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769B1 -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769B1
KR100557769B1 KR1020040079689A KR20040079689A KR100557769B1 KR 100557769 B1 KR100557769 B1 KR 100557769B1 KR 1020040079689 A KR1020040079689 A KR 1020040079689A KR 20040079689 A KR20040079689 A KR 20040079689A KR 100557769 B1 KR100557769 B1 KR 10055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over
console box
hin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뒷자석에서 화면을 볼 수 있는 모니터를 사용전후에 따라 자동식 또는 반자동식으로 개폐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측면에 화면(11)이 구비되고, 일단 양측에 가이드힌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부재(13)가 형성되며, 타단 양측에 모니터힌지(14)가 형성되는 모니터(10);와, 일측면에 모니터(10)의 화면(11)이 안착되도록 화면안착부(21)가 요홈 형성되고, 가이드부재(13)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며, 일단 양측에 모니터커버힌지(23)가 형성되는 모니터커버(20);와, 일측면에 모니터(10)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후면안착부(31)가 요홈 형성되고, 후면안착부(31)의 일단에 모니터커버(20)의 모니터커버힌지(23)가 힌지 결합되며, 후면안착부(31)의 타단에 모니터(10)의 모니터힌지(14)가 힌지 결합되는 콘솔박스(30);와, 동력에 의해 모니터(10)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모니터힌지(14)에 구동축(41)이 형성되고 구동수단(50)에 의해 구동축(4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모터(42)가 콘솔박스(30)의 일단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Monitor Installed in Console Box}
도 1은 종래의 뒷자석 모니터의 개폐를 위한 멀티미디어장치의 외관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구동수단의 결합상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사용상 부분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니터 11 : 화면
12 : 가이드힌지 13 : 가이드부재
14 : 모니터힌지 20 : 모니터커버
21 : 화면안착부 22 : 가이드레일
23 : 모니터커버힌지 30 : 콘솔박스
31 : 후면안착부 40 : 구동부
41 : 구동축 42 : 구동모터
50 : 구동수단 51 : 동력판
52 : 풀리 53 : 회전판
55 : 모터축 56 : 동력기어
57 : 회전기어
본 발명은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뒷자석에서 화면을 볼 수 있는 모니터를 사용전후에 따라 자동식 또는 반자동식으로 개폐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수단 및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라 자동차 안에서 텔레비젼이나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 매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급속히 늘고 있다.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자동차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하여 텔레비젼 시청, CD, DVD를 이용한 영상물을 감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주행 중이거나 정차 중에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감상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멀티미디어장치는 장착 위치에 따라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 후면에 설치되는 시트 부착형, 자동차의 실내 루프상에 설치되는 루프형 및 콘솔박스 하단에 부착되는 콘솔박스 하단 부착형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류에 의한 멀티미디어장치 중 콘솔박스 하단 부착형은 콘솔박스의 후면 하단에 부착, 고정한 형태로 설치되어, 시트 부착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임의로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자유로운 시야각 확보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뒷자석 모니터의 개폐를 위한 장치는 콘솔박스(100) 상부에 콘솔박스커버(200)가 부착되고, 콘솔박스커버 일측에는 디스플레이유닛(330)이 삽입되었다가 당겨서 접어 뒤로 젖힐 수 있는 메인프레임(30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뷰 포인트가 낮아 시청에 불편함이 있으며, 접히는 구조로서 디스플레이유닛의 개폐가 번거로우며, 수동으로 개폐하게 방식에 있어서, 개폐시 충격이 발생하여 모니터의 파손에 대한 우려가 있다.
한편, 특허출원10-2002-69446호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모니터가 콘솔박스 커버 내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개폐되는 모니터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장치는 내측면 양쪽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가 설치되고 랙기어와 치합되는 한쌍의 피니언기어, 틸트기어를 구비한 서포트바디 및 회전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틸트에 대한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나 메인프레임과 베이스 및 캐리어를 구동하는 회전구동부가 기어부와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있었다.
또한 수동조작인 경우 적절한 뷰포인트를 유지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압력에 노출되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고, 자동개폐구조에서는 단지 한 쌍의 기어부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모니터 접이용 링크기구의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뷰 포인트가 적당하여 눈이 피로하지 않으며, 반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될 때에는 모니터의 개폐가 용이하면서 모니터의 개폐시 모니터의 화면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자동으로 개폐되는 장치에 있어서도 기어구조 또는 풀리구조의 간단한 구동으로 작동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에 강한 내구성을 갖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일측면에 화면(11)이 구비되고, 일단 양측에 가이드힌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부재(13)가 형성되며, 타단 양측에 모니터힌지(14)가 형성되는 모니터(10);와, 일측면에 상기 모니터(10)의 화면(11)이 안착되도록 화면안착부(21)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3)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며, 일단 양측에 모니터커버힌지(23)가 형성되는 모니터커버(20);와, 일측면에 상기 모니터(10)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후면안착부(31)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후면안착부(31)의 일단에 모니터커버(20)의 모니터커버힌지(23)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후면안착부(31)의 타단에 모니터(10)의 모니터힌지(14)가 힌지 결합되는 콘솔박스(30);와, 동력에 의해 모니터(10)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모니터힌지(14)에 구동축(41)이 형성되고 구동수단(50)에 의해 상기 구동축(4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모터(42)가 콘솔박스(30)의 일단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가이드부재(13)는 이동구(13b)가 길이방향의 중공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대(13a)에 의해 가이드힌지에 연결되고, 중공막대형 이동구(13b) 내측 중공이 슬라이딩되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줄형상의 가이드레일(22a)이 형성되거나, 이동구(13c)가 길이방향의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대(13a)에 의해 가이드힌지에 연결되고, 막대형 이동구(13c)가 슬라이딩되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b)이 요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반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자동식 콘솔박스 내장 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동일한 구성상태에서, 모니터커버힌지의 일측에 모니터커버의 개폐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도록 지그재그형상의 접점스위치(24) 일단이 부착되고 접점스위치(24) 타단은 회로기판(26)의 일측에 부착되어 접점스위치(24)의 돌출부(25)가 회로기판(26)의 접점부(27)에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니터커버(20)의 일측에는 모니터(10)가 닫혔을 때 팔걸이가 용이하도록 완충기능을 가지는 완충재(6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회전의 축이 되는 힌지(12,14,23)와 슬라이딩되면서 회전 지지시키는 가이드부재(13)를 이용하여 모니터(10)를 개폐시키되 구동모터(42) 및 구동수단(50)을 이용하면서 제어스위치에 의한 자동식과 접점스위치에 의한 반자동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상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구동수단(50)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사용상 부분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따라서 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일측면에 화면(11)이 형성된 모니터(10)가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10)의 일단 양측에 가이드힌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부재(13)가 형성되며, 상기 모니터(10)의 타단 양측에 모니터힌지(14)가 형성된다.
또한 모니터(10)의 미사용시 모니터(10)를 덮게 되는 모니터커버(20)의 일측면에 모니터(10)의 화면(11)이 안착되도록 화면안착부(21)가 요홈 형성되되, 상기 모니터(10) 측부 두께의 반 정도가 안착될 수 있는 깊이만큼 요홈 형성되며, 상기 모니터커버(20)의 타측면에는 모니터(10)가 닫혔을 때 팔걸이가 용이하도록 완충기능을 가지는 완충재(60)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재(13)의 제1실시예는 가이드힌지(12)에 연결대(13a)에 의해 이동구(13b)가 부착 형성되되, 상기 이동구는 후술될 가이드레일(22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중공이 형성된 길이방향의 중공막대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중공막대형 이동구(13b) 내측 중공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구(13b)가 이탈되지 않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이동구가 감싸여질 수 있는 줄형상의 가이드레일(22a)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제2실시예는 가이드힌지(12)에 연결대(13a)에 의해 이동구(13c)가 부착 형성되되, 상기 이동구는 후술될 가이드레일(22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이 상기 연결대의 폭보다 길게 길이방향의 막대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가이드부재(13)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b)이 모니터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요홈 형성되되, 가이드부재(13)의 이동시 쉽게 이동구(13c)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22)의 내측에는 이동구의 이동경로에 따라 양측이 깊이 요홈 형성되되, 가이드레일(22b)의 외측에는 연결대(13a)의 이동경로에 따라 이동구의 이동경로보다 좁은 형상으로 요홈 형성된다.
또한 모니터커버(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모니터커버(20)의 일단 양측에 모니터커버힌지(23)가 형성되고, 모니터(10)와 모니터커버(20)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콘솔박스(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모니터(10)가 닫히면서 모니터커버(20)가 덮힐 때, 콘솔박스(30)와 모니터커버(20)가 일체형으로 보여 미관상 조화되면서 콘솔박스(30)의 상부가 팔안착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콘솔박스(30)의 일측이 모니터커버(20)의 닫힘상태에서의 두께만큼 하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콘솔박스(30)의 일측면, 즉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부위에 상기 모니터(10)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후면안착부(31)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후면안착부(31)의 일단에 모니터커버(20)의 모니터커버힌지(23)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후면안착부(31)의 타단에 모니터(10)의 모니터힌지(14)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동력에 의해 모니터(10)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부(40)가 설치되되, 모니터힌지(14)에 구동축(41)이 형성되고 구동수단(50)에 의해 상기 구동축(4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모터(42)가 콘솔박스(30)의 일단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수단(50)은 동력전달에 있어 풀리전달방식 또는 기어전달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풀리전달방식은 동력이 전달되도록 모터축(55)에 형성된 동력판(51)이 구동축(41)에 형성된 회전판(53)과 풀리(52)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이고, 기어전달방식은 모터축(55)에 형성된 동력기어(56)가 구동축(41)에 형성된 회전기어(57)와 치합되는 방식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동수단(50)의 실시예를 풀리(52)와 기어를 적용하였으나 풀리(52)와 기어 외에 구동축(41)에 회전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른 수단의 적용도 가능하며, 그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당연히 포함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모니터커버가 열리면서 동시에 화면에 전원이 공급되고, 화면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모니터커버가 닫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스위치(도시 생략)가 모니터커버의 외관 일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기본실시예로서 구동모터(42)의 동력을 구동수단(50)에 전달시켜 모니터(10)를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식이고,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모터(42)를 이용하되 반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다.
기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부재(13)의 제1실시예는 이동구(13b)가 길이방향의 중공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대(13a)에 의해 가이드힌지에 연결되고, 중공막대형 이동구(13b) 내측 중공이 슬라이딩되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줄형상의 가이드레일(22a)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제2실시예는 이동구(13c)가 길이방향의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대(13a)에 의해 가이드힌지에 연결되고, 막대형 이동구(13c)가 슬라이딩되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b)이 요홈 형성된다.
그리고 모니터의 타단이 모니터힌지(14)에 의해 콘솔박스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모니터힌지와 동일한 축상의 구동축(41)에 구동수단(50)이 형성되어 구동모터(42)와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전술된 기본실시예와 같이 풀리(52)를 통한 동력판(51)과 회전판(53)의 연결구조 또는 동력기어(56)와 회전기어(57)의 치합구조이다.
아울러 모니터커버의 개폐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게 접점스위치(24)의 돌출부위가 회로기판(26)의 접점부(27)에 접점 또는 탈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모니터커버힌지의 일측에 지그재그형상의 접점스위치(24) 일단이 부착되고, 접점스위치(24) 타단은 회로기판(26)의 일측에 부착된다.
또한 회로기판(26)은 접점스위치(24)의 돌출부가 접점부(27)에 접점 또는 탈점되는 상태를 인식하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제어부(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여기서 돌출부위는 접점스위치(24)의 지그재그형상 중 돌출된 부위이고, 접점부(27)는 돌출부위가 닿게 되는 회로기판(26)의 일측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접점스위치(24)의 실시예를 지그재그형상의 접점스위치가 접점 또는 탈점되는 접점부가 형성된 회로기판을 적용하였으나, 접점스위치와 회로기판 외에 모니터커버가 열렸을 때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른 수단의 적용도 가능하며, 그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당연히 포함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모니터커버의 열림에 의해 접점스위치가 작동하므로 모니터커버의 열림 스위치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모니터커버의 열림과 동시에 화면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연동이 가능하므로 화면의 전원 공급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화면의 전원 차단과 더불어 모니터커버의 닫힘을 위한 닫힘 스위치(도시 생략)가 모니터커버의 외관 일측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운전석의 우측 팔걸이 및 수납용 콘솔의 후부에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기본실시예인 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모니터(10)가 콘솔박스(30)에 덮여있는 상태(도 4a)에서 모니터(10)가 전측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모니터커버(20)의 상단부가 후측으로 밀리면(도 4b) 모니터(10)가 비스듬히 세워져 화면(11)이 보여지게 된다(도 4c). 여기서 후측은 모니터(10)의 화면(11) 반대방향이고, 전측은 모니터(10)가 열렸을 때 화면(11)이 향하는 방향이다.
이때 도 3 a, 도 3b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스위치(도시 생략)를 통해 구동모터(42)에 전원을 공급시켜 동력판(51)을 우회전시키거나 동력기어(56) 를 좌회전시키면 풀리(52)에 의해 회전판(53)이 우회전하거나 치합된 회전기어(57)가 우회전하면서 구동축(41)이 우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축(41)이 우회전함에 따라 모니터힌지(14)를 정점으로 모니터(10)의 하부가 전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모니터(10)의 상부가 전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10)의 상부가 전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니터(10)의 가이드부재(13)가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전측으로 이동하면서 모니터(10)가 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모니터(10)가 전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레일(22)이 가이드부재(13)를 누르면서 가이드부재(13)는 가이드레일(22)을 받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니터커버(20)가 모니터(10)의 전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13)가 가이드레일(22)의 상단까지 이동함에 따라 모니터(10)의 상단부가 모니터커버(20)의 상단까지 밀리면,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10)가 비스듬히 세워져 화면(11)이 전측에 보이는 상태가 된다. 이때 모니터커버가 열리면서 동시에 연동되어 화면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모니터(10)가 사용되지 않아 콘솔(40)에 덮고자 할 때는 모니터(10)를 열 때와 반대동작으로 모니터(10)가 비스듬히 세워져 화면(11)이 보여지는 상태(도 4c)에서 모니터(10)가 후측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모니터커버(20)의 상단부가 전측으로 하강하면(도 4b) 모니터(10)가 콘솔박스(30)의 모니터커버(20)에 덮여있게 된다.(도 4a).
이때 도 3a, 도 3b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 써 화면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구동모터(42)에 전원을 공급시켜 동력판(51)을 좌회전시키거나 동력기어(56)를 우회전시키면 풀리(52)에 의해 회전판(53)이 좌회전하거나 치합된 회전기어(57)가 좌회전하면서 구동축(41)이 좌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축(41)이 좌회전함에 따라 모니터힌지(14)를 정점으로 모니터(10)의 하부가 후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모니터(10)의 상부가 후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10)의 상부가 후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니터(10)의 가이드부재(13)가 가이드레일(22)을 따라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모니터(10)가 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모니터(10)가 후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레일(22)이 가이드부재(13)를 누르면서 가이드부재(13)는 가이드레일(22)을 받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니터커버(20)가 모니터(10)의 후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13)가 가이드레일(22)의 하단까지 이동함에 따라 모니터(10)의 상단부가 모니터커버(20)의 하단까지 이동하면,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10)가 수평으로 누우면서 모니터커버(20)에 덮여져 모니터커버(20)가 콘솔박스(30)와 일체되어 상측에 보이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인 반자동식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모니터(10)가 콘솔박스(30)에 덮여있는 상태(도 4a)에서 모니터(10)가 전측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모니터커버(20)의 상단부가 후측으로 밀리면(도 4b) 모니터(10)가 비스듬히 세워져 화면(11)이 보여지게 된다(도 4c).
이때 도 3a, 도 3b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커버(20)를 열게 됨으로써 구동모터(42)에 전원을 공급시켜 동력판(51)을 우회전시키거나 동력기어(56)를 좌회전시키면 풀리(52)에 의해 회전판(53)이 우회전하거나 치합된 회전기어(57)가 우회전하면서 구동축(41)이 우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모니터커버(20)가 후측으로 열리면서 구동모터(42)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커버힌지(23)를 통해 모니터커버(20)가 열리게 되고, 이때 모니터커버힌지의 일측에 돌출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접점스위치(24)가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상기 모니터커버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회로기판(26)의 접점부(27)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회로기판(26)과 접속되어 있는 제어부(도시 생략)에서는 회로기판(26)의 접점부(27)로부터 접점스위치(24)의 돌출부위가 이격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구동모터(42)에 전원을 공급시키게 된다.
또한 구동축(41)이 우회전함에 따라 모니터힌지(14)를 정점으로 모니터(10)의 하부가 전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모니터(10)의 상부가 전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10)의 상부가 전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니터(10)의 가이드부재(13)가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전측으로 이동하면서 모니터(10)가 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13)가 가이드레일(22)의 상단까지 이동함에 따라 모니터(10)의 상단부가 모니터커버(20)의 상단까지 밀리면,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10)가 비스듬히 세워져 화면(11)이 전측에 보이는 상태가 된다. 이때 모니터커버가 열리면서 동시에 연동되어 화면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모니터(10)가 사용되지 않아 콘솔(40)에 덮고자 할 때는 모니터(10)를 열 때와 반대동작으로 모니터(10)가 비스듬히 세워져 화면(11)이 보여지는 상태(도 4c)에서 닫힘 스위치(도시 생략)를 작동시켜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 회전시킴으로써 모니터커버(20)의 상단부를 전측으로 하강시켜 모니터(10)가 후측으로 회전 이동하면(도 4b) 모니터(10)가 콘솔박스(30)의 모니터커버(20)에 덮여있게 된다.(도 4a).
이때 모니터커버(20)를 완전히 덮히게 되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커버(20)가 지그재그형상의 접점스위치(24)의 일측 돌출부(25)가 회로기판(26)의 접점부(27)에 닿아 접점되고, 제어부에서 돌출부(25)가 접점부(27)에 접점된 상태를 인식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며 또한 연동되어 화면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는 모니터의 화면이 일정한 각도로 개폐되고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수단을 모니터 하단의 모니터힌지에 연결 형성함으로써, 뷰포인트가 적당하여 눈이 피로하지 않으며, 모니터의 개폐가 용이하면서 모니터의 개폐시 완충작용을 하여 모니터의 화면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가 콘솔박스에 일부 안착되면서 모니터커버에 덮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 에 강한 내구성을 갖으며, 자동차의 급정거나 사고로 인한 파손 시 설치된 장치에 의하여 탑승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암레스트 내부의 일부 공간을 모니터 보호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모니터커버 하우징이 필요하지 않다.

Claims (4)

  1. 일측면에 화면(11)이 구비되고, 일단 양측에 가이드힌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부재(13)가 형성되며, 타단 양측에 모니터힌지(14)가 형성되는 모니터(10);와,
    일측면에 상기 모니터(10)의 화면(11)이 안착되도록 화면안착부(21)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3)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며, 일단 양측에 모니터커버힌지(23)가 형성되는 모니터커버(20);와,
    일측면에 상기 모니터(10)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후면안착부(31)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후면안착부(31)의 일단에 모니터커버(20)의 모니터커버힌지(23)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후면안착부(31)의 타단에 모니터(10)의 모니터힌지(14)가 힌지 결합되는 콘솔박스(30);와,
    동력에 의해 모니터(10)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모니터힌지(14)에 구동축(41)이 형성되고 구동수단(50)에 의해 상기 구동축(4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모터(42)가 콘솔박스(30)의 일단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3)는 이동구(13b)가 길이방향의 중공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대(13a)에 의해 가이드힌지에 연결되고, 중공막대형 이동구(13b) 내측 중공이 슬라이딩되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줄형상의 가이드레일(22a)이 형성되거나,
    이동구(13c)가 길이방향의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대(13a)에 의해 가이드힌지에 연결되고, 막대형 이동구(13c)가 슬라이딩되도록 화면안착부(2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b)이 요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커버힌지의 일측에는 모니터커버의 개폐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도록 접점스위치(24)의 일단이 부착되고 접점스위치(24)의 타단은 회로기판(26)의 일측에 부착되어 접점스위치(24)가 회로기판(26)의 접점부(27)에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커버(20)의 일측에는 모니터(10)가 닫혔을 때 팔걸이가 용이하도록 완충기능을 가지는 완충재(6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KR1020040079689A 2004-10-06 2004-10-06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KR10055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689A KR100557769B1 (ko) 2004-10-06 2004-10-06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689A KR100557769B1 (ko) 2004-10-06 2004-10-06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769B1 true KR100557769B1 (ko) 2006-03-06

Family

ID=3717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689A KR100557769B1 (ko) 2004-10-06 2004-10-06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7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16B1 (ko) 2009-04-15 2012-06-01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각도조절장치
CN103552516A (zh) * 2013-11-06 2014-02-05 杭州杭正电子科技有限公司 可手动或电动翻转的车载显示屏
KR20170110445A (ko) * 2016-03-23 2017-10-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16B1 (ko) 2009-04-15 2012-06-01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각도조절장치
CN103552516A (zh) * 2013-11-06 2014-02-05 杭州杭正电子科技有限公司 可手动或电动翻转的车载显示屏
KR20170110445A (ko) * 2016-03-23 2017-10-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2511941B1 (ko) 2016-03-23 2023-03-2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5289B2 (ja) 車両用シートの表示装置
KR100261029B1 (ko) 대시패널 내설형 차량용 모니터장치 및 그 사용방법
US7659881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4647663B2 (ja) ディスプレイ開閉角度検出機構
CN1882230B (zh) 电子设备
CN101407190A (zh) 具有安装在其上的电子显示器的交通工具座椅
US20090096941A1 (en) Automotive display
KR100625351B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US20120038192A1 (en) Car seat head rest with built-in screen
KR100557769B1 (ko) 콘솔박스 내장형 모니터의 개폐장치
JP2010241358A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ボード
US6945582B2 (en) Central armrest display device
CN102005163A (zh) 液晶显示装置
KR20100032353A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KR100573362B1 (ko) 뒷자석 모니터의 개폐를 위한 링크기구
US6917516B2 (en) Retrievable device and LCD monitor
JP3129586U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KR100868657B1 (ko)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KR200320222Y1 (ko) 자동차 콘솔박스 설치형 멀티미디어 장치
JP2000095034A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307938A (ja) 化粧用ミラー装置
JPH069218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取付装置
JP3176854B2 (ja) 車両用画像表示器の収納装置
KR102419444B1 (ko) 도어 트림
KR100451119B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