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094U -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094U
KR20140001094U KR2020140000004U KR20140000004U KR20140001094U KR 20140001094 U KR20140001094 U KR 20140001094U KR 2020140000004 U KR2020140000004 U KR 2020140000004U KR 20140000004 U KR20140000004 U KR 20140000004U KR 20140001094 U KR20140001094 U KR 20140001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wireless
magnetic holder
portable termi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경
Original Assignee
권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경 filed Critical 권태경
Priority to KR2020140000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094U/ko
Publication of KR20140001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석식 홀더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선 충전용 송신부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무선충전용 수신부에 철판을 패치형태로 부착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운행 중에도 밀접하게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충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부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The magnetic holder for the wireless charge system of mobile devices}
본 고안은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기술(wireless charging technology)은 전원 코드나 충전용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전동 칫솔이나 가정용 무선 전화, 전동 공구 등의 한정적인 용도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인 증가와 더불어, 무선 충전 기술의 이용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풍부한 콘텐츠와 멀티미디어를 언제든지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반면, 배터리 용량의 제약으로 사용시간이 짧은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무선충전기술은 2010년부터 무선충전대응 스마트폰이 등장 한 것을 계기로 상황이 크게 바뀌었으며, 2011년 들어서는 휴대폰 및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을 탑재하는 제품들이 국내외에서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비접촉 방식의 표준 규격의 확대채용을 목표로 하는 WPC(Wireless Power Consoritum)가 2010년 7월에 5W 이하 출력의 기기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표준 사양을 발표한 이후, 이 단체에 가입하는 업체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 채용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무선 충전 기술은 향후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PC, 모니터, 디지털 TV 등 출력이 큰 기기로 채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기술 중에서 제품화, 실용화의 측면에서 우수한 것이 전자기 유도 방식이며, 전자기 유도 방식은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2010-0094197호(2010년 8월 26일 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여러 번 감은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인 에너지 결합을 이용한다.
이는 AC 또는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이 인접한 코일의 출력 단자에 기전력을 발생한 다는 패러데이 법칙에 기반한 것이다. 무선 충전 수신모듈을 장착한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이 무선충전 송신모듈이 구성된 무선 충전기의 충전면(charging surface) 위에 놓이면 충전을 담당하는 아날로그 회로와 전력회로, 제어 회로, 정류회로, 충전회로 등이 동작하여 기기 내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충전장치는 전원 송신부에 반드시 일정거리 안으로 근접하게 핸드폰의 무선 충전수신부를 배치하여 그 거리를 유지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차량내부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진동으로 인해서, 충전송신기와 수신기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충전효율성이 떨어지게 되어서,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하여 벨크로크등의 매직 테잎을 사용하게 되었을 때, 핸드폰기기를 사용시 떼었다 붙이는데 부하가 많이 들게 되어 차량 운전 중에 사용시 안전사고의 위험 등도 있을 수 있고 매직테이프의 형태상 미용상으로도 보기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충전 송신부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무선충전용 수신부 측에 철판형 패치를 구비하여, 근거리 접촉 및 탈착이 원활한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선 충전 장치는 영구자석을 중심부에 구비한 무선충전 수신기기의 무선충전을 위해 무선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충전용 패드; 상기 패드의 동작 유무에 따라 무선 충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부; 철판형태의 패치를 구비한 무선충전용 수신부를 갖춘 무선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필요시 탈착의 부담 없이 본체 충전장치에서 분리되어 본래의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장치에 놓여짐으로써 자석과 철판의 접지력으로 인해서, 차량운행의 진동 등에도 상관없이 지속해서 무선충전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패드와 충전수신기의 동작유무에 따라 무선 충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부 를 통해 무선충전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무선 충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송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홈미디어 서버, 오디오시스템, 셋톱박스등과 같은 상기제품에 오디오, 비디오 신호등을 전송하는 도중에도, 별도의 탈부착 없이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 중에도 안정적인 전원이 공급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식 홀더를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 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식 홀더를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자석식 홀더의 예를 대표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석식 홀더를 갖는 무선 충전 장치는 예컨대, 가정용 충전기와 차량용 무선 충전기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무선충전용 패드(120), 무선충전용 송신부(121), 휴대용단말기(140)과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수신부(141)를 송신부(121)와 밀착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는 영구자석(122),및 휴대용 단말기케이스에 붙일 수 있는 패치형태로 공급되어지는 철판(142)등을 포함한다.
무선충전용 패드(120)는 무선 충전 수신모듈(141)을 장착한 휴대용 기기가 거치 되어 무선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판형 부재로서, 영구자석(122)이 무선충전 송신장치 (121)등 중심부에 내장되어 장착된다.
무선충전용 수신부(142)는 일반적으로 충전유도용 코일 등을 사용하기 위한 철판 등이 내장되어 있어서, 영구자석(122)에 바로 부착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철판(141)이 필요 없을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부착의 세기를 좀 더 높이거나, 기타 미용의 목적 등으로도 실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선충전용 패드(120)는 충전중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청색 LED(131)와 적색 LED(13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충전 수신기기가 무선충전용 패드(120)에 정상적으로 거치되는 경우, 청색 LED(131)가 켜지게 된다. 이때, 무선충전수신기기가 무선충전용 패드(120)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적색 LED(132)는 연속적으로 깜박이는 상태가 된다.
또한, 무선충전 수신기기가 무선충전용 패드(120)를 통해 정상적으로 무선 충전중인 경우 청색 LED(131)는 연속적으로 깜박이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충전이 완료된 경우, 청색 LED(131)와 적색 LED(132)는 모두 켜진 상태가 된다.
특히, 무선충전용 패드(120)를 통해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무선충전용 패드(120)에 거치된 기기를 무선충전하면서 동시에 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구자석(122)의 세기에 의해 무선충전수신부의 철판(141)이 고착되어 있어서, 차량의 진동 및 이동 등에도 밀접하게 지속적으로 무선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 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0: 무선 충전용 패드
121: 무선 충전용 송신부
122: 영구자석
131: 청색 LED
132: 적색 LED
140: 휴대용 단말기
141: 무선 충전용 수신부
142: 철판

Claims (1)

  1.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에 용이한 영구자석이 내장된 형태의 자석식 홀더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용 패드;
    휴대용 단말기 및 케이스등에 패치형태로 부착되어 상기 충전용 패드에 밀접하게 부착할 수 있는 철판 ; 상기 충전용패드의 동작여부에 따라 무선충전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장치
KR2020140000004U 2014-01-02 2014-01-02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KR20140001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04U KR20140001094U (ko) 2014-01-02 2014-01-02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04U KR20140001094U (ko) 2014-01-02 2014-01-02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94U true KR20140001094U (ko) 2014-02-19

Family

ID=5244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04U KR20140001094U (ko) 2014-01-02 2014-01-02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094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2542A1 (en) * 2015-04-24 2016-10-27 Prong, Inc. Electronic charging system
KR20160138909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80137773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90002881U (ko) * 2018-05-12 2019-11-20 박두혁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WO2021010756A1 (ko) * 2019-07-17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262092B1 (ko) * 2020-09-11 2021-06-07 오정희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KR20230055805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피앤피마그네틱 무선 충전 시스템
US11670965B2 (en) 2021-03-30 2023-06-06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compatibilit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2542A1 (en) * 2015-04-24 2016-10-27 Prong, Inc. Electronic charging system
KR20160138909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80137773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90002881U (ko) * 2018-05-12 2019-11-20 박두혁 모션 감지에 따른 자동 홀딩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WO2021010756A1 (ko) * 2019-07-17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13891966A (zh) * 2019-07-17 2022-01-04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KR102262092B1 (ko) * 2020-09-11 2021-06-07 오정희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US11670965B2 (en) 2021-03-30 2023-06-06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compatibility
KR20230055805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피앤피마그네틱 무선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094U (ko)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US909385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wired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es
US20190097448A1 (en) Powering and/or charging with more than one protocol
US8213862B2 (en) Headset charge via short-range RF communication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118413A (ko)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US20140266020A1 (en) Wireless charging pad and method
JP2015517293A (ja) 自動位置調整無線充電器及びそれを用いた充電方法
US20160204644A1 (en) Wireless battery charger
KR101740924B1 (ko) 휴대용 무선 듀얼 충전 배터리 팩
US2016009957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2984312A (zh) 手机移动终端
TWM461243U (zh) 無線充電裝置
US9450448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energy recycling method thereof
KR101315976B1 (ko)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101712647B1 (ko) 무선 충방전 보조 배터리
CN202586462U (zh) 无线充电设备
CN201781331U (zh) 具有无线充电的转接器
JP2011205767A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20150002758U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US10027161B2 (en) Ultra-slim inductive charging
JP2016063659A (ja) 充電用コネクタ
JP2014217116A (ja) 電子機器、電子機器送電システム及び受電制御方法
KR101682664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KR20150084341A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비행기의 승객 좌석의 음식용 트레이 및 암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