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78Y1 - 태블릿 피씨용 가방 - Google Patents

태블릿 피씨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78Y1
KR200464678Y1 KR2020110004305U KR20110004305U KR200464678Y1 KR 200464678 Y1 KR200464678 Y1 KR 200464678Y1 KR 2020110004305 U KR2020110004305 U KR 2020110004305U KR 20110004305 U KR20110004305 U KR 20110004305U KR 200464678 Y1 KR200464678 Y1 KR 200464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mounting
bag
mounting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118U (ko
Inventor
이혜선
Original Assignee
이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선 filed Critical 이혜선
Priority to KR2020110004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7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태블릿 PC를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호하고 장식 기능을 발휘함과 아울러, 태블릿 PC 사용 중에는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태블릿 PC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사용자가 거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태블릿 PC용 가방.
본 고안의 태블릿 PC용 가방은 배면부(10)와, 상기 배면부(10)에 그 하단 및 양측 모서리가 결합되어 있는 정면부(20)와, 상기 배면부에 그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개폐가 가능한 덮개(30)와, 상기 정면부에 그 하부가 결합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제1 절곡선(42)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40)를 구비한다. 거치부(40)에 있어서, 제1 절곡선(42)의 상부는 회동하여, 태블릿 피씨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50)과 상기 거치면(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60)을 형성할 수 있다. 배면부(10) 및 덮개(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태블릿 피씨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턱(80a~80d)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태블릿 피씨용 가방{Tablet PC Bag}
본 고안은 물품 보관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형 정보기기를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 PC(Tablet PC)는 이동중에도 무선랜을 통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할 수 있는 모바일 PC로서, 스마트폰보다 넓은 액정 패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문서작성이나, 동영상 시청 및 웹브라우징 등 인터넷 사용 시에 효율성이 높아서 점차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PC와 같은 여타의 휴대형 기기와 마찬가지로, 태블릿 PC 사용자들은 손에서 배출된 땀으로 인한 미끄러짐, 외부와의 마찰로 인한 긁힘, 충격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용 케이스 내지 가방을 사용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런데, 종래의 가방은 기기 보호 기능과 악세사리로서의 장식 기능을 수행할 뿐이며, 사용과정에서는 별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바가 없다.
한편, 태블릿 PC는 스마트폰이나 일반 휴대폰보다 중량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우며, 건물이나 차량 내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별도의 거치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거치 수단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거치 각도는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동영상 시청이나 웹브라우징과 같이 키 입력 빈도가 낮은 기능 수행시에는 모니터처럼 수직에 가까운 거치 각도가 바람직한 반면에, 문서작성이나 이메일 송신과 같이 키 입력 빈도가 높은 기능 수행시에는 데스크탑 PC의 키보드처럼 수평에 가까운 거치 각도가 바람직하다.
이를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의 받침대가 악세사리로써 판매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이를 가방에 함께 수납하여 휴대하기 어렵고, 거치 각도가 고정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태블릿 PC의 액정패널과 터치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중에는 다단으로 절곡시켜 입체 형상을 구성하여 거치대로써 활용할 수 있는 소위 '스마트 커버'도 있지만, 스마트 커버가 구현할 수 있는 거치 각도는 하나로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가방과 별도로 이를 구매하여 소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블릿 PC를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호하고 장식 기능을 발휘함과 아울러, 태블릿 PC 사용 중에는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거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태블릿 PC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태블릿 PC용 가방은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그 하단 및 양측 모서리가 결합되어 있는 정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그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개폐가 가능한 덮개와, 상기 정면부에 그 하부가 결합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제1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를 구비한다. 거치부에 있어서, 제1 절곡선의 상부는 회동하여, 태블릿 피씨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배면부 및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태블릿 피씨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태블릿 피씨의 거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면은 거치부에서 제1 절곡선의 상부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면은 거치면의 하측 이면에 그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제1 절곡선과 평행하게 제2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태블릿 피씨용 가방이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제2 절곡선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거치부와 지지부가 이루는 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거치면와 지지면 사이에는 밴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밴드의 양단은 거치면과 지지부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지지면은 별도의 부재로서 거치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거치면의 상측에 외피를 절개하여 만입부를 형성하고, 지지부를 만입부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거치면이 제1 절곡선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면은 제1 절곡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거치면과 연이어져 있도록 거치부가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거치면은 제1 절곡선을 중심으로 배면부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지지면은 제2 절곡선을 중심으로 배면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태블릿 PC용 가방은 태블릿 PC를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호하고 장식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사용 중에는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태블릿 PC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거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태블릿 PC가 동영상 시청이나 웹브라우징과 같이 키 입력 빈도가 낮은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모니터처럼 수직에 가까운 거치 각도를 제공하여 정확한 시야각이 형성될 수 있게 해주고, 문서작성이나 이메일 송신과 같이 키 입력 빈도가 높은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데스크탑 PC의 키보드처럼 수평에 가까운 거치 각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키보드와 터치패널을 통해 편안하게 키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태블릿 PC용 가방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방에서 덮개를 젖혀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방에서 거치면을 들어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가방에서 거치면과 지지면에 의해 거치대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가방에 태블릿 PC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의 가방에 태블릿 PC를 얹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가방에 태블릿 PC를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태블릿 PC용 가방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가방에서 거치면과 지지면에 의해 거치대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PC용 가방(이하, "가방"라 함)은 배면부(10)와, 상기 배면부(10)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으면서 배면부(1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 하측을 향해 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전면 하측으로 연이어진 덮개(20)와, 상기 배면부(10)의 하측 전면에 바느질에 의해 배면부(10)의 하단 및 양측 모서리가 결합되어 있는 정면부(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면부(30)는 배면부(10)에 비하여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태블릿 PC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면부(30)의 양측 모서리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정면부(30) 및 배면부(10)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면부(30)의 볼록한 형상과 정면부(30) 및 배면부(10) 사이의 간극은 정면부(30)의 적어도 상단 부분의 폭을 여유있게 재단하여 만곡하고, 정면부(30) 및 배면부(10)의 양측 모서리를 바느질 선을 조절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10), 덮개(20), 및 정면부(30)의 겊감은 소가죽으로 되어 있고, 속감은 샤무드(Chamude) 재질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겊감으로 다른 종류의 천연가죽이나 합성 피혁, 또는 천이 사용될 수 있고, 속감으로도, 천이나 여타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겉감과 속감 사이에는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분지와 같은 종이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후판 내지 보드로 되어 있는 보강재 층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30)의 배면에는 거치부(40)가 정면부(30)의 상단 위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거치부(40)는 대략 판 형상을 가지며, 하측이 정면부(30)의 배면 상단에 바느질 결합되어 있다. 거치부(40)에서 정면부(30)와 결합되는 재봉선 상측에는 제1 절곡선(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절곡선(42) 상측의 부분의 판재는 태블릿 PC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50)을 구성하게 된다. 거치면(50)은 제1 절곡선(42)을 따라 배면부(10)의 반대 방향(도 2에서 상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거치면(50) 상에는 지지부(60)가 그 상단 모서리가 거치면(50)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면(60)은 그 상단 모서리가 거치면(50)의 상단 모서리와 정렬된 상태에서 지지면(60) 및 거치면(50)의 상단 모서리들이 바느질 결합되어 있다. 지지면(60)의 상단 재봉선 하측에는 제2 절곡선(6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절곡선(62)을 중심으로 지지면(60)의 하부가 젖혀지면서 지지면(60)이 인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지지면(6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지지면(60)의 하단 중앙에는 상측으로 만입되어 있는 요홈(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면(50)의 정면측 겉감은 정면부(30)와 마찬가지로 소가죽으로 되어 있고, 보강재 층을 사이에 두고 겉감과 결합되는 속감은 샤무드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거치면(50)의 속감은 정면부(30)의 속감과 일체로서 연이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절곡선(42) 상측에 있는 거치면(50)에 있어서 좌우 중앙 부분에는 상단 모서리로부터 외피가 대략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있는 만입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거치면(50)의 만입부(52) 즉, 지지면(60)을 회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부위는 내피와 같은 재질의 소재로 되어 있으며 보강재 층을 사이에 두고 내피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60)은 거치면(50)의 만입부(52)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만입부(52) 내에 배치된다. 지지면(50) 역시 겉감은 소가죽으로 되어 있고, 보강재 층을 사이에 두고 겉감과 결합되는 속감은 샤무드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60)이 거치면(50)으로부터 젖혀지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밴드(70)가 거치면(50) 및 지지면(60)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밴드(70)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직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양 단부가 거치면(50) 및 지지면(60)에 바느질 결합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가방에 태블릿 PC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태블릿 PC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20)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80a, 80b)이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80a, 80b)은 속감과 보강재층 사이에 추가적인 보강재를 매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추가적인 보강재는 마분지와 같은 종이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후판 내지 보드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러버나 그밖의 신축성있는 소재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10)에서 거치부(40)의 제1 절곡선(42)에 상응하는 부위의 상방에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80c, 80d)이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80c, 80d) 역시 배면부(10)의 속감과 보강재층 사이에 추가적인 보강재를 매립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덮개(20)의 하측 내면에는 자석(90, 92)이 매립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여 거치부(40)에도 자석(94, 96)이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20)에 있는 자석(90)은 거치부(40)의 자석(94)과 자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고, 덮개(20)에 있는 자석(92)은 거치부(40)의 자석(96)과 밀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가방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가방에 태블릿 PC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가방의 덮개(20)를 상방으로 젖혀 개방한 다음, 거치부(40)을 상방으로 젖힌 상태에서 덮개(20)와 거치부(40)의 사이에 태블릿 PC를 삽입할 수 있다. 태블릿 PC를 덮개(20)와 정면부(30)의 사이에 있는 공간 하측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덮개(20)를 덮고 덮개(20)에 있는 자석(90)과 거치부(40)의 자석(94)이 밀착되도록 하고 덮개(20)에 있는 자석(92)과 거치부(40)의 자석(96)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덮개(20)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다시, 가방에서 태블릿 PC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방의 덮개(20)를 상방으로 젖혀 개방한 다음, 거치부(40)를 상방으로 젖힌 상태에서 태블릿 PC를 인출할 수 있다. 태블릿 PC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방은 태블릿 PC를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호하고 장식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태블릿 PC를 얹어놓을 테이블이 없는 경우 예컨대 이동중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탑승중인 상태에서 태블릿 PC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에 태블릿 PC를 얹어놓고 가방 및 태블릿 PC를 무릎 위에 올려놓거나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태블릿 PC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태블릿 PC를 테이블 위에 놓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을 태블릿 PC용 거치대로 활용하여 가방에 태블릿 PC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태블릿 PC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거치대의 덮개(20)와 배면부(30) 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80a~80d) 중 하나를 선택,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태블릿 PC의 거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가방을 거치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덮개(20)를 펼친 후, 지지면(60)을 제2 절곡선(6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전방(도면에서 상방)으로 젖힌다. 그 다음, 지지면(60)이 젖혀진 상태에서 거치면(50)을 제1 절곡선(4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전방(도면에서 상방)으로 젖힌다. 이때, 지지면(60)은 거치면(50)과 함께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에서 볼 때 거치면(50)이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치되고, 지지면(60)이 거치면(50)의 배면 하단을 지지하게 되며, 지지면(60)이 거치면(50)으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밴드(70)가 제한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태블릿 PC가 예컨대 동영상 시청이나 웹브라우징과 같이 키 입력 빈도가 낮은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사용자는 도 7과 같이 거치면(50)에 가장 가까운 걸림턱(80d)의 후단에 태블릿 PC 하단이 걸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니터처럼 수직에 가까운 거치 각도가 형성되며, 태블릿 PC의 액정 패널의 중심점에서의 법선이 사용자의 안구 부위를 향하게 되어 사용자는 태블릿 PC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정확히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태블릿 PC가 문서작성이나 이메일 송신과 같이 키 입력 빈도가 높은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사용자는 도 8과 같이 거치면(5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가까운 걸림턱(80a)의 후단에 태블릿 PC 하단이 걸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스크탑 PC의 키보드처럼 수평에 가까운 거치 각도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키보드와 터치패널을 통해 편안하게 키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는 태블릿 PC를 횡방향으로 거치시켜 사용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9와 같이 태블릿 PC를 종방향으로 거치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이와 동일하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PC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걸림턱(70a~70d)은 태블릿 PC의 하단을 미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태블릿 PC용 가방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거치부(140)는 정면부(130)와의 결합 부분 상측에서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 절곡선(142)과, 제1 절곡선(142)의 상측에서 제1 절곡선(14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 절곡선(144)을 포함하는 판 형상을 가진다. 제2 절곡선(144)의 상부는 태블릿 PC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160)으로 작용하고, 제1 절곡선(142)과 제2 절곡선(144)의 사이 부분은 거치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50)으로 작용한다.
거치부(140)의 상부 즉, 지지면(150) 및 거치면(160)은 제1 절곡선(142)을 중심으로 하여 배면부(110)의 반대방향(즉, 도면에서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면(160)은 지지면(150)을 기준으로 할 때 제2 절곡선(144)을 중심으로 배면부(110) 방향(즉, 도면에서 하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가방에서 거치면(160)과 지지면(150)에 의해 거치대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지지면(150)을 제1 절곡선(14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시킨 다음, 거치면(160)을 제2 절곡선(144)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시켜서, 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거치대를 구성한 상태에서, 거치면(160)의 하단을 지지하여 사용자 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면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2, 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부(140)에는 상기 돌출부(112, 114)에 상응하는 관통공(162, 164) 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가방에 있어서도, 덮개(120) 및/또는 배면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180a~180c)이 형성된다. 특히, 태블릿 PC의 거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걸림턱(180a~180c)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가방의 다른 특징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거치면(50) 상측에서 외피가 완전히 절개되어 있는 만입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면(50)의 만입부(52)에 맞추어 지지면(60)이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면(60)이 거치면(50)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미감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피가 완전히 절개되어 있는 만입부(52)가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거치면(50)이 'U'자형으로 부분 절개되어 젖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거치면(50)에 만입부(52)가 마련됨이 없이, 거치면(50) 상에 지지면(60)이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방의 일측에는 휴대형 끈을 연결하거나 미감을 부가하기 위한 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가방의 정면에는 미감을 부가하기 위한 버클이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태블릿 PC가 수납된 상태에서 자석(90~96)의 자기력보다 큰 외력이 인가되어 덮개(20, 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착 수단, 예컨대 암수 버튼식 단추나 벨크로 테잎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태블릿 PC의 모서리에 자력 센서가 마련되어 있어서 자석이 인접하는 경우 대기모드로 전환되거나 꺼지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여 배면부 및/또는 정면부(30, 130)의 하단에 추가적으로 자석이 매립되어 있을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밴드(70)가 일정한 면을 가지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끈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방의 크기는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각 태블릿 PC 기종마다 그 크기를 달리하여 별도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면부
20: 덮개
30: 정면부
40: 거치부, 42: 제1 절곡선
50: 거치면, 52: 만입부
60: 지지면, 62: 제2 절곡선, 64: 요홈
70: 밴드
80a~80d: 걸림턱
90~96: 자석
110: 배면부, 112, 114L 돌출부
130: 정면부
140: 거치부, 142: 제1 절곡선, 144: 제2 절곡선
150: 지지면
160: 거치면, 162, 164: 관통공
180a~180c: 걸림턱

Claims (6)

  1. 태블릿 피씨를 수납하기 위한 가방으로서,
    배면부;
    상기 배면부에 그 하단 및 양측 모서리가 결합되어 있는 정면부;
    상기 배면부에 그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개폐가 가능한 덮개; 및
    상기 정면부에 그 하부가 결합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 제1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곡선 상부가 회동하여 상기 태블릿 피씨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는 거치부;
    를 구비하며, 상기 배면부 및 상기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 상기 태블릿 피씨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태블릿 피씨용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 피씨의 거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태블릿 피씨용 가방.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면은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제1 절곡선의 상부로서 구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상기 거치면의 하측 이면에 그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제1 절곡선과 평행하게 제2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태블릿 피씨용 가방이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절곡선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태블릿 피씨용 가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면과 상기 지지면이 이루는 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면과 상기 지지면에 양단이 결합되어 있는 밴드;
    를 더 구비하는 태블릿 피씨용 가방.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면의 상측에서 외피가 절개되어 있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만입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태블릿 피씨용 가방.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절곡선의 상부에 있는 상기 거치면과,
    상기 제1 절곡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거치면과 연이어져 있는 상기 지지면;
    을 구비하여, 상기 거치면이 상기 제1 절곡선을 중심으로 상기 배면부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2 절곡선을 중심으로 상기 배면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태블릿 피씨용 가방.
KR2020110004305U 2011-05-19 2011-05-19 태블릿 피씨용 가방 KR200464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05U KR200464678Y1 (ko) 2011-05-19 2011-05-19 태블릿 피씨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05U KR200464678Y1 (ko) 2011-05-19 2011-05-19 태블릿 피씨용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18U KR20120008118U (ko) 2012-11-28
KR200464678Y1 true KR200464678Y1 (ko) 2013-01-14

Family

ID=4751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305U KR200464678Y1 (ko) 2011-05-19 2011-05-19 태블릿 피씨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40Y1 (ko) 2013-11-21 2014-02-10 김종훈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469609B1 (ko) * 2013-01-24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 거치용 접이식 파우치
KR101472033B1 (ko) * 2014-08-08 2014-12-1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16021946A3 (ko) * 2014-08-08 2016-03-3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61Y1 (ko) * 2012-03-09 2017-04-19 푸-이 수 보호백
KR101274572B1 (ko) * 2012-12-05 2013-06-13 이현철 자석식 보강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66Y1 (ko) 2010-07-09 2010-10-29 전순환 휴대기기의 보호커버
EP2383965A1 (en) 2010-04-28 2011-11-02 SwitchEasy Limited Combination of protective casing and stand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3965A1 (en) 2010-04-28 2011-11-02 SwitchEasy Limited Combination of protective casing and stand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450766Y1 (ko) 2010-07-09 2010-10-29 전순환 휴대기기의 보호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09B1 (ko) * 2013-01-24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 거치용 접이식 파우치
US9398794B2 (en) 2013-01-24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pouch for mobile terminal
KR200471240Y1 (ko) 2013-11-21 2014-02-10 김종훈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472033B1 (ko) * 2014-08-08 2014-12-1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16021946A3 (ko) * 2014-08-08 2016-03-3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18U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531B2 (en) Case for electronic tablet
JP5915434B2 (ja) カバー
KR200464678Y1 (ko) 태블릿 피씨용 가방
US11006712B2 (en) Multi-function wallet
US8997983B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10211872B1 (en) Case for electronic tablet
US20120211377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JP3174558U (ja) 多機能保護ケース
US8763795B1 (en) Dual support flap case
EP2647306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US8714510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and stand
US9489015B2 (en) Cover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having retaining mechanisms
US8899415B2 (en)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variable angle stand
US9310835B2 (en) Cover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JP2011253514A (ja) タブレットpc用ケース
WO2012087152A1 (en) Device for storing electronic means and cards
KR20120015749A (ko)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태블릿pc용 케이스
US20150129438A1 (en) Electronic device case for selectively tilting an electronic device
GB2585850A (en) A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KR102563141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6766Y1 (ko) 휴대 전자기기용 다기능 파우치
KR20130014714A (ko)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수용 및 사용할 수 있는 서류가방
JP2018083084A (ja) 機器の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