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255A -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255A
KR20050016255A KR1020040104380A KR20040104380A KR20050016255A KR 20050016255 A KR20050016255 A KR 20050016255A KR 1020040104380 A KR1020040104380 A KR 1020040104380A KR 20040104380 A KR20040104380 A KR 20040104380A KR 20050016255 A KR20050016255 A KR 20050016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play panel
rotary
suppor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351B1 (ko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스타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패스 filed Critical (주)스타패스
Priority to KR102004010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3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1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255A/ko
Priority to US11/721,030 priority patent/US20100164336A1/en
Priority to JP2007545379A priority patent/JP2008522897A/ja
Priority to DE112005003008T priority patent/DE112005003008T5/de
Priority to PCT/KR2005/004194 priority patent/WO20060623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351B1/ko
Priority to GB0712145A priority patent/GB243578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제1회전패널(500)이 회전축(h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보강 설치되고, 이 제1회전패널(500)에 디스플레이패널(300)이 고정되어, 제1회전패널(500)을 회전축(h3)을 중심으로 약 90°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패널(300)의 세로길이(L1)가 가로길이로, 디스플레이패널(300)의 가로길이(L2)가 세로길이로 전환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수납하우징(100)의 가로길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패널보다 규격이 큰 대형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수납하우징(100)에 보관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Receipt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납하우징의 가로길이 범위내에서 보다 큰 규격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을 수납하우징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차량의 카 오디오/비디오장치나, 네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카 텔레비젼장치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수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00a)을 갖춘 수납하우징(100)과 ;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 및;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300)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는, 통상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을 따라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이동되는 슬라이드패널(210)과 ; 슬라이드패널(210)의 외측 선단에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패널(2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300)은 지지패널(220)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300)이 수납하우징(100) 내부에 삽입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수납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어진 지지패널(220)의 선단부분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수납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와의 맞물림 결합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드패널(210)과 지지패널(220)이 외부로 끄집어내어지고, 이후 지지패널(22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지지패널(220)이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세워지게 되므로, 지지패널(220)에 설치되어진 디스플레이패널(300)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와같이 외부로 노출되어진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수납하우징(100) 내부로 삽입 보관코져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에 집어넣어서 보관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간의 맞물림 결합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되거나 공연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패널(210)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탄발지지부재(10)와, 지지패널(220)을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탄발지지하는 제2탄발지지부재(20)가 보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탄발지지부재(10)로는 코일스프링이, 상기 제2탄발지지부재(2)로는 토션스프링이 통상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300)이 수납하우징(100) 내부에 삽입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수납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어진 지지패널(220)의 선단부분을 후방으로 살짝 밀어넣으면, 수납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와의 맞물림 결합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드패널(210)과 지지패널(220)이 제1탄발지지부재(10)에 의해서 자동으로 전방으로 끄집어내어지고, 이후 지지패널(220)이 제2탄발지지부재(20)에 의해 회전축(h1)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져서, 지지패널(220)에 설치되어진 디스플레이패널(300)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와같이 외부로 노출되어진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수납하우징(100) 내부로 삽입 보관코져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패널(220)을 회전축(h1)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방향으로 눌러내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패널(210)과 지지패널(220)을 후방으로 밀어붙여서 수납하우징(100) 내부로 밀어 넣으면,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가 수납하우징(100)에 맞물려 고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간의 맞물림 결합구조 역시도 이미 널리 공지되거나 공연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는, 지지패널(220)이 제2탄발지지부재(2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탄발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300)의 이용 및 보관시에 수납하우징(100)과 지지패널(220)간의 마찰 간섭이 크게 발생되고, 디스플레이패널(800)을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으로 밀어넣을 때, 지지패널(220)을 하방향으로 눌러내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쪽 선단이 회전축(h2)을 중심으로 슬라이드패널(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아(31)와 ; 지지바아(31)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패널(220)의 가이드홈(22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핀(32) 및; 양쪽 선단이 회전축(h1)과 이동핀(32)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축(h1)과 이동핀(32)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코일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제3탄발지지부재(30)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300)이 수납하우징(100) 내부에 삽입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수납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어진 지지패널(220)의 선단부분을 후방으로 살짝 밀어넣으면, 수납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와의 맞물림 결합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드패널(210)과 지지패널(220)이 제1탄발지지부재(10)에 의해서 자동으로 전방으로 끄집어내어지고, 이후 지지패널(22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지지패널(220)이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제3탄발지지부재(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지지패널(220)에 설치되어진 디스플레이패널(300)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와같이 외부로 노출되어진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수납하우징(100) 내부로 삽입 보관코져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패널(220)을 회전축(h1)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방향으로 눌러내린 후, 슬라이드패널(210)과 지지패널(220)을 후방으로 밀어붙여서 수납하우징(100) 내부로 밀어 넣으면 되는데, 이때 지지패널(220)은 제3탄발지지부재(30)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눌러내려져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패널(210)을 전후방으로 직선왕복이동하는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410)와 ; 지지패널(220)을 양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패널 회동장치(420)가 보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410)로는 구동기어(410)와 렉(412)을 갖춘 공지의 전동모터식 구동장치가, 상기 지지패널 회동장치(420)로는 구동기어(421)와 종동기어(422)를 갖춘 공지의 전동모터식 구동장치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13"과 "423"은 구동기어(411 ; 421)와 종동기어(412 ; 422)에 맞물려서 구동기어(411 ; 421)로부터의 동력을 종동기어(412 ; 422)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패널(21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과,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한 지지패널(220)의 펼침과 접힘동작이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410)와 지지패널 회동장치(420)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의 편이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5a 및 도 5b는 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후면부에 원주형태의 만곡부(230a)가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가이드홈(231)이 형성되어진 렉패널(230)이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로 적용되는 한편,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 측면에 렉패널(230)의 가이드홈(23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10)가 구비되며, 렉패널(230)을 전후방으로 왕복이동하는 렉패널 구동장치(430)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성요소가 대폭감소됨으로 인해서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것들이 이미 공지되거나 공연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300)이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300)의 규격이 제한되는 문제가 초래되는데,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숫자나 문제 등의 간단한 정보를 화상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경우에는 그 용도에 따라서 가로길이(WL)나 세로길이(LL)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지만, TV 모니터등과 같이 이미지나 동영상을 화상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가로길이(WL)와 세로길이(LL)의 비율이 규격이 국제화되어 있다{가로길이(WL)가 세로길이(LL)보다 크다}.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패널(300)이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보다 큰 규격의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300)이 수납되는 수납하우징(100)의 가로길이가 디스플레이패널(300)의 가로길이(WL)에 상응하게 확대되어야 한다.
그러나, 차량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위치가 수납하우징(100)의 가로길이를 확대하기 어려운 곳일 경우(일예로 차량의 대쉬보드)에는, 결국 디스플레이패널(300)의 규격이 수납하우징(100)의 가로길이에 상응하게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는 보다 큰 화면 보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수납하우징의 가로길이를 무리하게 확대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대형 디스플레이패널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춘 수납하우징과 ; 수납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 및;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갖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에 제1회전패널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보강 설치되고, 이 제1회전패널에 디스플레이패널이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는, 수납공간(100a)을 갖춘 수납하우징(100)과 ;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 및;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300)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요소들과 기술적으로 동일한 범주에 속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제1회전패널(500)이 회전축(h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보강 설치되고, 이 제1회전패널(500)에 디스플레이패널(300)이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패널(300)이 제1회전패널(500)에 고정되어 회전축(h3)을 중심으로 양방향(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300)이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어진 후, 제1회전패널(500)을 회전축(h3)을 중심으로 약 90°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패널(300)의 세로길이(L1)가 가로길이로, 디스플레이패널(300)의 가로길이(L2)가 세로길이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하우징(100)의 가로길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패널보다 규격이 큰 대형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수납하우징(100)에 보관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패널(500)의 최대 회전각도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한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디스플레이패널(300)이 90°회전된 상태에서,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소정 범위내에서 시청하기에 알맞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패널(500)은 회전되지 않은 상태나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어진 상태에서 위치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와 제1회전패널(500)간의 상호 연결구조는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널리 공지되거나 공연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회전패널(500)은 사용자가 수조작으로 직접 외력을 가해서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h3)을 중심으로 제1회전패널(500)을 양방향(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회전패널 구동장치(600)를 보강 설치해서, 제1회전패널(500)이 제1회전패널 구동장치(600)에 의해서 자동으로 양방향 회동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회전패널 구동장치(600)로는, 베벨기어 방식의 구동기어(601)와, 베벨기어 방식의 종동기어(602)를 갖춘 공지의 전동모터식 구동장치를 적용하였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는,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을 따라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이동되는 슬라이드패널(210)과 ; 슬라이드패널(210)의 외측 선단에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패널(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패널(21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과,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한 지지패널(220)의 회동은 사용자가 수조작으로 직접 제어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패널(210)이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410)에 의해서 자동으로 구동되고, 지지패널(220)이 지지패널 회동장치(420)에 의해서 회전축(h1)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동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지지패널(220)이 접혀서 슬라이드패널(210)에 맞대어진 상태로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에 삽입 보관되고, 지지패널(220)이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으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전방으로 빠져나와서 펼쳐져 세워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패널(210)이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410)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220)이 지지패널 회동장치(420)에 의해서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소정 각도로 세워진 후, 지지패널(220)이 수납하우징(100)으로부터 적정 간격을 이루도록, 슬라이드패널(210)이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410)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도 9d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220)이 슬라이드패널(210)과 동일선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에 삽입 보관되고, 지지패널(220)이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으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방으로 빠져나와서 접혀져 세워지는 방식에 비해서, 디스플레이패널(300)의 수직길이(L1)를 효과적으로 늘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패널(210)의 전면부에 제2회전패널(700)이 회전축(h4)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보강 설치되고, 이 제2회전패널(700)에 지지패널(220)이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회전패널(700)은 사용자가 수조작으로 직접 외력을 가해서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h4)을 중심으로 제2회전패널(700)을 양방향(좌측과 우측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회전패널 구동장치(800)를 보강 설치해서, 제2회전패널(700)이 제2회전패널 구동장치(800)에 의해서 자동으로 양방향 회동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2회전패널 구동장치(800)로는, 베벨기어 방식의 구동기어(801)와, 베벨기어 방식의 종동기어(802)를 갖춘 공지의 전동모터식 구동장치를 적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시청자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시청하기에 알맞게 좌측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서, 시청 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만족스럽게 디스플레이패널(300)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제1회전패널(500)이 회전축(h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보강 설치되고, 이 제1회전패널(500)에 디스플레이패널(300)이 고정되어, 제1회전패널(500)을 회전축(h3)을 중심으로 약 90°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패널(300)의 세로길이(L1)가 가로길이로, 디스플레이패널(300)의 가로길이(L2)가 세로길이로 전환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수납하우징(100)의 가로길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패널보다 규격이 큰 대형 디스플레이패널(300)을 수납하우징(100)에 보관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하우징의 가로길이를 무리하게 확대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대형 디스플레이패널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수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부만을 도시한 좌측 부분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반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부만을 도시한 좌측 부분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반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부만을 도시한 좌측 부분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부만을 도시한 좌측 부분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자동으로 구동되는 종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부만을 도시한 좌측 부분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부만을 확대 도시한 좌측 부분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부만을 도시한 좌측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d에 대한 대응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만을 확대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제1탄발지지부재, 20 ; 제2탄발지지부재,
30 ; 제3탄발지지부재, 31 ; 지지바아,
32 ; 이동핀, 33 ; 스프링,
100 ; 수납하우징, 100a ; 수납공간,
110 ; 가이드돌기, 200 ;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
210 ; 슬라이드패널, 220 ; 지지패널,
221 ; 가이드홈, 230 ; 렉패널,
230a ; 만곡부, 231 ; 가이드홈,
300 ; 디스플레이패널, 410,420,430 ; 지지기구 구동장치,
410 ;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 411 ; 구동기어,
412 ; 렉, 413 ; 동력전달기어,
420 ; 지지패널 회동장치, 421 ; 구동기어,
422 ; 종동기어, 423 ; 동력전달기어,
430 ; 렉패널 구동장치, 431 ; 구동기어,
432a,432b ; 동력전달기어, 500 ; 제1회전패널,
600 ; 제1회전패널 구동장치, 601 ; 구동기어,
602 ; 종동기어, 700 ; 제2회전패널,
800 ; 제2회전패널 구동장치, 801 ; 구동기어,
802 ; 종동기어, h1,h2,h3,h4 ; 회전축.

Claims (6)

  1. 수납공간(100a)을 갖춘 수납하우징(100)과 ;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 및;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300)을 갖춘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에 제1회전패널(500)이 회전축(h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보강 설치되고, 이 제1회전패널(500)에 디스플레이패널(300)이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지지기구(200)는,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을 따라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이동되는 슬라이드패널(210)과 ; 슬라이드패널(210)의 외측 선단에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패널(220)로 이루어지되, 지지패널(220)이 접혀서 슬라이드패널(210)에 맞대어진 상태로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에 삽입 보관되고, 지지패널(220)이 수납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0a)으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전방으로 빠져나와서 펼쳐져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패널(210)을 전후방으로 직선왕복이동하는 슬라이드패널 구동장치(410)와 ; 지지패널(220)을 양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패널 회동장치(420)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패널(210)의 전면부에 제2회전패널(700)이 회전축(h4)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보강 설치되고, 이 제2회전패널(700)에 지지패널(220)이 회전축(h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패널(700)을 회전축(h4)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회전패널 구동장치(800)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패널(500)을 회전축(h3)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회전패널 구동장치(600)가 보강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40104380A 2004-12-10 2004-12-10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KR10062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380A KR100625351B1 (ko) 2004-12-10 2004-12-10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US11/721,030 US20100164336A1 (en) 2004-12-10 2005-12-08 Receipt type display device
JP2007545379A JP2008522897A (ja) 2004-12-10 2005-12-08 収納式ディスプレイ装置
DE112005003008T DE112005003008T5 (de) 2004-12-10 2005-12-08 Anzeigeaufnahmevorrichtung
PCT/KR2005/004194 WO2006062359A1 (en) 2004-12-10 2005-12-08 Receipt type display device
GB0712145A GB2435781A (en) 2004-12-10 2007-06-25 Receipt typ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380A KR100625351B1 (ko) 2004-12-10 2004-12-10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537U Division KR200393315Y1 (ko) 2005-05-23 2005-05-23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255A true KR20050016255A (ko) 2005-02-21
KR100625351B1 KR100625351B1 (ko) 2006-09-18

Family

ID=3657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380A KR100625351B1 (ko) 2004-12-10 2004-12-10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64336A1 (ko)
JP (1) JP2008522897A (ko)
KR (1) KR100625351B1 (ko)
DE (1) DE112005003008T5 (ko)
GB (1) GB2435781A (ko)
WO (1) WO20060623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36B1 (ko) * 2004-12-23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에서의 수납식 모니터 구동장치 및제어 방법
KR101426522B1 (ko) * 2007-10-29 2014-08-05 코스텔(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KR101445824B1 (ko) * 2007-10-29 2014-09-29 코스텔(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19B1 (ko) * 2007-08-07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FR2929202B1 (fr) * 2008-03-31 2015-01-02 Vision Systems Aeronautics Dispositif de diffusion d'information visuelle ou de contenu audiovisuel.
US20130093967A1 (en) * 2011-10-07 2013-04-18 Honda Motor Co., Ltd. Video Display Monitor And Deployment System
WO2013072794A1 (en) * 2011-11-04 2013-05-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ocking device
JP2015164817A (ja) * 2012-06-28 2015-09-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ニタ格納装置
ITFI20120135A1 (it) * 2012-06-29 2013-12-30 Miro Di Gargini Roberto E Ingrassia Michele S N C "dispositivo di supporto per televisori, monitor e simili"
FR2999996B1 (fr) * 2012-12-21 2015-02-27 Renault Sa Support d'ecran multimedia notamment pour une planche de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GB2519195C (en) * 2014-08-01 2016-06-15 Ronald Allan Alcalde Electronic device mount
JP6120032B1 (ja) * 2016-03-28 2017-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取付け装置
JP2017212978A (ja) * 2016-05-26 2017-12-07 燎治 井上 猫用トイレ
DE102019119362B4 (de) * 2019-07-17 2024-02-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für eine Bewegung eines Anzeigeelements der Anzeigevorrichtung
DE102020101590A1 (de) 2020-01-23 2021-07-29 Webasto SE Fahrzeuganordnung mit Fahrzeugdach und verstellbarem Display
US11220182B1 (en) * 2021-04-30 2022-01-11 Fisker Inc. Rotating vehicle center information display with stationary buttons and touch bar
CN113525243B (zh) * 2021-08-20 2023-06-02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CN113479140B (zh) * 2021-08-20 2023-04-07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6475B2 (ja) * 1988-04-18 1999-12-06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自動車用情報表示装置
US5437235A (en) * 1993-06-10 1995-08-01 Symbiote, Inc. Computer work station
JP2851267B2 (ja) * 1996-08-09 1999-01-27 パーク クワン−スー コンピュータモニタ箱の自動昇降装置
US5732919A (en) * 1997-01-13 1998-03-31 Advanced Multimedia Products Corporation Stowable monitor lift apparatus
GB2322105B (en) * 1997-02-06 1999-08-18 Nissan Motor Vehicle display layout structure
US6007036A (en) * 1997-09-23 1999-12-28 Rosen Products Llc Stowable support apparatus
JP3293063B2 (ja) * 1997-12-08 2002-06-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蓋体の開閉構造
KR200194087Y1 (ko) * 1998-08-29 2000-09-01 윤종용 차량용 모니터 자동 수납장치
US7128003B2 (en) * 2003-05-05 2006-10-31 Marek Okninski Lifting device for visual screens
EP1768514A4 (en) * 2004-06-14 2011-12-14 Sava Cvek EXIT AND RUNNING ARRANGEMENTS WITH CONTROL SYSTEMS
US7261266B2 (en) * 2005-03-31 2007-08-28 Satterfield Johnny A Deployable video ar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36B1 (ko) * 2004-12-23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에서의 수납식 모니터 구동장치 및제어 방법
KR101426522B1 (ko) * 2007-10-29 2014-08-05 코스텔(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KR101445824B1 (ko) * 2007-10-29 2014-09-29 코스텔(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2359A1 (en) 2006-06-15
GB2435781A (en) 2007-09-05
KR100625351B1 (ko) 2006-09-18
JP2008522897A (ja) 2008-07-03
GB0712145D0 (en) 2007-08-01
US20100164336A1 (en) 2010-07-01
DE112005003008T5 (de)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351B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US7659881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115263907B (zh) 折叠装置、折叠机壳及移动终端
US7568663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097520B1 (ko)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0393315Y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JP2005161934A (ja) 電子機器のチルト回動装置
JP2003054322A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WO2016147372A1 (ja) 表示装置
JP2003069920A (ja) パネル装置
JP3188012B2 (ja) 表示装置
KR200354807Y1 (ko)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수납 장치
KR100283966B1 (ko) 자동차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구동장치
JP2009248601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CN219029291U (zh) 车载显示屏结构及车辆
KR100771328B1 (ko)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JP3176854B2 (ja) 車両用画像表示器の収納装置
CN113048141A (zh) 一种转动机构、转动组件、转动装置和电子设备
CN214985118U (zh) 一种便携式可折叠车载led电子显示屏
CN114542587B (zh) 一种转轴装置
JPH069218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取付装置
KR101393277B1 (ko) 케이블 체결부 위치 가변형 틸팅장치
CN217932398U (zh) 曲面式投影幕布机构
JPH1086763A (ja) 表示装置
KR100557769B1 (ko)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