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999A -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999A
KR20170134999A KR1020160066150A KR20160066150A KR20170134999A KR 20170134999 A KR20170134999 A KR 20170134999A KR 1020160066150 A KR1020160066150 A KR 1020160066150A KR 20160066150 A KR20160066150 A KR 20160066150A KR 20170134999 A KR20170134999 A KR 20170134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martphone
bracket
terminal plat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팝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팝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팝폰
Priority to KR102016006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4999A/ko
Publication of KR2017013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충전 및 충전이 완료될때 스마트폰 충전 포트에 충전기의 충전단자를 착탈토록 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자동차내에서 충전단자의 착탈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충전이 종료되거나 또는 충전이 필요할때 끼우거나 거치방식이 아닌 탈부착 방식으로 차별화하여 스마트폰의 충전에 대한 편의성을 도모한 스마트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가 하부에 구비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상기 접지단자판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이 360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의 측면에는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의 후방에는 자동차의 벤틸레이터에 착탈 가능하도록 폭 조절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차량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가 하부에 구비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상기 접지단자판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LED충전램프과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가 구비된 거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상기 스마트폰 브라켓에는 볼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볼베어링과 결합된 상기 고리부는 평면상으로 306도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볼베어링을 축으로 상하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상기 체결부재는 내측 하단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을 압압하는 'ㄴ'자 형상인 푸싱바 역할을 하는 세로대는 상단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고 가로대는 상기 세로대의 압압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되 상기 가로대의 상측에는 고정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세로대 압압으로 가로대와 고정대사이에 자동차의 벤틸레이터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상기 충전단자판 외주부에는 링형상의 자력이 통하는 결합판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판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이 복수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충전 및 충전이 완료될때 스마트폰 충전 포트에 충전기의 충전단자를 착탈토록 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간편하게 충전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실내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자동차내에서 충전단자의 착탈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충전이 종료되거나 또는 충전이 필요할때 끼우거나 거치방식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충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무선방식과 달리 안정된 충전으로 인하여 일정시간내에 충전이 일률적이고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충전에 대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Smartphon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충전 및 충전이 완료될때 스마트폰 충전 포트에 충전기의 충전단자를 착탈토록 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자동차내에서 충전단자의 착탈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충전이 종료되거나 또는 충전이 필요할때 끼우거나 거치방식이 아닌 탈부착 방식으로 차별화하여 스마트폰의 충전에 대한 편의성을 도모한 스마트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정보통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여러 가지 개인 휴대전화 - 휴대폰들이 출현하고 이는 장소에 구애없이 자유롭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휴대폰 주변기기도 함께 발전하게 되었는데 특히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는 휴대폰의 사용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폰 충전기의 경우에는 가지고 다닐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종 장소에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는 충전기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차량의 충전 거치대, 가정용, 사무용, 휴대용, 급속 충전용 등이 각각 개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형 전자기기는 축전지의 충전을 위하여 별도의 충전기를 구비하며, 충전기는 일반 상용 전원과 접속되어 휴대형 전자기기의 축전지에 충전 전류를 제공함으로써 충전을 행한다. 한편, 충전기가 충전 전류를 휴대형 전자기기의 축전지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충전기를 구성하는 충전 모체와 휴대형 전자기기의 축전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충전 모체와 휴대형 전자기기의 축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유선(접점 방식) 충전기에서는, 충전 모체와 휴대형 전자기기 또는 축전지에 각각 별도의 접속 단자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휴대형 전자기기의 축전지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형 전자기기 또는 축전지의 접속 단자와 충전 모체의 접속 단자를 상호 접속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속 단자 방식은 기기에 따라 단자의 규격과 모양이 다르게 되어, 사용자는 매번 새로운 충전 장치를 구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되며, 이러한 방식은 새로운 기기를 구입하게 되면 종래 충전기는 폐기하게 되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용일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거나 충전이 완료되면 운전자가 직접 스마트폰 등의 충전 포트에 충전 장치의 접속단자를 직접 꽂거나 빼야하는 번거로움 및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운전에 집중치 못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있는 등 여러가지의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운전시 통화를 하기 위해서 접속단자의 착탈로 인한 또 다른 안전사고의 문제점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 접촉식 자기 유도 방법, 즉 무선 충전 방식이 고안되었다. 비접촉식 충전 방법은 고주파로 동작하는 1차 회로를 충전 모체에 구성하고 2차 회로를 축전지측 즉, 휴대형 전자기기 내 또는 축전지 내에 구성함으로써, 충전 모체의 전류 즉, 에너지를 유도 결합에 의하여 휴대형 전자기기의 축전지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8026호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휴대용 충전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충전기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로 동작을 수행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기능 모듈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기능 모듈과 충전부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를 제공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2253호에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용 전원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충전기 본체와 연결되며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용 전원이 흐르는 전원 라인과,
상기 전원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라인을 통해 흐르는 상용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와, 상기 전원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라인을 통해 상기 제 2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전원 라인과 데이터 통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통신부와 전원 라인의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상기 무선 충전방식은 급속충전 등과 같이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충전시간이 오래 걸려서 실질적으로 급속 충전이나 정상적인 충전이 잘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802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022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충전 및 충전이 완료될때 스마트폰 충전 포트에 충전기의 충전단자를 착탈토록 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자동차내에서 충전단자의 착탈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충전이 종료되거나 또는 충전이 필요할때 끼우거나 거치방식이 아닌 탈부착 방식으로 차별화하여 스마트폰의 충전에 대한 편의성을 도모한 스마트폰용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가 하부에 구비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상기 접지단자판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이 360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의 측면에는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의 후방에는 자동차의 벤틸레이터에 착탈 가능하도록 폭 조절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차량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가 하부에 구비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상기 접지단자판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LED충전램프과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가 구비된 거치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상기 스마트폰 브라켓에는 볼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볼베어링과 결합된 상기 고리부는 평면상으로 306도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볼베어링을 축으로 상하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상기 체결부재는 내측 하단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을 압압하는 'ㄴ'자 형상인 푸싱바 역할을 하는 세로대는 상단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고 가로대는 상기 세로대의 압압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되 상기 가로대의 상측에는 고정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세로대 압압으로 가로대와 고정대사이에 자동차의 벤틸레이터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와,
상기 충전단자판 외주부에는 링형상의 자력이 통하는 결합판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판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이 복수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충전 및 충전이 완료될때 스마트폰 충전 포트에 충전기의 충전단자를 착탈토록 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간편하게 충전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실내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자동차내에서 충전단자의 착탈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충전이 종료되거나 또는 충전이 필요할때 끼우거나 거치방식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충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무선방식과 달리 안정된 충전으로 인하여 일정시간내에 충전이 일률적이고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충전에 대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되는 스마트폰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거치하는 차량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차량용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브라켓을 벤틸레이터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차량용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브라켓을 벤틸레이터에 장착된 상태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차량용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거치 브라켓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거치 브라켓과 스마트폰용 브라켓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에서 고리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세운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에서 고리부가 볼베어링에 의해 306도 회전함과 동시에 상하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되는 스마트폰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거치하는 차량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차량용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브라켓을 벤틸레이터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차량용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브라켓을 벤틸레이터에 장착된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과 차량용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거치 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거치 브라켓과 스마트폰용 브라켓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에서 고리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세운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용 브라켓에서 고리부가 볼베어링에 의해 306도 회전함과 동시에 상하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스마트폰 브라켓(10)과 차량용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폰 브라켓(10)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H)의 배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100)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110)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120)가 하부에 구비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브라켓(10)에는 볼베어링(10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볼베어링(101)과 결합된 상기 고리부(100)는 평면상으로 306도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볼베어링(101)을 축으로 상하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다음, 차량용 브라켓(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단자판(110)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200)이 360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200)의 측면에는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200)의 후방에는 자동차의 벤틸레이터(C)에 착탈 가능하도록 폭 조절이 가능한 체결부재(22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20)는 내측 하단에 스프링(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21)을 압압하는 'ㄴ'자 형상인 푸싱바 역할을 하는 세로대(223)는 상단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고 가로대(224)는 상기 세로대(223)의 압압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되 상기 가로대(224)의 상측에는 고정대(225)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세로대(223) 압압으로 가로대(224)와 고정대(225)사이에 자동차의 벤틸레이터(C)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단자판(200) 외주부에는 링형상의 자력이 통하는 결합판(20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판(202)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201)이 복수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석(201)이 구비됨으로서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스마트폰 배면에 고르게 자성이 분포됨으로서 부착의 견고성을 높힐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차량용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용 브라켓(1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H)의 배면에 고정 부착한 다음, 상기 연결단자(120)을 스마트폰(H) 하단 중앙에 필수적으로 구비된 충전포트에 꽂아 고정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거잭(J)에 USB 단자(U)를 꽂고 타측에 잭을 차량용 브라켓(20)의 포트(210)에 꽂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223)을 압압하여 고정대(225)와 가로대(224)의 간격을 넓힌 다음 자동차의 환기장치인 벤틸레이터(C)에 꽂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유지한 상태에서 스마트폰(H)의 충전이 필요할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H)의 배면에 고정 결합된 스마트폰용 브라켓(10)의 접지단자판(110)을 차량용 브라켓(20)의 충전단자판(200)에 부착 즉, 상기 충전단자판(200)의 외주부에는 자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폰 브라켓(10)이 용이하게 부착되며 이와 같이 부착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충전이 진행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운전시 기존과 달리 간편히 스마트폰(H)을 차량용 브라켓(20)에 탈부착하는 행위만으로 충전 및 충전이 완료되면 간편이 착탈 할수 있어 운전중에도 편리하게 충전 및 기타 스마트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기존의 무선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과 달리 유선상으로 접지된 상태이므로 충전속도가 월등이 빠른 잇점도 있고 동시에 무선방식과 같은 편리한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시에는 고리부(100)의 회동에 의해 스마트폰(H)을 세워서 유지 가능함으로서 DMB나 기타 동영상 등등을 시청함에도 편리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100)가 볼베어링(101)에 의해 360도 회전됨으로서 전화통화시 상기 고리부(100)에 손가락을 걸어서 전화 통화 및 휴대하면 스마트폰(H)을 놓치거나 충돌시 스마트폰(H)을 떨어뜨리는 염려도 방지할 수 있어 스마트폰(H)의 손상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자동차 이외의 실내 예를들면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에서 차량용 브라켓이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 브라켓(30)으로 대체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치 브라켓(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우선적으로 스마트폰용 브라켓(10)은 상기 차량용과 동일하지만 재차 구성을 설명하면,
스마트폰용 브라켓(10)은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100)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110)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120)가 하부에 구비된 것이며,
거치 브라켓(30)은 상기 접지단자판(110)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200)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LED충전램프(211)과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210)가 구비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용 브라켓(10)의 작용은 상기 차량용과 동일하고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용 브라켓(10)이 부착 고정된 스마트폰(H)을 충전키 위해서는 접지단자판(110)을 거치 브라켓(30)의 충전단자판(200)에 부착함으로서 편리하게 충전이 가능하며 충전의 종료여부는 LED충전램프(211)에 의해 확인가능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브라켓(30)은 USB단자(U)를 포트(210)에 꽂고 타측에는 충전기(B)와 연결하여 상기 충전기(B)를 전원 콘센트에 꽂아 충전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충전함으로서 기존의 무선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과 달리 유선상으로 접지된 상태이므로 충전속도가 월등이 빠른 잇점도 있고 동시에 무선방식과 같은 편리한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시에는 고리부(100)의 회동에 의해 스마트폰(H)을 세워서 유지 가능함으로서 DMB나 기타 동영상 등등을 시청함에도 편리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100)가 볼베어링(101)에 의해 360도 회전됨으로서 전화통화시 상기 고리부(100)에 손가락을 걸어서 전화 통화 및 휴대하면 스마트폰(H)을 놓치거나 충돌시 스마트폰(H)을 떨어뜨리는 염려도 방지할 수 있어 스마트폰(H)의 손상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스마트폰용 브라켓 20 : 차량용 브라켓
30 : 거치 브라켓
100 : 고리부 101 : 볼베어링
110 : 접지단자판 120 : 연결단자
200 : 충전단자판 210 : 포트
201 : 자석 202 : 결합판
211 : LED충전램프 220 : 체결부재
221 : 스프링 223 : 세로대
224 : 가로대 225 : 고정대
B : 충전기 C : 자동차의 벤틸레이터
J : 시거잭 U : USB 단자

Claims (5)

  1.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100)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110)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120)가 하부에 구비된 스마트폰용 브라켓(10)과,
    상기 접지단자판(110)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200)이 360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200)의 측면에는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판(200)의 후방에는 자동차의 벤틸레이터(C)에 착탈 가능하도록 폭 조절이 가능한 체결부재(220)가 구비되어 있는 차량용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2. 자력이 통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배면에 일면이 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100)의 하측에는 접지단자판(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판(110)과 내측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포트에 끼우는 연결단자(120)가 하부에 구비된 스마트폰용 브라켓(10)과,
    상기 접지단자판(110)에 접지 가능하도록 자력이 구비된 충전단자판(200)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LED충전램프(211)과 USB단자를 착탈 가능하도록 포트(210)가 구비된 거치 브라켓(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브라켓(10)에는 볼베어링(10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볼베어링(101)과 결합된 상기 고리부(100)는 평면상으로 306도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볼베어링(101)을 축으로 상하로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20)는 내측 하단에 스프링(2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21)을 압압하는 'ㄴ'자 형상인 푸싱바 역할을 하는 세로대(223)는 상단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고 가로대(224)는 상기 세로대(223)의 압압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되 상기 가로대(224)의 상측에는 고정대(225)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세로대(223) 압압으로 가로대(224)와 고정대(225)사이에 자동차의 벤틸레이터(C)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판(200) 외주부에는 링형상의 자력이 통하는 결합판(20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판(202)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자석(201)이 복수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KR1020160066150A 2016-05-30 2016-05-30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KR20170134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50A KR20170134999A (ko) 2016-05-30 2016-05-30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50A KR20170134999A (ko) 2016-05-30 2016-05-30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999A true KR20170134999A (ko) 2017-12-08

Family

ID=6091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150A KR20170134999A (ko) 2016-05-30 2016-05-30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99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551B1 (ko) * 2017-12-20 2018-07-17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108394249A (zh) * 2018-03-02 2018-08-14 国机智骏(北京)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的整车控制器、车辆及其控制方法
KR20190074929A (ko) * 2017-12-20 2019-06-28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90101828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KR20200018186A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KR20200000395U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20200060130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무선 충전기
CN111670528A (zh) * 2019-01-04 2020-09-15 获领株式会社 便携用终端设备无线充电系统
US11527913B2 (en) 2017-11-22 2022-12-13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913B2 (en) 2017-11-22 2022-12-13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879551B1 (ko) * 2017-12-20 2018-07-17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90074929A (ko) * 2017-12-20 2019-06-28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90101828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CN108394249A (zh) * 2018-03-02 2018-08-14 国机智骏(北京)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的整车控制器、车辆及其控制方法
KR20200018186A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KR20200000395U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20200060130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무선 충전기
CN111670528A (zh) * 2019-01-04 2020-09-15 获领株式会社 便携用终端设备无线充电系统
JP2021513830A (ja) * 2019-01-04 2021-05-27 フォー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Fouring Co.,Ltd.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US11239697B2 (en) * 2019-01-04 2022-02-01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4999A (ko)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US9678537B2 (en) Mobile device case and peripheral system
CN101820128B (zh) 充电式手持设备的充电座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82089Y1 (ko)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US20080265835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JP7100338B2 (ja)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KR101718729B1 (ko) 휴대폰 거치 및 충전 구조
KR20120124194A (ko)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CN202998728U (zh) 多功能电子产品保护壳
CN214315338U (zh) 一种手机壳
US9219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KR20180136066A (ko) 내비게이션 기능 및 태블릿 컴퓨터 기능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CN209627644U (zh) 耳机无线式充电结构
CN211720709U (zh) 一种可拆卸更换电池的蓝牙耳机、电池结构及充电盒
CN209896742U (zh) 分离式车载充电器
KR101570719B1 (ko)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CN204316551U (zh) 移动终端
CN202749600U (zh) 移动磁吸式充电集线器
CN202663135U (zh) 移动终端的充电装置
CN110933389A (zh) 一种投影仪可分离的音箱
WO2008007965A1 (en)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KR20190074929A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