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33B1 -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9433B1 KR102319433B1 KR1020150101697A KR20150101697A KR102319433B1 KR 102319433 B1 KR102319433 B1 KR 102319433B1 KR 1020150101697 A KR1020150101697 A KR 1020150101697A KR 20150101697 A KR20150101697 A KR 20150101697A KR 102319433 B1 KR102319433 B1 KR 102319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portable terminal
- base
- rotating shaf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가 고정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포함하여, 장치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내장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으로써 이를 위한 다양한 엑세서리 또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는 차량 운전 중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지만, 급한 용무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차량 운전 중 휴대형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고자 최근에 보급되는 차량에는 휴대형 단말기를 연결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예를 들어, 핸즈프리 기능)이 내장되고 있으며, 무선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등의 장비가 보급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휴대형 단말기를 차량 운행 중에 직접 파지하거나 보지 않고서도 통화할 수 있게끔 하는 편리한 장치가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또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예컨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고, 사용자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통화하거나,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판매 중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시 사용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상단 그립형 거치대. 집게형 거치대 및 접착식 거치대 등 다양한 종류의 그립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 내장형 거치대의 경우 법규 및 기타 제약 사항으로 인하여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기 어려운 상태이며, 이로 인해 장치의 사용성이 기존 판매 중인 용품에 비해 많이 뒤쳐지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고, 링크 구조 적용을 통해 장치의 사용성을 증가시키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가 고정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부;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베이스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는 일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는 타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는 몸체 부분이 대각선으로 파여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는 외주에 상기 링크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동부는, 웜기어가 구비된 모터; 상기 웜기어에 연결되는 웜휠; 상기 웜휠에 연결되는 스퍼기어; 및 상기 스퍼기어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축 기어에 연결되는 출력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베이스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수용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상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 하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이탈 방지부와 상기 하부 이탈 방지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차량에 내장되고, 링크 구조 적용을 통해 장치의 사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구조의 링크부재 및 회전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부를 통해, 수직 방향 움직임의 개선이 가능하고, 작동성 및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하며, 공차관리(치수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의 연결 구조 적용을 통해 작동부품 공차관리가 용이하고, 작동성이 향상되며, 부품수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의 하단 지지 구조를 통해 기존 상단 그립 구조 대비 거치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 조립에 필요한 공수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링크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동작 설명을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링크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동작 설명을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베이스부(100), 링크부(200) 및 링크 구동부(300)를 포함하며, 링크 구동부(300)에 의해 링크부(200)가 동작하면, 링크부(200)에 연결된 베이스부(100)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승(배출)되며, 상승된 베이스부(100)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는 장치이다.
베이스부(10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로서, 베이스(110), 돌출부(120), 가이드 돌기부(130), 가이드 레일부(140) 및 하부 지지부(150) 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상하 방향으로 긴 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1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될 시, 상부가 휴대형 단말기의 일측면과 맞닿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 상부에는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 이탈 방지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베이스 수용부(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지 않는 평소에 상부가 외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베이스 수용부(20)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베이스(110) 일면과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베이스부(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베이스(110) 일면 좌우측(도 2 기준)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링크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동일 형상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이중 구조이며, 링크부(200)에 형성된 힌지부 양단을 수용 가능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0)의 구멍과 링크부(200)의 힌지부는 지름이 거의 일치하며, 링크부(200)의 힌지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돌출부(120)의 구멍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베이스(110)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베이스(11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가이드 레일부(140)에 슬라이드 연결되어, 링크부(200)의 동작시 베이스(110)를 수직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제1 돌기(131), 제2 돌기(132) 및 제3 돌기(1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많은 돌기 또는 더욱 적은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부(140)는 상하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40)는 베이스(110)의 일측에 하나 배치되거나, 베이스(110)의 양측에 두 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40)는 베이스(110)의 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복수의 레일홈(141, 14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40)의 레일홈(141, 142)에 상기한 바 있는 가이드 돌기부(130)가 슬라이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200) 동작시, 가이드 돌기부(130)가 가이드 레일부(140)의 레일홈(141, 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베이스(110)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베이스 수용부(20)의 내외부를 수직하게 왕복 이동 가능하다.
하부 지지부(15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베이스(110)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50)는 베이스(1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5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고, 베이스(110)의 상부가 휴대형 단말기의 일측면과 맞닿게 될 경우, 휴대형 단말기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50)에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될 시,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이탈 방지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링크부(200)는 베이스부(100)와 링크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링크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통해 베이스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제1 링크(210), 제2 링크(220) 및 회전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회전축부(230)에 일측이 고정 결합하고, 제2 링크(22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회전축부(230)의 외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중앙 몸체 부분이 대각선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210)의 타측은 동일 형상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이중 구조일 수 있다. 이중 구조인 제1 링크(210)의 타측에는 서로 동일한 축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220)는 제1 링크(21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210)의 대각선으로 파여진 몸체 부분에 몸체 측면이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0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의 공간 활용이 높아질 수 있다.
제2 링크(220)는 일측 및 타측에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힌지부(221) 및 제2 힌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링크(220)의 제1 힌지부(221)는 제1 링크(210)의 타측에 형성된 구멍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제2 링크(220)의 제2 힌지부(222)는 베이스부(100)의 돌출부(12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는 링크부재로 정의할 수 있고, 링크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링크부재는 회전축부(230) 외주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회전하기에 용이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일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상기한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시킬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외주 및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에 링크 구동부(300)와 연결되는 회전축 기어(23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 기어(231)는 회전축부(230) 외주 전체가 아닌 소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축(232)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축(232)은 회전축부(230)의 내부 빈 공간에 삽입되어 회전축부(230)의 양측 외부에 돌출될 수 있다. 고정축(232)은 차량에 고정되어 회전축부(23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링크 구동부(300)는 링크부(200)를 구동하여 베이스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장치로서, 모터(310), 웜휠(320), 스퍼기어(330), 출력기어(340) 및 링크 구동 판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장치로서, 회전축 외주에 웜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웜휠(320)은 모터(310)의 웜기어와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웜휠(320)은 모터(310)의 웜기어와 연결되는 제1 기어(321), 스퍼기어(330)와 연결되는 제2 기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321)와 제2 기어(322)는 회전축 외주에 형성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다.
스퍼기어(330)는 제2 기어(322) 및 출력기어(340)와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출력기어(340)는 스퍼기어(330) 및 링크부(200)의 회전축부(230)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
링크 구동 판부(350)는 상하로 긴 판 형상이며,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 및 베이스(110)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 구동 판부(350)는 모터(310)가 설치되고, 웜휠(320), 스퍼기어(330) 및 출력기어(340)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링크부재 및 회전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링크부재가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링크부 구조를 통해, 거치대의 수직 방향 움직임의 개선이 가능하고, 작동성 및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하며, 공차관리(치수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의 연결 구조 적용을 통해 작동부품 공차관리가 용이하고, 작동성이 향상되며, 부품수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휴대형 단말기의 하단 지지 구조를 통해 기존 상단 그립 구조 대비 거치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 조립에 필요한 공수가 줄어들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기 거치가 필요한 경우,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310)의 회전축이 회전한다. 이때, 모터(310)의 회전축에 구비된 웜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어(320, 330, 34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런 다음, 회전축 기어(231)를 통해 출력기어(34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부(230)가 반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부(230)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링크(210)가 반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1 링크(210)에 힌지 결합된 제2 링크(220)가 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돌출부(120)를 통해 제2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부(100)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베이스 수용부(20) 외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가이드 레일부(14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부(130)를 통해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부(200) 구동에 의한 베이스부(100)의 최대 상승 길이는 대략 97mm일 수 있으며, 이때 제2 링크(220)의 최대 변경 각도는 대략 79도 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기가 베이스부(100)에 거치되어, 베이스부(100)에 장착된 감지 센서가 휴대형 단말기의 거치를 감지하면, 제어 신호에 의해 링크 구동부(300)가 동작하고, 구동부(300)에 의해 링크부(200)가 동작하며, 링크부(200)에 의해 베이스부(100)의 하부 지지부(140)가 베이스 수용부(20)의 상단과 거의 수평한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
120: 돌출부
130: 가이드 돌기부
140: 하부 지지부
150: 가이드 레일부
200: 링크부
210: 제1 링크
220: 제2 링크
230: 회전축부
300: 링크 구동부
310: 모터
320: 웜휠
330: 스퍼기어
340: 출력기어
350: 링크 구동 판부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
120: 돌출부
130: 가이드 돌기부
140: 하부 지지부
150: 가이드 레일부
200: 링크부
210: 제1 링크
220: 제2 링크
230: 회전축부
300: 링크 구동부
310: 모터
320: 웜휠
330: 스퍼기어
340: 출력기어
350: 링크 구동 판부
Claims (10)
-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가 고정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는 외주에 상기 링크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기어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축 기어는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 구동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부;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베이스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일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타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몸체 부분이 대각선으로 파여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동부는,
웜기어가 구비된 모터;
상기 웜기어에 연결되는 웜휠;
상기 웜휠에 연결되는 스퍼기어; 및
상기 스퍼기어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축 기어에 연결되는 출력기어;
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베이스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수용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상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 하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이탈 방지부와 상기 하부 이탈 방지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697A KR102319433B1 (ko) | 2015-07-17 | 2015-07-17 |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697A KR102319433B1 (ko) | 2015-07-17 | 2015-07-17 |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509A KR20170009509A (ko) | 2017-01-25 |
KR102319433B1 true KR102319433B1 (ko) | 2021-10-29 |
Family
ID=5799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1697A KR102319433B1 (ko) | 2015-07-17 | 2015-07-17 |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94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180B1 (ko) * | 2022-03-02 | 2023-06-16 | 고무생 | 거치대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7520B1 (ko) * | 2009-09-01 | 2011-12-22 |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KR20120029113A (ko) * | 2010-09-16 | 2012-03-26 | 정제을 | 수납식 차량용 거치대 |
KR101419737B1 (ko) * | 2012-09-10 | 2014-07-17 | 함헌주 |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
-
2015
- 2015-07-17 KR KR1020150101697A patent/KR10231943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509A (ko) | 2017-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592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CN205510132U (zh) | 柔性屏支撑机构及移动终端 | |
CN102606858B (zh) | 支撑架及带有支撑架的电子设备 | |
US9003607B1 (en) | Transmission device applied to rotary shafts | |
JP6247562B2 (ja) | 車両用usbポート | |
KR101219760B1 (ko) |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 |
US20170015225A1 (en) | Console armrest for vehicle | |
US7616972B2 (en) |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 |
US20160354912A1 (en) | Power Tool User Interfaces | |
KR101097520B1 (ko) |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
KR102319433B1 (ko) |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 |
CN109842700B (zh) | 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控制方法 | |
CN107105121B (zh) | 一种内置文件夹自动回送的机构、扫描仪及机器人 | |
KR20050016255A (ko) |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 |
CN211344498U (zh) | 电子设备 | |
CN112738381A (zh) | 摄像头伸缩机构及电子设备 | |
KR20150017508A (ko) | 텔레 작동 마찰력 저감 타입 전동조향 컬럼모듈 및 이를 적용한 전동조향장치 | |
US20140256380A1 (en) | Vehicle mounted cell phone docking station | |
KR102269826B1 (ko) | 스마트기기 거치 장치 | |
KR20160037536A (ko) |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 |
KR101449317B1 (ko) |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 |
CN217692022U (zh) | 一种多功能的数据线 | |
CN218703021U (zh) | 电子设备支架 | |
CN215729993U (zh) | 一种微型智能售货机 | |
KR20080107875A (ko) | 블루투스 헤드셋의 절곡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