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735B1 -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735B1
KR102408735B1 KR1020200174089A KR20200174089A KR102408735B1 KR 102408735 B1 KR102408735 B1 KR 102408735B1 KR 1020200174089 A KR1020200174089 A KR 1020200174089A KR 20200174089 A KR20200174089 A KR 20200174089A KR 102408735 B1 KR102408735 B1 KR 10240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unit
holder
mobile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543A (ko
Inventor
박가영
Original Assignee
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영 filed Critical 박가영
Priority to KR102020017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73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는 하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하부가 착탈되는 하우징부;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홀더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홀더부가 회전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상기 홀더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하우징부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장착 정보 및 상기 홀더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회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의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출력에 대응되는 무선 전력이 송신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Apparatus for rotary holding of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거치와 동시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가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서 휴대용 기기의 일측에 스트랩(strap)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용 기기는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게 되는 반면, 장시간 동안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형태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기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나, 휴대용 기기를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거치할 때는 이용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상기 휴대용 기기를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액세서리를 사용해야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입구가 개방된 가이더와, 스윙판과 이동편으로 이루어진 연결블록과, 손잡이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액세서리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액세서리는 핸드폰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때, 베이스와 링으로 이루어진 거치대가 무선 충전 송신부와 수신 코일이 내장된 핸드폰의 뒷면 사이를 막아 무선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다른 종래 장치는 핸드폰을 고정 거치하는 거치부재와,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베이스 및, 베이스와 거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로 구성하되 거치부재는 바닥 지지판과, 바닥 지지판의 전면 일 측방에 핸드폰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측벽과, 고정측벽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좌우 및 상하 측방으로 이동 조절하면서 핸드폰을 고정 지지하는 제1,2 조절측벽 및, 바닥 지지판의 전면에 전후로 탄발 작동하면서 핸드폰을 고정하는 텐션작동부로 구성하고, 베이스는 연결샤프트 하부 일측과 회전축으로 연결하고, 연결샤프트 하부 타측은 흡착판 상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여 연결샤프트를 수직 상부에서 전방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흡착판을 가압하여 흡착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게 함 것이고, 또 다른 종래 장치는 몸체부 양측에 구형 조립홈을 대향 형성하고, 구형 조립홈에 회전 조절 가능케 대향 삽입되어 흡착판으로 설치 위치에 고정 설치하거나 핸드폰을 고정 설치하는 흡착 고정수단을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하되, 흡착 고정수단은 반구형 베이스 상부에 상단으로 몸체부의 구형 조립홈에 삽입되는 구형 조립구가 형성된 축봉을 결합 설치하고, 축봉 내부에 하부로 흡착판이 고정되고 상부 측방으로 구형 조립구의 내부 리브의 원주상에 상하로 경사지게 형성된 캠 안내로에 삽입 안내되는 캠을 갖는 승하강 작동구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며, 또 다른 종래 장치는 하단부 양측에 핸드폰을 받치는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측에는 핸드폰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설치된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어 핸드폰의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대; 거치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좌우로 작동되어 위치를 이동할 수 있고 핸드폰의 하단부 양측을 받치는 좌우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장치들은 고정수단으로 흡착판을 구비하여 유리창에만 설치가 가능하고, 일부는 오디오 장치의 일측 또는 송풍구 등에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위치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5449호
본 발명은 약품을 휴대 단말기의 거치와 동시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는 하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하부가 착탈되는 하우징부;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홀더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홀더부가 회전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상기 홀더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하우징부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장착 정보 및 상기 홀더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회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의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출력에 대응되는 무선 전력이 송신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되는 경우, 착탈 방향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중심까지 함입되어 형성된 레일 홈; 및 상기 레일 홈의 내측 타단에 상기 착탈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일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중심까지 돌출되어 형성된 레일 돌기; 및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레일 돌기의 타단에 상기 착탈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고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는 상기 고정 돌기에 인가되는 돌기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돌기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홀더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부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홀더부의 회전 중에서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과 수평한 제1 회전의 제1 회전축이 되는 제1 회전 샤프트; 및 내측에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를 수용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홀더부의 회전 중에서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과 수직한 제2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회전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몸체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회전 플레이트;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 중앙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의 제2 회전축이 되는 제2 회전 샤프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는 상기 제1 회전에 따른 상기 홀더부의 제1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제1 회전 센싱부; 상기 제2 회전에 따른 상기 홀더부의 제2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제2 회전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회전 각도 및 상기 제2 회전 각도를 상기 회전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장착 정보가 장착됨을 나타내고 상기 회전 정보가 제1 회전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무선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장착 정보가 장착됨을 나타내고, 상기 회전 정보가 제2 회전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무선 전력의 출력을 차단 해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약품을 휴대 단말기의 거치와 동시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거치 상태에 따라 무선 충전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의 베이스부 및 홀더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B'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의 회전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D-D'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베이스부(101) 및 홀더부(103)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B'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회전부(104)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D-D'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10), 베이스부(101), 하우징부(102), 홀더부(103), 회전부(104), 무선 전력 송신부(105), 프로세서(106), 압력 센싱부(107), 제1 회전 센싱부(108), 제2 회전 센싱부(109), 통신부(110), 배터리부(111) 및 저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1)는 하부가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1)는 하부에 접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는 접착 테이프 및 접착제 등 베이스부(101)를 휴대 단말기에 부착할 수 있는 한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1)는 하우징부(102)가 상부에 결합되기 위해, 레일 돌기(101a) 및 고정 홈(101b)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 돌기(101a)는 하우징부(102)의 하부에 구비된 레일 홈(102a)에 삽입되도록 베이스부(101)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베이스부(101)의 상부 중심까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돌기(101a)의 단면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홈(101b)은 레일 홈(102a)에 형성된 고정 돌기(102b)가 삽입되도록 레일 돌기(101a)의 타단에 베이스부(101)와 하우징부(102)가 착탈되는 착탈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베이스부(101)의 상부에 하부가 착탈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내부에는 무선 전력 송신부(105), 프로세서(106), 압력 센싱부(107), 통신부(110), 배터리부(111) 및 저장부(112)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102)는 베이스부(101)에 착탈되기 위해, 레일 홈(102a) 및 고정 돌기(102b)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 홈(102a)는 베이스부에 착탈되는 경우, 착탈 방향이 가이드되도록 하우징부(102)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하우징부(102)의 하부 중심까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홈(102a)에는 레일 돌기(101a)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고정 돌기(102b)는 레일 홈(102a)의 내측 타단에 착탈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 홈(102a)에 레일 돌기(101a)가 삽입되는 과정 중 삽입 말미에서, 고정 돌기(102b)는 레일 돌기(101a)에 의해 가압되다가 고정 홈(101b)에 삽입되어 가압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부(101)에 하우징부(102)는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02)는 상부면에서 하부로 함입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부(104)의 제2 회전 샤프트(104e) 및 제2 회전 센싱부(109)가 수용되는 수용 홈(10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용 홈(102c)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면과 접하는 높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형성된 단차에 회전부(104)의 회전 플레이트(104d)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수용 홈(102c)의 내부 중심에는 제2 회전 샤프트(104d)의 타단과 회전 결합되는 회전 홈(102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 샤프트(104e)는 수용 홈(102c)에 세워진 상태로 수용되며, 일단이 회전 플레이트(104d)의 하부 중앙과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 홈(102d)와 회전 결합되며, 회전 플레이트(104d)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홀더부(103)는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103)는 내측으로 사용자의 신체(손가락)의 일부가 삽입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제1 회전(R1) 또는 제2 회전(R2)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R1)은 회전축이 하우징부(102)의 상부면과 수평한 회전이고, 제2 회전(R1)은 회전축이 하우징부(102)의 상부면과 수직한 회전일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R1)의 회전축은 제1 회전축이며, 제2 회전(R2)의 회전축은 제2 회전축일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전축은 제1 회전 샤프트(104b)와 동일할 수 있고, 제2 회전축은 제2 회전 샤프트(104e)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홀더부(103)는 절단된 일단이 회전부(104)의 제1 회전 샤프트(104b)의 일단과 결합되고, 절단된 타단이 회전부(104)의 제1 회전 샤프트(104b)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04)는 휴대 단말기(10)에 대하여 홀더부(103)가 회전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홀더부(103)와 하우징부(10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104)는 회전 몸체(104a), 제1 회전 샤프트(104b), 한 쌍의 회전 커버(104c), 회전 플레이트(104d) 및 제2 회전 샤프트(104e)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몸체(104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제1 회전 샤프트(104b)를 수용하고, 제1 회전 샤프트(104b)의 양단이 삽입된 회전 커버(104b)를 지지하고, 홀더부(103)의 회전 중에서 회전축이 하우징부(102)의 상부면과 수직한 제2 회전(R2)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 샤프트(104b)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홀더부(103)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홀더부(103)의 타단과 결합되고, 홀더부(103)의 회전 중에서 회전축이 하우징부(102)의 상부면과 수평한 제1 회전(R2)의 제1 회전축이 될 수 있다.
회전 커버(104c)는 각각 중앙이 관통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된 부위에 제1 회전 샤프트(104b)의 양단이 삽입되어, 제1 회전 샤프트(104b)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04d)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몸체(104a)의 하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몸체(104a)의 하부 일부와 회전 플레이트(104d)의 하부 일부는 수납 홈(102c)에 형성된 단차에 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 샤프트(104e)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회전 플레이트(104e)의 하부 중앙과 결합되고, 타단이 하우징부(102)의 회전 홈(102d)에 회전 결합되고, 제2 회전(R2)의 제2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5)는 프로세서(106)의 제어에 의해 휴대 단말기(10)로 배터리부(111)에 충전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전력 송신부(105)는 무선 전력 송신 코일 및 전력 변환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로 배터리부(111)에 충전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한, 무선 전력 송신부(105)의 무선 전력 송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무선 전력 송신부(105), 압력 센싱부(107), 제1 회전 센싱부(108), 제2 회전 센싱부(109), 통신부(110), 배터리부(111) 및 저장부(1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06)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06)는 저장부(1112)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6)는 베이스부(101)에 하우징부(102)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장착 정보 및 홀더부(103)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회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의 출력을 결정하고, 휴대 단말기(10)로 결정된 출력에 대응되는 무선 전력이 송신되도록 무선 전력 송신부(105)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고정 돌기에 인가되는 돌기 압력에 기초하여 장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압력은 압력 센싱부(107)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레일 홈(102a)에 레일 돌기(101a)가 삽입되는 과정 중 삽입 말미에서, 고정 돌기(102b)는 레일 돌기(101a)에 의해 가압되다가 고정 홈(101b)에 삽입되어 가압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싱부(107)는 고정 돌기(102b)가 레일 돌기(101a)에 의해 가압되는 순간의 돌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반대로, 레일 홈(102a)에서 레일 돌기(101a)가 분리되는 과정 중 분리 초기에서, 고정 돌기(102b)는 레일 돌기(101a)에 의해 가압되다가 가압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싱부(107)는 고정 돌기(102b)가 레일 돌기(101a)에 의해 가압되는 순간의 돌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06)는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의 돌기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측정되다가 돌기 압력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이전에 결정된 장착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전의 장착 정보와 반대되도록 장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6)는 이전에 결정된 장착 정보가 미장착을 나타내면 베이스부(101)에 하우징부(102)가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장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06)는 이전에 결정된 장착 정보가 장착을 나타내면 베이스부(101)에 하우징부(102)가 장착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장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6)는 제1 회전(R1)에 따른 홀더부(103)의 제1 회전 각도 및 제2 회전(R2)에 따른 홀더부(103)의 제2 회전 각도를 회전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센싱부(108)는 제1 회전(R1)에 따른 홀더부(103)의 제1 회전 각도를 측정하고, 제2 회전 센싱부(208)는 제2 회전(R2)에 따른 홀더부(203)의 제2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장착 정보가 장착됨을 나타내고 회전 정보가 제1 회전 상태를 나타내면 무선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장착 정보가 장착됨을 나타내고 상기 회전 정보가 제2 회전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무선 전력의 출력을 차단 해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상태는 제1 회전 각도 및 제2 회전 각도가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각도 범위 및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각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이고, 제2 회전 상태는 제1 회전 각도 및 제2 회전 각도가 각각 미리 설정된 제3 기준 각도 범위 및 미리 설정된 제4 기준 각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각도 범위는 30도 이상 150도 이하일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각도 범위는 80도 이상 100도 이하, 170도 이상 190도 이하, 260도 이상 280도 이하 및 350도 이상 10도 이하일 수 있다.
반대로, 미리 설정된 제3 기준 각도 범위는 0도 이상 30도 미만 및 150도 초과 180도 이하일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제4 기준 각도 범위는 360도 전범위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6)는 홀더부(103)가 제1 회전 상태이면 무선 충전을 차단하고, 제2 회전 상태이면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무선 전력 송신부(10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시청 등과 같이 전력 소모가 심한 사용자 환경으로 추정되는 홀더부(103)의 회전 상태에서는 휴대 단말기(10)의 발열을 야기하는 무선 충전을 차단하여 휴대 단말기(1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회전 센싱부(108)는 제1 회전(R1)에 따른 홀더부(103)의 제1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회전 센싱부(108)는 제1 회전 폴(108a) 및 복수의 제1 회전 센서(109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 폴(108a)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회전 샤프트(104b)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회전 샤프트(104b)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폴(108a)는 제1 회전 샤프트(104b)의 제1 회전(R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 폴(108a)는 유연성과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회전 센서(108b)는 제1 회전 폴(108b)의 끝단에 접촉되도록 원을 이루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중심에는 제1 회전 폴(108b)의 끝단이 삽입되어 임시 고정되는 센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회전 센서(108b)는 각각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06)는 제1 회전 폴(108b)과 접촉된 제1 회전 센서(108b)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어느 하나의 제1 회전 센서(108b)로부터 입력받고,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회전 각도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회전 센싱부(109)는 제2 회전(R2)에 따른 홀더부(103)의 제2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회전 센싱부(109)는 제2 회전 폴(109a) 및 복수의 제2 회전 센서(109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회전 폴(109a)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회전 샤프트(104b)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2 회전 샤프트(104b)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 폴(109a)는 제2 회전 샤프트(104b)의 제2 회전(R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 폴(109a)는 유연성과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회전 센서(109b)는 제2 회전 폴(109b)의 끝단에 접촉되도록 원을 이루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중심에는 제2 회전 폴(109b)의 끝단이 삽입되어 임시 고정되는 센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회전 센서(109b)는 각각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06)는 제2 회전 폴(109b)과 접촉된 제2 회전 센서(109b)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를 어느 하나의 제2 회전 센서(109b)로부터 입력받고, 저항값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2 회전 각도로 변환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에 이용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10)로부터 충전 요청 신호, 충전 중단 신호 및 휴대용 단말 배터리 잔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근거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한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적외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부(111)는 휴대용 단말(10)에 송신되는 전력이 충전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10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111)의 배터리 종류를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저장부(112)에는 프로세서(106)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101: 베이스부
102: 하우징부
103: 홀더부
104: 회전부
105: 무선 전력 송신부
106: 프로세서
107: 압력 센싱부
108: 제1 회전 센싱부
109: 제2 회전 센싱부
110: 통신부
111: 배터리부
112: 저장부

Claims (1)

  1. 하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하부가 착탈되는 하우징부;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홀더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홀더부가 회전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상기 홀더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하우징부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장착 정보 및 상기 홀더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회전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의 출력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출력에 대응되는 무선 전력이 송신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되는 경우, 착탈 방향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중심까지 함입되어 형성된 레일 홈; 및
    상기 레일 홈의 내측 타단에 상기 착탈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일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중심까지 돌출되어 형성된 레일 돌기; 및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레일 돌기의 타단에 상기 착탈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고정 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홀더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부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홀더부의 회전 중에서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과 수평한 제1 회전의 제1 회전축이 되는 제1 회전 샤프트; 및
    내측에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를 수용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홀더부의 회전 중에서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과 수직한 제2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회전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KR1020200174089A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KR10240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089A KR102408735B1 (ko)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01A KR102193615B1 (ko) 2020-05-21 2020-05-21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KR1020200174089A KR102408735B1 (ko)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101A Division KR102193615B1 (ko) 2020-05-21 2020-05-21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543A KR20210144543A (ko) 2021-11-30
KR102408735B1 true KR102408735B1 (ko) 2022-06-13

Family

ID=74090597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101A KR102193615B1 (ko) 2020-05-21 2020-05-21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KR1020200174087A KR102341802B1 (ko) 2020-05-21 2020-12-14 돌기 및 레일 간 결합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홀더 장치
KR1020200174089A KR102408735B1 (ko)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KR1020200174091A KR102342238B1 (ko)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상태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200174088A KR102342237B1 (ko) 2020-05-21 2020-12-14 압력 측정에 기반한 장착 정보를 결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200174090A KR102408736B1 (ko)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거치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101A KR102193615B1 (ko) 2020-05-21 2020-05-21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KR1020200174087A KR102341802B1 (ko) 2020-05-21 2020-12-14 돌기 및 레일 간 결합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홀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091A KR102342238B1 (ko)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상태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200174088A KR102342237B1 (ko) 2020-05-21 2020-12-14 압력 측정에 기반한 장착 정보를 결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200174090A KR102408736B1 (ko) 2020-05-21 2020-12-14 휴대 단말기 거치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6) KR102193615B1 (ko)
WO (1) WO20212355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54B1 (ko)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6025B (zh) * 2023-07-11 2024-01-23 深圳市华威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无线充电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604A1 (en) * 2018-09-28 2020-04-02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662A (ko) * 2005-02-28 2006-09-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라이드 방식의 내부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13529365A (ja) 2010-05-28 2013-07-18 サード レール モビリティ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ポータブルデバイス用の電力モジュール
KR101240273B1 (ko) * 2011-06-01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U2014389990A1 (en) 2014-04-10 2016-11-03 Advanced Wireless Innovation Llc Electronic device multicomponent case with electrical energy storage
KR20160007151A (ko) * 2014-07-11 2016-01-20 주식회사 대창 무선 충전 장치
KR101516321B1 (ko) 2014-09-04 2015-05-04 이민승 스마트폰용 전원공급장치
KR101823970B1 (ko) * 2016-01-08 2018-02-01 (주)에이프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726179B1 (ko) * 2016-09-30 2017-04-26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휴대용 단말기 거치링
KR101888490B1 (ko) * 2016-12-05 2018-08-21 강현욱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101945842B1 (ko) * 2016-12-13 2019-02-08 최주호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KR101956536B1 (ko) * 2017-06-19 2019-03-11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90055449A (ko) 2017-11-15 2019-05-23 김혜린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102123453B1 (ko) * 2018-08-10 2020-06-16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KR102034378B1 (ko) * 2018-04-18 2019-10-18 전종원 핸드폰 케이스
KR200493449Y1 (ko) * 2018-08-10 2021-04-02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604A1 (en) * 2018-09-28 2020-04-02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54B1 (ko)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615B1 (ko) 2020-12-21
KR20210144544A (ko) 2021-11-30
KR102342238B1 (ko) 2021-12-23
KR20210144545A (ko) 2021-11-30
KR102342237B1 (ko) 2021-12-30
WO2021235584A1 (ko) 2021-11-25
KR20210144543A (ko) 2021-11-30
KR20210144541A (ko) 2021-11-30
KR20210144542A (ko) 2021-11-30
KR102408736B1 (ko) 2022-06-13
KR102341802B1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735B1 (ko)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KR102333027B1 (ko) 날숨 센싱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0347119B2 (en) Gimbal remote controller and handheld gimbal using the gimbal remote controller
JP4773498B2 (ja) 携帯端末、usb機器及びこれらを有するシステム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20140020697A1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and Electronic Cigarette Device
KR20190004487A (ko)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8176574A1 (zh) 手持云台
KR101459991B1 (ko)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KR200491432Y1 (ko) 슬라이딩 개폐 구조의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
US11920377B2 (en) Locking/unlocking device, locking/unlocking method, and locking/unlocking system
US20230131768A1 (en) Hold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WO2018155268A1 (ja) レバー入力装置
JP6382448B2 (ja) 検知装置
TWM607900U (zh) 滑鼠組件
US20230033640A1 (en) Portable device mount
CN203310992U (zh) 一种便携式无线电监测一体机
CN214744563U (zh) 支架
KR20180054039A (ko) 길이 측정 장치
KR20160037536A (ko)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CN218243712U (zh) 跟焦控制器、跟焦控制组件及跟焦系统
JP3157773U (ja) 紫外線強度記録装置
CN111853435A (zh) 便携式稳像设备和稳像系统
TW202225567A (zh) 夾緊工具裝置
CN221227190U (zh) 无线充电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