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34073A2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34073A2
WO2012134073A2 PCT/KR2012/001733 KR2012001733W WO2012134073A2 WO 2012134073 A2 WO2012134073 A2 WO 2012134073A2 KR 2012001733 W KR2012001733 W KR 2012001733W WO 2012134073 A2 WO2012134073 A2 WO 201213407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coupling
hold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17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34073A3 (ko
Inventor
최병삼
Original Assignee
Choi Byeong-Sam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Choi Byeong-Sam filed Critical Choi Byeong-Sam
Publication of WO201213407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073A2/ko
Publication of WO201213407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07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shape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and enhance decorative beauty.
  • the smartphone may be installed and used by an applic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may have internet communication, fax transmission, and the like while moving.
  • the mobile phone is used in a car, it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holder.
  •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is a structure that can not be changed from one preset form has a problem that the user is easily tired during use.
  •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has recently been a problem that does not meet the user's desire to purchase and use a separat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replaced mobile phone as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mobile phone fast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be chang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is mounted mobile phone
  • a coupling member for detachably coupling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and the base holder member
  • a mobile phone holder including a fixing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holder member and fixing the base holder member to a designated 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mmerciality of the excellent deco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widely used as a promotional material by applying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company logo, mark.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phone holder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phone holder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to 5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a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of a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phone holder includes a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s a mobile phone is mounted.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ncludes a rear support plate 11 supporting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nd a support protrusion 1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11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 the mobile phone includes a smart phone.
  • the support protrusion 12 is provided with a terminal connection hole 12a for connecting a terminal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 the supporting protrusions 12 are projected in a pai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pport plate 11 is an example that the terminal connecting hole 12a is formed therebetween.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base holder member 20.
  • the base hold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clamping portion 21 for fixing the mobile phon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 the clamping part 21 fix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holding member 10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freely separate the mobile phone from the mobile phone holding member 10.
  • the base holder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40 can be fixed at a designated position.
  • the base holder member 20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40 so as to replace and use the fixing member 40.
  • one side of the base holder member 20 and the fixing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bolt portion 40a and the other side of the bolt portion 40a is provided with a nut portion 40b.
  • the base holder member 20 and the fixing member 40 are detachably coupled by fastening the bolt portion 40a and the nut portion 40b.
  • the fixing member 40 is an example of an adsorption fixture 41 provided with an adsorption plate that can be fixed to a window or the like.
  • the suction fixture 41 is fixed to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and the like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 the fixing member 40 is an annular fastener 42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ends thereof are integrated, and the spaced ends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the fastening of the fixing bolt 42a and the fixing nut 42b. do.
  • the ring fixture 42 can be used by mounting to a bar-like fixture such as a handle 100 of the bicycle.
  • the fixing member 40 may be modified in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fixed to a position to be used by mounting a mobile phone.
  • the base holder member 20 has a base body portion 22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40;
  • the base body part 22 is provided at both sides and includes a clamping part 21 for holding and fixing the mobile phon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 the clamping part 21 has an elastic support part 21a formed to be bent and elastically open with an arc surrounding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 a guide part 21b formed at an end of the elastic support part 21a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rc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part 21a.
  • the guide portion 21b allows the elastic support portion 21a to naturally open while the guide portion 21b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 the elastic support 21a is pushed open while the guide part 21b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 the mobile phon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grasped and fixed while being plac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ity.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base holder member 20 as described above.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and the base holder member 20 are detachab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30.
  • the coupling member 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or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holder member 2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having rail grooves 31a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 Rail protrusions 32a which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or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holder member 2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ail groove 31a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32 provided.
  • the coupling member 30 is integrally extended and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33 protruding the engaging projection (33a)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or the base hold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33b in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33a is inserted. That is, the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and the base hold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33,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groove (33b).
  • the coupl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portion 32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late portion 11, and the locking groove 33b is formed as an example.
  •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holder member 20,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33 is integrally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and the A locking protrusion 33a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b of the rear support plate 11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33.
  • the locking protrusion 33a has an inclined surface and is easi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b.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s coupled in a sliding manner from an upper side of the base holder member 20.
  •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 is provided with a stopper portion 34 which catches an upp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to designate a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 the stopper part 34 supports the second coupling part 32 and the first coupling part 31 so as not to fall out along the rail grooves 31a penetra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locking protrusion 33a.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b to designate a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
  • the rear support plate part 11 is moved to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holder member 20, and is mov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holder member 20 to be coupled with the base holder member 20. .
  • the rail protrusion 32a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31a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 and coupled in a sliding manner.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33 is elastically curved by being push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late portion 11 due to the locking protrusion 33a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locking protrusion 33a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groove 33b.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locking protrusion 33a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b.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s firmly coupled to the base holder member 20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33a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b.
  • the mobile phone holding member 10 is simply separated from the base holder member 20 when the user moves upward by applying a forc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33a can be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33b.
  • 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ply detaching and coupling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from the base holder member 20.
  • the cell phone mounting member 10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symbol or mark of the operating system, or a cartoon character or a separately designed shape so as to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S) type of the smart phone.
  • OS operating system
  •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can be replaced with a desired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o express various shapes.
  • 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 decoration is excellent and the productability is increased.
  •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is provided with a photo inserting portion 13 for inserting a photo.
  • the photo insertion unit 1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and the photo insertion groove (13a) for inserting a photo and the transparent cover (13b) detachably coupled to the photo insertion groove (13a)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picture in the photo insertion groove (13a).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hoto inserting portion 13 for inserting a photo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10, the user can see the picture when the mobile phone is not mounted further improves the user's satisfaction.
  • the guide portion 21b of the clamping portion 21 is elastically bent to grip the wire so as to organize the wir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21a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parate wire organizer 21c for inserting and hanging the wire so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wire exposed inside the vehicle can be arranged. .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to a variety of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the decoration is excellent and the productability is increas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as promotional materials by applying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orporate logos,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홀더부재와,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휴대폰이 거치되는 휴대폰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를 사용자의 취향 또는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으로 교체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장식미를 향상시킨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1년 3월 25일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26967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최근에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간에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각 개인이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근래에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 폰의 보급율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폰은 점차 기능이 다양화되어 이동 중 활용성이 점차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을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기설정된 하나의 형태에서 변화가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용 중 쉽게 싫증이 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근래에 들어 휴대폰의 교체 주기가 빨라지면서 교체된 휴대폰에 따라 형태가 다른 휴대폰 거치대를 별도로 구매해서 사용해고 싶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 또는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휴대폰이 거치되는 휴대폰 거치부재;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홀더부재;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와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 또는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장식미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업의 로고, 마크 등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판촉물로 널리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폰 거치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폰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부재의 뒷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부재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부재의 평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휴대폰 거치부재 11 : 후면 지지부
12 : 받침 돌기부 13 : 포토 삽입부
20 : 베이스 홀더부재 21 : 클램핑부
22 : 베이스 몸체부 30 : 결합부재
31 : 제 1 결합부 32 : 제 2 결합부
40 : 고정부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이 거치되는 휴대폰 거치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휴대폰의 뒷면이 지지되는 후면 지지판부(11)와, 상기 후면 지지판부(11)의 하부에 돌출되어 휴대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 돌기부(12)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폰은 스마트 폰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 돌기부(12)에는 휴대폰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 연결 구멍(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 돌기부(12)는 상기 후면 지지판부(11)의 하부에 이격되게 한 쌍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로 상기 단자 연결 구멍(12a)이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베이스 홀더부재(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는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에 거치된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21)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부(21)는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에 거치된 휴대폰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에서 휴대폰을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는 고정부재(40)에 연결되어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4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40) 중 한 측에는 볼트부(40a)가 구비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볼트부(40a)가 너트부(40b)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볼트부(40a)와 상기 너트부(40b)의 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재(40)는 유리창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흡착판이 구비된 흡착 고정구(41)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흡착 고정구(41)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자동차의 전면 유리 등에 흡착 고정시킨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재(40)는 단부가 벌어지게 이격되고, 이격된 단부를 서로 고정 볼트(42a)와 고정 너트(42b)의 체결로 일체화시키는 링형 고정구(42)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링형 고정구(42)는 자전거의 핸들(100) 등과 같은 바 형태의 고정체에 장착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폰을 거치시켜 사용하고 싶은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40)에 연결되는 베이스 몸체부(22); 상기 베이스 몸체부(22)에 양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에 거치된 휴대폰을 잡아 고정하는 클램핑부(2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21)는 상기 휴대폰의 일 측을 감싸는 원호를 가지고 굴곡되며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탄성 지지부(21a)와;
상기 탄성 지지부(21a)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부(21a)의 원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가이드부(21b)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21b)는 상기 가이드부(21b)는 상기 휴대폰의 뒷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탄성 지지부(21a)가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 휴대폰을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의 전면에서 상기 클램핑부(21) 사이로 끼우면 상기 탄성 지지부(21a)는 상기 가이드부(21b)가 휴대폰의 뒷면과 접촉되면서 밀려 벌어지고 상기 휴대폰이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에 거치되면 탄성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위치되면서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에 거치된 상기 휴대폰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잡아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인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와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는 결합부재(3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의 후면 또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의 전면 중 한 측에 구비되며 양 측에 레일 홈(31a)이 형성된 제 1 결합부(31)와;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의 후면 또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의 전면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31)의 레일 홈(31a)에 각각 결합되는 레일 돌기(32a)가 구비된 제 2 결합부(32)를 포함한다.
또,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제 1 결합부(31)와 상기 제 2 결합부(32) 중 한 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탄성 지지되며 걸림 돌기(33a)가 돌출된 탄성 결합부(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 또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에는 상기 걸림 돌기(33a)가 삽입되는 걸림 홈(33b)이 구비된다. 즉,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와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 중 어느 한 측에 상기 탄성 결합부(33)가 구비되고, 다른 한 측에 상기 걸림 홈(33b)이 구비되는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후면 지지판부(11)의 후면에 제 2 결합부(32)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홈(33b)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결합부(31)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 결합부(33)는 상기 제 1 결합부(31)의 하부로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 결합부(33)의 전면에 상기 후면 지지판부(11)의 걸림 홈(33b)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33a)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 돌기(33a)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 홈(33b)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의 상부 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 2 결합부(32)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1)의 상단부가 걸려 제 1 결합부(31)의 결합 위치를 지정하는 스토퍼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부(34)는 상기 제 2 결합부(32)와 상기 제 1 결합부(31)가 상, 하부 측으로 관통된 레일 홈(31a)을 따라 빠지지 않도록 걸어 지지하며, 상기 걸림 돌기(33a)가 걸림 홈(33b)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결합부(31)와 상기 제 2 결합부(32)의 위치를 지정한다.
즉, 상기 후면 지지판부(11)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의 상부 측으로 이동되어 분리되고,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의 상부 측에서 하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 2 결합부(32)의 레일 돌기(32a)는 상기 제 1 결합부(31)의 레일 홈(3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탄성 결합부(33)는 전면에 상기 걸림 돌기(33a)로 인해 상기 후면 지지판부(11)의 후면에 의해 눌려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걸림 돌기(33a)가 상기 걸림 홈(33b)에 위치되면 눌렸던 힘이 해제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3a)는 상기 걸림 홈(33b)에 삽입된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상기 걸림 돌기(33a)가 상기 걸림 홈(33b)에 삽입되면서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사용자가 상기 걸림 돌기(33a)가 상기 걸림 홈(33b)에서 이탈될 수 있는 힘을 가해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에서 간단히 분리된다.
본 발명인 휴대폰 거치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를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20)에서 간단히 분리,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스마트 폰의 운영체제(OS) 종류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의 심벌 또는 마크의 형상으로 제조되거나, 만화 캐릭터 또는 별도로 디자인된 형상 등으로 제조된다.
즉,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교체되어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휴대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취향 또는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장식미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증대된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의 전면에는 사진을 삽입할 수 있는 포토 삽입부(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 삽입부(13)는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사진을 삽입하는 포토 삽입홈(13a) 및 상기 포토 삽입홈(13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투명 커버(13b)를 포함하여 상기 포토 삽입홈(13a) 내에 사진을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부재(10)의 전면에 사진을 삽입할 수 있는 포토 삽입부(13)가 구비되어 휴대폰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사진을 볼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 향상시킨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21)의 가이드부(21b)는 전선을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굴곡되어 상기 휴대폰에 연결되는 전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지지부(21a)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선을 삽입하여 걸리게 하는 별도의 전선 정리구(21c)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에 연결되는 전선 및 자동차 내부에서 노출된 전선 등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 또는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장식미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기업의 로고, 마크 등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판촉물로 널리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Claims (10)

  1. 휴대폰이 거치되는 휴대폰 거치부재;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홀더부재;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와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는,
    휴대폰의 뒷면이 지지되는 후면 지지판부;
    상기 후면 지지판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휴대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몸체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양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에 거치된 휴대폰을 잡아 고정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휴대폰의 일 측을 감싸는 원호를 가지고 굴곡되며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탄성 지지부;
    상기 탄성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부의 원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가이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전선을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선을 삽입하여 걸리게 하는 전선 정리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거치부재의 후면 또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의 전면 중 한 측에 구비되며 양 측에 레일 홈이 형성된 제 1 결합부;
    상기 베이스 거치부재의 후면 또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의 전면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부의 레일 홈에 각각 결합되는 레일 돌기가 구비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중 한 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탄성 지지되며 걸림돌기가 구비된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중 다른 측이 구비된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홀더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의 전면에는 사진을 삽입할 수 있는 포토 삽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포토 삽입부는,
    상기 휴대폰 거치부재의 전면에 형성되며 사진을 삽입하는 포토 삽입 홈;
    상기 포토 삽입 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투명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PCT/KR2012/001733 2011-03-25 2012-03-09 휴대폰 거치대 WO201213407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967 2011-03-25
KR1020110026967A KR101050264B1 (ko) 2011-03-25 2011-03-25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073A2 true WO2012134073A2 (ko) 2012-10-04
WO2012134073A3 WO2012134073A3 (ko) 2012-11-29

Family

ID=4492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1733 WO2012134073A2 (ko) 2011-03-25 2012-03-09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0264B1 (ko)
WO (1) WO20121340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879A (zh) * 2016-12-07 2017-05-10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摩托车用多媒体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96Y1 (ko) 2010-07-06 2013-01-02 허우영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KR101250267B1 (ko) * 2011-08-23 2013-04-03 주식회사 아울테크놀로지 차량용 무접점충전기
KR200462350Y1 (ko) * 2011-11-14 2012-09-06 곽판수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KR101383611B1 (ko) * 2012-08-23 2014-04-10 곽판수 콘센트 삽입형 스마트폰 거치대
KR101326687B1 (ko) 2012-11-06 2013-11-20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471521Y1 (ko) * 2013-10-22 2014-02-28 전태호 휴대형 기기의 충전기 거치대
KR200473760Y1 (ko) * 2014-02-26 2014-08-01 (주)신형아이엔티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0473759Y1 (ko) * 2014-02-27 2014-08-01 (주)신형아이엔티 집게타입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101494800B1 (ko) 2014-10-17 2015-02-23 주식회사 티씨엠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8631Y1 (ko) 2017-12-05 2019-03-04 김성웅 블랙박스 용도의 휴대폰 거치대
KR101956083B1 (ko)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20210012689A (ko) 2019-07-26 2021-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내 휴대단말기 도킹 장치 및 방법
KR20210088353A (ko) 2020-01-0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17A (ko) * 2003-02-19 2004-08-2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0396233Y1 (ko) * 2005-06-29 2005-09-21 이경서 휴대장치용 거치대
KR200407607Y1 (ko) * 2005-09-30 2006-02-03 (주) 피엔텔레컴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KR200448308Y1 (ko) * 2009-08-31 2010-03-30 정영훈 핸드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17A (ko) * 2003-02-19 2004-08-2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0396233Y1 (ko) * 2005-06-29 2005-09-21 이경서 휴대장치용 거치대
KR200407607Y1 (ko) * 2005-09-30 2006-02-03 (주) 피엔텔레컴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KR200448308Y1 (ko) * 2009-08-31 2010-03-30 정영훈 핸드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879A (zh) * 2016-12-07 2017-05-10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摩托车用多媒体支架
CN106627879B (zh) * 2016-12-07 2022-10-21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摩托车用多媒体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264B1 (ko) 2011-07-19
WO2012134073A3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4073A2 (ko) 휴대폰 거치대
WO2011037324A2 (ko)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US8055005B2 (en) Bluetooth earphone and lanyard structure thereof
WO2015053424A1 (ko)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WO2016068440A1 (ko) 왕복 이동 슬라이더를 가지는 유닛 및 이를 장착한 케이스
WO2020251317A1 (ko)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WO2014007457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2108644A2 (ko) 분리형 배낭
WO2018190514A1 (ko)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WO2018236074A2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WO2019205801A1 (zh) 一种结构新颖的蓝牙耳机充电装置
WO2019151565A1 (ko) 송풍구 고정형 휴대전화 거치대
WO2014073757A1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23043147A1 (ko)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WO2021241971A1 (ko) 귀걸이 진열대
WO2022270776A1 (ko) 스마트폰 다용도 거치대
WO2020036254A1 (ko) 실리콘그립과 와이어리본을 이용한 클립형 거치대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
WO2014021496A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겸 거치대
CN209913892U (zh) 一种手机夹持装置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3094984A1 (ko) 휴대기기용 스트랩
WO2020060109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20091548A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650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650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