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092B1 -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092B1
KR102262092B1 KR1020200116863A KR20200116863A KR102262092B1 KR 102262092 B1 KR102262092 B1 KR 102262092B1 KR 1020200116863 A KR1020200116863 A KR 1020200116863A KR 20200116863 A KR20200116863 A KR 20200116863A KR 102262092 B1 KR102262092 B1 KR 10226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phone
mobile phone
charging module
pho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희
Original Assignee
오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희 filed Critical 오정희
Priority to KR102020011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에 무선충전모듈을 내장시키되, 상기 폰케이스는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무선충전모듈을 통해 휴대폰을 자동을 충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는 상호 간 제1,2마그네틱을 통해 자력으로 고정하되 상기 제1,2마그네틱은 무선충전모듈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원단자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상기 폰거치대는 내부에 전압컨버터가 내장되어 바이크의 전원을 상시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MOBILE PHONE CRADLE FOR BIKES WITH WIRELESS CHARGING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에 무선충전모듈을 내장시키되, 상기 폰케이스는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무선충전모듈을 통해 휴대폰을 자동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는 상호 간 제1,2마그네틱을 통해 자력으로 고정하되 상기 제1,2마그네틱은 무선충전모듈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원단자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상기 폰거치대는 내부에 전압컨버터가 내장되어 바이크의 전원을 상시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PMP(portable media player)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과 같은 장치가 소형화되면서 동시에 기능이 통합되어가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폰이나 태블릿 PC가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대부분의 기능을 통합하게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던 것을 자동차 등으로 이동 시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대도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사업으로, 음식점의 배달 서비스를 대신하고 가맹점(상점)으로부터 월간 회비와 배달 요금을 과금하여 대행 기사에게 지급하는 '배달 중개 서비스' 성행하고 있다.
소상공인이나 소규모 프랜차이즈 등 외식 산업의 발달로 기존 배달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던 음식점 입장에서는 판매영역의 확대와 함께 매출에 따라 음식점 소속의 배달기사를 고용하는 것보다 대행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 경비[1]를 줄이고 배달 직원의 사고 책임에서도 자유로워서 인기를 얻고 있다.
주문 앱 시장의 활성화와 맞물려 확장되고 있고, 진입장벽이 낮아 창업과 폐업이 많은 업종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배달 서비스를 행하는데 있어 주로 바이크(오토바이, 전기자전거)가 사용되며, 네이게이션 용도와 배달주문 용도로 휴대폰을 적어도 2개 이상을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크에 장착된 휴대폰은 충전배터리를 사용하거나, 바이크의 상시전원에 연결단자를 연결시켜 충전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트겋 제10-13553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에 무선충전모듈을 내장시키되, 상기 폰케이스는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무선충전모듈을 통해 휴대폰을 자동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폰거치대의 지지커버에 제2무선충전모듈을 내장시켜 제1무선충전모듈이 내장된 휴대폰케이스이 없이 휴대폰만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휴대폰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범퍼와, 상기 범퍼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제1무선충전모듈이 고정되고 저면에는 복수의 제1마그네틱이 고정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폰케이스;와, 상부면에는 제1마그네틱과 자력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제2마그네틱이 고정되는 받침커버와, 상기 받침커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이크의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컨버터가 수용되는 지지커버로 구성되는 폰거치대; 및 상기 폰거치대의 일측에 장착되어 바람 저항에 의해 상기 폰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바람저항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마그네틱과 제2마그네틱은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과 상기 전압컨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 자력으로 접촉되면 상시전원이 제1무선충전모듈로 인가되는 전원단자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지지커버의 저면에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바이크에 고정된 볼소켓에 결합되는 볼조인트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폰거치대의 지지커버에는 제2무선충전모듈이 내장되어 휴대폰케이스 없이 휴대폰만으로 무선충전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의 뒷면에는 제2마그네틱에 의해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는 금속플레이트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받침커버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과의 접촉에 의해 내외부로 승강되는 승강돌기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승강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제2무선충전모듈로 상시전원을 인가시키는 접점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폰케이스의 하부커버는 저면 일측에 상기 승강돌기와 비접촉되는 테이퍼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에 따르면,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폰케이스를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무선충전모듈을 통해 휴대폰을 자동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는 상호 간 1,2마그네틱을 통해 자력으로 견고히 부착됨으로, 외부 충격이나 외풍에 의해 폰케이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폰거치대의 지지커버에 제2무선충전모듈을 내장시켜 제1무선충전모듈이 내장된 휴대폰케이스이 없이 휴대폰만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폰케이스를 분리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와, 폰거치대의 지지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실시예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폰케이스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폰거치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폰케이스의 내부에 제1무선충전모듈이 내장됨으로써,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을 별도로 행하지 않고 폰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휴대폰 배터리를 자동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실시예는 휴대폰에 외장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폰케이스에 무선충전모듈을 내장시키되, 상기 폰케이스는 바이크에 고정된 폰거치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폰케이스에 내장된 무선충전모듈을 통해 휴대폰을 자동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제1실시예의 상기 폰케이스와 폰거치대는 상호 간 제1,2마그네틱을 통해 자력으로 고정하되 상기 제1,2마그네틱은 무선충전모듈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원단자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상기 폰거치대는 내부에 전압컨버터가 내장되어 바이크의 전원을 상시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휴대폰(500)에 결합되는 폰케이스(100) 및 상기 폰케이스(100)를 거치시켜 고정하는 폰거치대(200)로 구성된다.
상기 폰케이스(100)는 휴대폰(500)에 외장되어 휴대폰(500)을 보호하는 1차적 기능과 더불어 휴대폰(500)을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2차적인 기능을 겸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폰케이스(100)는 휴대폰(500)을 무선충전하기 위한 제1무선충전모듈(121)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폰케이스(100)는 휴대폰(500)의 테두리를 감싸는 범퍼(110)와,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이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범퍼(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20)와,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커버(12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범퍼(110)는 상기 휴대폰(500)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20)는 제1무선충전모듈(121)이 내부에 고정된 구조로, 저면에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1마그네틱(122)이 결합되어 별도의 무선충전기 없이 자체적으로 휴대폰(500)을 무선 충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30)는 상기 하부커버(120)의 상부면에 볼팅 결합시킴으로써 제1무선충전모듈(121)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불어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의 오작동과 손상이 있을 경우,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30)에는 제1무선충전모듈(121)을 노출시킬 수 있는 절개공(131)이 더 형성되어 제1무선충전모듈(121)의 자기장이 간섭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무선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전력 송신기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기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은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Air Fuel Alliance(구 PMA, 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특정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기 공진 방식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ir Fuel Alliance(구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기구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RF 신호에 저전력의 에너지를 실어 원거리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커버(120)의 저면에 결합된 상기 제1마그네틱(122)은 폰거치대(200)에 폰케이스(100)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부가적으로 폰거치대(200)에 연결된 상시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로써의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아울러 상기 폰거치대(200)는 폰케이스(100)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주기능을 하며, 부가적으로 바이크(전기자전거, 오토바이)의 상시전원이 연결되어 폰케이스(100)의 제1무선충전모듈(121)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겸한다.
이러한 상기 폰거치대(200)는 폰케이스(100)의 제1마그네틱(122)과 자력으로 부착되는 제2마그네틱(211)이 고정되는 받침커버(210)와, 바이크의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컨버터(221)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지지커버(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커버(220)의 일측에는 자력으로 부착된 상기 폰케이스(100)가 바람 저항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바람저항커버(30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바람저항커버(300)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시야가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내측 하부에는 폰거치대(200)에 전방에 형성된 끼움공(200a)에 탈부착할 수 있는 후크결합부(3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커버(220)에 고정된 상기 전압컨버터(221)는 바이크 내의 배터리 전압 12V를 9V로 강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렇게 강압된 9V전압을 제2마그네틱(211)을 통해 폰케이스(100) 내의 제1무선충전모듈(121)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마그네틱(211)은 상기 받침커버(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커버(220)에 고정된 전압컨버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폰케이스(100)의 제1마그네틱(122)을 거쳐 제1무선충전모듈(12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커버(220)의 저면에는 폰거치대(20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바이크에 고정된 볼소켓(미도시)에 결합되는 볼조인트(222)가 더 결합되어 폰거치대(200)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커버(220)는 볼조인트(222) 이외에 클램프나, 결합밴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폰거치대(200)의 측면에는 바이크의 배터리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미도시) 또는 유선으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연결단자(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와, 폰거치대의 지지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의 실시예도이다.
도 6 및 도 7에 제1실시예는 제2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폰거치대(200)의 지지커버(220)에는 제2무선충전모듈(223)이 내장되어 제1무선충전모듈(121)이 저장된 휴대폰케이스(100) 없이 휴대폰(500)만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폰(500)의 뒷면에는 제2마그네틱(211)에 의해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금속플레이트(510)를 접착 고정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제2실시예는 상기 받침커버(210)는 상부면 일측에 내외부로 승강되는 승강돌기(212)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커버(220)는 상기 승강돌기(212)와의 접촉에 의해 제2무선충전모듈(223)로 상시전원을 인가시키는 접점센서(224)가 내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폰케이스(100)의 하부커버(120)는 저면 일측에 폰거치대(200)와 비접촉되는 테이퍼면(120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승강돌기(212)는 스프링에 의해 탄설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폰케이스(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7의 (b)와 같이, 하부커버(120)에 형성된 테이퍼면(120a)을 통해 상기 승강돌기(212)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무선충전모듈(121)을 통해 휴대폰(500)을 무선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도 7의 (a)와 같이, 폰케이스(100) 없이 휴대폰(500)만을 폰거치대(200)에 안착시킬 경우, 상기 승강돌기(212)가 휴대폰(500)에 눌려 하강 하면서 접점센서(224)를 통해 바이크의 전원을 제2무선충전모듈(223)로 인가시켜 제2무선충전모듈(223)을 통해 휴대폰(500)을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폰케이스(100)의 유무에 따라 제2무선충전모듈(223)에 선택적으로 상시전원을 인가시켜 바이크의 배터리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폰케이스 110: 범퍼 120: 하부커버
120a: 테이퍼면 121: 제1무선충전모듈
122: 제1마그네틱 130: 고정플레이트
131: 절개공
200: 폰거치대 210: 받침커버 211: 제2마그네틱
212: 승강돌기 220: 지지커버
200a: 끼움공 221: 전압컨버터
222: 볼조인트 223: 제2무선충전모듈
224: 접점센서
300: 바람저항커버 310: 후크결합부
400: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500: 휴대폰 510: 금속플레이트

Claims (3)

  1. 휴대폰(500)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범퍼(110)와, 상기 범퍼(110)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제1무선충전모듈(121)이 고정되고 저면에는 복수의 제1마그네틱(122)이 고정되는 하부커버(120)와,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커버(12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0)로 구성되는 폰케이스(100);
    상부면에는 제1마그네틱(122)과 자력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제2마그네틱(211)이 고정되는 받침커버(210)와, 상기 받침커버(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이크의 상시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컨버터(221)가 수용되는 지지커버(220)로 구성되는 폰거치대(200); 및
    상기 폰거치대(200)의 일측에 장착되어 바람 저항에 의해 상기 폰케이스(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바람저항커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공(13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마그네틱(122)과 제2마그네틱(211)은 상기 제1무선충전모듈(121)과 상기 전압컨버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 자력으로 접촉되면 상시전원이 제1무선충전모듈(121)로 인가되는 전원단자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지지커버(220)의 저면에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바이크에 고정된 볼소켓에 결합되는 볼조인트(222)가 더 결합되며,
    상기 폰거치대(200)의 지지커버(220)에는 제2무선충전모듈(223)이 내장되어 휴대폰케이스(100) 없이 휴대폰(500)만으로 무선충전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500)의 뒷면에는 제2마그네틱(211)에 의해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는 금속플레이트(510)가 더 결합되며,
    상기 받침커버(210)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500)과의 접촉에 의해 내외부로 승강되는 승강돌기(212)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커버(220)는 상기 승강돌기(212)와의 접촉에 의해 제2무선충전모듈(223)로 상시전원을 인가시키는 접점센서(224)가 더 내장되며,
    상기 폰케이스(100)의 하부커버(120)는 저면 일측에 상기 승강돌기(212)와 비접촉되는 테이퍼면(120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16863A 2020-09-11 2020-09-11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KR10226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63A KR102262092B1 (ko) 2020-09-11 2020-09-11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63A KR102262092B1 (ko) 2020-09-11 2020-09-11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092B1 true KR102262092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863A KR102262092B1 (ko) 2020-09-11 2020-09-11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093B1 (ko) * 2021-09-06 2021-12-07 신준섭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405645B1 (ko) * 2021-09-07 2022-06-03 남궁진성 블랙박스 겸용 이륜 이동수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230073596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바이크 나이트 가디언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0691A (ja) * 2012-03-02 2013-09-12 Yamaha Motor Co Ltd 電動型車両
KR101355374B1 (ko) 2012-08-09 2014-01-24 부용식 오토바이용 휴대폰 충전거치시스템
KR20140001094U (ko) * 2014-01-02 2014-02-19 권태경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KR101512790B1 (ko) * 2013-12-31 2015-04-16 최순일 자전거용 스마트폰 충전 거치장치
KR200479927Y1 (ko) * 2014-10-01 2016-03-23 임점단 이륜차 기반 충전 겸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KR20170027347A (ko) * 2015-09-01 2017-03-10 주식회사 카노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KR101956083B1 (ko) *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200489709Y1 (ko) * 2018-07-04 2019-07-25 이덕호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152673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차량의 무선 충전용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0691A (ja) * 2012-03-02 2013-09-12 Yamaha Motor Co Ltd 電動型車両
KR101355374B1 (ko) 2012-08-09 2014-01-24 부용식 오토바이용 휴대폰 충전거치시스템
KR101512790B1 (ko) * 2013-12-31 2015-04-16 최순일 자전거용 스마트폰 충전 거치장치
KR20140001094U (ko) * 2014-01-02 2014-02-19 권태경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KR200479927Y1 (ko) * 2014-10-01 2016-03-23 임점단 이륜차 기반 충전 겸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KR20170027347A (ko) * 2015-09-01 2017-03-10 주식회사 카노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KR101956083B1 (ko) *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200489709Y1 (ko) * 2018-07-04 2019-07-25 이덕호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152673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차량의 무선 충전용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093B1 (ko) * 2021-09-06 2021-12-07 신준섭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23033267A1 (ko) * 2021-09-06 2023-03-09 신준섭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405645B1 (ko) * 2021-09-07 2022-06-03 남궁진성 블랙박스 겸용 이륜 이동수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230073596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바이크 나이트 가디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092B1 (ko)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US7728551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US8237401B2 (en)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041047A1 (en) Distributed charging of mobile devices
US20150002088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1971453B (zh) 用于便携式设备的感应充电的系统和方法
US8629652B2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7518337B2 (en) Retention of inductively rechargeable devices on an inductive charger
US20120091952A1 (en) Contactless charging system
US20210408827A1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20100295505A1 (en) Mobile terminals and battery packs for mobile terminals
US20130057203A1 (en) Assembly for mounting an inductive charger base station to a furniture work surface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1239697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TWM493192U (zh)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KR20140117690A (ko)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전력공급 및 근거리장 통신 개장
CN102308454A (zh) 用于对装置进行充电的无线电力
KR20120117262A (ko) 코일의 위치 정렬이 가능한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CN104656808A (zh) 一种便携的模块化电子设备结构
CN106340970B (zh) 无线充电装置
KR102045085B1 (ko) 다수의 외부 장치에 유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11175699B2 (en) Case for mobile device
US20220311274A1 (en) Wireless Charging Assembly
US20230173992A1 (en) Fixed Angle Car Mount for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