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160B1 -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160B1
KR101279160B1 KR1020120098976A KR20120098976A KR101279160B1 KR 101279160 B1 KR101279160 B1 KR 101279160B1 KR 1020120098976 A KR1020120098976 A KR 1020120098976A KR 20120098976 A KR20120098976 A KR 20120098976A KR 101279160 B1 KR101279160 B1 KR 101279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isplacement
vehicle
moun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이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엽 filed Critical 이동엽
Priority to KR102012009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CD투입구를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는 것으로 간편한 방식의 탈착구조를 채용하면서도 CD투입구에 투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여 운전자의 시야 가림이 없고 거치를 위한 자국을 남기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안정된 탈부착 구조를 구비한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거치대상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차량의 CD투입구에 끼워지는 삽입판과 축설부를 갖는 장착부; 및 상기 축설부에 힌지 결합하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판은 분리부에 의하여 이격된 제1변위부와 제2변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변위부 또는 상기 제2변위부,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캠부재에 의하여 상호 멀어지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STAND FOR MOBIL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내 CD투입구를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는 것으로 간편한 방식의 탈착구조를 채용하면서도 CD투입구에 투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여 기존 차량 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되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비해 운전자의 시야 가림이 없고 거치를 위한 자국을 남기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안정된 탈부착 구조를 구비한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스마트폰), 네비게이션과 같은 휴대기기가 대중화되었고, 이러한 휴대기기는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내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휴대기기를 차량 내에 탑재하기 위한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종래기술의 거치대로 등록실용신안 제376788호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411603호 '휴대기기의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428218호 '흡착식 거치대'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거치대는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의 중앙을 강제로 승강시킴으로서 유리와 같은 편평한 부착면과 흡착판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진공(즉, 저압)상태로 만들어서 거치대를 부착면에 흡착시켜 부착시키게 되는데,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은 장기간 중앙이 승강된 경우에는 재질의 특성상 중앙을 승강시키는 힘이 소멸하여도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상태로 완전히 복원되지 아니하고 중앙부분이 어느 정도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차후에 다시 거치대를 부착면에 부착시킬 때에는 흡착판의 흡착력이 저감되어 거치대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게 되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흡착판을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요구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즉, 흡착판을 초기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복원수단이 구비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624호(2008.02.28.)『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그리고 오랜 사용으로 흡착력이 떨어진 흡착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906호(2009.04.24.)『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정도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거치대들은 흡착판에 대한 문제점을 일정 부분 해소하여 차량 거치시 거치대가 갑작스럽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기존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었고 또한 별도 구조를 추가하는 것이어서 구조 자체가 복잡하거나 또는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흡착판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하는 거치대는 오랜 시간이 지나면 차량에 흡착판 자국이 남게되어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거치대는 대부분 전면 유리 일정 부분을 가리게 되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휴대기기 거치대를 차량 내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게 되었고, 이에 모든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CD투입구를 이용하여 휴대기기 거치대를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고안하게 되었다.
물론, 차량 내 CD투입구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장착하는 방식 자체는 이미 종래 개시된 바 있다. 즉, CD투입구 또는 에어컨 그릴 등을 이용하여 거치대 장착이 가능한 구조는 등록특허 제10-0339911호(2002.05.27)『휴대폰용 차량거치대 고정장치』를 비롯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210403호(2000.11.04)『휴대폰용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20-0210300호(2000.11.03)『휴대폰용 거치대』등의 공보에 이와 같은 내용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구조는 구조가 복잡하고 개시된 구조 중 특히 후크를 이용하는 방식은 후크로 인해 CD투입구(에어콘 그릴 등) 손상문제가 예견되고 또한 장착된 거치대를 CD투입구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거치대의 경우 휴대기기를 사용 환경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들을 도입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구조의 복잡성 내지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 내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착판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하는 구조가 아닌 CD투입구를 이용하여 차량내 장착하는 구조의 거치대를 제안하되 제1변위부와 제2변위부로 이루어진 삽인판을 상기 CD투입구에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작동으로 CD투입구 내 고정이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입판의 제 1 및 제 2 변위부에 쿠션부재를 갖고, 높이조절 절단돌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크기를 갖는 CD투입구 모두에 장착하여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CD투입구와의 견고한 밀착력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CD투입구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거치대가 장착되는 CD투입구가 구비된 센터페시아 등에 본 발명의 거치대 장착으로 인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CD 투입구에 상기 삽입판이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와 차량의 CD 투입구 주변과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되, 휴대기기의 회전을 구현하는 구조 역시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이 편리하게끔 그러면서도 회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거치대상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차량의 CD투입구에 끼워지는 삽입판과 축설부를 갖는 장착부; 및
상기 축설부에 힌지 결합하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판은 분리부에 의하여 이격된 제1변위부와 제2변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변위부 또는 상기 제2변위부,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캠부재에 의하여 상호 멀어지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상기 삽입판의 제1 및 제2 변위부는 각각 쿠션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차량의 CD투입구를 보호하고 진동 감쇄가 가능하며,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높이조절 절단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상기 장착부의 후방에는 차량의 CD투입구에 상기 삽입판이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정지부에는 차량의 CD투입구 주변과 접촉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상기 장착부의 축설부는 상호 상하 이격 배열된 제1 및 제2 축설부로 구성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축설부에 결합되는 제1축핀과, 상호 연결된 캠부 및 누름부를 갖는 회동캠과,
상기 제2축설부에 결합되는 제2축핀과, 상기 회동캠의 캠부 동작시 연동하여 상기 삽입판의 제1변위부 또는 상기 제2변위부, 또는 이들 모두를 움직이는 가압부를 갖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CD투입구에 거치대를 장착하는 구조여서 흡착판을 이용하여 데쉬보드 등에 거치대를 장착하는 구조에 비해 운전자의 시야 가림이 없고 차량 내부 손상이 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캠부재를 통해 삽입판이 변위하여 CD 투입구 공간을 채우게 되면서 설치가 완료되는바,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CD투입구에 삽입되는 삽입판의 제 1 및 제 2 변위부에는 쿠션부재가 구비되어 차량의 CD투입구를 보호하고 진동 감쇄가 가능하여, 운행 중 차량 흔들림에 따른 거치대 내지 이와 접하는 차량 부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높이조절 절단돌출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CD 투입구를 갖는 센터페시아 모두에 본 발명의 거치대를 장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차량의 CD투입구에 상기 삽입판이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와 차량의 CD투입구 주변과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고가의 CD 투입구를 갖는 센터페시아의 고장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간단한 구조로 설계된 캠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기기 회전이 이루어지면서도 회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종국적으로는 사용자 및 제조자 모든 측면에서 높은 상품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B는 캠부재의 작동에 의해 삽입판의 제 1 및 제 2 변위부가 변위한 상태를 도시한 것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캠부재의 작동에 의해 삽입판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캠부재가 회전되지 않아 제 1 또는 제 2 변위부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이고, B는 캠부재가 회전되어 제 1 또는 제 2 변위부가 변위한 상태를 도시한 것임.
도 5는 차량 내 CD투입구에 본 발명의 거치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CD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그 반대 방향 즉, 휴대기기가 거치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방향성을 정하여 이를 기준하여 이하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거치대가 장착되는 차량 내 부분을 CD투입구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CD투입구와 같은 구조로서 거치대 장착이 가능한 부분이 있다면 모두 해당된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에서 휴대기기라 함은 종래 사용되어지는 스마트폰, 아이패드나 갤럭시탭 등의 태블릿PC, e북 단말기, 휴대용멀티미디어기기(PMP), 넷북이나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하며,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 다수의 기능을 통해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4,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차량 내 구비된 CD투입구에 장착되는 것으로, 기존 데쉬보드 등에 흡착판이나 접착판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거치대에 비해 운전자의 시야가림이 없고, 흡착판이나 접착판으로 인한 차량 내 손상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상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20); 상기 거치부(20)와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부(30); 상기 연결부(30)의 타측과 연결되고, 차량의 CD투입구에 끼워지는 삽입판(13)과 축설부(12a)를 갖는 장착부(10); 및 상기 축설부(12a)에 힌지 결합하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20)는 거치대상체의 저면이 접하게 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거치판에 위치하는 거치대상체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고정판(22) 및 상기 거치판의 타측에 형성되어 역시 거치판에 위치하는 거치대상체의 타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가변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면가변판(23)은 지지판에 대하여 도 1의 B에서와 같이 탄지되는 구조로 다양한 폭을 가진 거치대상체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장착된 거치대상체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판(24)이 상기 거치판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고정판(22)과 측면가변판(23)에는 위치하는 거치대상체의 측면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부재(25)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측면고정판과 측면가변판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거치대상체를 거치방식이 우선 측면가변판에 거치대상체 측면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측면가변판을 외측으로 당겨 거치판 폭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거치대상체를 눌러 거치대상체 타측면을 측면고정판에 위치시키는 방식인 점을 고려할 때,
거치대상체를 장착시에는 미끄러지지않게 안정적으로 거치부(20)에 끼울 수 있으면서도 거치부(2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도 있어야 하기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5)는 측면가변판(23)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거치부(20)는 휴대용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종, 다양한 종류를 도입,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20)와 후술할 장착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0)는 차량의 운전자 또 동승자에게 필요에 따른 각기 다른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거치부(20)의 볼 수용부(26)에 수용되어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볼부(31)와,
후술할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회동체수용부(즉, 상기 회동체수용부는 상부하우징(11)에 형성된 회동체수용상부홈(111)과 하부하우징(12)에 형성된 회동체수용하부홈(123)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조이다)에 수용되어 상하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체(32)와,
상기 볼부와 회동체를 이어주는 연결축(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설정된 각도 유지를 위해 상기 볼부 표면에는 다수 돌기(31a)가 형성되고, 볼부가 수용되는 볼 수용부 내주면에는 대응돌기(26a)가 형성되어 돌기와 대응돌기의 치합에 의해 특정 각도가 설정 및 유지되고,
또한 회동체(32) 표면에는 회동체 표면을 따라 횡방향으로의 기어부(32a)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수용부를 형성하는 하부하우징(12)의 회동체수용하부홈(123) 내주면에는 대응기어부(123a)가 형성되어 역시 기어부와 대응기어부의 치합에 의해 특정 각도가 설정 및 유지된다.
참고로 상기 회동체수용부는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이 결합됨으로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하부하우징(12)에는 회동체의 하부가 안치되는 회동체수용하부홈(123)이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1)에는 회동체의 상부가 안치되는 회동체수용상부홈(111)이 형성되고, 또한 안치된 회동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축(33)과 이어지기 위한 연결축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으로 회동체수용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장착부(10)를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10)는 CD투입구에 삽입되어 본 거치대를 고정하기 위한 삽입판(13)과 이 삽입판(13)을 내장하는 하우징(1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이루어져 결합하고 상기 삽입판(13)이 상기 상부하우징(11)과 상기 하부하우징(12) 사이에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삽입판(13)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1)(12)과의 결합 및 후술하는 쿠션부재(17)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복수개 구비하고, 분리부(133)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는 제1변위부(132)와 제2변위부(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부(133)는 상기 삽입판(1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이렇게 분리부(133)에 의하여 이격된 제1변위부(132)와 제2변위부(131)는 CD투입구에 삽입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변위부(132) 또는 제2변위부(131)를 변위시킴으로써 거치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변위부(132)와 제2변위부(131)는 후술하는 캠부재에 의하여 상호 멀어지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상기 삽입판(13)은 중앙에 형성되는 1개의 제1변위부(132)와 상기 제1변위부(132) 양측에 이격 배열되는 2개의 제2변위부(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변위부(132)는 캠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측 방향으로 들려지고, 이렇게 상하로 변위되어 고정되는 제1변위부(132) 및 제2변위부(131)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상기 CD투입구의 상하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 결합된다.
상술한 상하로 변위된다는 표현은 상대적인 표현으로 삽입판(13)의 제1변위부(132) 또는 제2변위부(131), 또는 이들 모두가 변위전과 다르게 변위된다는 뜻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1)에는 상기 제1변위부(132)의 상하 변위를 위한 변위홈(1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변위부(132)가 상기 변위홈(11a)으로 변위되면서 CD투입구에 삽입된 제1변위부(132) 및 제2변위부(131)가 벌어지면서 차량의 CD투입구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CD투입구에 대한 거치대 장착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변위부(132)가 캠부재에 의하여 변위되는 구성을 하고 있으나, 이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고, 따라서 후술하는 캠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변위부(132) 또는 제2변위부(131) 또는 이들 모두가 변위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변위부(132) 및 제2변위부(131)의 수와 형태 역시 당업자의 선택 또는 제조 시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이 용이한 거치대에서 상기 제1변위부(132) 및 제2변위부(131)는 말단 즉, CD 투입구에 직접 투입되어 접촉되는 부분 각각에는 쿠션부재(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7)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변위된 제1변위부(132) 및 제2변위부(131)의 고정력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상하 가압에 의한 CD 투입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쿠션부재(17)는 차량의 CD투입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차량 운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가 상기 CD 투입구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의 일점쇄선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재(17)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절단돌출부(17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에 구비된 CD투입구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지고 있는바 상기 절단돌출부(17a)를 구비함으로써 각각 다른 높이를 갖는 CD투입구 모두에 장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절단돌출부(17a)의 수와 형태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단돌출부(17a)는 상술한 CD투입구의 높이의 차이를 해소하여 거치대의 장착 후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12)에는 상기 삽입판(13)의 제1변위부(132)와 제2변위부(131)가 노출되어 있는 방향 즉, 상기 장착부(10)의 후방으로 차량의 CD투입구에 삽입판(13)이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121)가 더 구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변위부(132)가 상측방향으로 변위되면서 본 발명의 거치대가 장착되므로 상기 하우징(11)(12) 중 특히 하부하우징(12)에 상기 정지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지부(121)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차량 CD투입구 주변과 대응되는 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지부(121)에는 차량의 CD투입구 주변과 접촉하는 완충부재(1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18)는 고무, 실리콘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별도로 상기 정지부(121)에 부착되어질 수도 있으나, 제조의 용이함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쿠션부재(17)와 연결되어 형성되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의 일점쇄선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기 완충부재(18)는 상기 쿠션부재(17)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정지부(121)와 차량 CD투입구 주변과 접촉을 완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8)는 차량 CD투입구 방향, 즉 거치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완충돌기(18a)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쿠션부재(17)와 완충부재(18)를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부재(18)는 상기 제1변위부(132) 또는 제2변위부(131)의 변위에 따라 같이 변위되기 때문에 상기 완충돌기(18a)가 차량 CD투입구 주변에 먼저 접촉함으로써 본 발명의 거치대 장착 시 차량 CD투입구의 주변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변위부(132) 및 제2변위부(131)의 상하 방향 변위를 위한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와 상기 하우징(11)(12)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하우징은 캠부재가 힌지 결합하는 축설부(12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축설부(12a)는 상호 상하 이격 배열되는 제1축설부(12c) 및 제2축설부(12b)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축설부(12a)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형성하되 상기 제1축설부(12c)를 하측에, 상기 제2축설부(12b)를 상측에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축설부(12c)에 힌지 결합하는 제1축핀(15)과, 상호 연결된 캠부(141) 및 누름부(142)를 갖는 회동캠(14)과
상기 제2축설부(12b)에 결합되는 제2축핀(162)과 상기 회동캠(14)의 캠부(141) 동작 시 연동하여 상기 삽입판(13)의 제1변위부(132) 또는 상기 제2변위부(131), 또는 이들 모두를 움직이는 가압부(161)를 갖는 작동부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부하우징(12)에는 상기 축설부(12a)의 하측 방향으로 통공하여 상기 회동캠(14)이 회동하면서 출입이 가능한 회동캠 수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설부(12a)는 회동캠 수용부(122) 테두리에서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축설부(12c)는 상기 회동캠(14)의 제1축핀(15)과 결합 과정에서 결합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 형성된 축설부(12a)의 일부를 수직방향(즉, 통공되어 형성된 회동캠 수용부(122) 방향)으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캠(14)에는 상기 제1축핀(15)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축핀걸림홈(141a)을 구비하고, 상기 제1축핀(15)을 상기 회동캠(14)의 축핀걸림홈(141a)에 결합 후, 상기 하부하우징(12) 내측에서 상기 회동캠 수용부(122)를 향하여 상기 제1축핀(15)의 양 말단을 상기 제1축설부(12c)에 끼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회동캠(14)을 상기 회동캠 수용부(122)에 삽입한 후 상기 제1축핀(15)을 결합하고 이후에 상기 제1축핀(15)과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제1축설부(12c)에 결합 가능하다.
이때 상기 축핀걸림홈(141a)에는 최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개되어 있는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축핀(15)의 이탈 방지를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축핀(15)은 상기 회동캠(14)의 캠부 양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1축설부(12c)는 상기 축설부(12a)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되어 형성되는 제1축설부(12c)에 상기 회동캠(14)이 제1축핀(15)으로 연결되어 힌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힘을 사용하여 상기 캠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제1축설부(12c)가 거치대의 후방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축설부(12a) 타측에는 제2축설부(12b)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변위부(132)를 밀어 상측으로 변위시키는 가압부(161)를 갖는 작동부재(16)가 제2축핀(162)을 통하여 상호 힌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상기 제1축설부(12c)의 반대 방향에 제2축설부(12b)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캠(1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삽입판(13)이 보다 쉽게 변위되도록 함으로써, 캠부재에 동일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각 축설부(12a)의 중심에 각각의 축핀이 위치하는 것보다 변위되는 각도가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CD투입구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축설부(12b)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상기 제1축설부(12c)의 반대 방향 즉, 거치대의 전방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바와 같이 상기 제1축설부와 제2축설부의 편심 방향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축핀(162)은 상기 가압부(161)를 갖는 작동부재(16)와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어질 수도 있으나,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6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축핀(16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축설부(12b)의 편심방향에 따라 거치대의 전방으로 치우쳐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캠(14)은 회동을 위한 가압을 하는 누름부(142) 및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누름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하부하우징(12)에는 회동캠 수용부(122)가 통공되어 형성됨으로써 손가락 투입이 가능하나 누름부의 후면에 손가락 삽입을 위한 삽입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캠부재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재(16)의 가압을 용이하게 하고 회동 각도를 더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캠부(141)에는 후면에 회동보조부재(14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보조부재(143)는 상기 캠부(14)와 상기 작동부재(16)의 접촉면에(즉 거치대 해제를 위해 상기 회동캠(14)이 하측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접촉되지 않고, 거치대 장착을 위해 상기 회동캠(14)을 상측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는 접촉되는 면에서 반원형으로 두껍게 돌출 형성되어 회동캠(14)의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16)의 회전 각도가 보다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판(13)의 제1변위부(132) 또는 제2변위부(131)의 변위각도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캠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 한 손만으로, 그리고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거치대를 CD투입구에 장착하고,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편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회동캠(14)의 회동에 의한 상기 삽입판(13)의 변위를 더욱 용이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1)에는 변위정지수단을 더 내장할 수 있다.
상기 변위정지수단이라 함은 상기 캠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삽입판의 제1변위부(132)가 들어올려져 상승할 때 분리부(133)가 형성되지 않은 삽입판(13) 전방을 상기 변위정지수단이 가압하여 눌러줌으로써 상기 삽입판(13)의 제1변위부의 말단부만 변위되고, 이러한 변위는 탄성력에 의하여 제1변위부(132)의 상측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력이 상승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더욱 견고하게 차량 CD투입구에 고정 장착되어 휴대기기를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착부 11 : 상부하우징
11a : 변위홈 12 : 하부하우징
12a : 축설부 12b : 제2축설부
12c : 제1축설부 121 : 정지부
13 : 삽입판 131 : 제2변위부
132 : 제1변위부 133 : 분리부
14 : 회동캠 141 : 캠부
141a : 축핀걸림홈 142 : 누름부
143 : 회동보조부재 16 : 작동부재
161 : 가압부 162 : 제2축핀
17 : 쿠션부재 17a : 절단돌출부
18 : 완충부재 18a : 완충돌기
20 : 거치부 30 : 연결부

Claims (4)

  1. 거치대상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20);
    상기 거치부(20)와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부(30);
    상기 연결부(30)의 타측과 연결되고, 차량의 CD투입구에 끼워지는 삽입판(13)과 축설부(12a)를 갖는 장착부(10); 및
    상기 축설부(12a)에 힌지 결합하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판(13)은 분리부(133)에 의하여 이격된 제1변위부(132)와 제2변위부(131)로 구성되며,
    상기 제1변위부(132) 또는 상기 제2변위부(131),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캠부재에 의하여 상호 멀어지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 삽입판(13)이 내장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11)과, 상기 축설부(12a)가 형성된 하부하우징(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축설부(12a)는 상호 상하 이격 배열된 제1 및 제2 축설부(12c)(12b)로 구성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축설부(12c)에 결합되는 제1축핀(15)과, 상호 연결된 캠부(141) 및 누름부(142)를 갖는 회동캠(14)과,
    상기 제2축설부(12b)에 결합되는 제2축핀(162)과, 상기 회동캠(14)의 캠부(141) 동작 시 연동하여 상기 삽입판(13)의 제1변위부(132) 또는 상기 제2변위부(131), 또는 이들 모두를 움직이는 가압부(161)를 갖는 작동부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하우징(12)에는 상기 축설부(12a) 하측 방향으로 통공되어 상기 회동캠(14)이 회동하면서 출입이 가능한 회동캠 수용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축설부(12a)는 회동캠 수용부(122) 테두리에서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축설부(12c)는 상기 회동캠(14)의 제1축핀(15)과 결합 과정에서 결합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형성된 축설부(12a)의 일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캠부(141)에는 상기 작동부재(16)의 가압을 용이하게 하고, 회동 각도를 더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16)의 접촉면에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보조부재(14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삽입판(13)의 제1 및 제2 변위부는 각각 쿠션부재(17)를 구비하고 있어, 차량의 CD투입구를 보호하고 진동 감쇄가 가능하며,
    상기 쿠션부재(17)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높이조절 절단돌출부(1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10)의 후방에는 차량의 CD투입구에 상기 삽입판(13)이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1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정지부(121)에는 차량의 CD투입구 주변과 접촉하는 완충부재(18)가 구비되고,
    상기 정지부(121)에는 상기 쿠션부재(17)의 전방 말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변위부(132) 또는 제2변위부(131)의 변위에 따라 같이 변위되어 상기 정지부(121)와 차량 CD투입구 주변과의 접촉을 완충시키고, 후방으로 돌출된 완충돌기(18a)를 갖는 완충부재(18)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0)는 차량의 운전자 또 동승자에게 필요에 따른 각기 다른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 각도조절부재는 거치부(20)의 볼 수용부(26)에 수용되어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볼부(31)와,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회동체수용부(이 회동체수용부는 상부하우징(11)에 형성된 회동체수용상부홈(111)과 하부하우징(12)에 형성된 회동체수용하부홈(123)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조임)에 수용되어 상하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체(32)와,
    볼부(31)와 회동체(32)를 이어주는 연결축(33)을 포함하며,
    설정된 각도 유지를 위해 상기 볼부(31) 표면에는 다수 돌기(31a)가 형성되고, 볼부(31)가 수용되는 볼 수용부(26) 내주면에는 대응돌기(26a)가 형성되어 돌기(31a)와 대응돌기(26a)의 치합에 의해 특정 각도가 설정 및 유지되고,
    또 회동체(32) 표면에는 회동체 표면을 따라 횡방향으로의 기어부(32a)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수용부를 형성하는 하부하우징(12)의 회동체수용하부홈(123) 내주면에는 대응기어부(123a)가 형성되어 역시 기어부(32a)와 대응기어부(123a)의 치합에 의해 특정 각도가 설정 및 유지되며,

    상기 회동캠(14)에는 상기 제1축핀(15)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축핀걸림홈(141a)을 구비하고, 상기 제1축핀(15)을 상기 회동캠(14)의 축핀걸림홈(141a)에 결합 후, 상기 하부하우징(12) 내측에서 상기 회동캠 수용부(122)를 향하여 상기 제1축핀(15)의 양 말단을 상기 제1축설부(12c)에 끼어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98976A 2012-09-06 2012-09-06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1279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76A KR101279160B1 (ko) 2012-09-06 2012-09-06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76A KR101279160B1 (ko) 2012-09-06 2012-09-06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160B1 true KR101279160B1 (ko) 2013-06-26

Family

ID=4886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976A KR101279160B1 (ko) 2012-09-06 2012-09-06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1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529U (ko) * 2015-12-03 2016-02-15 설성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28165B1 (ko) * 2015-09-08 2016-06-08 주식회사 이피텍 차량용 듀얼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60068545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가온랩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KR20160119723A (ko) 2016-08-16 2016-10-14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KR20160119603A (ko) 2015-04-06 2016-10-14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470A (ko) * 2007-11-22 2007-12-24 권대웅 자동차의 시디플레이어에 부착하는 다용도 거치대
US20080190978A1 (en) * 2007-02-14 2008-08-14 Paul Brassard Mounting apparatus
KR100955350B1 (ko) * 2008-12-02 2010-04-29 전대웅 차량용 모니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0978A1 (en) * 2007-02-14 2008-08-14 Paul Brassard Mounting apparatus
KR20070120470A (ko) * 2007-11-22 2007-12-24 권대웅 자동차의 시디플레이어에 부착하는 다용도 거치대
KR100955350B1 (ko) * 2008-12-02 2010-04-29 전대웅 차량용 모니터 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545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가온랩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KR20160119603A (ko) 2015-04-06 2016-10-14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KR101628165B1 (ko) * 2015-09-08 2016-06-08 주식회사 이피텍 차량용 듀얼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60000529U (ko) * 2015-12-03 2016-02-15 설성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3134Y1 (ko) 2015-12-03 2017-04-06 설성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19723A (ko) 2016-08-16 2016-10-14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760B1 (ko)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1279160B1 (ko)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US9473607B2 (en)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CN101754634B (zh) 便携式电子装置
JP4968476B2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筐体
CN205792788U (zh) 车用无线充电手机支架
CN212697981U (zh) 终端托架及终端外壳
US7616972B2 (en)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KR20120005428U (ko)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WO2013145716A1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及び自動車
US20140004915A1 (en) Mobile phone casing
CN204161242U (zh) 车载平板电子设备支架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80015341A (ko) 차량용 휴대장치 거치대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043882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KR101448883B1 (ko) 휴대폰 거치대
CN210867816U (zh) 一种角度易调节的车载手机支架
KR20140116993A (ko) 탄성 받침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314849B1 (ko)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KR200474320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CN208442531U (zh) 自动夹持和复位的支架
KR102536053B1 (ko) 휴대용 거치대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