조립되면 전장품(140)을 수용유닛(121)에 장착해서 거치대(100)로서 활용한다.
한편, 본 실시에서 머리(120)의 일 구성인 전장품(140)은 도 8에서 보인 대로 전지(144a)를 실장하기 위한 전지함(140b)을 구성한다.
그런데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전지함(140b)을 구성하는 독립된 전장품(140)이 수용유닛(121)에 수용된다. 따라서 수용유닛(121')은 전장품(140)의 저면에 위치한 전지함(140b)의 삽탈에 간섭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도 11에서 보인 대로 개구부(121a)를 형성한다.
개구부(12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함(140b)이 위치한 구간에 절개 형성되고, 사용자는 수용유닛(121')의 간섭없이 전지함(140b)을 손쉽게 삽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개구부(121a)는 수용유닛(121')의 일측 선단을 따라 지정된 범위로 절개된 개구부(121a)를 이루므로, 전장품(140)을 삽탈하는 과정에서 수용유닛(121')이 쉽게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장품(140)을 수용유닛(121')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개구부(121a)를 통해 전장품(140)을 밀어올릴 수 있으므로, 수용유닛(121')과 전장품(140) 간의 분리 또한 손쉽다.
물론, 수용유닛(121')은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이므로, 수용유닛(121')에 일단 결합한 전장품(140)은 수용유닛(121')이 가압해서 움켜쥔 상태를 유지하므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이룬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로부터 분리된 머리를 링크할 수 있는 행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분리된 머리(120)를 연결해 보관하는 행거(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몸체(110)와 머리(120)를 서로 조합해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서포터(미 도시)에 몸체(110)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별도의 서포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머리(120)를 몸체(110)로부터 분리해야 하므로, 상기 서포터를 사용하는 중에는 머리(120)에 대한 분실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거치대(100)는 분리된 머리(120)를 연결해 보관하기 위한 행거(300)를 더 포함한다.
행거(300)는 모바일(200)의 커넥팅 홀(210, 220)에 삽탈하는 코드(310)와, 머리(120)의 볼트(125)가 끼워지는 너트홈(321)을 갖춘 본체(320)와, 코드(310)와 본체(320)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330)를 포함한다.
모바일(200)의 커넥팅 홀(210, 220)은 이어폰 단자를 끼우는 이어폰 홀(210)과, USB 단자를 끼우는 USB 홀(220) 등이 있는데, 본 실시의 행거(300)는 이어폰 홀(210) 전용 코드(310)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의 코드(310)는 USB 홀(220) 전용 단자일 수도 있고, 두 종류의 단자 모두가 코드(3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결국, 거치대(100)를 미사용할 때는 열쇠고리와 같이 모바일(200)에 걸어 휴대하고, 사용할 때는 행거(300)로부터 분리해서 모바일(200) 거치 및 조작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행거(300)와 연결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매개로 모바일(200) 조작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거치대의 다른 사용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거치대를 다양하게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에 구성된 몸체(110")의 베이스(111")는 외면(fa1, fa2, fa3)에 둘 이상의 너트홈(111a, 111a', 111a")이 형성된다. 이때, 너트홈(111a, 111a', 111a")은 베이스(111")의 외면(fa1, fa2, fa3) 별로 각각 분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면(fa1, fa2, fa3)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이룬다.
본 실시의 베이스(111")에서 제1외면(fa1)은 도 13에서 보인 대로 수평면을 이루고, 제2외면(fa2)은 경사면을 이루며, 제3외면(fa3)은 도 14에서 보인 대로 제1외면(fa1)을 기준해서 수직면을 이룬다. 따라서 외면(fa1, fa2, fa3) 별로 각각 형성된 너트홈(111a, 111a', 111a")으로 머리(120)가 끼워지면, 머리(120)는 베이스(111")를 기준으로 서로 다양한 자세를 이룬다.
본 실시에 따른 거치대(100")의 사용모습을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6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머리(120)가 몸체(110")의 베이스(111") 제1외면(fa1)에 설치되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에 부착됐을 때 머리(120)가 수직하게 돌출한다. 따라서 머리(120)는 전장품(140)과 함께 모바일(200)로부터 곧게 돌출한 형태로 해서 모바일(200)을 바닥(B)에서 받친다. 물론 도시한 대로 머리(120)와 모바일(200)에 바닥(B)에 안착해서 모바일(200)의 정면 스크린(화면)이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도 16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머리(120)가 몸체(110")의 베이스(111") 제2외면(fa2)에 설치되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에 부착됐을 때 머리(120)가 다소 경사지게 돌출한다. 따라서 머리(120)는 모바일(200)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한 형태로 해서 모바일(200)을 바닥(B)에서 받친다. 물론 도시한 대로 머리(120)와 모바일(200)에 바닥(B)에 안착해서 모바일(200)의 스크린(화면)이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제2외면(fa2)에 설치된 머리(120)는 모바일(200)을 바닥(B)으로부터 세우듯이 지지하므로, 제1외면(fa1)에 설치된 머리(120)보다는 모바일(120)의 경사각을 크게 할 수 있다. 물론, 모바일(200)의 스크린은 사용자를 향해 수평방향을 향하므로, 사용자는 다른 자세에서도 모바일(200)의 출력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6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머리(120)가 몸체(110")의 베이스(111") 제3외면(fa3)에 설치되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에 부착됐을 때 머리(120)가 모바일(200)과 나란한 자세를 이룬다. 이때 모바일(200)에 대한 거치대(100")의 설치 위치를 모바일(200)의 가장자리로 배치하면, 머리(120)는 모바일(200)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대신해서 머리(120)와 전장품(140)을 핸들링해서 모바일(200)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머리(120)를 쥐고도 모바일(200)의 배치위치를 수월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머리(120)는 전장품(140)을 수용하므로, 사용자는 모바일(200)로부터 돌출한 전장품(140)을 쥐고 스위치(141)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와 다양한 방향으로의 모바일(200) 촬영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몸체(110") 베이스(111")는 제1,2,3외면(fa1, fa2, fa3) 3면에 각각 너트홈(111a, 111a', 111a")을 하나씩 형성하고, 제1외면(fa1)은 수평하고, 제2외면(fa2)은 45도로 경사지고, 제3외면(fa3)은 90도로 경사지게 했으나, 이외에도 2개의 외면 또는 4개 이상의 외면에 너트홈(111a, 111a', 111a")을 구성할 수 있고, 각 외면들의 형성 각도도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도시한 대로 다면체일 수 있으나, 외면이 곡면을 이루는 곡면체일 수도 있다. 물론, 곡면을 이루는 외면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각의 접면을 이루므로, 본 실시의 너트홈(111a, 111a', 111a")이 다양한 각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한 면이라면 제1,2,3외면(fa1, fa2, fa3)이 다면체의 각 외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머리(120")와 몸체(110')는 볼트(125)와 너트홈(111a)을 매개로 탈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체(110')에 대한 머리(120")의 조임 정도에 따라 몸체(110')에 위치하는 머리(120")의 회전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런데 몸체(110')를 기준으로 연결한 머리(120")의 회전 위치가 특별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회전 위치에 머리(120")가 맞춰지도록 볼트(125)를 중심으로 머리(120")를 돌려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맞춤 방식은 볼트(120")와 너트홈(111a)이 더 조여지거나 풀린 상태로 몸체(110')와 머리(120")가 연결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머리(120")는, 펜스(124')와 볼트(125)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펜스(124')와 넥(124)은 일체로 연결해서, 사용자가 볼트(125)를 돌리면 볼트(125)의 수나사 부분이 넥(124)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몸체(110')에 머리(12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볼트(125)를 돌리면서 너트홈(111a)에 맞춰 결합하면, 헤드(121')가 자체 회전 없이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머리(120")를 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는 넥(124)의 하단에 펜스(124')를 일체로 고정하되, 펜스(124')는 수용관(126a)을 형성하고, 수용관(126a)에 볼트(125)가 고정된 핸들(128)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수용된 핸들(12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용관(126a)을 마감하는 마감판(126b)을 구성한다. 여기서 마감판(126b)은 볼트(125)가 관통하는 관통공(126c)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관(126a)의 둘레면 일부를 절개해서 핸들(128)의 가장자리가 개구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출된 핸들(128)을 조작해서, 핸들(128) 및 볼트(1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몸체(110')에 머리(12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핸들(128)를 돌리면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춰 결합하면, 헤드(121') 및 넥(124)이 자체 회전 없이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 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거치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너트홈(111a)과 볼트(125)를 매개로 서로 결합한 머리(120") 및 몸체(110')가 볼트(125)의 자체 풀림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도, 너트홈(111a)에 볼트(125)가 삽입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몸체(110') 또는 펜스(124a)가 몸체(110')와 직접 마찰하지 않도록, 몸체(110')를 덮는 커버(112)를 더 포함한다.
커버(112)는 몸체(110')의 일면을 덮는 탄성 재질의 패드 형상을 이루며, 볼트(125)가 관통하는 관통홈(112a)을 형성한다.
따라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삽입해 조이는 과정에서 펜스(126)가 커버(112)에 밀착하게 되고, 이렇게 밀착한 펜스(126)는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고무재질의 커버(112)가 갖는 마찰력에 의해 저지되어서, 머리(120)는 몸체(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더욱이 커버(112)는 자체 탄성을 가지므로 펜스(126)를 탄발해 밀어올려서, 볼트(125)의 나사산이 너트홈(111a)의 상방으로 힘을 받아 밀리므로, 볼트(125)와 너트홈(111a) 간의 밀착력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펜스(126)가 몸체(110')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몸체(110')의 베이스(111') 일면이 마모하거나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12)와 몸체(110')의 베이스(111')는 별도의 접착제를 매개로 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본 실시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111') 일면에 끼움홈(111b)을 형성시켜서, 커버(112)가 끼움홈(111b)에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모바일과 연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모바일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머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는
    모바일과 통신하며 제어하는 전장품과, 상기 전장품을 수용하는 수용유닛과, 일단이 상기 수용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에 탈부착하는 넥을 구비한 머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는
    윗면에 상기 전장품의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전장품의 구동을 위한 전지를 실장하며 상기 머리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삽탈하는 전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는 둘레면이 만곡된 원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의 저면에는 상기 넥과 수용유닛의 연결을 매개하며 돔 형상으로 돌출된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전장품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의 하우징은 비금속재질이고, 상기 수용유닛은 탄성의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의 윗면에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전장품은 구동을 위한 전지를 실장하며 상기 머리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삽탈하는 전지함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전지함의 삽탈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너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는, 상기 너트홈과의 결속을 위해 상기 넥의 말단에 형성된 볼트와, 상기 넥과 몸체가 면 접촉하도록 상기 넥과 볼트 간 경계의 둘레에 확장 형성된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의 커넥팅 홀에 삽탈하는 코드와,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너트홈을 갖춘 본체와, 상기 코드와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행거;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PCT/KR2017/006718 2017-06-26 2017-06-26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WO20190044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6718 WO2019004490A1 (ko) 2017-06-26 2017-06-26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6718 WO2019004490A1 (ko) 2017-06-26 2017-06-26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490A1 true WO2019004490A1 (ko) 2019-01-03

Family

ID=6474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6718 WO2019004490A1 (ko) 2017-06-26 2017-06-26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044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7262A1 (zh) * 2019-10-21 2021-04-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的控制方法、装置及云台的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226A (ko) * 2011-12-26 2013-07-10 주식회사 신테크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KR20140082154A (ko) * 2012-12-24 2014-07-02 스카이파워텔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거치기능을 가진 확장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조장치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20150003425U (ko) * 2014-03-06 2015-09-16 심준용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1741642B1 (ko) * 2016-01-22 2017-05-31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모바일 거치형 스피커
KR20170088121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226A (ko) * 2011-12-26 2013-07-10 주식회사 신테크 휴대정보 단말기 지지구 및 휴대정보 단말기용 컨트롤러
KR20140082154A (ko) * 2012-12-24 2014-07-02 스카이파워텔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거치기능을 가진 확장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조장치
KR20150003425U (ko) * 2014-03-06 2015-09-16 심준용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101741642B1 (ko) * 2016-01-22 2017-05-31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모바일 거치형 스피커
KR20170088121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7262A1 (zh) * 2019-10-21 2021-04-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的控制方法、装置及云台的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416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WO2012086908A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US9118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21172814A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JP3132095U (ja) 赤外線カメラ
WO2016021776A1 (ko)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WO2016125947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86284A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WO2011052851A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WO2012060585A2 (ko) 단말기 장치
EP339117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WO2017057837A1 (ko) 휴대용 스피커 장치 및 그의 이용 방법
WO2019022449A1 (ko)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KR101951925B1 (ko)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WO2019066284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43926A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WO2019004490A1 (ko)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EP3087679A1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WO2019112267A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WO2019168291A1 (ko)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해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19059494A1 (ko) 조립식 스마트 워치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153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153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