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592B1 -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592B1
KR102543592B1 KR1020200184152A KR20200184152A KR102543592B1 KR 102543592 B1 KR102543592 B1 KR 102543592B1 KR 1020200184152 A KR1020200184152 A KR 1020200184152A KR 20200184152 A KR20200184152 A KR 20200184152A KR 102543592 B1 KR102543592 B1 KR 10254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mobile phone
phone case
coil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443A (ko
Inventor
오정희
Original Assignee
오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희 filed Critical 오정희
Priority to KR102020018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5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슬림화되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가 구비된 코일부(121),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리벳(150), 각 제1 리벳(150)과 결합되어 제1 리벳(150)을 고정하는 복수의 제1 마그네틱(122)을 포함하는 폰케이스(100); 제1 마그네틱(122)과 자력으로 접촉되며, 복수의 제2 리벳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마그네틱(211)이 고정되는 받침커버(210), 받침커버(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이크의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컨버터(221), 전압컨버터(221) 및 코일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125)를 포함하는 폰거치대(200)를 포함하고, 제1 리벳과 제2 리벳은 코일부(121)와 기판부(125) 및 전압컨버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마그네틱(122)과 제2 마그네틱(211)이 상호간 자력으로 접촉되면 상시전원이 코일부(121)로 인가되는 전원단자로서의 기능을 하는,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omitted}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대도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사업으로, 음식점의 배달 서비스를 대신하고 가맹점(상점)으로부터 월간 회비와 배달 요금을 과금하여 대행 기사에게 지븍하는 배달중개 서비스가 성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주로 바이크가 사용되며, 네이게이션 용도와 배달 주문 용도로 휴대폰을 적어도 2개 이상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바이크에 장착된 휴대폰은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바이크의 상시 전원에 연결단자를 연결시켜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출원번호 10-2020-0116863)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은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에 무선충전모듈을 내장시키되, 폰케이스를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무선충전모듈을 통해 휴대폰을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에 의하면 첫째, 무선충전모듈의 두께 때문에 폰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기판부와 코일부를 일체형으로 사출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하드케이스용 폰케이스에는 무선충전모듈을 장착하기 비교적 용이하나 젤리형 폰케이스 사용자의 경우 젤리형 폰케이스용으로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3553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보다 슬림화되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된 코일부(121),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리벳(150), 각 제1 리벳(150)과 결합되어 제1 리벳(150)을 고정하는 복수의 제1 마그네틱(122)을 포함하는 폰케이스(100); 제1 마그네틱(122)과 자력으로 접촉되며, 복수의 제2 리벳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마그네틱(211)이 고정되는 받침커버(210), 받침커버(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이크의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컨버터(221), 전압컨버터(221) 및 코일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125)를 포함하는 폰거치대(200)를 포함하고, 제1 리벳과 제2 리벳은 코일부(121)와 기판부(125) 및 전압컨버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마그네틱(122)과 제2 마그네틱(211)이 상호간 자력으로 접촉되면 상시전원이 코일부(121)로 인가되는 전원단자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폰케이스(100)는 카드삽입구(140)를 구비하고, 코일부(121)가 카드삽입구(14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폰케이스는 플레이트(P) 형태의 제1 폰케이스이고, 플레이트(P)의 일측면에는 코일부(121)와 제1 리벳(15)이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제1 리벳(150)과 제1 마그네틱(122)이 배치되며, 휴대폰(500) 후면에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형태의 제1 폰케이스는 휴대폰이 삽입되는 젤리형 폰케이스인 제2 폰케이스의 후면에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탈부착하거나, 휴대폰이 삽입되는 방수형 폰케이스(C)인 제3 폰케이스의 외측 후면에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탈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을 별도로 행하지 않고 폰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휴대폰 배터리를 자동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코일부와 기판부를 분리하여 폰케이스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코일부만 장착하여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기판부의 두께 때문에 폰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기판부와 코일부를 일체형으로 사출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에 코일부를 내장시키되, 폰케이스는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코일부와 폰거치대에 내장된 기판부를 통해 휴대폰을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부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카드삽입용 폰케이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폰 케이스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
도 6은 폰거치대의 지지커버에 기판부와 전압컨버터가 장착된 사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폰케이스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폰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폰 케이스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폰거치대의 지지커버에 기판부와 전압컨버터가 장착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폰케이스의 내부에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일 부품인 코일부가 내장되고, 폰거치대의 내부에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인 기판부가 내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을 별도로 행하지 않고 폰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휴대폰 배터리를 자동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코일부와 기판부를 분리하여 폰케이스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코일부만 장착하여 무선충전모듈, 특히 기판부의 두께 때문에 폰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기판부와 코일부를 일체형으로 사출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에 코일부를 내장시키되, 폰케이스는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코일부와 폰거치대에 내장된 기판부를 통해 휴대폰을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는 상호간 제1, 2 마그네틱을 통해 자력으로 고정하되, 제1, 2 마그네틱은 무선충전모듈(코일부, 기판부)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원단자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1, 2 리벳이 삽입되어 있고, 폰거치대는 내부에 전압컨버터가 내장되어 바이크의 전원을 상시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는, 휴대폰(500)에 결합되는 폰케이스(100)와, 폰케이스(100)를 거치시켜 고정하는 폰거치대(200)를 포함한다.
폰케이스(100)는 휴대폰(500)에 외장되어 휴대폰(500)을 보호하는 1차적 기능과 더불어 휴대폰(500)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2차적인 기능을 겸한다.
이를 위해 폰케이스(100)는 휴대폰(500)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모듈의 일 부품인 코일부(121)를 구비한다.
폰케이스(100)는 휴대폰(500)의 테두리를 감싸는 범퍼(110)와, 코일부(121)가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범퍼(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20)를 포함한다.
범퍼(110)는 휴대폰(500)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범퍼(11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커버(120)는 상면에 코일부(121)를 내부에 고정시키고, 하면에는 코일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리벳(150)이 삽입 고정된 한 쌍의 제1 마그네틱(122)이 결합되어 별도의 무선충전기 없이 자체적으로 휴대폰(500)을 무선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코일부(121)와 기판부(125)로 구성된 무선충전모듈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전력 송신기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기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Air Fuel Alliance(구 PMA, 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특정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기 공진 방식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기구인 Air Fuel Alliance 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RF 신호에 저전력의 에너지를 실어 원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하부커버(120)의 저면에 결합된 제1 마그네틱(122)은 폰거치대(200)에 폰케이스(100)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내장된 금속재질의 제1 리벳(150)을 통해 폰거치대(200)에 연결된 상시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폰거치대(200)는 폰케이스(100)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기능과, 바이크(전기자전거, 오토바이 포함)의 상시전원이 연결되어 폰케이스(100)의 코일부(121)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폰거치대(200)는 폰케이스(100)의 제1 마그네틱(122)과 자력으로 부착되는 제2 마그네틱(211)이 고정되는 받침커버(210)와, 바이크의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컨버터(221)와, 코일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충전모듈을 구성하는 기판부(125)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지지커버(220)로 구성된다.
지지커버(220)의 일측에는 자력으로 부착된 폰케이스(100)가 바람 저항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람저항커버(3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바람저항커버(300)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시야가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내측 하부에는 폰거치대(200)에 전방에 형성된 끼움공(200a)에 탈부착할 수 있는 후크결합부(3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커버(220)에 고정된 전압컨버터(221)는 바이크 내의 배터리 전압 12V를 9V로 강압시킨다. 강압된 9V 전압을 제2 마그네틱(211)에 삽입된 제2 리벳을 통해 폰케이스(100) 내의 코일부(121)로 전송한다.
제2 마그네틱(211)은 받침커버(210)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제2 마그네틱(211) 내부에 삽입 고정된 제2 리벳은 지지커버(220)에 고정된 전압컨버터(221) 및 기판부(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폰 케이스(100)의 제1 마그네틱(122) 내부에 삽입 고정된 제1 리벳(150)을 거쳐 코일부(12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커버(220)의 저면에는 폰거치대(20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바이크에 고정된 볼소켓(미도시)에 결합되는 볼조인트(222)가 더 결합되어 폰거치대(200)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볼조인트(222) 이외에 클램프나 결합밴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폰거치대(200)의 측면에는 바이크의 배터리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미도시) 또는 유선으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연결단자(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폰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는 폰케이스에 카드삽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코일부가 카드삽입부 내부에 삽입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폰케이스(100a)에 카드삽입구(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폰케이스는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카드삽입용 폰케이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코일부(121)는 카드삽입구(140) 내부에 삽입된다. 코일부(121)의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제1 마그네틱(122)의 제1 리벳(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부(121)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카드삽입용 폰케이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폰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의 실시예는 폰케이스가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되어 휴대폰 후면에 직접 탈부착하거나, 휴대폰이 삽입된 별도의 젤리형 폰케이스의 후면에 탈부착하거나, 휴대폰이 삽입된 방수형 폰케이스의 외측 후면에 탈부착 한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플레이트형 폰케이스의 일측면(전면), 도 10은 플레이트형 폰케이스의 타측면(후면), 도 11은 방수형 폰케이스의 외측 전면, 도 12는 방수형 폰케이스의 외측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폰케이스는 플레이트(P) 형태로 형성되고(이하, '제1 폰케이스'), 플레이트(P)의 일측면에는 코일부(121)와 제1 리벳(15)이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제1 리벳(150)과 제1 마그네틱(122)이 배치된다. 플레이트(P)의 일측면에는 양면테이프(T) 등으로 휴대폰 후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고, 필요시 탈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양면테이프 부착방식은 일례이며, 다른 부착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플레이트 형태의 제1 폰케이스를 휴대폰 후면에 직접 탈부착하는 대신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된 젤리형 폰케이스(이하, '제2 폰케이스')의 후면에 플레이트 형태의 제1 폰케이스를 탈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형태의 제1 폰케이스를 휴대폰이 삽입되는 방수형 폰케이스(C)(이하, 제3 폰케이스)의 외측 후면에 플레이트 형태의 제1 폰케이스를 탈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는 직접 휴대폰에 탈부착하거나, 하드형 폰케이스에 구현되거나, 젤리형 폰케이스에 탈부착하거나, 방수형 폰케이스에 탈부착할 수 있어 복잡한 설계변경 없이 단순한 구조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폰케이스 121 - 코일부
122 - 제2 마그네틱 125 - 기판부
140 - 카드삽입구 150 - 제1 리벳
200 - 폰거치대 210 - 받침커버
211 - 제2 마그네틱 221 - 전압컨버터

Claims (4)

  1. 복수의 단자가 구비된 코일부(121),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리벳(150), 각 제1 리벳(150)과 결합되어 제1 리벳(150)을 고정하는 복수의 제1 마그네틱(122)
    을 포함하는 폰케이스(100);
    제1 마그네틱(122)과 자력으로 접촉되며, 복수의 제2 리벳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마그네틱(211)이 고정되는 받침커버(210),
    받침커버(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이크의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컨버터(221),
    전압컨버터(221) 및 코일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125)
    를 포함하는 폰거치대(200)
    를 포함하고,
    제1 리벳과 제2 리벳은 코일부(121)와 기판부(125) 및 전압컨버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마그네틱(122)과 제2 마그네틱(211)이 상호간 자력으로 접촉되면 상시전원이 코일부(121)로 인가되는 전원단자로서의 기능을 하며,
    폰케이스(100)는 카드삽입구(140)를 구비하고, 코일부(121)가 카드삽입구(140)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폰케이스는 플레이트(P) 형태의 제1 폰케이스이고, 플레이트(P)의 일측면에는 코일부(121)와 제1 리벳(15)이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제1 리벳(150)과 제1 마그네틱(122)이 배치되며, 휴대폰(500) 후면에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탈부착하는,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태의 제1 폰케이스는 휴대폰이 삽입되는 젤리형 폰케이스인 제2 폰케이스의 후면에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탈부착하거나, 휴대폰이 삽입되는 방수형 폰케이스(C)인 제3 폰케이스의 외측 후면에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탈부착하는,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KR1020200184152A 2020-12-28 2020-12-28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KR10254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52A KR102543592B1 (ko) 2020-12-28 2020-12-28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52A KR102543592B1 (ko) 2020-12-28 2020-12-28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443A KR20220093443A (ko) 2022-07-05
KR102543592B1 true KR102543592B1 (ko) 2023-06-13

Family

ID=8240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152A KR102543592B1 (ko) 2020-12-28 2020-12-28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5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084A (ko) *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애니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충전 시스템
KR101929765B1 (ko) * 2012-04-06 2018-12-17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94737Y1 (ko) * 2020-05-18 2021-12-10 강동철 오토바이용 자석식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443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8551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JP7100338B2 (ja)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KR102262092B1 (ko)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US20120091952A1 (en) Contactless charging system
TWM493192U (zh)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KR101230877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1406234B1 (ko)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KR200493449Y1 (ko)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US20210218277A1 (en) Wireless charging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CN112615439B (zh) 无线充电底座、定位套、装置、系统及电子设备
KR102543592B1 (ko) 기판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바이크용 무선충전 휴대폰 거치장치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2126135B1 (ko) 무선 충전기
US11699911B2 (en) Smart charger with built in connector
US20170288442A1 (en) Tablet Connection System
CN112994273A (zh) 终端设备及无线发射组件
KR102370584B1 (ko) 무선 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CN205986257U (zh) 一种新型蓝牙耳机
CN219124243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套
CN219282812U (zh) 一种磁性连接件及带有磁性连接件的手带和支架
CN220156292U (zh) 无线充电模组、设备及系统
CN214380319U (zh) 一种无线移动电源
CN220171864U (zh) 一种磁吸组件及磁吸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