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60Y1 -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 Google Patents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60Y1
KR200473760Y1 KR2020140001490U KR20140001490U KR200473760Y1 KR 200473760 Y1 KR200473760 Y1 KR 200473760Y1 KR 2020140001490 U KR2020140001490 U KR 2020140001490U KR 20140001490 U KR20140001490 U KR 20140001490U KR 200473760 Y1 KR200473760 Y1 KR 200473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rown gear
clamps
crow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형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to KR2020140001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60Y1/ko
Priority to PCT/KR2014/009052 priority patent/WO20151299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체, 특히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체를 사이에 두고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마운팅 대상체, 특히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제1 및 제2 클램프를 가져
다양한 크기 및 종류를 갖는 모바일기기 등의 대상체를 포괄적·범용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향상되고 구형부터 최신형까지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기기 출시 상황에 대한 유연한 시장 대처가 가능하며, 또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고 재고 관리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제1클램프; 제2클램프; 및 제1 및 제2 클램프를 잇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OUNT FOR MOBILE}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체, 특히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체를 사이에 두고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마운팅 대상체, 특히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제1 및 제2 클램프를 가져
다양한 크기 및 종류를 갖는 모바일기기 등의 대상체를 포괄적·범용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향상되고 구형부터 최신형까지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기기 출시 상황에 대한 유연한 시장 대처가 가능하며, 또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고 재고 관리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기타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시간 및 장소에 무관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업무용, 오락용, 정보습득용, 학습용, 지리 안내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책상이나 테이블 비치시, 이동시, 차량 고정시 편리성을 얻기 위하여 다양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또는 마운트(mount)가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 제10-2013-0080201호(공개일자 2013년07월12일)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차량 핸들(Steering wheel)의 원형 림(rim)과 허브 사이에 체결되고, 핸들의 회전 방향에 감응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운전 중 네비게이션을 안정적으로 주시할 수 있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차량 핸들에 장착하는 점에서 특이한 반면에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가 장착되는 거치패널(마운트)에 대한 것은 종래 다양한 기술과 차이점이 없다.
즉, 상기 공개특허의 거치패널(마운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163819호(등록일자 1999년10월04일) [폴더타입 휴대용단말기의 홀스터]와 대동소이한 것이어서,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 기기를 범용적으로 거치하는 기술과는 거리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1219760호(등록일자 2013년01월02일)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및 특허등록 제10-1279160호(등록일자 2013년06월20일)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 두 등록특허는 차량의 CD 투입 슬롯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갖고, 거치부는 벌림 동작이 가능한 가변판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등록특허도 거치부의 부품수가 많고, 다양한 두께와 크기를 갖는 모바일기기나, 다양한 모양과 소재의 보호커버까지 장착된 모바일기기를 범용적으로 지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그 디자인 다변화의 제한성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연결체, 특히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체를 사이에 두고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마운팅 대상체, 특히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제1 및 제2 클램프를 가져 다양한 크기 및 종류를 갖는 모바일기기 등의 대상체를 포괄적·범용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향상되고 구형부터 최신형까지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기기 출시 상황에 대한 유연한 시장 대처가 가능하며, 또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고 재고 관리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제1 및 제2 클램프는 크기가 서로 다르고, 둘 모두 또는 둘 중 하나는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을 갖고, 제1 또는 제2 거치부, 또는 이 둘 모두는 탄성완충부를 가져 다양한 충격으로부터 거치 대상체를 보호하고 특유의 마찰 특성으로부터 대상체의 이탈이 방지되며,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를 가져 예를 들어, 차량 장착시 운전자가 한 손으로도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거치부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은 물론 안전성까지 크게 향상된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가 한 몸체로 되어 있어 단순미에 기초한 디자인 다변화가 가능하며, 모바일기기, 특히 스마트폰 및 보호케이스가 의상이나 시계처럼 패션 아이템의 하나가 되어 가는 현실에서 이에 보조를 맞추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충족을 넘어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연결체에 구비된 각도조절수단을 제1 및 제2 클램프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로 구성하고, 제1 또는 제2 크라운기어, 또는 이 둘 모두는 탄성체에 의하여 탄지되어 각도조절 편리성과 각도변위 완료 상태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특히 유니버설 마운트는
제1클램프;
제2클램프; 및
제1 및 제2 클램프를 잇는 연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서
제1 및 제2 클램프는 크기가 서로 다르고, 둘 모두 또는 둘 중 하나는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이고,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를 갖고,
상기 연결체에는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는 내주면에 탄성완충부를 가지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제1 및 제2 클램프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이고,
제1 또는 제2 크라운기어, 또는 이 둘 모두는 탄성체에 의하여 탄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특히 유니버설 마운트는 연결체, 특히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체를 사이에 두고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마운팅 대상체, 특히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제1 및 제2 클램프를 가져 다양한 크기 및 종류를 갖는 모바일기기 등의 대상체를 포괄적·범용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향상되고 구형부터 최신형까지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기기 출시 상황에 대한 유연한 시장 대처가 가능하며, 또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고 재고 관리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며, 또 제1 및 제2 클램프는 크기가 서로 다르고, 둘 모두 또는 둘 중 하나는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을 갖고, 제1 또는 제2 거치부, 또는 이 둘 모두는 탄성완충부를 가져 다양한 충격으로부터 거치 대상체를 보호하고 특유의 마찰 특성으로부터 대상체의 이탈이 방지되며,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를 가져 예를 들어, 차량 장착시 운전자가 한 손으로도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거치부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은 물론 안전성까지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아울러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가 한 몸체로 되어 있어 단순미에 기초한 디자인 다변화가 가능하며, 모바일기기, 특히 스마트폰 및 보호케이스가 의상이나 시계처럼 패션 아이템의 하나가 되어 가는 현실에서 이에 보조를 맞추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충족을 넘어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고, 나아가 연결체에 구비된 각도조절수단을 제1 및 제2 클램프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로 구성하고, 제1 또는 제2 크라운기어, 또는 이 둘 모두는 탄성체에 의하여 탄지되어 각도조절 편리성과 각도변위 완료 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대한 결합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의 변형예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A]의 사시도, 도 1 [B]의 측면도, 도 2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3의 결합 사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A)는 제1클램프(10), 제2클램프(20), 그리고 이 두 클램프를 잇는 연결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클램프(10)(20)에 마운팅(mounting)되는 대상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이종' 대상체라 함은 기본적으로 두 대상체(모바일기기인 경우 생산시기, 제조사, 모델번호, 크기 및 색상 등의 동일 여부 불문)를 클램핑 타입으로 마운팅(즉, 거치)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선택한 용어로,
클램핑 타입 거치 대상체에는 모바일기기 외에 자전거의 핸들바, 차량의 스트어링휠, 차량의 송풍구 그릴, 차량 헤드레스트의 연결핀 등의 설치체를 포함한다.
두 클램프 중 하나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기타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제1모바일기기를 클램핑 거치하고,
다른 하나에는 이종의 제2모바일기기나 제1모바일기기 및 마운트(A)의 고정 설치를 위한 상기 다양한 설치체가 클램핑 거치될 수 있다.
만약 두 클램프 모두에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경우 모바일기기의 시청 또는 조작을 위한 비치를 위한 직립은 모바일기기들의 형상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구성요소(또는 기구)를 본 고안의 마운트에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A)에서
제1 및 제2 클램프(10)(20)는 특히 크기가 서로 다르고, 둘 모두 또는 둘 중 하나는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이고,
제1 또는 제2 클램프(10)(20), 또는 이 둘 모두는 개구부(15)(25)를 형성하는 단부(15A)(25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15)(25)의 특성과 함께 제1 및 제2 클램프(10)(20)의 단부(15A)(25A)는 경사부로 인하여 개구부는 초입이 더 넓은 형태여서
예를 들어 차량 장착시 운전자가 한 손으로도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거치부(11)(21)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은 물론 안전성까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운트의 한 손 장착 편리성 및 안전성은 마운트(A) 자체를 어느 한 클램프, 특히 제2클램프(20)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핸들바, 차량의 스트어링휠, 차량의 송풍구 그릴, 차량 헤드레스트의 연결핀 등의 설치체에 고정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구현된다.
(즉 거치 대상체를 파지하거나 마운트(A)를 한 손으로 잡고 거치 대상체의 폭이 좁은 일측(일측 클램핑 부위로 거치부(11)(21)의 일측과 접촉하게 된다)이 개구부(15)(25)로 침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어느 편리한 방향으로 각 클램프(100(20)의 어느 한 단부(15A)(25A)를 밀어 벌리면 개구부(15)(25)가 더 크게 벌어지게 되고
대상체의 타측 클램핑 부위를 거치부(11)(21)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밀어 넣어 대상체가 완전히 거치부(11)(21) 사이에 수용되도록 하는 순서로 클램핑 마운팅이 완료될 수 있음)
한편, 제1 또는 제2 클램프(10)(20), 또는 이 둘 모두는 내주면, 특히 제1 및 제2 거치부(11)(21)(모바일기기 또는 설치체가 접촉 마운팅되는 부위)에는 탄성완충부(11A)(2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완충부는 발포 합성수지(예: 발포 폴리우레탄), 합성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엘라스토머와 같은 소재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클램프(10)(20) 전체가 탄성 특성을 갖거나 내측만 코팅이나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등을 통하여 탄성 라이너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A)의 구현예에서는 제1 및 제2 클램프(10)(20)가 연결체(30)를 금형에 배열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 자체가 한 몸체로 성형되고 자체의 합성수지 소재로 인하여 탄성완충부가 각 클램프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 상기 제1거치부(11)는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갖는 구조이며, 이러한 리세스 타입 거치부는 필요에 따라 제2거치부에도 도입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A)에서 제1 및 제2 클램프(10)(20)의 클램핑 파워는 탄성수단(E)으로 인한 것인데, 제1 및 제2 클램프(10)(20)의 각 탄성수단(E1)(E2)은 클램프 소재 자체의 탄성으로 인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강판 등(도 4의 변형예의 판스프링(E1M) 참조) 별도의 탄성수단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클램프를 두 종류의 합성수지로 구성(도 4의 외피(110A) 및 내피(110B) 구조 참조)하여 필요한 클램핑 파워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체(30)에는 각도조절수단(30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하다.
이러한 각도조절수단은 예를 들어 두 클램프(10)(20)를 연결하는 다양한 길이의 주름관(자바라(蛇腹,じゃばら)), 다관절체(도 4의 유니버설 조인트(130A) 등이 복수 개 연결 구성됨) 등 다양한 변형 구조가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A)에서 각도조절수단(30A)은 제1 및 제2 클램프(10)(20)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크라운기어(31A)(31B)에 제1 및 제2 클램프(10)(20)를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대량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어 있다.
제1체결부재(33A)는 볼트이고, 이 볼트(33A)는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각 중앙 통공(33H)(33h)을 관통하여 제2체결부재(33B)의 중앙 삽입돌기(33p)의 체결홈(33n)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조립체]를 구성한다.
제1크라운기어(31A)는 테두리가 제1클램프(10)의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인서트사출의 특성상 제1클램프(10)의 살 속에 볼트인 제1체결부재(33A)의 헤드까지 파묻혀 외부에서는 확인이 안 되는 구조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 제1클램프(10)의 테두리는 외곽이 육각 구조 등 다각 구조나 'D-cut' 구조 등 다양한 공회전 방지구조를 가져 두 크라운기어의 이빨이 맞물리고 엇물리면서 단계적이고 억제된 회전 각도조절의 완벽성이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크라운기어(31B)는 제2클램프(20)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제2체결부재(33B)의 디스크 타입 테두리가 제2클램프(20)의 제2결합부(23)에 수용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체결부재(33B)는 중앙 제1삽입돌기(33p) 둘레에 제2크라운기어(31B)의 육각 수용환홈(33R)의 구조에 상응하는 육각 제2삽입돌기(33P)를 가져 각도 조절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공회전이 방지되며,
제2크라운기어(31B)의 육각 제1수용환홈(33R)의 둘레 플렌지(33f)의 수용을 위하여 제2체결부재(33B)는 육각 제2삽입돌기(33P) 둘레에 제2수용환홈(33r)이 형성되어 있고,
또 제2체결부재(33B)는 제2클램프(20)와의 접면에 육각홈(33g)을 가져 이 육각홈에 제2클램프의 살이 침범하여 제2클램프와 제2체결부재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제2클램프와 제2체결부재의 공회전 방지는 별도로 제2체결부재(33B)의 디스크 타입 테두리를 육각 구조 등 다각 구조나 'D-cut' 구조 등 다양한 공회전 방지구조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연결체(30), 구체적으로 각도조절수단(30A),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길이는 제1 및 제2 클램프(10)(20)의 거리 조절을 위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맞게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크기 등의 사양 및 구조 등이 다양하게 변형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체, 특히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로 구성된 각도조절수단(30A)을 포함하는 연결체(30)를 사이에 두고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마운팅 대상체, 특히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제1 및 제2 클램프를 갖는 마운트(A)에서는
두 크라운기어 중 어느 하나, 특히 제1크라운기어(31A)가 제1클램프(10)의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있어 제2크라운기어(31b)가 돌출된 것에 비하여 제1크라운기어(31A)는 비돌출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대안적으로 제1크라운기어가 돌출되고 제2크라운기어가 비돌출된 구조 채용 가능)}
각도 조절을 위하여 예들 들어 제1클램프(10)의 제1거치부(11)에 장착된 모바일기기를 잡고 회전할 경우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이빨이 상호 맞물리고 엇물리면서 골의 깊이만큼(또는 산의 높이만큼) 승하강이 진행되는 경우
각도 변위 지점이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의 접면이고, 이 제1크라운기어가 제1결합부(13)에 수용된 위치에 배열된 구조여서, 결국 각도 변위 지점이 제1결합부(13) 내에 위치한 구조여서
{대안적인 변형예의 경우 각도 변위 지점은 제2크라운기어의 제2결합부(23)에 수용된 구조일 수 있다}
안정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제1크라운기어가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각도 변위 지점이 제1결합부 내에 위치한 구조의 장점은
또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이빨이 상호 맞물리고 엇물리면서 골의 깊이만큼(또는 산의 높이만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탄성체, 특히 제1클램프(10) 소재(발포 합성수지(예: 발포 폴리우레탄), 합성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엘라스토머 등) 자체에 의하여 구현되는 탄성체(e1)(e2)에 의하여 탄지 되면서
각도 조절 원활성과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의 안정성에도 크게 기여함에 적합한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를 설명하면, 만약 두 크라운기어의 치합 및 비치합에 의한 회전 보장을 위하여 유격을 두는 경우에는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 충격, 진동, 거치 대상체의 하중에 의하여 임의로 각도가 변하면서 각도 조정 상태 안정성이 보장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별도로 코일 스프링 등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위 보장을 위하여 조립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조립체]와 제1 및 제2 클램프(10)(20)의 인서트 사출시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위가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1크라운기어가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각도 변위 지점이 제1결합부 내에 위치한 구조의 장점 덕분에 본 고안에서는 제1 및 제2 클램프(10)(20)가 소재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탄성을 가져 갖고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 특히 제1크라운기어(31A)와 제2체결부재(33B) 둘레의 부위가 제1 및 제2 탄성체(e1)(e2) 역할을 수행하며,
더 나아가 제1크라운기어(31A)가 제1클램프(10)의 제1결합부(13)에 완전히 수용되어
각도 조절의 경우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비치합 및 치합의 반복시
보다 민감하게 제1크라운기어(31A) 둘레와 접촉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제1탄성체(e1)가 압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어
각도 조절 원활성과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의 안정성(제1탄성체(e1)의 팽창 복원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치합 상태의 압박 및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상호 각도 조절은 또 탄성체(e1)(e2), 특히 제1탄성체(e1)와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조립체]의 체결에 역할을 하는 제1체결부재(33A)인 볼트의 헤드 주변 부위와의 접면에서 이루어지는
제1탄성체(e1)의 압축 및 팽창·복원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비치합 및 치합에 따른 각도 조절 원활성과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볼트(33A)의 수나사부는 제2체결부재(33B)의 중앙 삽입돌기(33p)의 체결홈(33n)의 암나사부에만 결합되고,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각 중앙 통공(33H)(33h)은 볼트(33A)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 되지 않고 헐거운 것이 바람직하며,
제1클램프 수지와의 결합 안정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볼트(33A)의 헤드에는 와셔가 별도로 도입되거나 와셔 일체형 볼트를 채용할 수 있고,
도 3의 상부 일점 쇄선 원 내 확대 부분 단면도와 같이, 인서트 사출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는 완전히 치합된 상태이고, 볼트(33A)의 헤드(bh)는 제1크라운기어(31A) 우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새(bg)를 형성하고
이 틈새(bg)에 제1클램프의 합성수지 살이 침입하여 제1탄성체(e1)를 구성하며,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비치합 및 치합에 따라 이 탄성체(e1) 부분이 수축 및 팽창·복원되면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는 각 중앙 통공(33H)(33h) 부위에서 볼트(33A)를 축으로 진퇴하면서
각도 조절 및 각도 조절 완료 상태의 확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각 클램프와 각 크라운기어가 인서트 사출 조립 형태가 아니라 별도 조립 형태일 경우에는
제1클램프 소재 자체의 제1탄성체(e1) 대신에 별도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이 도입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의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Am)에서는 제1클램프(110)는 측면 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을 갖는 점에서는 도 1의 것과 동일하나,
제2클램프(120)는 제1클램프(110)에 비하여 훨씬 작고, 제1개구부(114)에 비하여 제2개구부(125)(도 4 [A]의 결합사시도 좌측의 일점 쇄선 원 내 부분 측면도 참조)도 협소하다. 그러나 제2클램프 역시 거치 대상체, 특히 자전거의 핸들바, 차량의 스트어링휠, 차량의 송풍구 그릴, 차량 헤드레스트의 연결핀 등의 설치체를 클램핑 타입으로 마운팅하는 기능에서는 동일하다.
또 제1 및 제2 클램프(110)(120)의 클램핑 파워는 역시 탄성수단(E)으로부터 얻어지는데, 제1 및 제2 클램프(110)(120)의 각 탄성수단 역시 클램프 소재 자체의 탄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특히 제2클램프의 제2탄성수단(E2m)은 클램프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구현되며, 제1클램프의 판스프링타입 탄성수단(E1M)과 같이 별도의 탄성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110)(120)는 역시 제1 및 제2 거치부(111)(121)에 탄성완충체(111A)(121A)가 도입되어 있는데,
제2탄성완충체(121A)는 제2거치부(121)를 포함하는 내면은 물론 외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우(右) 내측 라운드 부위가 제2탄성수단(E2)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클램프(120)는 특히 차량의 송풍구 그릴, 차량 헤드레스트의 연결핀 등과 같이 협폭의 설치체를 클램핑 타입으로 마운팅하는데 적합하며,
도 1의 마운트(A)의 각 탄성완충부(11A)(21A)와 마찬가지로 도2의 변형 마운트(Am)의 탄성완충부(111A)(121A) 역시 거치 대상체 또는 마운트를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소재 특유의 마찰력으로 거치 대상체 또는 마운트의 임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 제1 및 제2 클램프(110)(120)를 잇는 연결체(130)는 각도조절수단(130A), 특히 회전 및 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성하는 볼(131B) 및 이를 수용하는 안치부(131A)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클램프(110)(120)의 각도 조절 상태에 대한 고정 기능을 위하여 볼(131B)과 안치부(131A)의 접면에는 다양한 마찰 증가 부재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변형 유니버설 마운트(Am)에서는 제1클램프(110)에 클램핑 파워를 부여하는 탄성수단(E)이 도 1의 마운트(A)의 제1클램프(10)와 달리 주로 별도의 강판 소재 판스프링, 특히 제1클램프(110)의 형상에 맞게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인 판스프링(E1M)에 의하여 구현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4 [A]의 결합사시도 및 도 4 [B]의 부분 분해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양산성을 위하여 제1클램프(110)는 외피(110A)와 내피(110B), 그리고 이 둘 사이의 판스프링(E1M)으로 구성되며,
제1클램프(110)에 클램핑 파워는 주로 판스프링(E1M)에 기인하며, 보조적으로 외피(110A) 또는 내피(110B), 또는 이 둘 모두의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한 탄성수단(E1m)이 구현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클램핑 파워과 관련된 주종 관계는 각 구성요소(110A,110B,E1M)가 균등 부담하거나 다양하게 차등 부담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실 양산에서는 선사출 성형된 제1클램프(110)의 외피(110A)에 판스프링(E1M)을 볼트(B)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이 [외피(110A)+판스프링(E1M) 조립체]를 금형에 배열한 후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내피(110B)를 사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발포 합성수지(예: 발포 폴리우레탄), 합성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엘라스토머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외피와 내피는 별도의 접착제 도입 없이 상호 결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외피(110A)+판스프링(E1M) 조립체]의 확고한 결합 보장을 위하여 외피(110A)의 개구부(115) 측 단부 내면에는 각각 걸림턱(B110)이 형성되어 있어 판스프링 단부가 이 걸림턱에 걸려 [외피(110A)+판스프링(E1M) 조립체]인 반제품이나 내피 성형 후의 완제품에서도 분리 또는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볼트(B), 특히 두 볼트를 판스프링(E1M) 중앙의 구멍(H)에 끼운 상태에서 외피(110A) 중앙에 체결하는 것 외에도,
도 4 [B]의 하부의 두 일점 쇄선 원 내에 연속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피(110A)는 중앙 상하에 두 이탈방지돌기(b110)가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은 이 돌기(b110)가 결합되는 구멍(h)을 가져
조립성 및 결합상태 확고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탄성완충부, 탄성수단, 각도조절수단, 클램프, 모바일기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마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Am: 마운트 10,110: 제1클램프
20,120: 제2클램프 30,130: 연결체
30A,130A: 각도조절수단 11,21,111,121: 거치부
E,E1,E2,E1M,E1m,E2m: 탄성수단 31A,31B: 크라운기어

Claims (4)

  1. 제1클램프;
    제2클램프; 및
    제1 및 제2 클램프를 잇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체에는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는 내주면에 탄성완충부를 갖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제1 및 제2 클램프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이고,
    제1 또는 제2 크라운기어, 또는 이 둘 모두는 탄성체에 의하여 탄지되며,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어 있고,
    제1체결부재(33A)는 볼트이고, 이 볼트(33A)는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각 중앙 통공(33H)(33h)을 관통하여 제2체결부재(33B)의 중앙 삽입돌기(33p)의 체결홈(33n)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조립체]를 구성하고,
    제1크라운기어(31A)는 테두리가 제1클램프(10)의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인서트사출에 의하여 제1클램프(10)의 살 속에 볼트인 제1체결부재(33A)의 헤드까지 파묻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클램프는 크기가 서로 다르고, 둘 모두 또는 둘 중 하나는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이고,
    제1 또는 제2 클램프, 또는 이 둘 모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크라운기어(31B)는 제2클램프(20)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제2체결부재(33B)의 디스크 타입 테두리가 제2클램프(20)의 제2결합부(23)에 수용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갖고,
    제2체결부재(33B)는 중앙 제1삽입돌기(33p) 둘레에 제2크라운기어(31B)의 육각 수용환홈(33R)의 구조에 상응하는 육각 제2삽입돌기(33P)를 가져 각도 조절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공회전이 방지되며,
    제2크라운기어(31B)의 육각 제1수용환홈(33R)의 둘레 플렌지(33f)의 수용을 위하여 제2체결부재(33B)는 육각 제2삽입돌기(33P) 둘레에 제2수용환홈(33r)이 형성되어 있고,
    제2체결부재(33B)는 제2클램프(20)와의 접면에 육각홈(33g)을 가져 이 육각홈에 제2클램프의 살이 침범하여 제2클램프와 제2체결부재의 공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이빨이 상호 맞물리고 엇물리면서 골의 깊이만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체는 제1클램프(10) 소재 자체에 의하여 구현되는 탄성체(e1)(e2)이고,
    제1크라운기어(31A)가 제1클램프(10)의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있어 제2크라운기어(31b)가 돌출된 것에 비하여 제1크라운기어(31A)는 비돌출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각도 변위 지점이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의 접면이고, 이 제1크라운기어가 제1결합부(13)에 수용된 위치에 배열된 구조여서, 각도 변위 지점이 제1결합부(13) 내에 위치한 구조여서 안정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20140001490U 2014-02-26 2014-02-26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0473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90U KR200473760Y1 (ko) 2014-02-26 2014-02-26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PCT/KR2014/009052 WO2015129980A1 (ko) 2014-02-26 2014-09-26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90U KR200473760Y1 (ko) 2014-02-26 2014-02-26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60Y1 true KR200473760Y1 (ko) 2014-08-01

Family

ID=5198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490U KR200473760Y1 (ko) 2014-02-26 2014-02-26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3760Y1 (ko)
WO (1) WO20151299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3995B1 (ko) * 2023-04-11 2024-09-09 김은광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2347A (zh) * 2018-01-24 2018-05-29 成都璞浩商贸有限公司 一种便携支架
CN113511151A (zh) * 2021-08-21 2021-10-19 深圳市福伦达精工技术有限公司 汽车智能诊断仪
US11904968B2 (en) * 2021-12-15 2024-02-20 Tien Hsin Industries Co., Ltd. Bicycle accessory mounting brack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64B1 (ko) * 2011-03-25 2011-07-19 최병삼 휴대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661Y1 (ko) * 2001-09-05 2001-12-24 이용규 다단계 휴대폰 거치대
KR20120004654U (ko) * 2010-12-15 2012-06-28 이상훈 휴대폰 핸들 거치대
KR200468795Y1 (ko) * 2011-04-20 2013-09-04 박재욱 모바일 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64B1 (ko) * 2011-03-25 2011-07-19 최병삼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3995B1 (ko) * 2023-04-11 2024-09-09 김은광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9980A1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760Y1 (ko)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US7303171B1 (en) Adjustable fixing mount
KR101481256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JP3178127U (ja) ネジ不要の金属の携帯電話カバー構造
CN102770895B (zh) 图像显示部保护板单元以及图像显示部保护板保持构造
US8062060B2 (en) Interface element, interface element holder, and electrical appliance
CN104257043A (zh) 一种智能手环
EP2905146B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irless tire and rim and fastening members thereof
US20060166722A1 (en) Mobile phone back clip device
JP6690623B2 (ja) ケースおよび時計
WO2016027590A1 (ja) ダストカバー
CN104793700A (zh) 显示装置
KR200473759Y1 (ko) 집게타입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CN112750640B (zh) 电子设备及其外壳
JP5588314B2 (ja) 時計
CN204859814U (zh) 安装部件
JP6890773B2 (ja) ケースおよび時計
JP2014062560A (ja) 車両用ダストカバー組付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4595U (ko)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170111404A (ko) 스마트폰 거치대
CN112788209A (zh) 具安全防护的图像捕获设备
CN204091160U (zh) 一种智能手环
KR20130057926A (ko) 장치 거치대
KR200474064Y1 (ko)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
JP2019533346A (ja) 電子装置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