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576B1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576B1
KR102458576B1 KR1020210134777A KR20210134777A KR102458576B1 KR 102458576 B1 KR102458576 B1 KR 102458576B1 KR 1020210134777 A KR1020210134777 A KR 1020210134777A KR 20210134777 A KR20210134777 A KR 20210134777A KR 102458576 B1 KR102458576 B1 KR 102458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in
main body
portable terminal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평
Original Assignee
이순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평 filed Critical 이순평
Priority to KR102021013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에 거치하기 위한 수단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거치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부를 통해 구비되는 판 형상의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 상기 거치 요구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보조 몸체; 및 상기 메인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 착탈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Hold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원하는 곳에 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각도조절, 위치고정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손가락에 끼워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손가락용 거치대와 차량의 윈도우나 자전거의 손잡이 등의 탈것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탈것용 거치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평소 손가락용 거치대를 사용하다 자동차에 거치를 하려면 규격이 맞지 않아 휴대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접착된 손가락용 거치대를 완전히 떼어낸 후 탈것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자동차에 거치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또한 한번 손가락용 거치대를 떼어내면 접착력이 떨어져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손가락에 거치하기 위한 수단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손가락에 거치하기 위한 수단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으며 이렇게 탈거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거치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부를 통해 구비되는 판 형상의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 상기 거치 요구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보조 몸체; 및 상기 메인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 착탈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피장착부에 일면이 접착되기 위한 접착 부재; 상기 접착 부재의 타면에 접착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메인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 중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착탈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착탈 연결부는, 상기 메인 몸체 중 상기 보조 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 끼움홈; 및 상기 보조 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메인 끼움홈에 착탈되도록 상기 메인 끼움홈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메인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착탈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중 상기 메인 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끼움홈; 및 상기 메인 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보조 끼움홈에 착탈되도록 상기 보조 끼움홈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보조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끼움홈은, 상기 보조 끼움 돌기와 상기 메인 끼움 돌기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되도록 상기 메인 끼움 돌기에도 대응되게 위치된다.
삭제
상기 메인 몸체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메인 끼움 돌기는 자석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베이스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보조 끼움 돌기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는, 상기 메인 몸체에서 회전되어 접힐 경우, 상기 메인 몸체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놓이며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 몸체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펼쳐질 경우, 상기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 중 지면에 닿는 부분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거치 요구부는, 자동차의 윈도우나 자전거의 손잡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거치 요구부는, 테이블 위에 놓이거나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holding)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거치 요구부는,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거치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 메인 몸체와,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와, 보조 몸체와, 그리고 메인 착탈 연결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메인 착탈 연결부를 통해 메인 몸체를 거치 요구부에 마련된 보조 몸체로부터 탈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손가락용 거치 수단으로 쓸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를 메인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접은 상태에서 메인 착탈 연결부를 통해 메인 몸체를 거치 요구부에 마련된 보조 몸체에 장착하는 것으로, 손가락에 거치하기 위한 수단(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착탈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메인 끼움홈과 이에 대응하는 메인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메인 끼움홈에 메인 끼움 돌기에 끼워지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특히 이렇게 끼워질 경우 상하 방향으로 미치는 힘(자동차나 자전거 등에서 발생되는 상하 진동 등)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전해지더라도 메인 끼움 돌기의 둘레면이 메인 끼움홈의 둘레면에 견고히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몸체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메인 끼움 돌기는 자석인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자석의 자력을 통해 메인 몸체와 보조 몸체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전후 방향으로 미치는 힘(자동차나 자전거 등의 출발이나 정지시 발생되는 관성력 등)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전해지더라도 메인 끼움홈에 대해 메인 끼움 돌기의 끼우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착부는 접착 부재, 베이스, 그리고 보조 착탈 연결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보조 착탈 연결부를 통해 베이스로부터 메인 몸체 및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탈거할 수 있고, 이 탈거된 상태로 보조 착탈 연결부를 통해 베이스를 보조 몸체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착탈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보조 끼움홈과 이에 대응하는 보조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끼움홈은 상기 메인 끼움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보조 끼움홈에 상술한 메인 끼움 돌기를 직접 끼워 서로 연결할 수 있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필요 없을 경우 메인 몸체 및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를 탈거한 상태로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는 메인 몸체에서 회전되어 접힐 경우 메인 몸체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놓이며 메인 몸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메인 몸체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메인 몸체와 보조 몸체가 연결될 때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펼쳐질 경우,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 중 지면에 닿는 부분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평평한 형상을 한 부분이 지면에 닿으면서 좌우 회전됨 없이 원활하게 휴대 단말기를 세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치 요구부를 통해, 자동차의 윈도우나 자전거의 손잡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테이블 위에 놓이거나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잡히도록) 구성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놓일 거치 피대상물(물건 또는 장소)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메인 착탈 연결부를 통해 분리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중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메인 몸체에서 회전되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중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메인 몸체의 둘레면을 감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메인 몸체와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탈거된 상태로 연결한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서 거치 요구부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메인 몸체와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탈거된 상태로 연결한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서 거치 요구부의 다른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메인 착탈 연결부를 통해 분리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중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메인 몸체에서 회전되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중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메인 몸체의 둘레면을 감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10)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N10)에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몸체(110)와,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와, 보조 몸체(130)와, 그리고 메인 착탈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몸체(110)는,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메인 몸체(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피장착부(10)에 장착부(F10)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F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F11)일 수 있다. 즉, 접착 부재(F11)의 일면은 피장착부(10)에 접착될 수 있고 그 타면은 메인 몸체(110)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F1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일면에는 박리지가 부착되고 그 타면에는 메인 몸체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그 양면 모두에 박리지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서 손가락용 거치 수단으로 쓰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용 거치 수단으로 쓸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탈것용 거치 수단으로 쓸 경우에는, 거치 요구부(N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를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 몸체(110)가 보조 몸체(130)에 결합되는 동안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보조 몸체(130)는, 휴대 단말기(10)가 거치 요구부(N10)에 거치되도록 메인 착탈 연결부(140)를 통해 메인 몸체(110)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보조 몸체(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거치 요구부(N10)의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착탈 연결부(140)는, 메인 몸체(110)와 보조 몸체(13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메인 착탈 연결부(14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메인 착탈 연결부(140)를 통해 메인 몸체(110)를 거치 요구부(N10)에 마련된 보조 몸체(130)로부터 탈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손가락용 거치 수단으로 쓸 수 있다(도 3 참조). 이와 더불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를 메인 몸체(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접은 상태에서 메인 착탈 연결부(140)를 통해 메인 몸체(110)를 거치 요구부(N10)에 마련된 보조 몸체(130)에 장착하는 것으로, 손가락에 거치하기 위한 수단(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10)를 거치 요구부(N10)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는, 메인 몸체(110)에서 힌지축(H1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접힐 경우, 메인 몸체(110)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놓일 수 있으며(도 4 참조), 메인 몸체(110)로부터 보조 몸체(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메인 몸체(110)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메인 몸체(110)와 보조 몸체(130)가 연결될 때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가 힌지축(H1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펼쳐질 경우,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 중 지면에 닿는 부분(121)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평평한 형상을 한 부분(121)이 지면에 닿으면서 좌우 회전됨 없이 원활하게 휴대 단말기(10)를 세울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메인 착탈 연결부(14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착탈 연결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인 끼움홈(141)과 이에 각각 대응되는 각각의 메인 끼움 돌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메인 끼움홈(141)은 메인 몸체(110) 중 보조 몸체(13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메인 끼움 돌기(142)는 보조 몸체(130)에 구비되되 메인 끼움홈(141)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끼움홈(141)에 메인 끼움 돌기(142)에 끼워지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특히 이렇게 끼워질 경우 상하 방향으로 미치는 힘(자동차나 자전거 등에서 발생되는 상하 진동 등)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에 전해지더라도 메인 끼움 돌기(142)의 둘레면이 메인 끼움홈(141)의 둘레면에 견고히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몸체(110)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메인 끼움 돌기(142)는 자석일 수 있다. 따라서, 자석의 자력을 통해 메인 몸체(110)와 보조 몸체(13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전후 방향으로 미치는 힘(자동차나 자전거 등의 출발이나 정지시 발생되는 관성력 등)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에 전해지더라도 메인 끼움홈(141)에 대해 메인 끼움 돌기(142)의 끼우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메인 몸체와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가 탈거된 상태로 연결한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F2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장착부(F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F21), 베이스(F22), 그리고 보조 착탈 연결부(F2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F21)는 피장착부(10)에 그 일면이 접착될 수 있고 그 타면이 베이스(F22)에 접착될 수 있다. 베이스(F22)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접착 부재(F21)의 타면에 접착될 수 있다. 보조 착탈 연결부(F23)는 베이스(F22)와 메인 몸체(11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몸체(110)와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보조 착탈 연결부(F23)를 통해 베이스(F22)로부터 메인 몸체(110) 및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탈거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탈거된 상태로 보조 착탈 연결부(F23)를 통해 베이스(F22)를 보조 몸체(130)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착탈 연결부(F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조 끼움홈(F23a)과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보조 끼움 돌기(F23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보조 끼움홈(F23a)은 베이스(F22) 중 메인 몸체(11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보조 끼움 돌기(F23b)는 메인 몸체(110)에 구비되되 보조 끼움홈(F23a)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끼움홈(F23a)은 메인 끼움 돌기(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끼움홈(F23a)에 상술한 메인 끼움 돌기(142)를 직접 끼워 서로 연결할 수 있어,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가 필요 없을 경우 메인 몸체(110) 및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120)를 탈거한 상태로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F22)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조 끼움 돌기(F23b)는 자석일 수 있다.
한편, 거치 요구부(N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윈도우(20)에 장착되도록 진공 흡착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거치 요구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전거의 손잡이에 장착되도록 조일 수 있는 고리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거치 요구부(N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위에 놓일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베이스(F22), 메인 몸체(110), 그리고 보조 몸체(1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메인 몸체(110)가 탈거된 상태에서 베이스(F22)와 보조 몸체(130)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한편, 거치 요구부(N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잡히도록)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피장착부(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20: 자동차의 윈도우 N10: 거치 요구부
100, 200: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110: 메인 몸체 120: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
130: 보조 몸체 140: 메인 착탈 연결부
141: 메인 끼움홈 142: 메인 끼움 돌기
F10, F20: 장착부 F11, F21: 접착 부재
F22: 베이스 F23: 보조 착탈 연결부
F23a: 보조 끼움홈 F23b: 보조 끼움 돌기

Claims (3)

  1.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 요구부에 거치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부를 통해 구비되는 판 형상의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가락 삽입용 링 부재;
    상기 거치 요구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보조 몸체; 및
    상기 메인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 착탈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피장착부에 일면이 접착되기 위한 접착 부재;
    상기 접착 부재의 타면에 접착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메인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 중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 착탈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착탈 연결부는,
    상기 메인 몸체 중 상기 보조 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 끼움홈; 및
    상기 보조 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메인 끼움홈에 착탈되도록 상기 메인 끼움홈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메인 끼움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착탈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중 상기 메인 몸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끼움홈; 및
    상기 메인 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보조 끼움홈에 착탈되도록 상기 보조 끼움홈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보조 끼움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끼움홈은,
    상기 보조 끼움 돌기와 상기 메인 끼움 돌기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되도록 상기 메인 끼움 돌기에도 대응되게 위치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메인 몸체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끼움 돌기는,
    자석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0210134777A 2021-10-12 2021-10-12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45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77A KR102458576B1 (ko) 2021-10-12 2021-10-12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77A KR102458576B1 (ko) 2021-10-12 2021-10-12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576B1 true KR102458576B1 (ko) 2022-10-25

Family

ID=8380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777A KR102458576B1 (ko) 2021-10-12 2021-10-12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5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79551B1 (ko) * 2017-12-20 2018-07-17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0488704Y1 (ko) * 2017-11-22 2019-03-12 (주)훠링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000395U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20200028656A (ko) * 2018-09-07 2020-03-17 용석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039916A (ko)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20210093839A (ko) * 2018-12-27 2021-07-28 전우진 휴대 단말기용 고리 홀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8704Y1 (ko) * 2017-11-22 2019-03-12 (주)훠링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879551B1 (ko) * 2017-12-20 2018-07-17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200000395U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20200028656A (ko) * 2018-09-07 2020-03-17 용석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039916A (ko)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20210093839A (ko) * 2018-12-27 2021-07-28 전우진 휴대 단말기용 고리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527679A (zh) 影像擷取系統及夾持機構
EP3716590A1 (en) Portable device holder
KR102458576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EP0897510B1 (en) Spectacle holder
KR20180060460A (ko)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US20080054153A1 (en) Microphone Holder
CA2260471C (en) Holding device for the attachment of a microphone to an object
JP2004177431A (ja) モニター用ステレオビューアー
JP2017117856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KR20230000225U (ko) 단말기 거치대
US5471653A (en) Portable radio apparatus and mount structure therefor
JP2000039537A (ja) アダプタ
CN104284270B (zh) 蓝牙耳机
JPH04109234A (ja) カメラ取付具
CN114552499B (zh) 束线装置
JP2002156701A (ja) カメラのグリップ装置
CN210670197U (zh) 一种新型手机支架
KR20170002546U (ko) 카메라 리그
JP2000325110A (ja) 機器保持具
JP2601782Y2 (ja) 着脱式操作部を備えた電気装置用操作ノブ取付構造
TWM469508U (zh) 調節式光學鏡頭轉接裝置
JP2012163751A (ja) 光学遠視装置の保護カバー
KR200181728Y1 (ko) 캠코더
JPH04161940A (ja) カメラ
JP2004003632A (ja) 固定具、コード固定構造、車載機器、車両、および固定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