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536A -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536A
KR20160037536A KR1020140130223A KR20140130223A KR20160037536A KR 20160037536 A KR20160037536 A KR 20160037536A KR 1020140130223 A KR1020140130223 A KR 1020140130223A KR 20140130223 A KR20140130223 A KR 20140130223A KR 20160037536 A KR20160037536 A KR 20160037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unting
cradle
alignmen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7536A/ko
Publication of KR2016003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가 개시된다. 휴대형 단말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올려 놓여진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휴대형 단말기가 놓여지면 휴대형 단말기를 자동으로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Portable mobile cradl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 단말기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으로써 이를 위한 다양한 엑세서리 또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는 차량 운전 중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지만, 급한 용무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차량 운전 중 휴대형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고자 최근에 보급되는 차량에는 휴대형 단말기를 연결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예를 들어, 핸즈프리 기능)이 내장되고 있으며, 무선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등의 장비가 보급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휴대형 단말기를 차량 운행 중에 직접 파지하거나 보지 않고서도 통화할 수 있게끔 하는 편리한 장치가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 또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용 거치대는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휴대형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집게형 거치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를 지지하는 스프링 거치대, 휴대형 단말기에 맞춤 제작된 휴대형 단말기 종속형 거치대 및 차량에 내장된 거치대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통하여야만 휴대형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또한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빠지는 등의 안정적인 거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을 받아도 안정적인 거치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는, 휴대형 단말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올려 놓여진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 상기 정렬부 및 상기 그립부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해 개구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올려 놓여지는 거치대;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대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거치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거치대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는 파지홈이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거치대에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신호에 따라 전후로 동작하여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키는 정렬 핑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을 받혀서 지지하는 회전 구동 본체부; 상기 거치부의 회전축부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축지지부;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가 개구된 상자 형태로서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상기 그립부의 수직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홈; 및 상기 회전축부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조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그립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와 인접함을 알리기 위한 압력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 상기 정렬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따라 동작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대에 올려 놓기만 하여도,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대에 자동적으로 거치되어, 거치 동작이 용이하고 편리해질 수 있다.
거치대에 올려 놓여진 휴대형 단말기는 사용자 쪽으로 자동적으로 세워져 거치되므로,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의 화면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도록 감성공학 측면에서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에 구비된 그립부는 그 액추에이터의 토크 제어를 통해 안정되고 확고한 그립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그립부를 매개로 휴대형 단말기를 확고하게 잡아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거치대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에 가해져도,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고 지속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의 차량 내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는 하우징(100), 거치부(200), 정렬부(300) 및 회전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거치부(200)를 수용하는 상자형 부재이다. 하우징(100)은 거치부(200)를 수용 가능하도록 거치부(200)의 외형과 비슷한 형태로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블록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거치부(200)는 하우징(100)에 수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올려 놓여진 휴대형 단말기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0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올려 놓여진 휴대형 단말기의 화면을 상기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전환시킬 수 있다.
정렬부(300)는 하우징(100) 외부에 위치하며, 거치부(200)에 휴대형 단말기가 올려 놓여지면 동작하여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렬부(300)는 차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400)는 하우징(100)을 받치도록 형성되며, 거치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거치부(200)를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회전 구동부(400)는, 일측이 돌출된 형태이며, 이를 통해 거치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구된 상자 형태이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소정의 홈(1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일측에 조립홀(120)을 구비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는 장치로서, 거치대(210), 돌출부(220), 그립부(230) 및 회전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210)는 휴대형 단말기를 실질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는 대체로 평탄한 거치면을 구비한 블록 형태의 부재이다. 이러한 거치대(210)는 하우징(10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하우징(100)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10)는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한쪽 모서리 부분이 절단되어 형성된 파지홈(211)을 구비할 수 있다.
거치대(2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수용 공간에 압력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거치대(210)의 상기 거치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거치대(210)에 올려 놓여진 휴대형 단말기를 정렬시킬 때에 스톱퍼 역할을 하고, 또한 휴대형 단말기를 세울 때에 휴대형 단말기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휴대형 단말기의 인접함을 알릴 수 있도록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립부(230)는 휴대형 단말기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그립부(230)는 거치대(210) 양측면에 하나씩 배치되며, 휴대형 단말기를 잡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부재(231)와 수직부재(2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부재(232) 상단에는 휴대형 단말기의 화면을 가리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휴대형 단말기를 보다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립부(230)는 거치대(210)의 양쪽 측면에 삽입되어, 그 길이를 신장 혹은 수축할 수 있도록 거치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그립부(230)는 거치대(2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조립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및 조립될 수 있다.
그립부(230)의 수직부재(2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가 올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하우징(100)에 구비된 홈(110)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그립부(230)의 수직부재(232)는 휴대형 단말기의 인접함을 알릴 수 있도록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부(240)는 거치대(210)에 거치되어 그립부(230)에 의해 고정된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자 쪽으로 전환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회전축부(240)는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대(210) 일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거치대(210)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중앙에 축홀(241)이 형성된 원판일 수 있다. 또한, 회전축부(240)는 거치대(210)의 돌출부(220)와 근접한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상부에 수용되면 하우징(100)의 조립홀(120)에 삽입하게 된다.
정렬부(300)는 거치부(200)에 올려 놓여진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키는 장치이며, 정렬 본체부(310)와 정렬 핑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본체부(310)는 하우징(100) 외부에 위치하는 블록 형상의 몸체이다. 이러한 정렬 본체부(310)는 내부에 정렬 핑거(320)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모터와 기어 및 링크 등을 포함하여 정렬 핑거(3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렬 핑거(320)는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정렬 본체부(310) 일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400)는 거치부(200)에 거치된 휴대형 단말기를 일으켜 세우는 장치로서, 회전 구동 본체부(410), 축지지부(420) 및 회전축(4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 본체부(410)는 하우징(100)의 바닥부분을 받칠 수 있는 블록 형상의 몸체이다. 이러한 회전 구동 본체부(410)는 예를 들면, 차량의 콘솔 박스나 크래쉬 패드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수용 공간에는 거치부(200)의 회전축부(24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모터와 기어 등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4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축지지부(420)는 회전 구동 본체부(410)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회전축부(240)이 삽입되는 수용홀(42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축지지부(420)의 수용홀(421)은 회전축부(240) 외형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그 간격이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430)은 축지지부(420)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관통해서 설치되어, 회전축부(23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이를 통해 회전축부(230)와 축지지부(4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휴대형 단말기(500)가 사용자에 의해 거치대(210)에 놓여지면, 그 휴대형 단말기(500)의 소정 분분을 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130)는 하우징(100)의 소정 부분을 말하며, 휴대형 단말기가 올려 놓여진 거치대(210)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100)에는 정렬 핑거(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받침부(130)의 상단에 삽입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렬 핑거(32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삽입홀(140)을 통해 휴대형 단말기와 맞닿을 수 있으며, 맞닿게 된 휴대형 단말기를 돌출부(220) 방향으로 밀어서 자세를 정렬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500)를 거치대(210)에 올려 놓게 되면 거치대(210)는 내부에 구비한 압력센서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500)의 거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210)는 내부에 각종 장치들을 수용 가능하며, 압력 센서뿐만 아니라 그립부(2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거치대(210)에 구비된, 예를 들면 압력센서는 휴대형 단말기(500)의 거치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거치대(210)의 액츄에이터는 외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거치대(210)에 구비된 압력센서는 휴대형 단말기(500)가 거치대(210)에 놓여지면 그 압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기준 압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형 단말기 중 무게가 가벼운 휴대형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210)에 구비된 압력센서는 압전 센서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10)에 구비된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은 정렬 본체부(310)는 정렬 핑거(320)를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500)의 자세를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렬 본체부(3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정렬 핑거(320) 및 액츄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으며, 차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압력 센서(예컨대, 거치대(210)에 구비된 압력센서)가 획득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정렬 핑거(320)를 전진시킬 수 있으며, 정렬 핑거(320)의 전진에 따라 자세 정렬된 휴대형 단말기(500)를 돌출부(220)에 인접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6에서 휴대형 단말기(500)가 돌출부(220)에 인접하게 정렬되면, 돌출부(220)는 휴대형 단말기(500)의 인접한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20)는 휴대형 단말기의 인접한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20)에 구비된 압력센서는, 휴대형 단말기가 돌출부(220)에 인접하게 되면, 인접한 상태에 따른 압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그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기준 압력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돌출부(220)에 구비된 압력센서는 압전 센서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도7에서 상기 돌출부(220)의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은 거치대(210)는 그립부(230)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500)를 잡아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2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그립부(230), 압력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거치대(21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는 돌출부(220)의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그립부(230)를 동작시켜 휴대형 단말기(5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21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는 휴대형 단말기(500)가 그립부(230)를 통해 견실하게 고정되도록 토크 제어될 수 있으며, 이때 휴대형 단말기(500)가 완전히 고정되어 그립부(230)의 정렬 동작이 완료되면, 정렬 본체부(310)는 정렬 핑거(320)의 전진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렬 핑거(320)를 후진시켜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230)의 수직부재(232)는, 각각이 압력센서를 구비하며, 그립부(230)의 압력센서는 수직부재(232)가 휴대형 단말기(500)와 인접하게 되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부(230)에 구비된 압력센서는 수직부재(230)가 휴대형 단말기와 밀착되면, 그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230)에 구비된 압력센서는 검출된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기준 압력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230)에 구비된 압력센서는 압전 센서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8에서 상기 그립부(230)에 구비된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은 회전 구동부(400)는 회전축(430)을 통해 회전축부(24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를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거치대(210)를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구동 본체부(4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액츄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고, 회전 구동 본체부(41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는 신호에 따라 돌출부(420)에 위치하는 회전축(4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축부(240)는 회전축(430)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거치대(210)를 일으켜 세울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 본체부(410)는 차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종 압력 센서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를 각종 압력 센서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각종 장치들(예컨대, 정렬 본체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내 전방부의 크래쉬 패드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면 확인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콘솔 등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콘솔 등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휴대형 단말기를 일으켜 세우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의 동작 과정이 제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거치부
210: 거치대
220: 돌출부
230: 그립부
240: 회전축부
300: 정렬부
310: 정렬 본체부
320: 정렬 핑거
400: 회전 구동부
410: 회전 구동 본체부
420: 돌출부
430: 회전축

Claims (11)

  1. 휴대형 단말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올려 놓여진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그립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상기 정렬부 및 상기 그립부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해 개구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올려 놓여지는 거치대;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대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거치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거치대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전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는 파지홈이 절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거치대에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신호에 따라 전후로 동작하여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자세를 정렬시키는 정렬 핑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을 받혀서 지지하는 회전 구동 본체부;
    상기 거치부의 회전축부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축지지부; 및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와 결합되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가 개구된 상자 형태로서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상기 그립부의 수직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홈; 및
    상기 회전축부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조립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그립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와 인접함을 알리기 위한 압력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상기 정렬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는 신호에 따라 동작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KR1020140130223A 2014-09-29 2014-09-29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KR20160037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23A KR20160037536A (ko) 2014-09-29 2014-09-29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23A KR20160037536A (ko) 2014-09-29 2014-09-29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36A true KR20160037536A (ko) 2016-04-06

Family

ID=5579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223A KR20160037536A (ko) 2014-09-29 2014-09-29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75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59A (ko) * 2018-12-26 2020-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로드 셀을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59A (ko) * 2018-12-26 2020-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로드 셀을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775B2 (en) Magnetic stand for electronic device
EP2778829B1 (en) Docking apparatus of electronic apparatus
US9847651B2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8922354B2 (en)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219760B1 (ko)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JP6247562B2 (ja) 車両用usbポート
KR20220113715A (ko) 전동 공구용 삽입형 무선 통신 장치
JP4968476B2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筐体
US7616972B2 (en)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WO2014152546A1 (en) Pivotable vehicle mount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108093100B (zh) 电子装置
KR102408735B1 (ko)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KR101403413B1 (ko) 가변형 거치대
KR20160037536A (ko)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KR101279160B1 (ko)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1673875B1 (ko)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CN110326167B (zh) 卡托、插接装置及终端
KR200456530Y1 (ko) 휴대폰 거치 장치
KR101708419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2319433B1 (ko)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CN210328290U (zh) 一种保护壳
CN113056124B (zh) 电子产品保护壳及包括其的云台稳定器
KR20190074929A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10038008A (ko) 휴대 통신기기용 다기능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