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49Y1 -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49Y1
KR200493449Y1 KR2020180003722U KR20180003722U KR200493449Y1 KR 200493449 Y1 KR200493449 Y1 KR 200493449Y1 KR 2020180003722 U KR2020180003722 U KR 2020180003722U KR 20180003722 U KR20180003722 U KR 20180003722U KR 200493449 Y1 KR200493449 Y1 KR 200493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less charging
ground
accessor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95U (ko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2020180003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4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3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링(ring) 형상을 가지는 고리; 고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판; 및 접착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접지단자를 구비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접착판에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이 내장된다.

Description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PORTABLE DEVICE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에 사용될 수 있는 단말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를 운전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폰에 통합되어 있어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는 일단부 측에 스마트폰을 끼움 결합한 후 반대되는 타단부 측을 차량의 유리, 대시 보드 등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중량으로 인해 차량용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에서 측면으로 밀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스마트링을 부착하고 스마트링을 차량의 송풍구에 끼워 거치하는 미니멀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링은 차량에 부착이 간편하고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해 스마트링이 고정 위치로부터 이탈하기 쉬워 스마트폰을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링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작은 링 형상이므로 차량에서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거리의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어렵다.
한편,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는 다양한 방식들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의 후면에 스마트링이나 케이스 등과 같은 액세서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무선 충전이 되지 않거나 충전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4248호(2005.12.14 등록)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3820(2017.05.17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 충전에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고리 형태의 단말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링(ring) 형상을 가지는 고리; 상기 고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판; 및 상기 접착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접지단자를 구비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판에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이 내장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액세서리에 송신 코일을 내장시켜 접지단자를 통해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액세서리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 충전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스마트링이나 케이스 등과 같은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액세서리의 접지부분에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과 같은 가이드를 형성하여 별도의 무선 충전 장치와 결합 시 접지단자의 위치가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하며, 단말기 액세서리에 내장된 송신 코일과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 코일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단말기 액세서리와 무선 충전 모듈에 각각 구비되는 접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단말기 액세서리와 무선 충전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액세서리(10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되는 형태의 부착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링, 휴대폰 케이스, 브라켓(bracket) 또는 클램프(clamp) 등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액세서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링(ring) 형상을 가지는 고리(110)를 포함하는 스마트링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기기로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 코일을 내장하여,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수신 코일에서 유도 전류가 만들어져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액세서리(100)에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101)이 내장된다.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내장된 송신 코일(10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에 내장된 수신 코일(11)에서 전자기 유도가 일어나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휴대용 단말기(10)의 배터리(미도시)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무선충전 모듈(미도시)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분리되어 구성되며, 필요 시(예를 들어, 무선 충전시)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에는 제1 접지단자(131)가 구비되며,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는 상기 제1 접지단자(131)와 접촉되는 제2 접지단자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상기 무선충전 모듈이 결합되면, 제1 접지단자(131)가 상기 무선충전 모듈의 제2 접지단자와 접촉되어 무선충전 모듈의 회로부로부터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로 교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되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송신 코일(101)을 내장시켜 별도의 무선충전 모듈과 결합시 접지단자들을 통해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액세서리(1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10)가 무선 충전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 스마트링과 같은 액세서리(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액세서리(100)는 고리(110), 접착판(120) 및 제1 접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리(11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링(ring)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미도시)과 접촉할 때 접촉 면적을 넓혀 단말기 액세서리(100)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측이 평탄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고리(1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111)를 이용해 접착판(120)과 연결되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접착판(120)은 휴대용 단말기(10)의 화면이 형성된 전면과 반대되는 배면에 면접하여 부착되며,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물질(미도시)을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착판(120)은 제1 판(125)과 제2 판(121)으로 이루어지며, 제1 판(125)과 제2 판(125)은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거나 홈과 돌기에 의한 맞물림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접착판(120)의 제1 판(125)은 플라스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계열의 물질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판(121)은 제1 판(125)과 대응하는 형태로서 폴리우레탄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점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접지부(130)는 접착판(120) 상에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가지며 그 중심 부분에 제1 접지단자(13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지부(130)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고리(110)가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 방향으로 접혀있는 상태에서, 고리(110)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공간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충전 모듈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접지부(130)는 금속 또는 자석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판(120),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판(120)의 제1 판(125)에 송신 코일(101)이 내장될 수 있다.
접착판(120)의 제1 판(125)에 내장된 송신 코일(101)은 제1 접지부(130)의 제1 접지단자(131)와 연결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무선충전 모듈에 결합될 때 제1 접지단자(131)를 통해 무선충전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송신 코일(101)로 전달되어 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충전 모듈은 차량 내에서의 사용을 위해 차량용 거치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무선충전 모듈이 차량에 끼움 결합 또는 흡착력에 의해 고정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충전 모듈(200)은 부착부(210), 고정부(220) 및 연결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는, 무선충전 모듈(200)과 단말기 액세서리(1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와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자석타입으로 부착될 수 있다.
부착부(210)에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와 결합되는 제2 접지부(230)가 형성되며, 제2 접지부(230)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예를 들어, 원형)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접지부(230)의 중심 부분에는 제2 접지단자(231)가 위치하여, 제1 접지부(130)와 제2 접지부(230)가 결합시 제1 접지단자(131)와 제2 접지단자(231)가 서로 접촉되어 무선충전 모듈(200)의 회로부로부터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로 교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충전 모듈(200)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기 위해,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 또는 제2 접지부(230)가 자석을 구비하거나,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가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 측에 자석이 매립되고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에 반대 극성의 자석이 매립되거나, 또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와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이 매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으로 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는 자석과 자석 또는 자석과 금속 구조로 부착되도록 하여, 차량 운전 중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배면에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10)를 손으로 파지하고 무선충전 모듈(200)로 가져가는 간단한 동작으로 휴대용 단말기(10)를 무선충전 모듈(200)에 쉽게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를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휴대용 단말기(10)을 무선충전 모듈(2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에서 제2 접지부(230)가 일정 깊이만큼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와 자력에 의해 결합시 제1 접지부(130)가 부착부(210)의 제2 접지부(23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공간에 유격이 거의 없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서, 제1, 2 접지단자들(131, 231)이 보다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어 접촉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에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가 내장될 수 있다.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충전 모듈(200)이 결합 시, 상기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은 서로 접촉된 제1, 2 접지단자들(131, 231)을 통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로 공급된다.
고정부(220)는 무선충전 모듈(200)을 차량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송풍구(미도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핀(2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핀(221)은 탄성 변형되면서 차량의 송풍구에 압입식으로 끼워져 끼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고정부(220)가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결합핀(221)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송풍구에 탄성 변형에 의해 끼워지고 압입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 모듈(200)의 고정부(220)는 차량에 흡착 방식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와 고정부(220)는 연결부(260)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부(260)는 회전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와 고정부(220)는 볼조인트 수단으로 연결되어, 부착부(210)가 고정부(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볼조인트 수단은 두 개의 볼을 내부가 빈 구형상의 볼하우징 내에 삽입하여 연결한 것으로 360도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여 휴대용 단말기(10)의 상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와 고정부(220)는 볼조인트 수단과 연결되기 위한 위한 볼(ball)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부착부(210)의 볼과 고정부(220)의 볼은 각각 내부가 빈 구형상의 볼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볼하우징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며, 그에 따라 부착부(210)가 고정부(220)에 대해 360도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내부가 빈 구형상의 볼하우징은 두 몸체로 구성하여 내부에 두 개의 볼을 삽입한 후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며, 두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볼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고정수단은 두 개의 볼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이동부재로써 양측 경사면이 두 볼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두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와 무선충전 모듈(200)의 제2 접지부(230)에, 서로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원형의 제1 접지부(130) 중심에 제1 접지단자(131)가 위치하며, 제1 접지단자(131) 주변에 무선 충전 모듈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 가이드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원형의 제2 접지부(230) 중심에 제2 접지단자(231)가 위치하며, 제2 접지단자(231) 주변에,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135)와 대응되도록, 단말기 액세서리(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2 가이드부(23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2 가이드부들(135, 235)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에 복수의 고정돌기들이 일자의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무선충전 모듈(200)의 제2 접지부(230)에는 복수의 고정홈들이 일자의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자의 고정돌기는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고정홈도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될 때 자연스러운 결합을 통한 부착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 충전 모듈(200)이 결합되는 제1, 2 접지부들(130, 230)에 고정돌기와 고정홈로 각각 구성된 제1, 2 가이드부를(135, 235)를 형성함으로써, 결합 시 제1, 2 접지단자들(131, 231)의 위치가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하여,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 충전 모듈(200)이 자력으로 부착될 때, 제1 접지부(13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들이 제2 접지부(23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들에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제1 접지단자(131)와 제2 접지단자(231)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며, 또한 결합 후 임의의 회전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 충전 모듈(200)이 결합되어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 접지단자(131)와 제2 접지단자(231)의 위치가 어긋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져 충전 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단말기 액세서리와 무선 충전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구성들 중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배면에는 고리(110)를 포함하며 접착판(120)에 송신 코일(101)이 내장된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 모듈(200)은 일측이 고정부(220)를 통해 차량의 송풍구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회로부가 내장된 부착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된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고리(110)를 접은 상태에서, 접혀진 고리(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제1 접지부(130)를 무선충전 모듈(200)의 타측에 형성된 부착부(210)에 가져가면, 자력에 의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와 무선충전 모듈(200)의 부착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들이 무선충전 모듈(200)의 제2 접지부(23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들에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 단자(131)와 무선충전 모듈(200)의 제2 접지단자(231)의 위치가 정렬되면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 단자(131)와 무선충전 모듈(200)의 제2 접지단자(231)가 접촉되면, 무선충전 모듈(200)의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이 제1, 2 접지단자들(131, 231)을 통해 송신 코일(101)로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교류 전원에 의해 송신 코일(101)에서 전자기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에 내장된 수신 코일(미도시)에서 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수신 코일에서 유도된 전류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의 배터리(미도시)가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품 설명서 등을 통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의 위치와 휴대용 단말기(10)의 수신 코일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부착 위치가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의 제조사 또는 제품명 등에 따라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 코일의 위치가 약간 씩 상이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부착 위치는 제조사 또는 제품명에 따라 상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의 위치와 휴대용 단말기(10)의 수신 코일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되면, 무선충전 모듈(200)과 결합 시 충전 효율이 향상되어 충전 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자력 결합 및 가이드부들(135, 235)에 의해 회전 또는 유동이 방지되어 향상된 충전 효율이 계속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되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대해 고리를 포함하는 스마트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장착되는 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도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 액세서리(1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장착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외면 중앙 부분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접지단자(131)가 형성된 제1 접지부(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케이스에 상기한 바와 같은 송신 코일(101)이 내장되어 제1 접지단자(131)를 통해 무선충전 모듈(200)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 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무선충전 모듈(200)에 대해 차량에 고정되는 형태의 거치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놓여질 수 있는 형태의 탁상형 무선 충전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탁상형 무선충전 모듈(300)의 상면에 제2 접지단자(331)가 형성된 제2 접지부(33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접지부(330)와 제2 접지단자(331)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제2 접지부(230)와 제2 접지단자(231)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탁상형 무선충전 모듈(30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회로부가 내장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로 공급할 교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탁상형 무선충전 모듈(300)에는 충전기의 케이블(400)이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3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된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고리(110)를 접은 상태에서, 접혀진 고리(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제1 접지부(130)를 탁상형 무선충전 모듈(300)의 제2 접지부(330)에 가져가면, 자력에 의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접지부(130)와 탁상형 무선충전 모듈(300)의 제2 접지부(330)가 결합되어 무선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휴대용 단말기 100: 단말기 액세서리
101: 송신 코일 110: 고리
111: 연결 부재 120: 접착판
130: 제1 접지부 131: 제1 접지단자
135: 고정돌기 200: 무선충전 모듈
210: 부착부 220: 고정부
221: 결합핀 230: 제2 접지부
231: 제2 접지단자 235: 고정홈
260: 연결부 300: 탁상용 무선충전 모듈
310: 전원단자 400: 충전 케이블

Claims (6)

  1.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링(ring) 형상을 가지는 고리;
    상기 고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판; 및
    상기 접착판 상에 형성되며, 중앙에 원형 접점 형태의 단자를 구비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판에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이 내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유선 연결 없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단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의 고정돌기들이 상기 접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방향으로 접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상기 접지부의 단자 및 상기 고정돌기들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자석 또는 금속을 구비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은
    상기 접지부에 구비된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은
    상기 단자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교류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2020180003722U 2018-08-10 2018-08-10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200493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22U KR200493449Y1 (ko) 2018-08-10 2018-08-10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22U KR200493449Y1 (ko) 2018-08-10 2018-08-10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95U KR20200000395U (ko) 2020-02-19
KR200493449Y1 true KR200493449Y1 (ko) 2021-04-02

Family

ID=6963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22U KR200493449Y1 (ko) 2018-08-10 2018-08-10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53B1 (ko) * 2018-08-10 2020-06-16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KR102193615B1 (ko) * 2020-05-21 2020-12-21 박가영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KR102441671B1 (ko) * 2020-05-22 2022-09-08 (주)에드플러스 비접촉 온도 측정 장치
KR102458576B1 (ko) * 2021-10-12 2022-10-25 이순평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616974B1 (ko) * 2022-02-10 2023-12-27 주식회사 모모스틱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47B1 (ko) 2013-08-29 2014-05-27 임영철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KR101790891B1 (ko) * 2016-10-04 2017-10-26 박서우 자석 부착식 무선 충전기
KR101879551B1 (ko) 2017-12-20 2018-07-17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248B1 (ko) 2001-02-01 2003-11-03 주식회사 에이스조립시스템 반도체칩용 언더필 장치
CA2931312A1 (en) * 2013-11-24 2015-05-28 HAMAMA, Yaniv Slim-form charger for a mobile phone
KR20170053820A (ko) 2015-11-07 2017-05-17 강준혁 탈착형 스마트링
KR20170134999A (ko)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팝폰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47B1 (ko) 2013-08-29 2014-05-27 임영철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KR101790891B1 (ko) * 2016-10-04 2017-10-26 박서우 자석 부착식 무선 충전기
KR101879551B1 (ko) 2017-12-20 2018-07-17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95U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449Y1 (ko)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US11527913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7100338B2 (ja)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US11818285B2 (en)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inductive charger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RU26176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тчика мощности для индуктивной подачи мощности в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82089Y1 (ko)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US20150002088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11384750A (zh) 具有可旋转磁性支架的感应充电器
US993548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9496642B1 (en) Charging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magnetic member
JP2015517293A (ja) 自動位置調整無線充電器及びそれを用いた充電方法
KR102123453B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CN109038844B (zh) 一种无线充电装置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976645B1 (ko) 차량용 거치대
KR20220054926A (ko) 복수의 접점들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CN106786855B (zh) 充电背贴、充电座及充电支架
KR102370584B1 (ko) 무선 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90021546A (ko) 무선충전식 이동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CN215221751U (zh) 车载无线充电器及无线充电系统
KR102543592B1 (ko)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CN208806966U (zh) 音响
CN205265282U (zh) 具有手机防盗功能的充电宝
CN213213136U (zh) 车载无线充电支架
CN210016505U (zh) 一种可加装无线充电模块的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0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29

Effective date: 202101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