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34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5634B1 KR101735634B1 KR1020140117511A KR20140117511A KR101735634B1 KR 101735634 B1 KR101735634 B1 KR 101735634B1 KR 1020140117511 A KR1020140117511 A KR 1020140117511A KR 20140117511 A KR20140117511 A KR 20140117511A KR 101735634 B1 KR101735634 B1 KR 101735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elastic hinge
- present
- stationary support
- hing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집게형 거치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던 스프링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종래 대비 컴팩트하고 심플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기본 기능 이외에 단말기의 메모리에 동영상을 저장하여 휴대하면서 시청할 수 있거나, DMB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TV를 시청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을 터치하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가 대중화되고 있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활용이 기본적 기능이 되는 등, 근래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넘어 TV, 동영상 재생기, 게임기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화되고 있다.
그 결과, 종래 주로 입과 귀를 통해 사용되었던 휴대용 단말기가 근래에는 많은 시간을 눈을 통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는 보다 편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바라보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대를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종래 거치대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거치대를 함께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 내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경우, 흡착판을 이용하여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타입이 대부분인 바,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 및 이로 인해 자동차 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 집게형 거치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던 스프링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종래 대비 컴팩트하고 심플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탄성힌지부의 중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탄성힌지부의 중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탄성힌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탄성힌지부에 스토퍼돌기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누를 때, 탄성힌지부가 압착되는 양이 제한되어서, 결국 탄성힌지부가 과도히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탄성힌지부의 중단부 후방면에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누를 때,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대비 힘을 적게 들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릿을 기준으로 중단부의 양측이 맞닿게 되는 시점 전후로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누르기 위한 힘의 크기가 큰 차이를 띄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까지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눌러야 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의 대시판넬 부분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이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단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지지부; 및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고정지지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지지부에 탄성회동력을 제공하는 탄성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집게형 거치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던 스프링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종래 대비 컴팩트하고 심플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힌지부의 중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탄성힌지부의 중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탄성힌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힌지부에 스토퍼돌기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누를 때, 탄성힌지부가 압착되는 양이 제한되어서, 결국 탄성힌지부가 과도히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힌지부의 중단부 후방면에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누를 때,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대비 힘을 적게 들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릿을 기준으로 중단부의 양측이 맞닿게 되는 시점 전후로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누르기 위한 힘의 크기가 큰 차이를 띄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까지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눌러야 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대시판넬 부분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이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개구된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전단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01,103); 및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지지부(101,103)에 탄성회동력을 제공하는 탄성힌지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지지부(101,103)는 휴대용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데, 휴대용 단말기는 고정지지부(101,103)의 전단에 끼워져 고정되며, 고정지지부(101,103)는 일예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고정지지부(101,103)는 전방을 향할수록 전단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로 고정지지부(101,103)가 형성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를 끼워 고정할 때,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방을 과도히 가압하지 않고서도 고정지지부(101,103)의 전단 사이 간격을 넓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101,103)의 전단부에는 지지돌기부(107,109)가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돌기부(107,109)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을 지지하여서, 휴대용 단말기가 고정지지부(101,103)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고정지지부(101,103) 중 어느 한쪽(103)에 결합홀(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홀(111)에는 지지부재(113)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부재(113)는 일예로 타원 기둥 형상이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111) 역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결합홀(111)에 지지부재(113)를 끼워넣을 때, 지지부재(113)의 상부 일부분이 결합홀(111)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지지부(103)가 지지부재(11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113)의 하면에는 접착부재가 구비되어서, 지지부재(113)를 자동차의 대시보드, 테이블 등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고정지지부(101,103) 중 어느 한쪽(103)에 결합홀(111)이 형성되고, 이 결합홀(111)에 지지부재(113)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서, 고정지지부(101,103)가 지지부재(113)에 쉽게 탈착되며 결합되게 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차량 내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지지부재(113)를 차량의 대시판넬 부분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이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방 외측면에 미끄럼방지부(115,50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미끄럼방지부(115)는 수개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미끄럼방지부(501)는 오목하게 함몰된 요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탄성힌지부(105)는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지지부(101,103)에 탄성회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힌지부(105)는 일예로 중단부(117)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탄성힌지부(105)가 형성됨으로써, 종래 집게형 거치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던 스프링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종래 대비 컴팩트하고 심플한 구조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힌지부(105)의 중단부(117)에는 관통홀(201)이 중단부(117)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탄성힌지부(105)의 중단부(117)에 관통홀(201)이 형성됨으로써, 탄성힌지부(105)의 중단부(117)에 응력이 집중되어 탄성힌지부(10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힌지부(105)의 서로 마주보는 면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는 스토퍼돌기(601)가 돌출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탄성힌지부(105)에 스토퍼돌기(601)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을 누를 때, 탄성힌지부(106)가 압착되는 양이 제한되어서, 결국 탄성힌지부(105)가 과도히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힌지부(10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스토퍼돌기(601)의 기능은 도 5에 도시된 미끄럼방지부(501)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즉,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손가락을 미끄럼방지부(501)에 안착한 후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을 누를 때, 미끄럼방지부(501)의 저면이 탄성힌지부(105)의 외측면에 맞닿을 때까지만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이 눌림으로써, 결국 탄성힌지부(105)가 과도히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힌지부(10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힌지부(105)의 중단부(117) 후방면에는, 슬릿(70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탄성힌지부(105)의 중단부(117) 후방면에 슬릿(701)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을 누를 때, 슬릿(701)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대비 힘을 적게 들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릿(701)을 기준으로 중단부(117)의 양측이 맞닿게 되는 시점 전후로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을 누르기 위한 힘의 크기가 큰 차이를 띄게 되어,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까지 고정지지부(101,103)의 후단을 눌러야 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103 : 고정지지부
105 : 탄성힌지부
107,109 : 지지돌기부
111 : 결합홀
113 : 지지부재
115 : 미끄럼방지부
117 : 중단부
201 : 관통홀
501 : 미끄럼방지부
601 : 스토퍼돌기
701 : 슬릿
105 : 탄성힌지부
107,109 : 지지돌기부
111 : 결합홀
113 : 지지부재
115 : 미끄럼방지부
117 : 중단부
201 : 관통홀
501 : 미끄럼방지부
601 : 스토퍼돌기
701 : 슬릿
Claims (4)
- 전단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어느 한쪽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에 탄성회동력을 제공하되, 중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형성된 탄성힌지부; 및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힌지부가 압착되는 양을 제한하도록, 상기 탄성힌지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스토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방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삭제
- 삭제
- 전단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어느 한쪽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에 탄성회동력을 제공하되, 중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형성된 탄성힌지부; 및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힌지부의 중단부 후방면에,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부의 후방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511A KR101735634B1 (ko) | 2014-09-04 | 2014-09-04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511A KR101735634B1 (ko) | 2014-09-04 | 2014-09-04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699A KR20160028699A (ko) | 2016-03-14 |
KR101735634B1 true KR101735634B1 (ko) | 2017-05-15 |
Family
ID=5554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7511A KR101735634B1 (ko) | 2014-09-04 | 2014-09-04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56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0125B1 (ko) * | 2020-12-03 | 2024-07-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산의 제조 공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661Y1 (ko) | 2001-09-05 | 2001-12-24 | 이용규 | 다단계 휴대폰 거치대 |
JP2009532137A (ja) | 2006-04-05 | 2009-09-10 | ノーブル ハウス グループ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 管用の非再開式ロックピンチクランプ |
KR200474301Y1 (ko) | 2014-03-03 | 2014-09-05 | 김호철 |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5799A (ko) | 2013-09-03 | 2013-09-26 |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 |
-
2014
- 2014-09-04 KR KR1020140117511A patent/KR101735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661Y1 (ko) | 2001-09-05 | 2001-12-24 | 이용규 | 다단계 휴대폰 거치대 |
JP2009532137A (ja) | 2006-04-05 | 2009-09-10 | ノーブル ハウス グループ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 管用の非再開式ロックピンチクランプ |
KR200474301Y1 (ko) | 2014-03-03 | 2014-09-05 | 김호철 |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699A (ko) | 2016-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72168B2 (en) | Package structure | |
US20110024470A1 (en) | Handheld device holder for vehicle's steering wheel | |
US9834150B1 (en) | Portable device holder for vehicle CD-slot mounting | |
US20090090757A1 (en) | Cradle for automobile | |
US795093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 |
US20150346773A1 (en) | Extendable auxilia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able terminal-supporting function | |
US20080099653A1 (en) | Anchor rack having a coupling pawl | |
KR101735634B1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
US20160044805A1 (en) | Portable device holder with mirror | |
US7722264B2 (en) |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 |
US20170111485A1 (en) | Removable device case | |
KR20160000276U (ko) |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 |
KR20130057926A (ko) | 장치 거치대 | |
KR20130071039A (ko) |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 |
KR101925080B1 (ko) |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 | |
KR20140002951U (ko) |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 |
US20140097325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system | |
KR20150118720A (ko) |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 |
KR20230000225U (ko) | 단말기 거치대 | |
US8033672B2 (en) | Glare protection device for GPS or similar apparatus | |
KR20160122971A (ko) |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 |
KR200417906Y1 (ko) | 웹패드의 안테나 장치 | |
CN220672143U (zh) | 一种显示屏装置 | |
KR20190042430A (ko) | 휴대단말기 거치대 | |
CN217146508U (zh) | 贴膜装置及贴膜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