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58U -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58U
KR20150002758U KR2020140000054U KR20140000054U KR20150002758U KR 20150002758 U KR20150002758 U KR 20150002758U KR 2020140000054 U KR2020140000054 U KR 2020140000054U KR 20140000054 U KR20140000054 U KR 20140000054U KR 20150002758 U KR20150002758 U KR 201500027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portable terminal
charging
auxiliary batter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경
Original Assignee
권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경 filed Critical 권태경
Priority to KR2020140000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758U/ko
Publication of KR20150002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선 충전용 패드를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상부 등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에 용이한 평면에 내장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외부전원의 유무에 상관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선 충전이 불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등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USB포트와 케이블 등을 포함하며, 충전용 패드의 동작여부에 따라 무선충전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 The wireless charge system of mobile devices with the rechargeable battery }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기술(wireless charging technology)은 전원 코드나 충전용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전동 칫솔이나 가정용 무선 전화, 전동 공구 등의 한정적인 용도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인 증가와 더불어, 무선 충전 기술의 이용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풍부한 콘텐츠와 멀티미디어를 언제든지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반면, 배터리 용량의 제약으로 사용시간이 짧은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무선충전기술은 2010년부터 무선충전대응 스마트폰이 등장 한 것을 계기로 상황이 크게 바뀌었으며, 2011년 들어서는 휴대폰 및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을 탑재하는 제품들이 국내외에서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비접촉 방식의 표준 규격의 확대채용을 목표로 하는 WPC(Wireless Power Consoritum)가 2010년 7월에 5W 이하 출력의 기기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표준 사양을 발표한 이후, 이 단체에 가입하는 업체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 채용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무선 충전 기술은 향후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PC, 모니터, 디지털 TV 등 출력이 큰 기기로 채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기술 중에서 제품화, 실용화의 측면에서 우수한 것이 전자기 유도 방식이며, 전자기 유도 방식은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2010-0094197호(2010년 8월 26일 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여러 번 감은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인 에너지 결합을 이용한다.
이는 AC 또는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이 인접한 코일의 출력 단자에 기전력을 발생한 다는 패러데이 법칙에 기반한 것이다. 무선 충전 수신모듈을 장착한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이 무선충전 송신모듈이 구성된 무선 충전기의 충전면(charging surface) 위에 놓이면 충전을 담당하는 아날로그 회로와 전력회로, 제어 회로, 정류회로, 충전회로 등이 동작하여 기기 내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충전장치는 무선충전용 송신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무선 충전용 수신부가 내장되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는 달리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사용시마다 송신부를 전원 장치에 별도로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별도로 연결할 전원 단자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합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장치를 갖추고 그 상부면 에 구비되어 무선충전 수신기기의 무선충전을 위해 무선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충전용 패드; 상기 패드의 동작 유무에 따라 무선 충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부; 및 상기 패드의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창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마이크로 USB포트, 필요 시에 외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USB 포트와 별도의 마이크로 포트용 USB케이블을 제공하여 무선 수신부가 없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도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필요시 탈착의 부담없이 본체 충전장치에서 분리되어 본래의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장치에 놓여짐으로써 지속해서 무선충전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패드와 충전수신기의 동작유무에 따라 무선 충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부 를 통해 무선충전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무선 충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때는, 무선 충전뿐만 아니라 자체 보조배터리를 충전해두는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자체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의 유무에 상관 없이도 휴대용 단말기를 수시로 충전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용 수신부가 없어서 충전이 힘든 일반 휴대용 단말기에는 내장된 보조 배터리로부터 유선으로 연결하여 안정적인 전원이 공급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합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 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내장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예시 도이며, 본 고안에 따른 활용 예를 대표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와 패드를 통합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장치는 예컨대, 기타 자기공명형 충전장치 등에도 내장되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간략히 무선충전용 패드(121), 무선 충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부(140,141),및 무선 충전용 패드를 구동시키면서, 동시에 보조배터리(132)를 충전하기위한 마이크로 USB 소켓(131)과 필요 시에, 외부로 전원을 유선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USB 소켓(130)과 USB 케이블(121)등으로 구성된다.
발광부(140,141)는 무선충전용 패드(143) 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청색 LED(141)와 적색 LED(14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충전 수신기기가 무선충전용 패드(143)에 정상적으로 거치되는 경우, 청색 LED(141)가 켜지게 된다. 이때, 무선충전수신기기가 무선충전용 패드(143)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적색 LED(140)는 연속적으로 깜박이는 상태가 된다.
또한, 무선충전 수신기기가 무선충전용 패드(143)를 통해 정상적으로 무선 충전중인 경우 청색 LED(141)는 연속적으로 깜박이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충전이 완료된 경우, 청색 LED(141)와 적색 LED(140)는 모두 켜진 상태가 된다.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132) 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USB 소켓(131)을 통해서 상시 충전이 되고, 외부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충전된 보조배터리(132)를 사용하여 무선충전 전용패드(143)의 무선 충전용 송신부(142)를 동작시켜서, 무선 충전 수신부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게 된다.
만약, 외부에 무선 충전 수신부 등이 없는 휴대용단말기 등을 유선으로 충전하기 위하여는, 충전된 보조배터리 (132) 로부터 USB 케이블(121)을 통해서 USB소켓(130)에 USB 커넥터(122) 를 연결한 후 외부에 마이크로 USB 커넥터(120)등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데 사용한다.
특히, 무선충전용 패드(143)를 통해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무선충전용 패드(143)에 거치된 기기를 무선 충전하면서 동시에 외부에 USB케이블(121)을 사용하여, 다른 휴대용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 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데, 기타 제조사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한 별도의 USB 케이블 등을 사용한다면, 유선으로 충전하는 실시 가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0: 마이크로 USB 커넥터
121: USB 케이블
122: USB 커넥터
130: USB 소켓
131: 마이크로 USB소켓
132: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
140: 적색 LED
141: 청색 LED
142: 무선 충전장치 송신부
143 :무선 충전용 패드

Claims (1)

  1.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의 상부 등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에 용이한 평면에 내장된 무선 충전용 패드;
    상기 충전용 패드의 동작여부에 따라 무선충전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발광부 ; 상기 무선 충전용 패드로부터 무선 충전 수신기능의 여부와 상관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유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USB 포트; 상기 충전용 패드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를 유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USB 케이블

KR2020140000054U 2014-01-04 2014-01-04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KR201500027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54U KR20150002758U (ko) 2014-01-04 2014-01-04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54U KR20150002758U (ko) 2014-01-04 2014-01-04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58U true KR20150002758U (ko) 2015-07-14

Family

ID=5379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54U KR20150002758U (ko) 2014-01-04 2014-01-04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75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69B1 (ko) * 2016-07-21 2017-01-17 디자인 주식회사 전력공급 확장용 스테이션
KR20220005847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아트뮤코리아 각도조절이 가능한 보조배터리겸용 유무선충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69B1 (ko) * 2016-07-21 2017-01-17 디자인 주식회사 전력공급 확장용 스테이션
KR20220005847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아트뮤코리아 각도조절이 가능한 보조배터리겸용 유무선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385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wired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es
US8564243B2 (en) Charging module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477429B1 (ko) 코일 장치, 이를 갖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40001094U (ko) 자석식 홀더를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US20140197784A1 (en) Wireless side charging
TWI574486B (zh) 充電裝置
CN203813491U (zh) 一种充电转接装置
JP2015517293A (ja) 自動位置調整無線充電器及びそれを用いた充電方法
WO2018157140A1 (en) Wearable apparatus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CN105552973B (zh) 电能传输系统及其供电系统和充电组合
US9450448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energy recycling method thereof
KR101315976B1 (ko)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101712647B1 (ko) 무선 충방전 보조 배터리
KR20150142418A (ko) 블루투스 스피커 출력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WO2022046295A1 (en) Dual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er
CN103762695A (zh) 分别具有无线充电功能和无线被充电功能的电子设备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50002758U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TW201636787A (zh) 無線供電滑鼠系統
JP2016063659A (ja) 充電用コネクタ
KR20150084341A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비행기의 승객 좌석의 음식용 트레이 및 암 레스트
KR101489743B1 (ko)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
US20200195048A1 (en) One Touch Charger
KR102347219B1 (ko) 확장형 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