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74B1 -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 Google Patents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74B1
KR102616974B1 KR1020220017619A KR20220017619A KR102616974B1 KR 102616974 B1 KR102616974 B1 KR 102616974B1 KR 1020220017619 A KR1020220017619 A KR 1020220017619A KR 20220017619 A KR20220017619 A KR 20220017619A KR 102616974 B1 KR102616974 B1 KR 102616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torage
grip
coupled
angl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861A (ko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모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모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모스틱
Priority to KR102022001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74B1/ko
Priority to CN202220982892.XU priority patent/CN217159806U/zh
Priority to CN202220982589.XU priority patent/CN217159805U/zh
Priority to PCT/KR2022/017124 priority patent/WO2023153583A1/ko
Publication of KR2023012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판면에 무선충전기가 결합되는 충전기결합공(111a)이 관통형성된 단말기결합부(110)와; 상기 단말기결합부(110)의 상단에 접힘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삽입슬릿(121a)이 구비된 카드수납접힘날개(120)와;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외면에 결합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A foldable samrtphone grip}
본 발명은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안드로이드 타입과 애플 타입 모두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카드가 수납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스마트폰이 점차 고성능, 고스펙의 하드웨어를 탑재하기 시작하면서 가격대 또한 높게 책정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사용도중 스마트폰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케이스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스마트폰 케이스들은 연질의 러버 재질로 스마트폰 외관을 감싸주는 이른바 범퍼 케이스, 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부분을 접철 가능하게 덮개로 개방 및 폐쇄하는 다이어리 케이스로 크게 대별된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들은 스마트폰의 보호라는 측면에 주안점을 두다보니 부피가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들의 무선충전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를 벗겨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넣은 상태로는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그립감이 다소 떨어지며 손을 크게 벌려서 스마트폰을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가중된다. 특히, 스마트폰에 케이스의 무게까지 더해지면서 스마트폰 사용시 손목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케이스를 탈착하지 않고서도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스마트폰을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849753호, "휴대폰 받침대"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832922호,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그립"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그립부재를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할 수 있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판면에 무선충전기가 결합되는 충전기결합공(111a)이 관통형성된 단말기결합부(110)와; 상기 단말기결합부(110)의 상단에 접힘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삽입슬릿(121a)이 구비된 카드수납접힘날개(120)와;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외면에 결합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카드수납접힘날개가 단말기결합부에 대해 접혀지거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단말기결합부에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그립부재를 이용해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카드수납접힘날개에는 카드가 수납되며,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해야할 경우 카드수납접힘날개를 펼쳐 카드를 외부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결합부에는 애플타입 및 안드로이트타입 무선충전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게 충전기결합공과 충전유도부재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무선충전이 필요한 경우 카드수납접힘날개를 펼쳐 충전기결합공에 무선충전기를 위치시켜 무선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이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무선 충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에 결합가능한 그립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을 이용해 휴대단말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을 이용해 휴대단말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이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과 도 14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이 휴대단말기(A)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이 결합된 휴대단말기(A)가 무선충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되는 단말기결합부(110)와, 단말기결합부(110)의 상부에 접힘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드수납접힘날개(120)와,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외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그립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단말기결합부(110)에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지게 접혀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수 있게 결합된다. 이 때, 펼쳐진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카드(B)가 수납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별도의 지갑을 휴대할 필요없이 카드(B)를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펼쳐졌을 때 단말기결합부(110)에 절개되어 휴대단말기(A)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기결합공(111a)이 관통형성되고, 충전기결합공(111a) 주변으로 충전유도부재(117)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타입 무선충전기(10)를 충전기결합공(111a)에 결합시켜 애플타입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드로이드 타입 스마트폰도 해당 무선충전기(20)를 이용해 무선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그립부재(130)의 가변밴드(135)를 접고 사용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A)를 바닥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카드수납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단말기결합부(110)와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힘선(127)을 중심으로 접혀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혀졌을 때는 그립부재(130)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사용할 수 있고 내부에 카드(B)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펼쳤을 때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의 두께에 의한 무선충전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결합부(110)는 단말기결합본체(111)와, 단말기결합본체(111)의 배면에 결합되는 겔패드(113)와, 겔패드(113)의 배면에 결합되어 단말기결합본체(111)를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시키는 양면테잎(115)을 포함한다.
카드수납접힘날개(120)는 날개상면(121)과 날개하면(123) 사이에 속지(125)가 삽입된 상태로 테두리영역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단말기결합본체(111)와 날개상면(121)과 날개하면(123)은 천연가죽, 합성피혁, 스웨이드 소재 등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접힘선(127)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혀질 수 있게 구비된다.
겔패드(113)는 단말기결합본체(111)의 배면에 부착되고, 양면테잎(115)은 겔패드(113)의 배면에 부착된다. 양면테잎(115)의 외부는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사용자가 보호필름을 분리한 후 휴대단말기(A)에 부착한다.
단말기결합본체(111)의 중심영역에는 충전기결합공(111a)이 관통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부재결합공(111b)이 관통형성된다. 고정부재결합공(11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재(119)가 똑딱단추일 경우 구비되고, 암수벨트로와 같이 결합공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형성되지 않는다.
충전기결합공(11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펼쳐졌을 때, 휴대단말기(A)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애플용 무선충전기(10)가 휴대단말기(A)의 배면과 직접 닿으며 맥세이프 충전이 가능하게 하고, 애플용 무선충전기(10)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겔패드(113)에는 충전기결합공(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13b)이 형성되고, 관통공(113b)과 동심원 상으로 자석수용홈(113a)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된다. 자석수용홈(113a)에는 충전유도부재(117)가 수용된다. 충전유도부재(117)는 도넛형태의 자석으로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드로이드 무선충전기(20)로 무선충전을 수행할 때 휴대단말기(A)와 충전 위치가 정확하게 맞지 않더라도 자력에 의해 무선충전을 유도하여 안전한 충전이 수행되도록 유도한다. 겔패드(113)는 단말기결합본체(111)의 배면에 부착되며 충전유도부재(117)가 고정되게 지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접혀져 있던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펼쳐지며 내부에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결합된 단말기결합부(110)의 두께가 무선충전이 가능해지고, 단말기결합부(110)의 판면에 형성된 충전기결합공(111a)에 의해 애플용 무선충전기(10)의 충전위치가 시각적으로 드러나며 정확한 위치에 무선충전기(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충전유도부재(117)에 의해 어긋난 위치에 위치되더라도 무선충전이 수행될 수 있는 시너지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카드수납접힘날개(120)는 단말기결합본체(111)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접힘선(127)을 따라 접혀진다. 날개상면(121)과 날개하면(123)은 내부에 속지(125)가 수용된 상태에서 테두리영역의 결합라인(121b)이 봉제되거나,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날개상면(121)의 판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하나 이상의 카드삽입슬릿(121a)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본인이 즐겨사용하는 카드(B)를 카드삽입슬릿(121a)이 삽입하여 별도의 지갑을 휴대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이 부착된 휴대단말기(A)가 휴대하며 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
날개상면(121)의 상부에는 하부고정부재(119)에 대응되는 상부고정부재(122)가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재(119)와 상부고정부재(122)는 똑딱단추 형태로 구비되거나, 암수벨크로, 자석, 걸리고리와 돌기, 단추와 단추홈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날개하면(123)에는 그립부재(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그립결합절개공(123a)이 형성된다. 그립결합절개공(123a)을 통해 그립부재(130)의 날개결합접착시트(131)가 속지(125)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드삽입슬릿(121a)이 형성된 날개상면(121)과 속지(125) 사이에는 차폐금속판(124)이 고정결합된다. 차폐금속판(124)은 카드삽입슬릿(121a)에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휴대단말기의 NFC 리더가 내부에 수용된 카드를 읽는 오류가 빈번히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폐금속판(124)은 내부에 수용된 카드의 하부를 차폐하여 휴대단말기가 읽지 못하게 하며, 날개상면(121) 내부에 삽입되어 날개상면(121)과 날개하면(123)의 원단이 들뜨거나 울지 않고 형상이 유지되게 지지한다.
그립부재(130)는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외측, 즉 날개하면(123)에 결합된다. 그립부재(130)는 날개하면(123)의 그립결합절개공(123a)을 통해 속지(125)에 결합되는 날개결합접착시트(131)와, 날개결합접착시트(131)에 결합되며 판면에 리벳가이드홈(133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33)와, 가이드부재(133)의 상면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가변밴드(135)를 포함한다.
그립부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가이드홈(133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리벳(137)이 가변밴드(135)의 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사용자가 가변밴드(135)를 손가락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가변밴드(135)가 절곡된다.
가변밴드(135)가 절곡되며 형성된 구멍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사용할 수 있다. 리벳가이드홈(133a)에는 경로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홈(133b)이 형성되어 리벳(137)이 걸림홈(133b)에 끼워지며 가변밴드(135)의 위치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가변밴드(135)가 절곡되는 그립부재(130) 뿐만 아니라 손가락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그립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립톡(130a)의 형태가 사용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립링(130b)의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각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a,100b)의 카두수납접힘날개(120)에 형성되는 그립결합절개공(123a-1,123a-2)도 해당 그립톡(130a) 또는 그립링(130b)에 맞게 형성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에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그립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본인의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의 단말기결합부(110)를 부착한다. 단말기결합부(110)의 뒷면에 부착된 보호필름(미도시)을 제거하고 양면테잎(115)을 휴대단말기(A)에 부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이 결합되면, 단말기결합부(110)에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겹쳐지게 접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단말기결합부(110)와 카드수납접힘날개(120)는 하부고정부재(119)와 상부고정부재(122)에 의해 결합되어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단말기결합부(110)에 접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립부재(130)의 가변밴드(135)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절곡시키고, 가변밴드(135)와 가이드부재(133) 사이의 공간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가변밴드(135)를 파지하여 휴대단말기(A)를 한손으로 떨어뜨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A)의 사용도중 카드로 결제해야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수납접힘날개(120)를 펼치고 카드삽입슬릿(121a)에 삽입되어 있던 카드(B)를 외부로 분리하여 결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A)의 충전이 필요할 경우, 휴대단말기(A)가 애플타입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타입 무선충전기(10)를 충전기결합공(111a)에 부착하여 충전하고, 휴대단말기(A)가 안드로이드 타입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드로이드타입 무선충전기(20)에 카드수납접힘날개(120)를 펼친상태에서 충전유도부재(117)가 중심에 위치하게 거치하여 충전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c)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d)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단말기결합부(110)의 상부에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혀지게 결합되었다. 반면,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c,100d)는 단말기결합부(110)의 상부에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혀지게 구비되고 단말기결합부(110)의 하부에 각도조절보조날개(140,140a)가 접혀지게 구비된다.
즉, 단말기결합부(110)에 카드수납접힘날개(120) 및 각도조절보조날개(140,140a)까지 세 층이 겹쳐지게 접혀진다.
도 6은 제2실시예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c)의 각도조절보조날개(14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각도조절보조날개(140)에 의해 휴대단말기(A)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각도조절보조날개(140)는 단말기결합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보조날개본체(141)와, 보조날개본체(141)에 관통형성되어 그립부재(1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그립노출공(143)과, 그립노출공(143)의 주변으로 수평하게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끼움홈(144)을 포함한다.
보조날개본체(141)는 상하 두겹의 섬유 내부에 형상을 유지하는 합성수지 속지가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날개본체(141)는 일정면적의 접힘면(142)에 의해 단말기결합부(110)와 결합되고, 접힘면(142)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각도조절끼움홈(144)은 그립노출공(143)의 주변으로 양측에 수평하게 판면에 대해 일정깊이 함몰형성된다.
각도조절보조날개(140)는 평상시에는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상면에 접혀진 상태로 사용되고, 사용자가 휴대단말기(A)를 이용해 영상을 시청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수평하게 펼쳐진다.
카드수납접힘날개(120)를 단말기결합부(110)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펼치고,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상단을 바닥에 수평하게 펼쳐진 각도조절보조날개(140)의 각도조절끼움홈(144) 중 희망하는 위치에 끼운다.
이에 각도조절보조날개(140)와 카드수납접힘날개(120) 및 휴대단말기(A)에 결합된 단말기결합부(110)가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휴대단말기(A)를 희망하는 각도(θ)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서는 단말기결합부(110)과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힘선(127)에 의해 접혀지게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경첩(미도시)을 이용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경첩(미도시)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희망하는 각도로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세로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8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d)는 제2실시예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c)와 비교할 때 그립노출절개공(143a)이 보조날개본체(141)의 하단까지 절개형성된다.
그립노출절개공(143a)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나눠진 보조날개본체(141)의 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접혀지는 한 쌍의 각도조절접힘다리(145)가 구비된다. 각도조절접힘다리(145)의 내부에는 다리고정자석(145a)이 내장되고, 각도조절접힘다리(145)는 접힘노치(145b)와 연결된 접힘선을 따라 접혀지게 구비된다.
이 때, 카드수납접힘날개(120) 내부에는 다리고정자석(145a)에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판 또는 자석이 내장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A)를 경사지게 거치해야할 때, 바닥에 수평하게 보조날개본체(141)가 위치되고, 각도조절접힘다리(145)가 상부를 향해 접혀지고,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하부가 각도조절접힘다리(145)에 자력으로 고정되며 기울어진 각도(θ)가 유지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카드수납부재(2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카드수납부재(2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접힘식 카드수납부재(100,100c,100d)는 가죽이나 합성피혁 재질의 단말기결합부(110)와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접힘선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구비된 형태였다.
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카드수납부재(200)는 제1실시예의 접힘식 카드수납부재(100)와 구조는 동일하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재질의 판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접힘식 카드수납부재(200)는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결합되는 단말기결합판(210)과, 단말기결합판(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카드(B)가 수납되는 카드수납회동판(220)과, 카드수납회동판(220)의 외면에 결합되는 그립밴드(230)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결합판(210)의 판면에는 충전유도부재(215)가 삽입되는 자석수납홈(211)이 함몰형성되고, 자석수납홈(211)의 가운데 영역에는 충전기결합공(213)이 관통형성된다.
단말기결합판(210)의 상면에는 겔패드(217)가 부착되고, 단말기결합판(210)의 하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양면테잎(미도시)이 구비되어 휴대단말기(A)에 단말기결합판(210)을 부착시킨다.
단말기결합판(210)의 하부에는 카드수납회동판(220)이 닫혀진 상태를 고정하는 락킹고리(214)가 돌출형성된다. 카드수납회동판(220)은 탄성적으로 락킹고리(214) 내부에 수납되거나 힘을 가하면 분리된다.
카드수납회동판(220)은 내면에 카드수납슬릿(221)이 절개 형성되고, 외면에 가이드홈(223a)이 형성된 가이드부(223)가 구비된다. 여기서, 카드수납슬릿(221)과 가이드부(223) 및 가이드홈(223a)은 사출성형 등을 통해 카드수납회동판(2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앞서 제1실시예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은 그립부재(130)의 가이드부재(133)가 카드수납접힘날개(120)에 부착되는 방식이나, 제4실시예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200)는 사출성형을 통해 카드수납회동판(220)에 가이드부(223)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전체 구성이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단말기결합판(210)의 상부와 카드수납회동판(220)의 하부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결합축(219)과 회전축(225)이 각각 구비된다. 이 때, 회전축결합축(219)과 회전축(225)의 중심영역에는 도 10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결합홈(219a) 및 회전돌기(225a)가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홈(219a)과 회전돌기(225a)의 주변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카드수납회동판(220)이 회동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홈(219b) 및 각도조절돌기(225b)가 복수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카드수납회동판(220)을 회동시킬 때 회전돌기(225a)의 형성각도만큼씩만 회동되어 회전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접힘식 카드수납부재(100,100c,100d, 200)은 독립된 형태로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직접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케이스(300)에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310)는 젤리타입이나 경질재질로 구비되어 휴대단말기(A)의 외부를 감싸게 구비된다. 스마트폰 케이스본체(310)의 배면에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의 카드수납부재(100,100c,100d,200)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스마트폰 케이스(4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400)는 케이스본체(410)에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직접 결합된다.
케이스본체(410)에는 충전기결합공(413)이 관통형성되고, 충전기결합공(413)의 주변으로 충전유도부재(415)가 매립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스본체(410)의 상부에는 연장면삽입슬릿(411)이 절개형성된다.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는 제1실시예의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100)의 카드수납접힘날개(12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부에 연장면삽입슬릿(411)에 삽입되는 삽입연장면(423)이 일정면적 연장되고, 삽입연장면(423)에는 양면테잎과 같은 점착부재(425)가 구비된다. 또한, 외면에는 그립부재(130)가 구비된다.
점착부재(425)가 부착된 상태로 삽입연장면(423)이 연장면삽입슬릿(411)에 삽입되어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410)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하부고정부재(417)와 상부고정부재(427)에 의해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가 케이스본체(410)에 접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카드 사용 또는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를 펼쳐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카드수납접힘날개가 단말기결합부에 대해 접혀지거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단말기결합부에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그립부재를 이용해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카드수납접힘날개에는 카드가 수납되며,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해야할 경우 카드수납접힘날개를 펼쳐 카드를 외부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결합부에는 애플타입 및 안드로이트타입 무선충전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게 충전기결합공과 충전유도부재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무선충전이 필요한 경우 카드수납접힘날개를 펼쳐 충전기결합공에 무선충전기를 위치시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한편, 상기에서는 카드수납접힘날개라 명명하였으나, 카드수납기능은 선택적인 것으로 접힘이 가능한 부재라면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카드수납접힘날개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안드로이드용 무선충전기 20 : 애플용 무선충전기
100 :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110 : 단말기결합부
111 : 단말기결합본체 111a : 충전기결합공
111b : 고정부재결합공 113 : 겔패드
113a : 자석수용홈 113b : 관통공
115 : 양면테잎 115a : 하부관통공
117 : 충전유도부재 119 : 하부고정부재
120 : 카드수납접힘날개 121 : 날개상면
121a : 카드삽입슬릿 121b : 결합라인
122 : 상부고정부재 123 : 날개하면
123a : 그립결합절개공 125 : 속지
127 : 접힘선 130 : 그립부재
130-1 : 그립톡 130-2 : 그립링
131 : 날개결합접착시트 133 : 가이드부재
133a : 리벳가이드홈 133b : 걸림홈
135 : 가변밴드 137 : 리벳
140,140a : 각도조절보조날개 141 : 보조날개본체
142 : 접힘면 143 : 그립노출공
143a : 그립노출절개공 144 : 각도조절끼움홈
145 : 각도조절접힘다리 145a : 다리고정자석
145b : 접힘노치 200 :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210 : 단말기결합판 211 : 자석수납홈
213 : 충전기결합공 214 : 락킹고리
215 : 충전유도부재 217 : 갤패드
219 : 회전축결합축 219a : 결합홈
219b : 각도조절홈 220 : 카드수납회동판
221 : 카드수납슬릿 223 : 가이드부
223a : 가이드홈 225 : 회전축
225a : 회전돌기 225b : 각도조절돌기
230 : 그립밴드 300 : 스마트폰 케이스
310 : 케이스본체 400 : 스마트폰 케이스
410 : 케이스본체 411 : 연장면삽입슬릿
413 : 충전기결합공 415 : 충전유도부재
417 : 하부고정부재 420 : 탈부착카드수납부재
421 : 카드수납슬릿 423 : 삽입연장면
425 : 점착부재 427 : 상부고정부재
A : 휴대단말기
B : 카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판면에 무선충전기가 결합되는 충전기결합공(111a)이 관통형성된 단말기결합부(110)와;
    상기 단말기결합부(110)의 상단에 접힘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드수납접힘날개(120)와;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외면에 결합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결합부(110)에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겹쳐지게 접혀졌을 때 서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하부고정부재(119)와 상부고정부재(122)가 상기 단말기결합부(110)의 하부와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4.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판면에 무선충전기가 결합되는 충전기결합공(111a)이 관통형성된 단말기결합부(110)와;
    상기 단말기결합부(110)의 상단에 접힘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드수납접힘날개(120)와;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외면에 결합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결합부(110)의 하부에 접힘가능하게 연장형성되며 접혀졌을 때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상면에 위치되고, 펼쳐졌을 때 바닥면에 수평하게 펼쳐지며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거치각도가 조절되게 지지하는 각도조절보조날개(140,14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보조날개(140)는 판면에 상기 그립부재(1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그립노출공(143)이 판면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그립노출공(143)의 양측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평하게 함몰형성되어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의 상단이 끼워지며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끼움홈(14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보조날개(140a)는 내측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절개되어 상기 그립부재(1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그립노출절개공(143a)을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날개본체(141)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조날개본체(141)는 상기 각도조절보조날개(140)가 지면에 수평하게 펼쳐지고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가 상기 각도조절보조날개(140)의 상면에 경사지게 위치되었을 때 단부가 상기 카드수납접힘날개(120)를 향해 접혀지며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접힘다리(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7.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판면에 무선충전기가 결합되는 충전기결합공(213)이 관통형성된 단말기결합판(210)과;
    상기 단말기결합판(210)의 상단에 접힘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드수납회동판(220)과;
    상기 카드수납회동판(220)의 외면에 결합되며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밴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결합판(210)과 상기 카드수납회동판(220)은 경질재질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드수납회동판(220)의 상부 판면에는 상기 그립밴드(2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3a)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결합판(210)과 상기 카드수납회동판(220)의 회전축결합축(219)과 회전축(225)에는 서로 맞물리며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홈(219b)과 각도조절돌기(225b)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8.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며 배면에 연장면삽입슬릿(411)이 절개 형성되는 케이스본체(410)와;
    상기 케이스본체(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카드삽입슬릿(421)이 절개형성된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와;
    상기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의 배면에 결합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카드수납부재(420)는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연장면삽입슬릿(411)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연장면(423)과;
    상기 삽입연장면(423)에 일정면적 부착되어 상기 삽입연장면(423)이 상기 연장면삽입슬릿(41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점착부재(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수납부재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220017619A 2022-02-10 2022-02-10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KR10261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19A KR102616974B1 (ko) 2022-02-10 2022-02-10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CN202220982892.XU CN217159806U (zh) 2022-02-10 2022-04-26 一种新型手机外壳
CN202220982589.XU CN217159805U (zh) 2022-02-10 2022-04-26 一种可折叠智能手机握把结构
PCT/KR2022/017124 WO2023153583A1 (ko) 2022-02-10 2022-11-03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19A KR102616974B1 (ko) 2022-02-10 2022-02-10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61A KR20230120861A (ko) 2023-08-17
KR102616974B1 true KR102616974B1 (ko) 2023-12-27

Family

ID=8266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619A KR102616974B1 (ko) 2022-02-10 2022-02-10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16974B1 (ko)
CN (2) CN217159806U (ko)
WO (1) WO20231535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5234A (zh) * 2013-11-24 2016-11-23 S·阿夫托尔 用于移动电话的薄型充电器
KR101422196B1 (ko) * 2014-04-14 2014-07-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160003288U (ko) * 2015-03-17 2016-09-27 하동원 휴대폰케이스
CN205039893U (zh) 2015-10-20 2016-02-17 朴振奎 一种手机支架
KR101832922B1 (ko)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KR200493449Y1 (ko) * 2018-08-10 2021-04-02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JP7304618B2 (ja) * 2019-05-22 2023-07-07 株式会社グルマンディーズ 携帯カードケース
US10916954B1 (en) * 2019-12-03 2021-02-09 Alhusain Sheriff Mobile devic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61A (ko) 2023-08-17
CN217159805U (zh) 2022-08-09
WO2023153583A1 (ko) 2023-08-17
CN217159806U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231B2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647306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US5348347A (en) Portable phone organizer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30214661A1 (en) Folding Tablet Keyboard Case
WO2015009657A2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9344135B2 (en) Holding aid to type on a touch sensitive screen for a mobile phone, personal, hand-held, tablet-shaped,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10051933B2 (en) Notched case for a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telephone, smartphone or tablet device
KR20230088378A (ko)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시스템
US10368622B1 (en) Glare shield for a mobile telephone
US11278114B2 (en) Portable reading stand
US11013308B2 (en) Apparatus for carrying electronic device
KR200464678Y1 (ko) 태블릿 피씨용 가방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851292B1 (ko)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KR102616974B1 (ko) 접이식 스마트폰 그립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97241B1 (ko) 스마트폰 케이스
US20230115632A1 (en) Folio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 with magnetic wireless charger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210063696A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US20050190542A1 (en) Case for handheld device
KR101695098B1 (ko)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