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36074A2 -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36074A2
WO2018236074A2 PCT/KR2018/006410 KR2018006410W WO2018236074A2 WO 2018236074 A2 WO2018236074 A2 WO 2018236074A2 KR 2018006410 W KR2018006410 W KR 2018006410W WO 2018236074 A2 WO2018236074 A2 WO 201823607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late
guide
groo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4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236074A3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ublication of WO201823607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36074A2/ko
Publication of WO201823607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3607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device of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device for sliding a mobile phone up and down in a wallet or diary-shaped mobile phone case.
  • the concept of mobile phones, including smartphones, is widespread despite being both young and old, and is an electronic product that is closely intertwined with real life. In addition to phone calls, it is a reality to be able to perform various tasks using mobile phones.
  • the widely used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telephone call and the text transmission / reception are the functions using the camera, and the camera functions are continuously improving.
  • a cell phone is usually used with a cell phone case to prevent shock or burn.
  • a cell phone case of various designs is provided.
  • sliding devices of a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having a function of a wallet or a diary are widely used, and it is possible to store credit cards and the like together. It can be safely protected, and it is advantageous to express luxurious beauty.
  • the sliding device of the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does not have a disadvantage either, it is when photographing with a mobile phone.
  • the slide device of the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is usually composed of a back plate to which a mobile phone is attached and a front plate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This is because you must hold the front panel unfolded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camera toward the subject without touching the front of the phone. And if you do not want to keep your phone away from the case, you have to make a camera hole on the back panel, so the phone case can not have a perfect wallet or diary shape.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544093
  • Prior art relating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Korean Patent No. 10-1544093 (2015.08.06), 10-1419051 (2014.07.07), 10-1224437 (2013.01.15), 10-1403220 (May 27, 2014).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e device for easily using a camera in a mobile phone, It has its purpos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device which can maintain the shape of a wallet completely without forming a camera hole on the back side of the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and which facilitates the use of the camera in this form.
  • a sliding device for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back plate o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and a wallet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front plat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ck plate
  • a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a plate coupled to the back plate; a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or coupled to a center of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having a rectangular frame-shaped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guide plate including a lift frame having fix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And a guide plate having a guide bar formed at a rim portion of a stepped long axis,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sliding up and down in the lift frame, and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haft in a detachable manner; Wherein when the camera len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phone is used for photographing, the lifting plate to which the mobile phone is coupled is lifted from the guide plate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guide groove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one long side of the lifting frame, and at least one guide bar of the guide bars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and slidable in the guide groove
  • a plurality of guide bars are formed at a spacing ratio that is equal to a spacing ratio between the through holes, wherein the coupling of the lift plate to the guide plate inserts the other guide bar of the guide bar into the other guide groove first, And the guide ba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moved up and down.
  • the lif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body including a cutting groove cut up and dow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and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the cutting groove of the body and having the fixing protrusion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 the fixing groov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plate may have a tens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reof.
  • the fixing protrusion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tension groove, And each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tension proj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 the mobile phone can be slid upward from a case such as a wallet or a diary, it is possible to improve aesthetics without forming a mobile phone camera hole in the back of the case, In using the mobile phone camera, the mobile phone can be easily used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moved upward and the front plate of the case is turned back.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device coupled to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device coupled to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ront view of a sl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ottom view of a steel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uide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device coupled to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device coupled to a wallet-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ront view of a sl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uide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lide device 10 of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plate 5 on which a mobile phone P is mounted and a cover 5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back plate 5 to cover or open the mobile phone P.
  • a mobile phone case (1) including a front plate (4) includes a guide plate (100) and a lifting plate (200).
  • the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1 is provided with a lid 3 divided into a front wall 4 and a rear wall 5 in the form of a wallet or a diary folded in half in a folded form.
  • the front plate 4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rear plate 5 and may be folded with the rear plate 5 by being folded in the front direction.
  • various receiving means 6 for storing a credit card, a business card,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front plate 4.
  • a band 7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back plate 5 and the band 7 is a means for fixing the front plate 4 when the back plate 5 is folded.
  • the band 7 is formed in the form of a velcro (not shown) or a snap button (not shown).
  • the guide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plate 110 coupled to the rear plate 5.
  • the plate 110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late 110.
  • the plate 110 is formed with an elevating frame 111 through which the insertion groove 120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from the edge of the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110 is fixed with a bond or an adhesive of the back plate 5, or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110 protruding from the elevating frame 111 protrudes from the rear plate 5 As shown in Fig.
  • the lifting frame 111 has guide grooves 1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 of the guide groove 121 is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 the lifting frame 11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22 so as to open in the front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one guide groove 121 of the guide groove 121.
  • the through holes 122 may be formed as one, but they may be formed at two posit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s shown in FIG.
  • the through holes 122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than two.
  • the lifting frame 111 has two fixing grooves 123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 the number of the fixing grooves 123 may be one or more.
  • the fixing grooves 1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and the engaging grooves 124 are formed in a semicircular groove shape.
  • the lifting plate 200 is sli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0 of the guide plate 100 and the cellular phone P can be fixed or fixed to the front portion.
  • the lifting plate 200 may be fixed through an adhesive (not shown) such as a bond or fixed via a double-sided tape (not shown).
  • the rear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P may be directly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00.
  • the cellular phone P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2
  •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00 may be fixed to each other.
  • the accommodating portion 2 and the steel plate 200 may be fixed with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 a camera hole (not shown)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 facing the camera of the cellular phone P.
  • the heigh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00 may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frame 111 when the lifting frame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0.
  • the vertical length of the lifting plate 200 is preferably about half the vertical length of the insertion groove 120.
  •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plate 20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plate 200 after movement.
  • the vertical length of the steel plate 200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half of the insertion groove 120.
  • both side lengths of the lift steel plate 200 are formed to be equal to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120.
  • a bar-shaped guide bar 211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1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lifting plate 200.
  • a bar-shaped guide bar 211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1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lifting plate 200.
  • the guide bar 211 guides the lifting plate 200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21 when the guide bar 21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1.
  • the one side guide bar 211 of the guide bar 211 is formed with a coupling bar 21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side guide bar 2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coupling bar 2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ne side guide bar 2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 at a position facing the through hole 122 of the guide groove 121 .
  • the coupling bar 2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 so that the lifting plate 200 is gu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21.
  • the lifting plate 200 is inserted or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20 as the coupling bar 2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 or the insertion groove 120 ). ≪ / RTI >
  • the number of the coupling bars 212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122.
  • a fixing protrusion 222 is formed on the lifting plate 200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the lifting plate 200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23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sliding movement.
  • the lifting plate 200 is provided with a body 210 including a cutout groove 213 that is cut up and dow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10.
  • the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groove 213 of the body 210, 222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 the body 210 and the fixing plate 220 are preferably fix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 the body 210 and the fixing plate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 a tension groove 221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xing plate 220.
  • the fixing protrusions 222 are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tension grooves 221 to the outside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ixing protrusions 222 are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Y-shape.
  • each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222 is formed with a tension projection 223 bent outwardly.
  •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tension projections 223 is preferably formed by a curved proces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on projection 22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q p " shape.
  • the fixing protrusions 222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in positions facing the fixing grooves 123.
  • the plate 110 of the guide plate 100 may be coupled with an assembly plate 112 as shown in FIG.
  • the assembly plate 112 is formed with an assembly groove 113 to be assembled to an assembly projection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110 or the lifting frame 111.
  • the lifting frame 200 is detachable when the lifting frame 200 is in a position where the lifting frame 200 faces the lifting frame 111 .
  • the guide bar 211 and the coupling bar 212 of the lifting plate 200 ar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121, and the coupling bar 212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through hole 122
  • the lifting plate 200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 the lifting plate 200 is sli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120 while being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111.
  • the lifting plate 200 is positioned below the insertion groove 120
  • the cellular phone P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200 is positioned so as to overlap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back plate 5, that is, in an overlapping manner.
  • a camera provided in the cellular phone P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P.
  • the camera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lifting plate 200 coupled with the mobile phone P is lifted from the guide plate 100,
  • the fixing protrusion 222 is engaged, the camera lens is expos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plate 5, so that the camera can be photographed.
  • the lifting plate 200 When the lifting plate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20, it is fixed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s 222 and the fixing grooves 123. At this time, The tensioning protrusion 223 is retracted inward by a tensioning protrusion 223 protruding outward when the protrusion 22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3. When the tensioning protrusion 223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fixing groove 123, (124).
  • the fixing protrusion 222 When the user applies a constant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ing groove 123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22 is inserted, the fixing protrusion 222 is retracted by a tension action and then exits the fixing groove 123 It is preferable to relax again.
  • the mobile phone can be slid upward from a case such as a wallet or a diary, it is possible to improve aesthetics without forming a mobile phone camera hole in the back of the case, In using the mobile phone camera, the mobile phone can be easily used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moved upward and the front plate of the case is turned back.
  • the durability of the fixing projection can be improved.

Abstract

본 발명은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이 거치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폰을 개폐하는 앞판을 포함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중심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장축의 양변 내측 하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단축의 양변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이드판; 및 단차진 장축의 테두리 부분에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도록 단축의 양면에 고정돌기가 돌출된 승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의 뒷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를 이용한 촬영시 상기 가이드판에서 상기 휴대폰이 결합된 상기 승강판을 상승시켜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를 결합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뒷판 상부로 노출 고정되어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지갑이나 다이어리와 같은 형태의 케이스에서 휴대폰을 상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후면에 휴대폰 카메라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 카메라를 사용함에 있어서 휴대폰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케이스의 앞판을 뒤로 젖혀도 휴대폰의 카메라 사용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본 발명은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갑이나 다이어리 형태의 휴대폰 케이스에서 휴대폰을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개념의 휴대폰은 남녀노소 불구하고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실생활에 밀접하게 개입되어 있는 전자제품이다. 전화통화 이외에도 휴대폰을 이용한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중 전화통화나 문자 송수신 이외에 널리 사용되는 기능이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기능일 것이며 카메라 기능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한편, 근래 휴대폰은 스마트폰이라 하여 PC의 기능을 거의 그대로 수행할 수 있는 정도에까지 이르렀으며 그래서 고가의 제품이기도 하다. 휴대폰은 통상 충격이나 소손 방지를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와 함께 사용된다.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실로 다채로운 디자인의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되기도 한다.
여러 가지 형태의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지갑이나 다이어리의 기능을 가지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가 널리 애용되고 있는데, 이는 신용카드 등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등 수납효율성이 좋고, 휴대폰 케이스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급스러운 미감을 표현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도 단점이 없지 않은데, 그것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이다.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는 보통 휴대폰이 부착되는 뒷판과 휴대폰을 전면을 덮게 되는 앞판으로 구성되는데, 사진 촬영 시 앞판을 펼친 상태에서 촬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한 손으로 앞판을 펼쳐서 잡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폰의 전면에 손을 대지 않고 피사체를 향해 카메라를 흔들리지 않게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휴대폰을 케이스에서 분리시키지 않으려면 뒷판에 카메라 구멍을 만들어 놓아야 하기 때문에 휴대폰 케이스는 완전한 지갑이나 다이어리 형태를 갖출 수 없다.
또한, 카메라 구멍 부위가 쉽게 낡아지기도 하고, 소재나 디자인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제약이 따른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093호)과 같은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를 선출원한 바 있다.
하지만, 뒷판에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가이드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을 자력에 의해 슬라이딩 및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자력에 의해 휴대폰의 조작 및 작동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093호 (2015.08.06), 제10-1419051호 (2014.07.07), 제10-1224437호 (2013.01.15), 제10-1403220호 (2014.05.27)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지갑이나 다이어리와 같은 형태의 케이스에서, 휴대폰 카메라가 케이스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폰의 카메라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서 후면에 카메라 홀을 형성하지 않고 지갑 형태의 모습을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형태에서 카메라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는, 휴대폰이 거치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폰을 개폐하는 앞판을 포함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중심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장축의 양변 내측 하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단축의 양변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이드판; 및 단차진 장축의 테두리 부분에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도록 단축의 양면에 고정돌기가 돌출된 승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의 뒷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를 이용한 촬영시 상기 가이드판에서 상기 휴대폰이 결합된 상기 승강판을 상승시켜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를 결합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뒷판 상부로 노출 고정되어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장축 일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외부로 노출되게 복수개의 관통공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 중 적어도 일측 가이드바는 상기 관통공들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들 사이의 이격 비율과 동일한 이격 비율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승강판의 결합은 상기 가이드바 중 타측 가이드바를 먼저 타측 가이드홈에 삽입한 후 일측 가이드바를 관통공에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은, 저면 중앙에 상하로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절개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내측의 양측으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단과 하단에 텐션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텐션홈의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각 단부는 상기 체결홈에 암수 결합되도록 텐션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에 따르면, 지갑이나 다이어리와 같은 형태의 케이스에서 휴대폰을 상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후면에 휴대폰 카메라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 카메라를 사용함에 있어서 휴대폰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케이스의 앞판을 뒤로 젖혀도 휴대폰의 카메라 사용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슬라이딩시켜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뒷판에 카메라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에 사용이 가능하며 더불어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케이스를 바꾸지 않아도 되어 경제력이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된 슬라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된 슬라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판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된 슬라이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된 슬라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판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의 슬라이드 장치(10)는 휴대폰(P)이 거치되는 뒷판(5)과, 상기 뒷판(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폰(P)을 덮거나 개방하는 앞판(4)을 포함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에 있어서, 가이드판(100) 및 승강판(200)을 포함한다.
상기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는 폴딩 형태로 반으로 접혀 포개지는 지갑이나 다이어리와 같은 형상으로 앞판(4)과 뒷판(5)으로 구분되는 덮개부(3)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앞판(4)은 상기 뒷판(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면 방향으로 폴딩 됨에 따라 상기 뒷판(5)과 포개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앞판(4)은 개방되었을 때 앞판(4)의 전면부에 신용카드나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납수단(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뒷판(5)은 타측면 중앙에 밴드(7)가 형성되는데, 상기 밴드(7)는 상기 앞판(4)이 폴딩되어 상기 뒷판(5)을 포개고 있을 때 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상기 밴드(7)의 고정 수단으로는 벨크로(미도시)나 스냅단추(미도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판(100)은 상기 뒷판(5)에 결합되는 판형의 플레이트(110)가 마련된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전면부에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삽입홈(120)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 승강 프레임(111)이 형성되거나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0)는 후면이 상기 뒷판(5)의 본드나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상기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상기 승강 프레임(111)의 외부로 돌출된 테부리 부분이 상기 뒷판(5)에 매립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111)은 내주면의 양측으로 후측에 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21)의 단면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 프레임(111)은 상기 가이드홈(121) 중 일측 가이드홈(121) 중앙부에 전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관통공(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22)은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3처럼 두개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관통공(122)은 하나,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프레임(111)은 내주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홈(123)이 형성되는데, 도 3처럼 두개가 형성된다.
물론, 이때 상기 고정홈(123)의 개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23)은 내측의 양측으로 체결홈(1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홈(124)은 반원 형상의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판(200)은 상기 가이드판(100)의 삽입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며,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P)이 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승강판(200)의 전면부에 상기 휴대폰(P)이 고정될 시 일반적으로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미도시)를 통해 고정되거나, 양면테이프(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폰(P)의 후면이 상기 승강판(200)의 전면부와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2처럼 상기 휴대폰(P)이 측면 테두리와 후면을 감싸는 형태의 수용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의 후면과 상기 승강판(200)의 전면부가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상기 수용부(2)와 상기 승강판(200)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2)의 후면 중 상기 휴대폰(P)의 카메라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카메라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판(200) 전면부의 높이는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승강 프레임(111)의 전면부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2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삽입홈(120)의 상하 길이의 반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판(200)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었을 시 이동 전 상기 승강판(200)의 상단이 이동 후 상기 승강판(200)의 하단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승강판(2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삽입홈(120)의 반정도 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판(200)의 양측 길이는 상기 삽입홈(120)의 양측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판(200)은 양측면에 후측으로 상기 가이드홈(121)에 삽입되는 바 형상의 가이드바(21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200)은 양측면에 후측으로 상기 가이드홈(121)에 삽입되는 바 형상의 가이드바(2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211)는 상기 가이드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승강판(200)이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211) 중 일측 가이드바(211)에는 측면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결합바(21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212)는 상기 일측 가이드바(211)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121)의 관통공(122)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관통공(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결합바(212)는 상기 관통공(122)에 삽입된 후 상기 승강판(200)이 상기 가이드홈(121)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200)은 상기 결합바(212)가 상기 관통공(12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승강판(200)이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삽입홈(12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결합바(212)의 개수는 상기 관통공(122)의 개수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200)에는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승강판(200)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홈(123)에 고정되는 고정돌기(2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200)은 저면 중앙에 상하로 절개된 절개홈(213)을 포함하는 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10)의 절개홈(213)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222)가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판(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210)와 고정판(220)은 서로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몸체(210)와 고정판(220)은 일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220)의 상단과 하단에는 텐션홈(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22)는 상기 텐션홈(221)의 내측에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되되,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222)는 대략 "Y"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22)의 각 단부에는 서로 외향되도록 절곡된 텐션돌기(223)가 형성된다. 상기 텐션돌기(223)는 외측이 각각 곡선처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텐션돌기(223)는 대략 "q p"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돌기(222)는 상기 고정홈(123)과 대향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판(100)의 플레이트(110)는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부분에 도 7처럼 조립판(11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판(112)은 상기 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승강 프레임(111)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돌기(미도시)에 조립되는 조립홈(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판(200)은 상기 가이드판(100)에 결합될 때 상기 승강판(200)의 타측 가이드바(211)가 먼저 상기 승강 프레임(111)의 타측 가이드홈(121)에 결합된 후 상기 승강판(200)의 결합바(212)가 상기 승강 프레임(111)의 관통공(122)과 대향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승강판(200)가 상기 승강 프레임(11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판(200)의 결합바(212)가 상기 관통공(122)과 서로 대향되는 위치일 경우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승강판(200)의 가이드바(211)와 결합바(212)는 상기 가이드홈(121)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결합바(212)가 상기 관통공(122)과 대향되는 위치일 경우에만 상기 승강판(200)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200)이 상기 승강 프레임(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20)의 상하로 슬라이딩되는데, 상기 승강판(200)이 상기 삽입홈(120)의 하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승강판(200)에 결합된 휴대폰(P)이 상기 뒷판(5)과 대향되는 위치, 즉 포개지듯이 겹쳐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200)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삽입홈(120)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승강판(200)에 결합된 휴대폰(P)이 상기 뒷판(5)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휴대폰(P)에 구비된 카메라는 휴대폰(P)의 후면 중 상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휴대폰(P)이 상기 뒷판(5)의 상측으로 노출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폰(P)의 뒷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를 이용한 촬영시 상기 가이드판(100)에서 상기 휴대폰(P)이 결합된 상기 승강판(200)을 상승시켜 상기 고정홈(123)에 상기 고정돌기(222)를 결합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뒷판(5) 상부로 노출 고정되어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200)이 상기 삽입홈(12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할 때 이를 상기 고정돌기(222)와 고정홈(123)을 통해 고정해주는데, 이때, 상기 고정돌기(222)가 상기 고정홈(123)에 삽입될 때 상기 외측으로 돌출된 텐션돌기(223)에 의해 내측으로 텐션작용으로 수축되었다가 상기 고정홈(123) 끝단에 삽입되면 상기 텐션돌기(223)가 상기 체결홈(124)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고정돌기(222)가 삽입된 고정홈(123)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하면 다시 텐션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222)가 수축되었다가 상기 고정홈(123)을 빠져 나오면 다시 이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에 따르면, 지갑이나 다이어리와 같은 형태의 케이스에서 휴대폰을 상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후면에 휴대폰 카메라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 카메라를 사용함에 있어서 휴대폰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케이스의 앞판을 뒤로 젖혀도 휴대폰의 카메라 사용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에 텐션홈 및 텐션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고정돌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슬라이딩시켜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뒷판에 카메라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에 사용이 가능하며 더불어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케이스를 바꾸지 않아도 되어 경제력이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P: 휴대폰 1: 휴대폰 케이스
2: 수용부 3: 덮개부
4: 앞판 5: 뒷판
6: 수납수단 7: 밴드
10: 슬라이드 장치 100: 가이드판
110: 플레이트 111: 승강 프레임
112: 조립판 113: 조립홈
120: 삽입홈 121: 가이드홈
122: 관통공 123: 고정홈
124: 체결홈 200: 승강판
210: 몸체 211: 가이드바
212: 결합바 213: 절개홈
220: 고정판 221: 텐션홈
222: 고정돌기 223: 텐션돌기

Claims (4)

  1. 휴대폰이 거치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폰을 개폐하는 앞판을 포함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중심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장축의 양변 내측 하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단축의 양변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이드판; 및
    단차진 장축의 테두리 부분에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도록 단축의 양면에 고정돌기가 돌출된 승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의 뒷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를 이용한 촬영시 상기 가이드판에서 상기 휴대폰이 결합된 상기 승강판을 상승시켜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를 결합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뒷판 상부로 노출 고정되어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장축 일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외부로 노출되게 복수개의 관통공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 중 적어도 일측 가이드바는 상기 관통공들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들 사이의 이격 비율과 동일한 이격 비율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승강판의 결합은 상기 가이드바 중 타측 가이드바를 먼저 타측 가이드홈에 삽입한 후 일측 가이드바를 관통공에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저면 중앙에 상하로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절개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내측의 양측으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단과 하단에 텐션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텐션홈의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각 단부는 상기 체결홈에 암수 결합되도록 텐션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PCT/KR2018/006410 2017-06-19 2018-06-05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WO201823607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435A KR101794240B1 (ko) 2017-06-19 2017-06-19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KR10-2017-0077435 2017-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074A2 true WO2018236074A2 (ko) 2018-12-27
WO2018236074A3 WO2018236074A3 (ko) 2019-02-21

Family

ID=6038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410 WO2018236074A2 (ko) 2017-06-19 2018-06-05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4240B1 (ko)
WO (1) WO20182360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52B1 (ko) * 2018-09-17 2019-02-12 김연수 휴대폰 케이스
KR102256068B1 (ko) * 2019-08-23 2021-05-25 김용진 휴대폰의 크기에 따라 좌, 우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와 하부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휴대폰케이스
KR102480891B1 (ko) 2021-01-08 2022-12-22 최정욱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2468124B1 (ko) 2021-05-11 2022-11-22 이화순 탄성클립이 구비된 휴대폰용 카드지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36B1 (ko) *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KR20150000251U (ko) * 2013-07-09 2015-01-20 김도진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9825Y1 (ko) * 2014-04-22 2016-03-10 임재성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618002B1 (ko) * 2015-03-18 2016-05-03 손상묵 핸드폰 거치용 지갑
KR20170004090A (ko) * 2015-07-01 2017-01-11 김대인 카메라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마트폰이 휴대된 장지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40B1 (ko) 2017-11-07
WO2018236074A3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36074A2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WO2015147450A1 (ko)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CN1741721B (zh) 用于双滑动型便携式通信设备的滑动装置
WO2015126053A1 (ko)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070287514A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portable device
WO2012134073A2 (ko) 휴대폰 거치대
WO2013048041A2 (ko)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KR101191867B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8174363A1 (ko) 핸드폰 케이스
WO2018164374A1 (ko) 모바일 기기 슬라이딩 장치
WO2018092996A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WO2023027213A1 (ko) 크래들 및 휴대용 음향기기
WO2014209011A1 (ko) 진공 또는 방수 케이스
WO2016163659A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WO2017222109A1 (ko)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WO2019196808A1 (zh) 手机配件
WO2023043147A1 (ko)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WO2020060109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101136281B1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락킹 장치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WO2016089111A1 (ko)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WO2012173338A2 (ko) 휴대폰 케이스
KR1010341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21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21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