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40Y1 - 전자기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40Y1
KR200471240Y1 KR2020130009605U KR20130009605U KR200471240Y1 KR 200471240 Y1 KR200471240 Y1 KR 200471240Y1 KR 2020130009605 U KR2020130009605 U KR 2020130009605U KR 20130009605 U KR20130009605 U KR 20130009605U KR 200471240 Y1 KR200471240 Y1 KR 200471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orizontal
vertical
electronic devic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2020130009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한 쌍의 수평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하부에 삽입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거치대{A cradle for electronic devices}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주위에 비치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영상, DMB 수신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일이 잦아졌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성상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육체적 피로가 수반되고, 신체활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높고, 실수로 떨어뜨려 전자기기에 손상을 주게 되는 등 휴대, 사용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거치대가 일부 제공되고 있기는 하나 고정식으로 그 사용범위가 차량에 한정되어 있고 이동이 불가능하며 밧데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 이외에 가정이나 영업소의 경우 전자기기를 안정되게 거치할 만한 거치수단의 결여로 인해 전기기기의 분실 및 손상 등으로 인해 재구입하게 되는 등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713495호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탠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 스탠딩장치는 받침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링크부재가 받침대와 이격되면서 고정부재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 스탠딩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잦은 고장 및 파손이 발생되고, 고정부재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게 사용할 때마다 이동부재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전자기기를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거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수평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하부에 삽입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돌기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지지돌기 보다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상부에는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수평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하부에 삽입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돌기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타측 단부에는 연장부가 각각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전자기기를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거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100)는 한 쌍의 지지대(110), 수평플레이트(120), 수직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대(110)는 한 쌍의 수평부(112)와, 한 쌍의 수평부(112)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1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수평부(112)의 일측 상부면에는 삽입홈(112a)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삽입홈(112a)과 대향되는 연장부(112b)가 각각 형성된다. 연장부(112b)는 전자기기가 거치대(100)에 거치되었을 때, 거치대(100)가 넘어지지 않도록 무게 중심을 잡아준다.
또한, 한 쌍의 수직부(114)의 상부에는 지지부(115)가 구비되는데, 이 지지부(115)는 수직부(114)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홈(114a)에 결합되어 거치대(100)에 거치된 전가기기의 상부 일측면을 지지한다.
수평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수평부(112)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홈(112a)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한 쌍의 수직부(114)의 일측면에 하부에 삽입되어 거치대(10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이때, 수평플레이트(120)의 일단과 타단 소정 위치 즉, 삽입홈(112a)과 한 쌍의 수직부(114)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위치에는 수평플레이트(120)가 손쉽게 삽입홈(112a)과 한 쌍의 수직부(114)에 삽입될 수 있게 홈(12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평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는 거치대(10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돌기(124)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지지돌기(124)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지지돌기 보다 높이가 더 높게, 구체적으로는 수평플레이트(120)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거치대(100)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하부면이 수평플레이트(120)의 최외측에 구비된 지지돌기에 지지될 때 전자기기가 거치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자기기의 하부면이 수평플레이트(120)의 최외측에 구비된 지지돌기에 지지될 때의 거치각도가 다른 지지돌기에 전자기기의 하부면이 지지될 때의 거치각도 보다 작기 때문에 전자기기가 최외측에 구비된 지지돌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직플레이트(130)는 한 쌍의 수직부(114)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114b)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한 쌍의 수직부(114)를 상호 연결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200)는 제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수직플레이트(230)가 한 쌍의 수직부(214)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돌기(218)에 결합되는 것과, 한 쌍의 수평부(21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16)가 형성되고, 수평플레이트(220)에는 걸림돌기(216)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220a)이 형성되고, 걸림돌기(216)가 거치대(200)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거치 각도를 조절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지지대
112, 212: 수평부
112a, 212a: 삽입홈
112b, 212b: 연장부
114, 214: 수직부
114a: 결합홈
114b: 절개홈
115: 지지부
120, 220: 수평플레이트
122, 222: 홈
124: 지지돌기
130, 230: 수직플레이트

Claims (6)

  1. 한 쌍의 수평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하부에 삽입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돌기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지지돌기 보다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상부에는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
  4. 한 쌍의 수평부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하부에 삽입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돌기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가지지용 거치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대향되는 상기 한 쌍의 수평부의 타측 단부에는 연장부가 각각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20130009605U 2013-11-21 2013-11-21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0471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05U KR200471240Y1 (ko) 2013-11-21 2013-11-21 전자기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05U KR200471240Y1 (ko) 2013-11-21 2013-11-21 전자기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40Y1 true KR200471240Y1 (ko) 2014-02-10

Family

ID=5141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605U KR200471240Y1 (ko) 2013-11-21 2013-11-21 전자기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3220A1 (en) * 2013-12-18 2015-06-18 Jong Hun Kim Cradle for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850A (ko) * 1999-11-23 2001-06-15 차종남 휴대폰 거치대
JP2003310358A (ja) 2002-04-26 2003-11-05 Masuo Morisato 書見台
KR100713495B1 (ko) 2006-02-22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거치대
KR200464678Y1 (ko) 2011-05-19 2013-01-14 이혜선 태블릿 피씨용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850A (ko) * 1999-11-23 2001-06-15 차종남 휴대폰 거치대
JP2003310358A (ja) 2002-04-26 2003-11-05 Masuo Morisato 書見台
KR100713495B1 (ko) 2006-02-22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거치대
KR200464678Y1 (ko) 2011-05-19 2013-01-14 이혜선 태블릿 피씨용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3220A1 (en) * 2013-12-18 2015-06-18 Jong Hun Kim Cradle for Electronic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536B1 (en) Smart phone case with carry stand
USD743924S1 (en) Docking station for telephone and flat computer
USD671950S1 (en) Apparatus holder
USD685804S1 (en) Apparatus holder
US20140153182A1 (en) Portable-computer stand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US20150034778A1 (en) Holder stand
TW201528640A (zh) 無線充電基座
US9628913B2 (en) Support stand and wireless speaker system for tablet computing device
CN102062279A (zh) 便携式支架
US20130075544A1 (en) Supporting apparatus
KR200471240Y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CN102045971A (zh) 电子设备
US10575426B2 (en) Electric appliance and hanger for the same
KR200475759Y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JP2015104577A (ja) 携帯情報機器のサポート装置及びテーブル
CN104747806A (zh) 用于输油管道高度可调的托管
WO2013047539A1 (ja) 携帯型情報端末用保持台および卓上電話機
CN203395539U (zh) 空调插排辅助支架
WO2019178648A1 (en) Improved wireless charging station
TWM496890U (zh) 無線充電器之承置調節結構
CN104634060A (zh) 瓶框及冰箱
KR20150002501U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CN202001792U (zh) 电子产品支架
US8382049B2 (en) Support device
CN202949466U (zh) 带支架的手机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