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926A - 장치 거치대 - Google Patents

장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926A
KR20130057926A KR1020120019743A KR20120019743A KR20130057926A KR 20130057926 A KR20130057926 A KR 20130057926A KR 1020120019743 A KR1020120019743 A KR 1020120019743A KR 20120019743 A KR20120019743 A KR 20120019743A KR 20130057926 A KR20130057926 A KR 20130057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edestal
edge
device hol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파츠 filed Critical (주)하이텍파츠
Publication of KR2013005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태블릿 PC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받침대와, 일단이 받침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지지아암과, 지지아암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홀더를 포함한다. 지지아암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볼조인트를 복수개 연결한 링크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받침대는 지지아암이 결합된 받침대 하우징과, 받침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된 제1 지지플레이트와, 제1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제1 지지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중심부가 받침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중심부와 결합되어 있고, 접착제층은 제1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가 자동차의 대시보드와 같은 곡면에도 견고하게 부착이 가능하다. 장치 홀더에 다양한 두께를 갖는 전자 장치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장치 거치대{DEVICE SUPPORTER}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태블릿 PC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대시 보드와 같은 곡면에 받침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거치되는 장치의 두께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도 쉽게 장착이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PMP(portable media player)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과 같은 장치가 소형화되면서 동시에 기능이 통합되어가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폰이나 태블릿 PC가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대부분의 기능을 통합하게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던 것을 자동차 등으로 이동 시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다.
종래 차량의 운행중에 휴대용 단말기나 네이게이션 장치를 장착하여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나 전방 유리면에 진공 흡착시키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발명의 명칭 '세미모노코크 구조의 흡착판 및 컬럼을 구비한 장치 거치대'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8883호에는 진공흡착 방식으로 거치대를 고정하고, 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진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거치대가 공개되어 있다. 조인트 연결부분에 톱니링을 설치하고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조인트의 각도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장치를 거치하기 위하여 조인트의 자유단에 설치된 거치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명칭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26562호에는 거치된 장치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인트 장치로 볼조인트를 이용한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공개된 볼조인트는 볼과, 볼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볼삽입부가 형성된 한쌍의 지지대를 구비한다. 또한, 볼조인트의 조정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지지대에는 각각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에 조임볼트를 삽입하여 지지대를 조여서 지지대의 단부에 삽입될 볼과 지지대가 상대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모니터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지지대의 걸림편을 삽입하여 모니터를 거치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장치 거치대는, 거치된 장치의 설치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조인트의 각도유지구조가 불완전하여, 차량이 비포장 도로나 요철 구간을 주행할 경우와 같이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될 경우 설치 각도가 유지되지 못하고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볼조인트를 이용한 거치대의 경우, 볼이 삽입된 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대를 조임볼트로 조이도록 되어 있어서, 지지대가 변형이 일어난다. 지지대가 변형되면 조인트부분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대를 볼의 면에 가압하는 압력이 약해지고, 볼과 지지대의 접촉면에서 슬립이 일어나게 되어 조정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지지대는 장치를 지지대에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 거치된 장치가 지지대로 부터 탈락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의 대시보드에 겔 패드와 같은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정하는 거치대의 경우,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차량의 운행중에 거치대가 대시보드에서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차량의 대시보드가 곡면으로 되어 있어서 견고한 접착이 일어나지 못하고 동시에 부착된 겔 패드의 가장자리에 항상 갤 패드와 대시보드가 분리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장치 거치대는 장치 홀더에 수용되기 위한 장치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홀더 가장 자리를 탄성 변형되도록 하여 장착되는 장치의 크기 변화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가장자리가 변형되어 크기 변화를 수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거치대의 홀더에 두께가 다른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 거치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을, 2011년 5월 9일자로 대한민국에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43693호(발명의 명칭,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를 출원하였다. 상기 특허로 출원된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내용으로 합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대시 보드와 같은 곡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범위에 걸쳐서 두께가 다른 장치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장치 홀더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볼 조인트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고정된 볼과, 일단이 상기 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한다. 볼에는, 제1링크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볼의 중심을 지나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링크의 일단에는 상기 볼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주변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볼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조인트바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조인트바와 볼의 상대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볼과 제2링크의 유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지각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유지각도조절수단의 일실시예로,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상기 나산산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을 구비한 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를 두 개의 조인트바로 구성하고, 볼과 연결되는 각각의 조인트 바의 단부의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상기 볼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주면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볼수용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볼 수용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는, 볼과 조인트의 각도 유지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볼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각각의 조인트바의 볼수용부에는 탄성 시트부재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성의 시트부재는 마찰력이 크고, 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시트부재를 가압할 경우 탄성변형되어 볼수용부 내에서 볼이 회전하는 잡아주기 때문에 각도 유지력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는, 조인트의 각도 조절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볼에 관통구멍을 장공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장치 거치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링크조립체와, 링크조립체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홀더와, 상기 장치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장치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홀더는, 장치어댑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링크조립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에 기재된 볼 조인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받침대와, 일단이 받침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지지아암과, 지지아암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홀더를 포함한다. 지지아암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볼조인트를 복수개 연결한 링크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받침대는 지지아암이 결합된 받침대 하우징과, 받침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된 제1 지지플레이트와, 제1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제1 지지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중심부가 받침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중심부와 결합되어 있고, 접착제층은 제1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에 있어서, 제1 지지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지 제1 지지플레이트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부와, 슬릿이 형성된 가장자리부로 구획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는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중심부와 결합하여 제1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용이하게 변형되어 대시 보드와 같은 곡면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 하우징이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와 결합되어 있어서 지지 아암에 걸리는 힘이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작용하므로, 접착제층의 가장자리에 직접 힘이 가해지지 않아서 접착된 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제1 지지플레이트와 받침대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 된 제2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는 제2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플레이트는 제2 지지블레이트 보다 강성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에 있어서, 장치홀더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측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장치 수용부를 구비한 리셉터클과, 리셉터클의 장치 수용부의 후벽에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 푸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하여 조정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볼조인트가 제공된다. 또한, 차량에 장착된 경우 주행 중에 운전자에게 시야를 확보하도록 조정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에 거치된 장치가 떨어지는 방지하도록 잠금장치를 구비한 거치대를 제공하여, 거치된 장치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떨어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가 자동차의 대시 보드와 같은 곡면에도 견고하게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홀더에 다양한 두께를 갖는 전자 장치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 어탭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볼조인트가 연결된 링크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받치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홀더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른 형태의 받침대를 사용한 실시예의 전개 사시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100)는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고정되기 위한 받침대(10)와,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20)을 포함한다. 받침대(10)는 바닥면에 대시보드에 부착시키기 위한 겔타입의 접착제(미도시)나 양면접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으며, 박리스트립에 의하여 보호된다.
지지축(20)은 받침대(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20)에는 복수의 링크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조립체(3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조립체의 말단링크의 자유단에는 장치홀더(4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치홀더(40)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60)가 장착되는 장치어댑터(5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어댑터(50)는 배면(53)에 장치홀더(40)의 후크(41)가 삽입되기 위한 슬릿(52)이 형성된 걸림부(51)를 구비한다. 후크(41)의 상부에는 케이스 내부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잠금부재(42)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41)가 슬릿(52)에 삽입되면, 걸림부(51)의 상부를 잠금부재(42)의 로킹바(42-1)가 막아서 장치어댑터(50)가 후크(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장치어댑터(5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잠금부재(42)의 해제바(42-2)를 후방으로 밀어서 장치어댑터(50)를 분리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홀더(40)는 케이스(43)와 케이스(43)에 설치된 잠금부재(41)를 포함한다. 케이스(43)는 전면판(43-3)과 후방케이스(43-4)로 구성된다. 전면판(43-3)에는 로킹바홀(43-4)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케이스(43-4)에는 체결홀(43-2)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42)는 로킹바(42-1)가 외력에 의하여 케이스(43)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되도록 출몰가능하게 스프링(4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잠금부재(43)의 해제바(43-2)는 케이스(43)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후방케이스(43-4)의 배면에는 회전링(44)이 결합된다. 회전링(44)의 중앙부에는 후방케이스(43-4)의 체결홀(43-2)에 삽입되기 위한 체결돌기(44-1)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45), 회전링(44), 후방케이스(43-4), 인덱스링(47), 스냅링(48)의 순서로 볼트(46)에 의하여 결합된다. 회전링(44)은 분할된 한쌍의 회전지지쉘(49)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된 한 쌍의 회전지지쉘(49)의 단부에는 링크조립체(30)의 자유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링크조립체(30)는 3개의 링크(31, 33, 35)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링크(31, 33, 35)의 단부는 볼조인트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링크(31)는 일단이 지지축(10)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링크(31)의 타단에는 제1링크 볼(32)이 고정되어 있다. 제1링크 볼(32)에는 볼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링크(3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축선 방향으로 관통구멍(32-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32-2)은 삽입되는 체결볼트(39-1)이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조인트의 각도 조절 범위가 확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링크 볼(3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32-1)가 관통구멍의 양단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링크(33)는 두개의 조인트바로 구성된다. 한 쌍의 조인트바의 양단부에는 볼을 외주면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볼수용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볼수용부(33-1)에는 체결볼트(39-1)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구멍(3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링크 볼(32)과 제2링크(33)의 일단의 볼수용부(33-1) 사이에는 탄성시트부재(38)가 배치된다. 탄성시트부재(38)에는 체결볼트(29-1)가 통과되기 위한 관통구멍(38-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수용부(33-1)에는 탄성시트부재(38)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홈(33-3)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시트부재(38)에는 슬립방지홈(33-3)에 삽입되기 위한 슬립방지돌기(3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링크의 관통구멍(33-2)과 탄성시트부재(38)의 관통구멍(38-2)과 제1링크볼(32)의 관통구멍(32-2)을 통과한 체결볼트(39-1)를 나사산이 형성된 노브(39-2)를 회전시켜서 체결하여 조정된 조인트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노브(39-2)를 회전시켜서 체결볼트를 조이면, 제1조인트의 볼수용부(33-3)가 탄성시트부재(38)를 매개로 직접 제1링크볼(32)을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제1링크볼(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32-1)가 탄성시트부재(38)의 볼수용부(38-1)를 요철형상으로 변형시켜서 제1링크볼(32)과 탄성시트부재(38) 사이의 슬립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시트부재(38)는 슬림방지돌기(38-3)가 슬립방지홈(33-3)에 삽입되어 있어서 제1링크(33)의 볼수용부(33-1)와 상대적으로 슬립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볼조인트는 조정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크 조립체(30)는 제2링크(33)와 제3링크(35)도 제1링크(31)와 제2링크(33)와 동일한 구성의 볼조인트로 결합되어 있다. 제3링크(35)와 장치홀더(40)의 조인트 결합은 볼(36)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결합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가 도 1에 도시된 장치거치대와 다른 점은, 대시보드와 같은 곡면에도 보다 견고하게 부착이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점과, 두께가 다양한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장치홀더를 구비한 점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200)는 받침대(210)와,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220)과, 지지축(20)에 복수의 링크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조립체(230)와, 링크조립체(2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홀더(250)를 포함한다. 링크 조립체(230)는 일단이 받침대(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220)에 고정되어 있으나, 직접 받침대(2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 조립체(230) 대신에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아암(33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 조립체의 자유단에는 장치홀더(25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나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받침대는, 받침대 하우징(211)과 받침대 하우징(211)의 하부에 결합된 제2 지지플레이트(213)와, 제2 지지플레이트(213)의 하부면에 결합된 제1 지지플레이트(215)와,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하부면에 결합된 접착제층(217)을 포함한다. 접착제층(217)의 하부면에는 차량의 데시보드에 장치 거치대를 설치하기 전에 접착제층(217)을 보호하기 위한 박리스트립(218)이 부착되어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 및 제1 지지플레이트(215)는 강철 플레이트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강성을 갖는 판재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에는 가장자리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개된 복수의 슬릿(213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는 슬릿(213c)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부(213a)와 슬릿들(213c)에 의하여 나누어진 가장자리부(213b)로 구획된다. 또한, 제1 지지플레이트(215)에도 가장자리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개된 복수의 슬릿(215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215)도 슬릿(215c)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부(215a)와 슬릿들(215c)에 의하여 나누어진 가장자리부(215b)로 구획된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와 제1 지지플레이트(215)는 중심부(213a, 215a)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213)와 제2 지지플레이트(215)는 두께가 얇은 강판이므로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와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슬릿들(213c, 215c)의 종단부에는 각각 원형의 천공구멍들(213d, 215d)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들(213c, 215c)의 종단부에 형성된 천공구멍들(213d, 215d)은 가장자리부(213b, 215b)가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한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는 접착제층(217)이 부착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215)보다 강성이 큰 것(두께가 두꺼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의 중심부(213a)에 형성된 관통구멍(213f)은 조립시에 받침대 하우징(211)의 돌기(211f)에 삽입된다. 또한, 제2 및 제1 지지플레이트(213, 215)에는 각각 관통구멍(213e, 215e)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나사(219)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213, 215)를 받침대 하우징(211)에 형성된 나사구멍(211e)에 결합한다.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하부면에는 접착제층(217)이 부착되어 있다. 접착제층(217)은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중심부(215a)와 가장자리부(215b) 모두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다. 접착제층(217)은 겔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면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받침대를 곡면 형상을 하고 있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부착할 경우,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가장자리부(215b)가 곡면의 형상에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부착된다.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두께를 얇은 것을 사용하여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가장자리부(215b)의 탄성복원력이 접착력보다 작게 하면 곡면의 형상에 따라서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와 제1 지지플레이트(215)는 서로 중심부(213a, 215a)에서 결합 되어 있으므로, 받침대에 작용하는 외력은 제2 지지플레이트(213)의 중심부(213a)를 통하여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중심부(215a)로 전달된다. 따라서, 접착제층(217)과 데시보드 사이의 결합을 분리시키려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2 지지플레이트(213)의 가장자리부(213b)는 제1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215b)를 가압하여, 제2 지지플레이트(215)의 가장자리부(215b)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가장자리부(215b)가 대시 보드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장치 거치대(200)가 부착된 대시 보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장치홀더(250)는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254)과, 리셉터클(254)의 장치수용부(254e)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푸셔(256)를 포함한다. 레셉터클(254)의 장치수용부(254e)는 측벽(254d)과 후벽(254f)에 의하여 한정된다. 측벽(254d)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반대측에는 장착된 장치가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254c)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54d)은 탄성재질로 성형되어 힘을 받으면 벌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폭이 차이가 있는 장치를 수용할 수 있고, 장착된 장치의 양측을 구속하여 장치가 홀더(25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푸셔(256)는 리셉터클(254)의 후벽(254f)에는 설치되고, 압축코일 스프링(255)에 의해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푸셔(256)의 푸싱면(256d)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돌기(256c)가 형성되어 있다. 푸싱면(256d)은 볼록한 곡면 형상을 하고 있다. 볼록한 푸시면(256d)과 돌기(256c)는 장착되는 장치와 푸셔(256) 사이의 마찰을 줄여서 장치가 푸셔(256)를 후방으로 밀면서 용이하게 리셉터클(254)에 장착되도록 한다. 푸셔(256)에는 나서 체결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푸셔(256)이 후방 관통구멍의 주위에는 푸셔(256)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실린더 형상의 푸셔가이드(256a)가 형성되어 있다. 푸셔의 관통구멍에는 러버 캡(258)이 삽입되어 체결나사(257)를 가리고 장착된 장치에 적당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리셉터클(254)의 후벽(256f)에는 조립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의 주위에는 푸셔가이드(256a)가 안내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원형의 푸셔가이드 홈(2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푸셔가이드 홈(254a)의 내측에는 압축코일 스프링(255)이 수용되기 위한 원형의 스프링 수용홈(254b)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55)의 일단은 스프링 수용홈(254)에 삽입되고, 타단은 푸셔(256)의 후방에 형성된 푸셔가이드(256)의 내부에 삽입된다.
리셉터클(254)은 홀더하우징(2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홀더 하우징(251)에는 고정축(25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254)이 회전된 각도를 90도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리셉터클(254)과 고정하우징(251)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252)과 관통구멍이 형성된 각도조절 하우징(253)이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반침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와 다른 점은, 받침대 하우징(311)의 하부에 제1 플레이트만(313)만이 세 개의 나사(319)에 의하여 결합 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거치대(200) 복수의 볼 조인트를 연결한 링크 조립체(230)를 사용하여 장치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300)는 링크 조립체(230) 대신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 아암(331)을 사용한 점이다. 휴대폰(360)이 장작되는 장치홀더(350)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에의 장치홀더(250)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제1플레이트(313)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하여 형성된 복수의 슬릿(313c)에 의하여 나누어진 가장자리부(313b)와 중심부(313a)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의 제1플레이트(313)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제1플레이트(313)는 중심부(313a)에 형성된 관통구멍(313e)에 나사(319)가 삽입되어 받침대 하우징(311)의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자리(311e)에 체결된다. 제1플레이트(313)의 하부면에는 접착제층(317)이 부착된다. 접착제층(317)은 겔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면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받침대는, 받침대 하우징(211)과 받침대 하우징(211)의 하부에 결합된 제2 지지플레이트(213)와, 제2 지지플레이트(213)의 하부면에 결합된 제1 지지플레이트(215)와,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하부면에 결합된 접착제층(217)을 포함한다. 접착제층(217)의 하부면에는 차량의 데시보드에 장치 거치대를 설치하기 전에 접착제층(217)을 보호하기 위한 박리스트립(218)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받침대 하우징(211)에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복수의 리브(211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플레이트(215)에는 가장자리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개된 복수의 슬릿(215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215)는 슬릿(215c)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부(215a)와 슬릿들(215c)에 의하여 나누어진 가장자리부(215b)로 구획된다. 반면에, 제2 지지플레이트(213)에는 가장 자리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 지지플레이트(215)의 중심부와 거의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 거치대를 자동차의 데시보드 등에 부착하여 설치할 경우, 받침대 하우징(211)의 복수의 리브(211g)가 제1 지지플레이트의 슬릿이 형성된 가장자리부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사각형상의 관통구멍(215f)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219)로 제2 지지플레이트(213)를 받침대 하우징(21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213) 및 제1 지지플레이트(215)는 강철 플레이트를 사용하되 제1 지지플레이트(215)는 본 장치거치대를 부착하는 대시보드의 곡면부의 형상에 따라 굴곡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은 박판플레이트를 사용한다. 제1 지지플레이트(215)와 제2 지지플레이트(213)는 용접으로 결합을 하되 용접의 위치는 제2 지지플레이트(213)의 중심부에 형성된 드로잉부가 시작되는 위치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전둘레로 용접작업을 하여 접착제층(217)과 제1 지지플레이트(215)에서 전달되는 힘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받침대 20 지지축
30 링크조립체 31 링크
32 볼 32-2 장공
33 조인트바 38 탄성시트부재
40 장치홀더 50 장치어텝터
210 받침대 213 제1 지지플레이트
215 제2 지지플레이트 217 접착제층
220 지지축
230 링크 조립체 250 장치홀더
254 리셉터클 256 푸셔

Claims (10)

  1. 받침대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아암이 결합된 받침대 하우징과,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된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중심부가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중심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층은 제1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결합되어 있는 장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지 제1 지지플레이트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부와, 슬릿이 형성된 가장자리부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는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중심부와 결합되어 있는 장치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대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된 제2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는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결합된 장치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서 일정거리 내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심부는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의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중심부에 결합된 장치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는 제1 지지블레이트 보다 강성이 큰 장치 거치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홀더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측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장치 수용부를 구비한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의 장치 수용부의 후벽에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 푸셔를 포함하는 장치 거치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가장자리 하부면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장치 거치대를 설치시에 상기 복수의 리브가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의 슬릿이 형성된 가장자리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보다 작게 형성된 장치 거치대.
  8. 받침대와,
    일단이 상기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홀더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측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장치 수용부를 구비한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의 장치 수용부의 후벽에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 푸셔를 포함하는 장치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푸싱면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장치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푸싱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장치 거치대.
KR1020120019743A 2011-11-24 2012-02-27 장치 거치대 KR201300579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844 2011-11-24
KR20110123844 2011-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926A true KR20130057926A (ko) 2013-06-03

Family

ID=4885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743A KR20130057926A (ko) 2011-11-24 2012-02-27 장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9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9542A (zh) * 2014-10-24 2015-01-28 重庆金宏汽车电子有限公司 电子设备的支撑固定装置
CN104325938A (zh) * 2014-10-24 2015-02-04 重庆金宏汽车电子有限公司 置于汽车上的电子设备支架
WO2015041431A1 (ko) * 2013-09-17 2015-03-26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CN109466463A (zh) * 2018-12-18 2019-03-15 深圳市粒创新设计有限公司 一种重力支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31A1 (ko) * 2013-09-17 2015-03-26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CN105723272A (zh) * 2013-09-17 2016-06-29 娜我比可隆股份有限公司 平视显示器
CN104309542A (zh) * 2014-10-24 2015-01-28 重庆金宏汽车电子有限公司 电子设备的支撑固定装置
CN104325938A (zh) * 2014-10-24 2015-02-04 重庆金宏汽车电子有限公司 置于汽车上的电子设备支架
CN109466463A (zh) * 2018-12-18 2019-03-15 深圳市粒创新设计有限公司 一种重力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5931A (ko)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
US9817444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having fastened bent edges
US11489350B2 (en) Cradle for mobile devices with resilient guid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9834150B1 (en) Portable device holder for vehicle CD-slot mounting
KR20130057926A (ko) 장치 거치대
US10428997B2 (en) Mounting member
US20100259885A1 (en) Hard disk drive holder
US20160081207A1 (en)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9007537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US20210261215A1 (en) Electronic device mount
US20160304033A1 (en)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apparatus having the case thereof
CN102045969B (zh) 电子装置
KR20140076080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WO2010007732A1 (ja) ホルダ装置
KR20150017170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20160003392A (ko)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US20110139947A1 (en) Spherical pivot bearing assembly structure and holder using the same
KR101902424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735634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TWI446778B (zh) 便攜式電子裝置
KR20160122971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EP1393980A2 (en) Holder for mobile telephone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CN113301822A (zh) 头盔配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